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834Y1 -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834Y1
KR200321834Y1 KR20-2003-0015199U KR20030015199U KR200321834Y1 KR 200321834 Y1 KR200321834 Y1 KR 200321834Y1 KR 20030015199 U KR20030015199 U KR 20030015199U KR 200321834 Y1 KR200321834 Y1 KR 200321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armchair
backrest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영
Original Assignee
이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영 filed Critical 이구영
Priority to KR20-2003-0015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 구현의 목적은 안락의자의 각도조절수단인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을 지지부재를 갖는 힌지 연결구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형태로 접철 작용되도록 하여 각도 조절부위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지지부재에 의한 힌지 연결부위 노출 방지와, 여유로운 힌지연결부위의 결합공간 확보로써, 일련의 등받이 연결부위를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하여 제품의 외형적 심미감을 상승되도록 한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힌지 구조로 연결시켜, 이를 쿠션재 외피에 의해 감싸여 지도록 하고, 노출된 팔걸이 측면에 고정안내구를 설치되도록 하여 형성한 접철식 안락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의 힌지 결합부위(링크연결구와 힌지구)를 직각구조를 이루는 단차 연결관계로 형성시키고, 상기 힌지 연결부위 하단에 등받이 프레임과 일체화된 연장구성으로, 지지부재를 구비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Easy chair}
본 고안은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사무용 안락의자에 있어, 상기 안락의자의 각도조절수단인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의 힌지 결합부위를 깔끔한 마감처리 구조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외형적 심미감을 상승되도록 한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라 함은 휴식을 취하거나, 각종 작업(사무, 학습등)을 행할시, 사용자 신체를 편안한 자세로 안착되게 하는 신체 거치수단의 일종으로써, 이와같은 의자는 통상 등받이와, 거치대와,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통상의 의자는 등받이와, 거치대와, 받침다리가 상호 일체화된 단순 고정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신체굴곡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제품 구조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착석)시 배김현상 내지 허리통증등을 유발되게 하는 등 상당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이에,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순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의자들이 양산,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자 신체를 선택적으로 눕히거나, 착석시킬수 있도록 한 접철식 안락의자 또한 널리 개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안락의자는 각도 조절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일련의 구성, 다시말해 등받이 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20)의 힌지 결합부위(30)가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일직선으로 맞대어진 직각 접철구조를 이루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락의자는 등받이 프레임(10)이 각도 변화되어 거치프레임(20)과 일직선(수평)을 이룰 경우, 이러한 일직선 구조에 따른 힌지 연결부위(30)의 미비한 지지력으로 인해 등받이가 필요한 각도 범위 이상으로 꺾여지는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 연결부위(30)가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 밀착된 접촉구조를 이룸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 (20)이 외피에 의해 감싸여질 경우, 밀착된 접철부위에 심한 마찰현상이 발생되며 외피를 쉽게 손상시키게 되는 상당한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안락의자는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의 결합부위가 상호 밀착된 힌지 접철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에 이러한 밀착된 접철구조에 따라 그 힌지 결합부위를 외피에 의해 깔끔하게 마감처리 하지 못한체 외부에 그대로 노출시킬수 밖에 없는 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락의자는 힌지 결합부위의 깔끔하지 못한 마감처리 관계로써, 그 전체적인 외관구조를 조잡하게 하는 등, 상당한 심미감 저하의 문제점 또한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의 제반적인 문제점을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안락의자의 각도조절수단인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을 지지부재를 갖는 힌지 연결구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형태로 접철 작용되도록 하여 각도 조절부위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지지부재에 의한 힌지 연결부위 노출 방지와, 여유로운 힌지연결부위의 결합공간 확보로써, 일련의 등받이 연결부위를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하여 제품의 외형적 심미감을 상승되도록 한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힌지 구조로 연결시켜 이를 쿠션재 외피에 의해 감싸여 지도록 하고, 노출된 팔걸이 측면에 고정안내구를 설치되도록 하여 형성한 접철식 안락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의 힌지 결합부위(링크연결구와 힌지구)를 직각구조를 이루는 단차 연결관계로 형성시키고, 상기 힌지 연결부위 하단에 등받이 프레임과 일체화된 연장구성으로, 지지부재를 구비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결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작용상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등받이 프레임 2 : 거치프레임 3 : 팔걸이
4 : 받침다리 11 : 받침부재 12 : 지지부재
21 : 힌지구 31 : 고정안내구 41 : 휠
42 : 지지프레임 111 : 링크연결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측면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의 작용상태도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프레임(2)과, 팔걸이(3)와, 받침다리(4)로 이루어진 안락의자에 있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프레임(2)의 일련의 힌지 결합관계를 직각 단차구조를 이루는 접철 받침구조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등받이 프레임(1)은 직사각 구조를 이루는 수직 받침수단으로써, 이와같은 등받이 프레임(1)은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내측면에 다수개의 받침부재(11)를 사다리 구조로 횡가 설치하되, 상기 횡가 설치된 임의의 하부 받침부재(11), 다시말해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의 받침부재(11) 상에 상호 소정길이로 이격된 대칭구조로써 링크연결구(111)를 형성하고, 재차 상기 링크연결구(111)를 형성한 받침부재(11)의 하부로 등받이 프레임(1)과 일체화된 연장구성으로 도 3 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지지부재(12)를 구비되도록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2)은 사용자의 신체, 즉 둔부를 안착되게 하는 통상의 받침수단으로, 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직사각 격자프레임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거치프레임(2)은 그 프레임의 후측면 하부에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길이로 대칭 이격된 한쌍의 힌지구(21)를 일체로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팔걸이(3)는 사용자의 신체, 즉 팔을 거치되게 하는 통상의 팔 거치수단으로써, 이와같은 팔걸이(3)는 도 2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역삼각 프레임 구조로 절곡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팔걸이(3)는 절곡된 역삼각 형상을 취함에 따라, 그 팔걸이(3)의 전방 구성이 하향 경사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하향 경사구조를 이루는 팔걸이(3)에는 클램핑고정 기능을 행하는 이송수단으로써, 고정안내구(31)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4)는 일반 사무용 의자등에 적용되는 통상의 받침구조로써, 이에 이와같은 받침다리(4)는 도 2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휠(41)이 창착된 유압실린더 구조의 지지프레임(42)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안락의자를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 맞추어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거치프레임(2)의 후측면 하부로 형성된 힌지구(21)에 링크연결구(111)를 직각 연결하여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프레임(2)을 상호 접철가능한 힌지 구조로 결합시키고, 이와같이 결합된 상기 거치프레임(2)의 좌,우 양측면에 역삼각 프레임 구조로 형성된 팔걸이(3)를 장착하여, 이 팔걸이(3)의 후측 일면을 보조적인 통상의 연결수단, 다시말해 도 2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힌지핀(P)에 의해 재차 등받이 프레임(1)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같은 연결구조로 결합된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프레임(2)은 통상의 쿠션재 시트(도시생략)등에 의해 감싸여 짐으로써, 완성된 물품으로써의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프레임(2)과, 팔걸이(3)가 연결된 상태하에, 상기 거치프레임(2)의 전방 좌,우 양측면에 고정안내구(31)를 일체화 부착(용접등에 의한 방법을 통해)시키고, 이와같이 부착된 고정안내구(31)를 팔걸이(3)상에 도 2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핑 연결시키며;
재차, 상기와 같이 결합구성된 거치프레임(2)의 하부로 받침다리(4)를 일체화 구성시킴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는 학습 내지 각종 사무행위를 행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착되게 하여, 안정성과 편리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장시간 학습 내지 사무활동으로 사용자가 신체에 피로를 느낄 경우, 거치프레임(2)으로 힌지연결된 등받이 프레임(1)을 뒤로 젖히게 되면, 등받이 프레임(1)의 각도가 힌지 연결구성에 의해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변화되며, 사용자 신체를 눕히게 되는 휴식수단으로써의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이 각도변화 작용을 행할 경우, 거치프레임(2) 또한 그 높이가 소정간격으로 변화 되는 것으로, 이에 상기 고정안내구 (31)는 거치프레임(2)의 높이변화시, 이를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안정적으로 유도, 안내하며, 거치프레임(2) 유동에 따른 안락의자의 뒤틀림 현상 내지 변형등을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2)의 높이변화시 이를 유도안내하는 상기 고정안내구(31)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클램핑 고정기능을 행하는 것으로,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안락의자의 각도조절이 모두 이루어질 경우, 상기 고정안내구 (31)를 클램핑 고정되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하중 또는 기타 외력 작용에 의해 안락의자의 설정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는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프레임(2)의 힌지연결부위, 다시말해 링크연결구(111)와 힌지구(21)가 직각구조로 결합된 상태로써,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구조로 각도변화될 경우, 그 연결부위가 상,하 단차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단차 구조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1)의 연장구성인 지지부재(12)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거치프레임(2)의 저면부로 밀착 걸림되며, 등받이 프레임(1)이 수평구조 이하로 불필요하게 각도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1)의 지지부재(12)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가림막 구조로써, 힌지 연결부위가 안락의자의 외부(후면)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 또한 병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은 힌지 연결부위의 노출방지에 따라 제품의 깔끔한 외형구성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는 각도조절수단인 등받이 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을 지지부재를 갖는 힌지 연결구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형태로 접철 작용되도록 하여 각도 조절부위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일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에 의한 힌지 연결부위의 노출 방지와, 여유로운 힌지연결부위의 결합공간 확보로써, 일련의 등받이 연결부위를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하여 제품의 외형적 심미감을 상승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 프레임(2)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힌지 구조로 연결시켜, 이를 쿠션재 외피에 의해 감싸여 지도록 하고, 노출된 팔걸이(3) 측면에 고정안내구(31)를 설치토록 하여 형성한 접철식 안락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과 거치 프레임(2)의 힌지 결합부위(링크연결구와 힌지구)를 직각구조를 이루는 단차 연결관계로 형성시키고, 상기 힌지 연결부위 하단에 등받이 프레임(1)과 일체화된 연장구성으로, 지지부재(12)를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KR20-2003-0015199U 2003-05-16 2003-05-16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KR200321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99U KR200321834Y1 (ko) 2003-05-16 2003-05-16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99U KR200321834Y1 (ko) 2003-05-16 2003-05-16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834Y1 true KR200321834Y1 (ko) 2003-07-31

Family

ID=4933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99U KR200321834Y1 (ko) 2003-05-16 2003-05-16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5081A (zh) * 2022-03-15 2022-05-20 安徽汉唐休闲用品有限公司 调档折叠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5081A (zh) * 2022-03-15 2022-05-20 安徽汉唐休闲用品有限公司 调档折叠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127B1 (en) Ergonomic chair backrest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WO2024093808A1 (zh) 一种高低折叠椅
US20130175836A1 (en) Adjustable hanging chair
KR200321834Y1 (ko)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JP7169166B2 (ja) 椅子
KR200470234Y1 (ko) 다용도 침대
KR20030012343A (ko) 절첩식 흔들의자
KR20100137348A (ko) 슬림형 요추보호의자
KR100960608B1 (ko) 슬림형 요추보호의자
KR20100034425A (ko) 간이의자
KR100522345B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0427740Y1 (ko) 접이식 의자
US5626385A (en) Versatile support for dynamically fractional gross loads
KR20040042025A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US20100102606A1 (en) Chair Structure
KR200318473Y1 (ko) 사무용 안락의자
KR20130004781U (ko) 접철식 캠핑 의자
KR101631621B1 (ko) 휴대용 접이식 간이 의자
KR0140033Y1 (ko) 상반신 받침대
CN220403586U (zh) 一种座架结构及其沙发
KR200235413Y1 (ko) 낚시용 의자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JPH042595Y2 (ko)
KR200302824Y1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