KR101015021B1 -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 Google Patents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021B1
KR101015021B1 KR1020100066421A KR20100066421A KR101015021B1 KR 101015021 B1 KR101015021 B1 KR 101015021B1 KR 1020100066421 A KR1020100066421 A KR 1020100066421A KR 20100066421 A KR20100066421 A KR 20100066421A KR 101015021 B1 KR101015021 B1 KR 10101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hair
swing
bol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100066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9Rocking chai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이를 채용한 흔들 의자 구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등받이(12)가 구비된 시트부(10)와, 상기 시트부(10)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된 지지로드(14)와, 상기 지지로드(14)의 하단부에 결합된 다리(16)와, 상기 시트부(10)에 상기 다리(16)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로드(14)에 고정수단(30)을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곡선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46)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윙 레그(46)는 상기 장착 결합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부(10)의 하측부에서 지면(1)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윙 작동을 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0)와 상기 등받이(12)가 스윙 작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스윙 레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이에 채용되는 흔들 의자 구현 장치이다.

Description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Rocking chair with detacheable swing unit and rocking chair swing unit therefor}
본 발명은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을 위한 스윙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의 전용 흔들 의자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사무용 의자나 기타 모든 종류의 의자에 범용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이에 채용되는 흔들 의자 구현을 위한 스윙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편히 앉을 수 있도록 좌판과 등판으로 구성되고, 특히 등판은 사람이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45° 이상 기댈 수 없게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수업용 의자나 사무용 의자들과 같이 대부분의 의자가 갖는 공통된 등판구조이다. 한편,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가구의 일종으로서 앉기 편한 것, 앉아서 편한 것, 쓰기 편한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질 때에 비로소 우수한 기능성 의자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앉기 편하거나 앉아서 편한 것과 같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시중에는 많은 흔들 의자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흔들 의자는 요람에서 흔들어주면 편안함을 느끼듯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흔들림 동작을 함으로써 착석자가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의자를 말한다.
그런데, 이제까지는 흔들 의자를 전용으로만 제공하고 있어서 사무용 의자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에는 흔들 의자의 기능을 갖추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 사무용 의자나 듀오백과 같이 시중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의자에는 흔들 의자 기능을 갖추지 못하고, 전문 제작 업체에서 흔들 의자를 전용으로만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평상시에는 사무용 의자와 같이 다른 용도의 의자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흔들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는 현재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용 의자나 기타 모든 종류의 의자에 범용적으로 채용하여 흔들 의자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나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흔들 의자 구현 구조 및 이에 채용되는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가 구비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된 다리와, 상기 시트부에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의 측면에서 볼 때에 곡선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윙 레그는 상기 장착 결합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하측부에서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윙 작동을 하는 한 쌍의 스윙 레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이에 채용되는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의 구성 부분인 지지로드(사무용 의자의 경우에는 시트부와 다리를 연결하는 실린더의 피스톤 출몰식 지지로드에 해당)에 주요부인 스윙 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흔들 의자를 전용으로만 제공하고 있어서 사무용 의자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에는 흔들 의자의 기능을 갖추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종래와 달리, 일반 사무용 의자나 듀오백과 같이 시중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의자에도 흔들 의자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므로, 실용성이나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사무용 의자와 같이 다른 용도의 의자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흔들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에 본 발명의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스윙 레그를 지면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제1바아에 제2바아가 상하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바아와 제2바아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지수단이 개재되어, 상기 제2바아가 제1바아에 대해 하향으로 탄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정볼트를 풀어주면 탄지수단의 힘에 의해 제2바아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탄지되고, 이처럼 탄지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제2바아의 상대 인출 길이를 조절하여 제2바아의 해당 볼트 지지홀에 고정볼트를 끼우고 제1바아의 볼트 체결부에 조여줌으로써 제2바아의 인출 상태를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장 등)에 맞추어 스윙 레그의 상하 높이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 결합부의 구성 부분인 한 쌍의 연결바아에서 사이드 연장바아와 제1바아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치합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이러한 치합돌기의 맞물림식 결합에 의해 제1바아와 스윙 레그를 의자의 시트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제1바아를 관통하는 볼트는 각 연결바아의 사이드 연장바아 단부에 구비된 볼트 체결부에 조여져서 스윙 레그의 회동 각도 조절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필요한 경우 스윙 레그 부분을 보다 뒤로 더 회동되도록 조절하거나 보다 더 앞으로 회동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사용시의 편리성 등을 보다 높이는 효과도 갖는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마음대로 스윙 레그 부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보다 우수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의자의 시트부와 장착 결합부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더 대주어서, 이러한 지지부재에 의해 시트부에 착석시 시트부 저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으므로, 착석시 시트부와 등받이가 본의 아니게 뒤로 제껴지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생기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3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윙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흔들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흔들 의자의 시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3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윙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후방 위치에 등받이(12)가 구비된 시트부(10)와, 상기 시트부(10)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된 지지로드(14)와, 상기 지지로드(14)의 하단부에 결합된 다리(16)를 갖는 구조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10)의 저면과 다리(16)를 연결하는 지지로드(14) 둘레부에 탈부착 가능한 스윙 유닛과, 그 스윙유닛을 채용한 흔들 의자이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스윙 유닛은 크게 장착 결합부, 이러한 장착 결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시트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곡선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46)를 갖는 스윙 레그부(4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장착 결합부는 상측에서 볼 때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오목한 반원홈 형상의 로드 결합홈(22a)이 구비된 한 쌍의 연결바아(20)로 구성된다. 즉, 각각의 연결바아(20)는 의자 시트부(10)의 전후 방향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아(22)와, 이러한 수평바아(22)에 이어짐과 동시에 의자 시트부(10)의 중심부에서 직교하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연장바아(24)를 갖는 니은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수평바아(22)는 의자의 시트부(10)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며, 각각의 수평바아(22)에는 횡방향으로 볼트홀(22b)이 관통 형성되어, 이러한 볼트홀(22b)에 후술할 고정수단(30)을 구성하는 볼트(32)가 끼워지고, 볼트(32)에는 너트(34)가 체결된다.
상기 장착 결합부는 고정수단(30)을 매개로 의자의 시트부(10) 저면에 결합된 지지로드(14)에 고정된다. 여기서, 사무용 의자는 대부분 실린더(15)를 매개로 시트부(10)에 다리(16)가 연결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지지로드(14)는 실린더(15)에 피스톤식으로 출몰 작동되는 피스톤 로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30)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수평바아(22)를 관통하는 볼트(32)와, 이러한 볼트(32)에 체결되어 한 쌍의 수평바아(22)를 의자의 지지로드(14)에 조여지도록 하는 너트(34)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스윙 레그부(40)는 제1바아(42)와 제2바아(44)와 스윙 레그(46)와 고정볼트(48) 및 탄지수단(47)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바아(42)는 전술한 장착 결합부의 구성 요소인 사이드 연장바아(24)에 연결됨으로써 수평바아(2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제1바아(42)에는 관형상의 제2바아(44)가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바아(44)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슬롯(44a)이 형성되고, 슬롯(44a)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보다 큰 볼트 지지홀(44b)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바아(44)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 개의 볼트 지지홀(44b)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 지지홀(44b)을 대략 원형홀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아(42)는 제2바아(44)의 볼트 지지홀(44b)과 마주하는 면에 볼트 체결부(42a)가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 체결부(42a)는 제1바아(42)의 하측부에 인서트 내장된 너트(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 레그(46)는 의자의 시트부(10) 측면에서 볼 때에 원호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스윙 레그(46)의 상면 중앙부가 제2바아(44)의 하단부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스윙 레그(46)가 지면(1)에 접촉(도 4 참조)되어, 의자의 시트부(10)에 착석한 사람이 의자를 전후 방향으로 흔드는 작동을 함에 따라 스윙 레그(46)가 지면(1)에서 스윙 작동되므로 시트부(10)와 등받이(12)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되는 흔들 의자 기능을 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5는 스윙 레그(46)와 제2바아(44)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된 보강바아로서, 이러한 보강바아(45)는 제2바아(44)와 스윙 레그(46) 사이의 연결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제2바아(44)의 볼트 지지홀(44b)에 결합된 고정볼트(48)가 제1바아(42)에 구비된 볼트 체결부(42a)에 볼트(32)식으로 조여짐으로써 제1바아(42)에 대해 제2바아(44)가 인출된 상태를 셋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8)는 헤드(48a)와 나사축을 갖는 구조인고, 이러한 나사축은 헤드(48a)에서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축부(48b)(여기서, 테이퍼 축부(48b)는 고정볼트(48)를 제2바아(44)의 볼트 지지홀(44b)에 쉽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짐)과, 이러한 테이퍼 축부(48b)에 이어진 평면 가압부(48c)(여기서, 평면 가압부(48c)는 제1바아(42)의 통공(42h) 둘레면에 가압 밀착되어 체결력을 높이는 기능을 가짐)와, 이러한 평면 가압부(48c)에서 헤드(48a)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축으로 구성되며, 체결축은 제1바아(42)의 두께만큼 나사 가공되지 않은 비가공 축부(48d)와, 이러한 비가공 축부(48d)에 이어지며 제1바아(42)에 내장된 볼트 체결부(42a)(구체적으로 너트(34))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나사축부(48e)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탄지수단(47)은 제2바아(44)의 내부와 제1바아(42)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탄지수단(47)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탄지수단(47)은 제1바아(42)의 하단부와 제2바아(44)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바아(42)에 대해 제2바아(44)가 하강되도록 탄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바아(42)와 상기 장착 결합부의 구성을 이루는 사이드 연장바아(24)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치합돌기(24t,42t)(도 1과 도 7 참조)가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치합돌기(24t,42t)의 맞물림에 의해 제1바아(42)와, 이러한 제1바아(42)의 하측부에 연결된 스윙 레그(46)를 의자의 시트부(1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아(42)의 볼트홀(22b)을 관통하는 볼트(32)는 사이드 연장바아(24)의 단부에 구비된 볼트 체결부(54)에 조여져서 스윙 레그(46)의 회동 각도 조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7에서는 볼트 체결부(54)가 사이드 연장바아(24)의 단부에 인서트 내장된 너트(34)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을 사무용 의자와 같은 통상의 의자에 장착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상기 장착 결합부를 구성하는 각 수평바아(22)의 로드 결합홈(22a) 부분을 의자의 시트부(10)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로드(14)(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5)의 피스톤 출몰식 로드에 해당함)의 둘레부에 맞추어 결합한 다음, 각각의 수평바아(22)에 형성된 볼트홀(22b)에 볼트(32)를 삽입하고, 볼트(32)에 너트(34)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장착 결합부, 즉 두 개의 연결바다(20)가 의자의 시트부(10) 저면의 지지로드(14)에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한 쌍의 좌우 제1바아(42)와 제2바아(44) 및 스윙 레그(46)를 의자의 시트부(10) 좌우 양측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스윙 레그(46)를 갖는 스윙 유닛을 의자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흔들 의자 구현을 위한 스윙유닛은 의자의 시트부(10)에 다리(16)를 연결하는 지지로드(14)(즉, 실린더(15)의 지지로드에 해당)에 고정수단(30)을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원호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46)를 갖도록 구성되며, 스윙 레그(46)는 장착 결합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시트부(10)의 하측부에서 지면(1)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윙 작동을 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스윙 레그부(40)를 포함하는 구성인데, 상기와 같은 스윙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의자에서 시트부(10)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스윙 레그(46)가 배치된 흔들 의자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볼트(32)와 너트(34)를 풀어서 한 쌍의 연결바아(20)를 의자의 지지로드(14)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스윙 레그(46)를 포함하는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탈부착식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장착 결합부는 서로 마주하는 일단부에 로드 결합홈(22a)이 구비되고, 이러한 로드 결합홈(22a) 부분에는 의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아(22)가 구비된 한 쌍의 연결바아(20)로 구성되고, 각각의 수평바아(22)에는 볼트홀(22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수평바아(22)에 형성된 로드 결합홈(22a) 부분을 의자의 시트부(10) 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로드(14) 둘레부에 맞추어 결합한 다음, 각 수평바아(22)에 형성된 볼트홀(22b)에 볼트(32)를 삽입하고, 볼트(32)에 너트(34)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장착 결합부가 의자의 지지로드(14)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역시 스윙 레그(46)를 갖는 스윙 유닛을 의자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볼트(32)와 너트(34)를 풀어서 스윙 유닛을 의자에서 분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착석자가 의자의 시트부(10) 위에 앉아 있다가 의자에 구비된 실린더 작동레버(미도시)를 당겨주면 실린더(15)의 지지로드(14)(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대부분 실린더(15)의 지지로드(14)를 매개로 시트부(10)와 다리(16)가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가 하강하면서 동시에 상기 스윙 레그(46)의 저면 중앙부가 지면(1)에 닿게 되는 한편, 의자의 다리(16)는 지면(1)에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부(10)에 착석한 착석자가 의자를 앞뒤로 흔드는 작동을 하게 되면, 원호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46)가 지면(1)에 닿은 상태로 전후 스윙 운동을 하므로, 흔들 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사무용 의자와 같은 본래의 의자로 사용하다가 원하는 때에는 언제든지 흔들 의자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흔들 의자를 전용으로만 제공하고 있어서 사무용 의자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에는 흔들 의자의 기능을 갖추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종래와 달리, 일반 사무용 의자나 듀오백과 같이 시중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의자에도 흔들 의자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므로, 실용성이나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사무용 의자와 같이 다른 용도의 의자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흔들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바아(42)에 제2바아(44)가 상하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1바아(42)와 제2바아(44)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지수단(47)이 개재되어 제2바아(44)가 제1바아(42)에 대해 하향으로 탄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8)를 풀어주면 탄지수단(47)의 힘에 의해 제2바아(44)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탄지되며, 이러한 탄지수단(47)에 의해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제2바아(44)의 상대 인출 길이를 조절하여 제2바아(44)의 해당 볼트 지지홀(44b)에 고정볼트(48)를 결합하여 제1바아(42)의 볼트 체결부(42a)에 조여줌으로써 제2바아(44)의 인출 상태를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탄지수단(47)에 의해 제2바아(44)를 제1바아(42)에 대해 상대 인출시키고, 제2바아(44)의 인출 길이는 고정볼트(48)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스윙 레그(46)의 상하 높이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복수개의 볼트 지지홀(44b) 중에서 필요한 볼트 지지홀(44b)에 고정볼트(48)를 삽입하여 제1바아(42)의 볼트 체결부(42a)에 조여주면 되는 것이다. 이때, 제2바아(44)에는 복수개의 볼트 지지홀(44b)이 상하로 길다란 슬롯(44a)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므로, 고정볼트(48)가 제1바아(42)의 볼트 체결부(42a)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롯(44a)을 따라 제2바아(44)가 원활하게 상하로 승강되므로, 제2바아(44)의 승강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지면(1)에 접촉되는 스윙 레그(46)의 승강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고정볼트(48)는 헤드(48a)와 나사축으로 구성되고, 나사축은 헤드(48a)에서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축부(48b)과, 이러한 테이퍼 축부(48b)에서 헤드(48a)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축으로 구성되며, 체결축은 제1바아(42)의 두께만큼 나사 가공되지 않은 비가공 축부(48d)와, 이러한 비가공 축부(48d)에서 이어지며 제1바아(42)에 내장된 볼트 체결부(42a)(구체적으로 너트)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나사축부(48e)를 갖는 구조이다.
따라서, 고정볼트(48)의 나사축부(48e) 부분을 제1바아(42)에 구비된 볼트 체결부(42a)(즉, 너트)에 완전히 조여준 상태에서는 비가공 축부(48d) 부분에 제1바아(42)에 형성된 통공(42h) 부분이 걸려진 상태가 되고, 이러한 비가공 축부(48d) 부분은 나사 가공이 되어 있지 않아서 제1바아(42)가 걸리는 힘에 의해 나사부가 소손되는 등의 현상이 생기지 않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제2바아(44)와 제1바아(42)의 인출 길이 셋팅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고정볼트(48)를 제1바아(42)와 제2바아(44)에 결합하는 조작 역시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착 결합부의 구성 부분인 사이드 연장바아(24)와 제1바아(4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치합돌기(24t,42t)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치합돌기(24t,42t)의 맞물림에 의해 제1바아(42)와 스윙 레그(46)를 시트부(1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제1바아(42)를 관통하는 볼트(32)는 수평바아(22)에 구비된 볼트 체결부(54)에 조여져서 스윙 레그(46)의 회동 각도 조절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볼트(32)를 풀어서 제1바아(42)를 사이드 연장바아(24)의 단부에서 이격시켜서 스윙 레그(46) 부분을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각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뒤로 더 제껴지도록 회동시킨 다음, ⓑ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치합돌기(24t,42t)를 맞결합시켜서 볼트(32)를 사이드 연장바아(24)에 인서트되어 있는 너트 형태의 볼트 체결부(54)에 조여주면, 스윙 레그(46) 부분이 각 치합돌기(24t,42t)의 맞물림 원리에 의해 상대적으로 뒤로 제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의자 착석자가 몸을 뒤로 더 제껴서 흔들 의자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필요한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스윙 레그(46) 부분을 보다 뒤로 더 회동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사용시의 편리성 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바아(42)에 치합돌기(42t)를 구비하고, 상대편 사이드 연장바아(24)의 단부에는 돌기 형태의 걸림편을 구비하여, 치합돌기(42t)에 걸림편이 걸려지는 방식으로 제1바아(42)와 이에 결합된 제2바아(44) 및 스윙 레그(46)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반대로 제1바아(42)에 돌기 형태의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대편 사이드 연장바아(24)의 단부에 치합돌기(24t)를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의자의 시트부(10)와 장착 결합부, 구체적으로, 사이드 연장바아(24)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재(60)를 더 대주어서, 이러한 지지부재(60)에 의해 시트부(10)에 착석시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의자의 시트부(10)와 장착 결합부(즉, 사이드 연장바아(24)) 사이가 떠있는 상태가 되면, 시트부(10)에 착석자가 착석했을 때의 하중에 의해 장착 결합부의 수평바아(22) 부분이 휘어져서 시트부(10)가와 등받이(12)가 본의 아니게 뒤로 제껴질 여지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60)를 더 대줌으로 인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제품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60)는 내부에 볼트(62)(도 3에 도시됨)가 인서트되고, 이러한 인서트된 볼트(62)는 시트부(10)의 저면에 승강 가능하게 볼트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6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지지로드(14) 외주면 중에서 장착 결합부의 로드 결합홈(22a)이 맞닿는 부분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4t)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바아(22)의 로드 결합홈(22a)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테이퍼홈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로드 결합홈(22a) 부분이 지지로드(14)의 테이퍼부(14t)에 조여져 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스윙 레그(46) 부분이 지지로드(14)를 기준으로 아래로 처지거나 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것 역시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시트부 12. 등받이
14. 지지로드 16. 다리
20. 연결바아 22. 수평바아
24. 사이드 연장바아 30. 고정수단
32. 볼트 34. 너트
40. 스윙 레그부 42. 제1바아
44. 제2바아 46. 스윙 레그
47. 탄지수단 48. 고정볼트

Claims (6)

  1. 등받이(12)가 구비된 시트부(10)와, 상기 시트부(10)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된 지지로드(14)와, 상기 지지로드(14)의 하단부에 결합된 다리(16)와, 상기 시트부(10)에 상기 다리(16)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로드(14)에 고정수단(30)을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곡선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46)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윙 레그(46)는 상기 장착 결합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부(10)의 하측부에서 지면(1)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윙 작동을 하는 한 쌍의 스윙 레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결합부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로드 결합홈(22a)이 구비되어 상기 로드 결합홈(22a) 부분이 상기 의자의 상기 지지로드(14)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연결바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아(20)는 의자 시트부(10)의 전후 방향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수평바아(22)와, 각각의 수평바아에 이어지고 의자 시트부(10)의 중심부에서 직교하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연장바아(24)로 구성되며, 고정수단(30)은 상기 한 쌍의 수평바아(22)를 상기 의자의 상기 지지로드(14)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레그부(40)는 상기 수평바아(22)에 연결되어 상기 시트부(10)의 하측으로 직립 연장되며 내부에는 볼트 체결부(42a)가 된 제1바아(42)와, 상기 제1바아(4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시트부(10)의 전후 방향으로 원주형으로 연장된 형상의 스윙 레그(4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바아(42)의 상기 볼트 체결부(42a)와 마주하는 면에는 볼트 지지홀(44b)이 구비된 제2바아(44)와, 상기 제2바아(44)의 상기 볼트 지지홀(44b)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아(42)의 상기 볼트 체결부(42a)에 볼트(32)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윙 레그(46)의 승강 높이를 셋팅하는 고정볼트(48)와, 상기 제2바아(44)의 내부와 상기 제1바아(42)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바아(42)에 대해 상기 제2바아(44)가 하강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4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아(22)에서 상기 시트부(1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연장바아(24)와 상기 제1바아(4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치합돌기(24t,42t)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치합돌기(24t,42t)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상기 제1바아(42)와 상기 스윙 레그(46)를 상기 시트부(1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바아(42)를 관통하는 볼트(32)는 상기 사이드 연장바아(24)에 구비된 볼트 체결부(54)에 조여져서 상기 스윙 레그(46)의 회동 각도 조절 상태를 셋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6. 의자의 시트부(10)에 다리(16)를 연결하는 지지로드(14)에 고정수단(30)을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곡선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스윙 레그(46)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윙 레그(46)는 상기 장착 결합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부(10)의 하측부에서 지면(1)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윙 작동을 하는 한 쌍의 스윙 레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 결합부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로드 결합홈(22a)이 구비되어 상기 로드 결합홈(22a) 부분이 상기 의자의 상기 지지로드(14)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연결바아(20)로 구성되고, 상기 스윙 레그부(40)는 상기 연결바아(20)에서 상기 시트부(10)의 하측으로 직립 연장되며 내부에는 볼트 체결부(42a)가 된 제1바아(42)와, 상기 제1바아(4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시트부(10)의 전후 방향으로 원주형으로 연장된 형상의 스윙 레그(4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바아(42)의 상기 볼트 체결부(42a)와 마주하는 면에는 볼트 지지홀(44b)이 구비된 제2바아(44)와, 상기 제2바아(44)의 상기 볼트 지지홀(44b)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아(42)의 상기 볼트 체결부(42a)에 볼트식으로 조여져서 상기 스윙 레그(46)의 승강 높이를 셋팅하는 고정볼트(48)와, 상기 제2바아(44)의 내부와 상기 제1바아(42)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바아(42)에 대해 상기 제2바아(44)가 하강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4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KR1020100066421A 2010-07-09 2010-07-09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KR10101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21A KR101015021B1 (ko) 2010-07-09 2010-07-09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21A KR101015021B1 (ko) 2010-07-09 2010-07-09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021B1 true KR101015021B1 (ko) 2011-02-16

Family

ID=4377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421A KR101015021B1 (ko) 2010-07-09 2010-07-09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201A (zh) * 2012-11-17 2013-02-13 孙志广 一种带风扇的躺椅
KR101375785B1 (ko) 2011-06-08 2014-04-01 이장근 흔들의자 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RU2773597C1 (ru) * 2021-07-08 2022-06-06 Сергей Леонидович Устьянцев Стул-качалка для совместных труда и отдыха в позе сид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326A (ko) * 1999-09-20 2001-04-06 고준석 자동차 시트를 이용한 흔들의자
KR20030012343A (ko) * 2001-07-31 2003-02-12 황주환 절첩식 흔들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326A (ko) * 1999-09-20 2001-04-06 고준석 자동차 시트를 이용한 흔들의자
KR20030012343A (ko) * 2001-07-31 2003-02-12 황주환 절첩식 흔들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85B1 (ko) 2011-06-08 2014-04-01 이장근 흔들의자 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CN102920201A (zh) * 2012-11-17 2013-02-13 孙志广 一种带风扇的躺椅
RU2773597C1 (ru) * 2021-07-08 2022-06-06 Сергей Леонидович Устьянцев Стул-качалка для совместных труда и отдыха в позе сид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775B1 (en) Head and neck support for a seated person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JPH10272031A (ja) 椅子の座の傾動方法および傾動自在の座を備えた椅子
KR101015021B1 (ko)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US20150008712A1 (en) Anatomic desk chair comprising backrest with frame having a tire-type assembly system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JP3167548U (ja) 揺り椅子
KR101144171B1 (ko) 바른 자세와 집중력 향상을 위한 체형교정용 의자에 탈부착할 수 있는 지지체
US20200121081A1 (en) Height adjustment locking mechanism
KR20110033696A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20110133942A (ko)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CN212815290U (zh) 会议椅及其靠背倾仰调节装置
KR20100012707U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장치
KR20041116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의자요추받침
JP4057973B2 (ja) 車椅子
CN220293309U (zh) 腰部支撑装置
CN217309611U (zh) 一种座具
JP3042990B2 (ja) バランスチェア
KR100522345B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920002671Y1 (ko) 조립식 의자
CN218999901U (zh) 一种新型钢制座椅
CN216855047U (zh) 一种防倾倒结构及老人椅
CN212415291U (zh) 一种组装式沙发的扶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