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214Y1 - 절첩식 간이 침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간이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214Y1
KR200252214Y1 KR2020010022386U KR20010022386U KR200252214Y1 KR 200252214 Y1 KR200252214 Y1 KR 200252214Y1 KR 2020010022386 U KR2020010022386 U KR 2020010022386U KR 20010022386 U KR20010022386 U KR 20010022386U KR 200252214 Y1 KR200252214 Y1 KR 200252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ides
head restraint
frame structur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희
Original Assignee
박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희 filed Critical 박제희
Priority to KR2020010022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214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간이 침대의 다리 받침부를 없애고,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접어 결속할 경우 머리 받침간을 탈거한 후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간이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침간을 전·후·좌·우 엑스(X)자 상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 접속시킨 구조체를 전후로 복수개 배열한 골조구조에 시트를 조립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간이 침대에 있어서, 골조구조의 후방 구조체 양측에서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 각각의 상단에 소정 길이의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머리 받침간에 관계하는 시트의 후방 양측에 끼움주머니를 형성하여 머리 받침간을 통해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골조구조의 양측에는 별도의 팔거리지지부재를 상, 하슬라이딩되면서 절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팔거리지지부재에 관계하는 시트의 양측에는 내측에 신축공이 형성되는 상태의 넓은 날개시트를 일체로 봉재하되 내면에 끼움부재를 봉재하여 팔거리지지부재를 간편용이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절첩식 간이 침대를 접어 결속할 경우 머리 받침간을 후향의 좌·우측 받침간으로부터 탈거하여 접음으로써 그 높이를 줄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간이 침대{Collapsible type simplicity bed}
본 발명은 절첩식 간이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식 간이 침대의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접어 결속할 경우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머리 받침간을 탈거하여 간이 의자 및 간이 쇼파로 사용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양팔을 편안하게 걸쳐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간이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여가선용의 필요성을 느끼기는 사람이 늘어나게 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처럼 여가를 즐기기 위한 방안으로 사람들은 강과 바다, 산과 들로 낚시, 등산 및 여행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낚시, 등산 및 여행에 따른 유용한 간이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간이 기구들로는 사람이 등을 기대고 걸터 앉을 수 있게 만든 기구로써 절첩식 간이 의자 및 절첩식 간이 쇼파 등이 있고, 누워 취침할 수 있는 절첩식 간이 침대가 있다.
전술한 절첩식 간이 의자, 간이 쇼파 및 간이 침대는 대체적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접을 시에는 그 부피를 현저하게 줄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중량의 최소화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스틸 파이프 등의 경량골재를 엑스(X) 형태로 교차 접속시킨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다음은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를 설명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첩식 간이 침대(10)는 적정길이의 엑스(X)자 형대로 교차 접속된 다수의 받침간(22)과 받침간(22)의 각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구(24)로 이루어진 골조구조(20), 골조구조(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3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골조구조(20)는 전·후 양측 끝단을 형성하여 머리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끝부 지지단(20a, 20b, 20c, 20d)이 받침간(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간부의 연결구(30)에 의해 상호 결합된 받침간(20)이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지지단(20e)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시트(30)의 전·후 양측에는 끝부 지지단(20a, 20b, 20c, 20d)이 삽입되는 끼움주머니(30a, 30b, 30c,30d)가 봉착 형성되고, 시트(30)의 적소에는 절첩식 간이 침대(10)를 휴대하거나 보관시 접어서 결속하는 결속용 배드(32)이 구비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절첩식 간이 침대는 전·후 각각에 다리와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끝부 지지단이 형성되어 있어 끝부 지지단이 형성된 부분에 앉을 경우 타측이 들리면서 접혀져 상해를 당할 위험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절첩식 간이 침대는 전·후의 받침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다리와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끝단 지지단이 다른 받침간의상단보다 더 상부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간이 침대를 접어서 결속할 경우 그 높이가 높아 물류 비용면에서도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휴대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절첩식 간이 침대의 높이에 따른 제약이 있게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첩식 간이 침대의 다리 받침부를 없애고,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함으로써 접어 결속할 경우 머리 받침간을 탈거한 후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간이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첩식 간이 침대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간이 침대의 물류시 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 받침간을 탈거하여 간이 의자 및 간이 쇼파로 사용시 끝단에 앉더라도 타측이 들리면서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론 골조구조에 고정되는 시트의 양측에 다소 넓은 날개시트를 연장 봉재하되 그 내측으론 신축공을 형성하여 양팔을 간편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하부로 일정길이 신축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려는 절첩식 간이 침대를 제공함이 그 목적이다.
도 1 은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와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의 절첩시킨 상태를 비교하여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절첩식 간이 침대 110. 골조구조
120, 120a, 120b. 구조체 122. 받침간
124. 결합단 130. 지지구
132. 연결구 140. 시트
150. 머리 받침간 160. 체결부재
170. 팔거리지지부재 180. 날개시트
181. 신축공 190. 끼움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절첩식 간이 침대는 받침간을 전·후·좌·우 엑스(X)자 상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 접속시킨 구조체를 전후로 복수개 배열한 골조구조에 시트를 조립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간이 침대에 있어서, 골조구조의 후방 구조체 양측에서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 각각의 상단에 소정 길이의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머리 받침간에 관계하는 시트의 후방 양측에 끼움주머니를 형성하여 머리 받침간을 통해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절첩식 간이 침대를 접어 결속할 경우 머리 받침간을 후향의 좌·우측 받침간으로부터 탈거하여 접음으로써 그 높이를 줄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골조구조의 양측에는 별도의 팔거리지지부재를 상, 하슬라이딩되면서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였고, 상기 팔거리지지부재에 관계하는 시트의 양측에는 내측에 신축공이 형성되는 상태의 넓은 날개시트를 일체로 봉재하되 내면에 끼움부재를 봉재하여 팔거리지지부재를 간편용이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양팔을 간편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과 신축공에 의하여 시트가 원화롭게 식축되어 안락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이 그 특징이다.
전술한 구성에서 골조구조는 구조체가 전·후로 3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100)는 받침간(122)을 전·후·좌·우 엑스(X)자 상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 접속시킨 구조체(120, 120a, 120b)를 전·후로 복수개 배열한 골조구조(110), 상호 관계되는 받침간(122)의 하단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구(130), 상호 관계되는 받침간(122)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구(132) 및 골조구조(110)의 상부로 조립되는 시트(140)로 이루어진 것으로, 골조구조(110)의 후방에 배열되는 구조체(120b) 양측의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 머리 받침간(15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골조구조(110)의 후방에 배열되는 구조체(120b)의 양측 받침간(120)에는 절첩가능하면서 상, 하슬라딩 될 수 있는 팔거리지지부재(17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머리 받침간(150)은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후방에 배열되는 구조체(120b) 양측의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의 직경에 관계하는 내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머리 받침간(150)을 후방 구조체(120b) 양측의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 끼우기 위해서는 후방 구조체(120b)의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 결합단(124)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후방 구조체(120b)의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단(124)은 도 1 및 도 2 의 끝부 지지단(20a, 20b)과 같이 그 길이를 길게 할 필요는 없고, 다만 머리 받침간(150)을 끼워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 형성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구조체(120b)의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단(124)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 머리 받침간(150) 각각에 관계하여 시트(140)의 후방 양측에는 머리 받침간(150) 각각이 삽입되는 끼움주머니(142)가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시트(140) 후방 양측의 끼움주머니(142) 각각에 머리 받침간(150)이 삽입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시트(140)의 후방이 지지된다.
그리고 전술한바와 같은 골조구조(110)의 후방에 배열되는 구조체(120b)의 양측 받침간(120)에 절첩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팔거리지지부재(170) 각각에 관계하여 시트(140)의 양측에는 넓은 날개시트(180)를 연장되게 봉재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사용자가 올라갔을때 신축조절이 용이하게 신축공(181)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날개시트(180)의 내면에는 끼움부재(190)를 봉재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날개시트(180)의 내면에 봉재되어 고정된 끼움부재(190)의 각각에는 팔거리지지부재(170)가 끼워져 사용자의 양팔을 간편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구성에서 골조구조(110)를 이루는 구조체(120, 120a, 120b)는 전·후로 3개 배열되는데, 중간 구조체(120a)를 기준으로 볼 때 중간 구조체(120a)의 전방을 이루는 전방측 받침간(122)은 전방 구조체(120)의 후방측 받침간(122)을 이루게 되고, 중간 구조체(120a)의 후방을 이루는 후방측 받침간(122)은 후방구조체(120b)의 전방측 받침간(122)을 이루게 된다. 즉, 중간 구조체(120a)의 전·후방을 이루는 전·후방측 받침간(122)은 전방 구조체(120)의 후방측 받침간(122)과 후방 구조체(120b)의 전방측 받침간(122)으로 공유된다.
이때, 전술한 골조구조(110)에서 후방 구조체(120b)의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단(124)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이 결합단(124)에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머리 받침간(150)이 끼워져 유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골조구조(110)의 전방 구조체(120) 전방으로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끝부 지지단(20c, 20d)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마무리 된다. 즉, 본 고안의 골조구조(110)는 절첩식 간이 침대(100)의 길이를 충분히 하기 위해 구조체(120, 120a, 120b)를 3개로 형성하여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절첩식 간이 침대(10)는 바와 같이 구조체를 전·후로 2개 배열한 후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끝부 지지단(20c, 20d)의 구성을 없앤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100)의 전방 구조체(120) 끝단부에 걸터 앉더라도 머리 받침간(150)이 설치된 후방측이 들리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머리 받침간(150) 부분에 걸터 앉게 되면 타측이 들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문제는 머리 받침간(150)을 후방 구조체(120b)의 좌·우측 받침간(122) 상단에 연장 형성된 결합단(124)으로부터 탈거하게 되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골조구조(110)에서 상호 관계되는 받침간(122)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구(132) 상부에는 체결홈(132a)이 형성되고, 이에 관계하는 시트(140)의 각 적소에는 시트(140)를 펼친 상태로 연결구(132)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홈(144a)이 형성된 연결 지지구(14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골조구조(110)의 연결구(132) 각각에 시트(140)의 연결 지지구(144)를 일치시킨 후 체결부재(160)를 시트(140)의 연결 지지구(144)에 형성된 관통홈(144a)을 통해 연결구(132)의 체결홈(132a)에 체결하여 시트(140)를 골조구조(110) 상에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100)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절첩식 간이 침대(100)는 골조구조(110)의 후방 구조체(120b) 양측에서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122) 각각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단(124) 각각에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머리 받침간(15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머리 받침간(150)에 관계하는 시트(140)의 후방 양측에 끼움주머니(142)를 형성하여 머리 받침간(150)을 통해 시트(140)의 머리 받침부인 후방측으로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골조구조(110)의 후방에 배열되는 구조체(120b)의 양측 받침간(120)에 절첩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팔거리지지부재(170) 각각에 관계하여 시트(140)의 양측에는 넓은 날개시트(180)를 연장되게 봉재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사용자가 올라갔을때 신축조절이 용이하게 신축공(181)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날개시트(180)의 내면에는 끼움부재(190)를 봉재하여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날개시트(180)의 내면에 봉재되어 고정된 끼움부재(190)의 각각에는 팔거리지지부재(170)가 끼워져 사용자의 양팔을 간편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토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골조구조(110)는 구조체(120, 120a, 120b)가 전·후로 3개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절첩식 간이 침대(100)를 접어 결속할 경우 머리 받침간을 후향의 좌·우측 받침간(150)으로부터 탈거하여 접음으로써 그 높이를 줄여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와 종래 절첩식 간이 침대의 절첩시킨 상태를 비교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의 비교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간이 침대(100)를 접어 결속할 경우 후방 구조체(120b) 양측에서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122) 각각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단(124)으로부터 머리 받침간(150)을 탄걸한 상태에서 접어 결속함으로써 머리 받침간(150)의 길이만큼 종래의 절첩식 간이 침대(10)에 비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간이 침대(100)의 물류시 그 높이 차이에 의한 부피만큼 더 운반할 수 있어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절첩식 간이 침대에서와 같은 별도의 다리 받침부를 없애고,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이 침대를 접어 결속할 경우 머리 받침간을 탈거한 후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절첩식 간이 침대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절첩식 간이 침대의 물류시 그 높이 차이에 의한 부피만큼 더 운반할 수 있어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 받침간을 탈거하여 간이 의자 및 간이 쇼파로 사용시 끝단에 앉더라도 타측이 들리면서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받침간을 전·후·좌·우 엑스(X)자 상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 접속시킨 구조체를 전후로 복수개 배열한 골조구조에 시트를 조립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간이 침대에 있어서,
    상기 골조구조의 후방 구조체 양측에서 후향되는 좌·우측 받침간 각각의 상단에 소정 길이의 머리 받침간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머리 받침간에 관계하는 상기 시트의 후방 양측에 끼움주머니를 형성하여 상기 머리 받침간을 통해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골조구조의 양측에는 별도의 팔거리지지부재를 상, 하슬라이딩되면서 절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팔거리지지부재에 관계하는 시트의 양측에는 내측에 신축공이 형성되는 상태의 넓은 날개시트를 일체로 봉재하되 내면에 끼움부재를 봉재하여 팔거리지지부재를 간편용이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절첩식 간이 침대를 접어 결속할 경우 상기 머리 받침간을 상기 후향의 좌·우측 받침간으로부터 탈거하여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간이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구조는 상기 구조체가 전·후로 3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간이 침대.
KR2020010022386U 2001-07-24 2001-07-24 절첩식 간이 침대 KR200252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86U KR200252214Y1 (ko) 2001-07-24 2001-07-24 절첩식 간이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86U KR200252214Y1 (ko) 2001-07-24 2001-07-24 절첩식 간이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214Y1 true KR200252214Y1 (ko) 2001-11-22

Family

ID=7310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86U KR200252214Y1 (ko) 2001-07-24 2001-07-24 절첩식 간이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7499A1 (en) 2012-11-01 2014-05-07 Jeh-Kun Lah C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7499A1 (en) 2012-11-01 2014-05-07 Jeh-Kun Lah Cot
US8806675B2 (en) 2012-11-01 2014-08-19 Jeh-kun Lah C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740B1 (ko) 휴대용 의자
US6454348B1 (en) Foldable chair assembly
US10499743B2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WO1986000206A1 (en) Folding chair and table structure
GB2120538A (en) Furniture construction
KR200172215Y1 (ko) 절첩식 흔들의자
KR200252214Y1 (ko) 절첩식 간이 침대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EP169416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olding seats
EP3251559A1 (en) Multifunctional piece of furniture
US6644732B1 (en) Structure of a foldable chair with a locking mechanism
CN211795405U (zh) 一种面式收折的摇椅
KR20100103233A (ko) 접이식 의자
CN210227526U (zh) 一种折叠座椅
CN211483689U (zh) 一种便于搁脚的椅子
KR20030012343A (ko) 절첩식 흔들의자
CN219661303U (zh) 一种多功能折叠床
KR101739202B1 (ko) 다기능 더블 야전침대
CN221749980U (zh) 一种具有折叠收合结构的户外休闲椅
TWM521960U (zh) 折合椅的椅架
CN220045326U (zh) 一种月亮椅
JP3087852B1 (ja) 足置付き折り畳み椅子
CN219940118U (zh) 一种懒人椅椅架及懒人椅
CN221635357U (zh) 一种简易户外折叠椅
CN219249628U (zh) 折叠便携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