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870A -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 마찰방지 코팅 및 윈드실드 와이퍼블레이드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 마찰방지 코팅 및 윈드실드 와이퍼블레이드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870A
KR20030011870A KR1020027016527A KR20027016527A KR20030011870A KR 20030011870 A KR20030011870 A KR 20030011870A KR 1020027016527 A KR1020027016527 A KR 1020027016527A KR 20027016527 A KR20027016527 A KR 20027016527A KR 20030011870 A KR20030011870 A KR 20030011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antifriction
polyamide
powder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129B1 (ko
Inventor
포그트안드레아스
뮐러루쯔
하젠콕스울리히
클람트귀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29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squeegee or coat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코팅하기 위한, 마찰방지 코팅 콤포넌트 및 마찰방지 코팅에 관한 것이다. 마찰방지 코팅 콤포넌트는 폴리우레탄, 실록산 및 폴리아미드 분말, 폴리에틸렌 분물 또는 폴리아미드의 용액을 포함한다. 마찰방지 코팅은 경화제,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기반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제 1 방법이 제안되고, 이 제안된 마찰방지 코팅은 먼저 탄성중압체 프로파일에 코팅의 형태로 적용되고, 이 코팅이 그후 건조 및/또는 열적으로 크로스링크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제 2 방법이 제안되고, 이 제안된 마찰방지 코팅은 먼저, 폴리아미드나 폴리에틸렌을 구비하거나 하지 않은 상태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제 1 코팅의 형태로 적용되고, 제 2 코팅 형태의 폴리아미드의 알콜성 또는 수성 용액 또는 폴리아미드 분말이나 폴리에틸렌 분말이 그후 제 1 코팅에 적용된다. 제안된 마찰방지 코팅은 특히 감소된 건조 마찰 계수를 가지는 코팅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 마찰방지 코팅 및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Lubricating lacquer component, lubricating lacquer and methods for coating elastomers such as windscreen wiper blades}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 자동차의 윈드실드의 윤곽에 가능한 한 적응하고, 상이한 온도에서도 가요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같은 고무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가적으로,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도 공지되어 있다.
유리나 플라스틱 같은 재료에 비해, 탄성중합체는 높은 활주 마찰 계수를 가지며, 그래서, 유리 윈드실드의 표면상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형태의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의 특정 수직방향 접촉력이 인가된 경우에, 몇 배의 접촉력이 수평방향 이동에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윈드실드 와이퍼가 함습 상태하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귄드실드상의 수막에 의해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실드사이에 얇은 윤활막이 형성되어 수력학적 윤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와이퍼 블레이드가 예로서, 여름에 윤활막 같은 물 없이 동작하거나, 소나기 이후 동작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조건들하에서, 윈드실드는 급속히 건조되고, 따라서, 마찰 계수가 급격히 증가하며, 이는 스퀴킹(squeaking), 채터링(chattering)이나, 심지어 윈드실드 와이퍼의 동작 정지를 초래한다.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표면의 염소처리 또는 브롬처리, 즉, 경화가 건조한 유리 윈드실드상의 윈드실드 와이퍼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까지 빈번히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매우 정확한 공정 제어를 필요로하며, 환경 보호에 관련하여 문제가 없지 않다.
또한, 특히, 건조 상태에서의 마찰 계수, 즉, 건조 마찰 계수(μdry)를 감소시키는 코팅을 탄성중합체 프로파일들에 제공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왔다. 따라서, JP 55 015 873에서, 와이퍼 립(lip)은 실리콘 고무로 코팅되고, 상기 실리콘 고무내에는 몰리브덴 디설파이드(molybdenum disulfide)가 마찰 계수의 감소를 위한 건조 윤활제로서 도입되어 있다. 유사한 접근법이 DE 38 38 904에 의해 적용되며, 여기서는 흑연 분말이 통합된 폴리우레탄 코팅이 결합제로서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DE 38 39 937 A1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반응성 폴리실리옥산을 포함하는 1-콤포넌트 폴리우레탄 코팅을 개시하고 있다. EP 293 084 A1은 폴리우레탄 및 실록산에 부가하여, 카본 블랙, 테플론, 흑연 또는 운모 같은 첨가제를 또한 포함하는 코팅을 기술하고 있다. 전조상태하에서 낮은 마찰 계수를 가지는 코팅은 탄성중합체상에 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재부에 따른, 마찰방지 코팅 콤포넌트와, 그와 함께 제조된 코팅 및 이 마찰방지 코팅으로 탄성중합체,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같은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코팅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마찰방지 코팅 콤포넌트,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 코팅 및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은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들상에 특히 낮은 건조 마찰 계수를 가진 코팅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래서, 이런 와이퍼 블레이드는 건조 또는 건조중인 차량 윈드실드상에 특히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윈드실드 위로 와이퍼 아암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고, 그래서, 와이퍼 아암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도 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보다 경제적인 모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자동차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상기 장점들은 특히 보다 긴 와이퍼 아암 및 블레이드를 필요로하는 크고 평탄한 윈드실드가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차량 유형에 적합하다.
이는 또한, 윈도우 와이퍼 블레이드상의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 의해 스퀴킹 또는 클래터링 같은 불쾌한 소음들의 감소가 불쾌한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마찰 방지 코팅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장점은 특히 자동차의 정상 검사 간격 사이의 시간에 대응하여,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일정한 양호한 와이핑 품질을 보증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 코팅은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상에서 매우 양호한 접착 저항성 및 내마모성을 가진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는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의 할로겐화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용된 마찰방지 코팅이 균일한 품질로 신뢰성있게 적용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 코팅은 실질적으로 보다 환경친화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개선형들은 종속항에 기술된 조치들로부터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 코팅이 환형에 어떠한 위험도 미치지 않는 수성 1-콤포넌트 또는 2 콤포넌트 코팅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방식으로, 가공 비용이 감소되고, 저장이 간편해진다.
또한, 탄성중합체에 대한 코팅의 적용은 그 가황 이전에도 실행되는 것이 적합하며, 그래서, 가황 동안 공급되는 에너지가 최종 경화 및/또는 열적 크로스링킹을 위해 사용되고, 마찰 방지 코팅의 최종 경화가 매우 짧은 시간에 추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경우에, 미가황 재료의 보다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코팅의 기판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와의 보다 양호한 크로스링킹이 달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코팅은 가황 이후에도 실행될 수 있다. 이는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위한 제조 라인 외측에서 코팅을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소시아네이트-기반 경화제가 마찰방지 코팅 콤포넌트에 추가될 수 있는 경화제로서 특히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발명은 Sipiol(R)이란 상표명으로 뒤셀도르프의 Henkel KGaA에 의해 판매되는,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코팅으로부터 시작된다. 반응성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을 가지는 이 Sipiol(R) 코팅은 특히 고무 프로파일을 코팅하는데 적합하다. 폴리실록산은 폴리우레탄으로 크로스링크되어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고 폴리머내에 통합되는 콤포넌트를 형성하게 된다. 특정 Sipiol(R) 코팅의 선택에 따라서, 초기에 수성 1-콤포넌트 코팅 또는 2-콤포넌트 코팅의 형태로 제공되며, 부가적으로 첨가제로서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보다 명확하게, 비교 실험에서, 윈드실드 와이퍼 고무를 위한 기성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처음에 Sipiol(R)-기반 마찰방지 코팅으로 코팅된다. 이를 위해서, 카본 블랙 함유 현탁액의 형태로 존재하는 Henkel KGaA에 의해 판매되는 Sipiol(R) WL 2000-21 코팅 콤포넌트가 100:6의 비율로 마찬가지로 Henkel KGaA 에 의해 판매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반 경화제 WV20과 지시대로 혼합되었다. 이 마찰방지 코팅이 그후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코팅의 형태로 적용되고, 이 탄성중합체 프로파일 은 Cuvertin(R) X8536이란 상표명하에 마찬가지로 Henkel KGaA 에 의해 판매되는 프라이머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 예비처리되어 있는 것이다.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이 마찰방지 코팅을 적용한 이후에, 이는 그후 90℃에서 90분 동안 건조되고, 절단되며, 그후, 유리에 대한 건조마찰 계수가 결정된다. 이 측정은 1.5 내지 2.5 사이의 여전히 비교적 높은 불만스러운 건조 마찰 계수(μdry)를 제공하였다. 또한, 제조된 코팅의 접착 강도를 검사하기 위해 와이퍼 고무를 종방향으로 크게 신장시켰다. 코팅은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상에 매우 양호하하게 접착되어 있으며, 어떠한 분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제 2 비교 실험은 마찬가지로, Henkel KGaA 에 의해 판매되며, 마찬가지로 카본 블랙 함유 현탁액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Sipiol(R) WL 2000-21 코팅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어떠한 경화제도 코팅 이전에 혼합될 필요가 없는, 즉, 1-콤포넌트 시스템인 Sipiol(R) WL 1000-21코팅 시스템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기타 절차는 이전과 같다. 경화제가 없는 시스템인 Sipiol(R) WL 1000-21에서는 경화제가 추가된 Sipiol(R) WL 2000-21 시스템의 것들과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 실험의 결과로서, 이들 공지된 마찰방지 코팅들은 건조 마찰 계수를 현저히 낮추지 못하지만, 그러나,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상에 견고히 접착하는 코팅을 제조하기에는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마찰방지 코팅들 중 하나가 하기에, 건조마찰 계수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는 건식 윤활제 또는 추가적인 첨가제가 추가되게 되는 매트릭스 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특히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 에틸렌 파우더 또는 폴리아미드의 용액이 첨가제로서 적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변형된 마찰방지 코팅들은 특히, 1.5 미만, 일부 경우에는 1.0 미만의 낮은 건조 마찰 계수(μdry)를 가지면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들상에 매우 견고히 접착하는 코팅을 초래하며, 이는 동시에 내마모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킨다. 부가적으로, 이들은 대향체, 즉, 와이핑 대상 유리로 전혀 이전되지 않는다. 이는 시계를 손상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윤활막이 남겨지지 않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특히 윈드실드의 경우에 중요하다.
보다 명확하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반 경화제 WV20가 경화제로서 첨가되어 있는 상기한 Sipiol(R) WL 2000-21 시스템, 또는, 경화제가 없는 시스템인 Sipiol(R) WL 1000-21으로부터 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특히, 5㎛ 미만의 가능한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는 1g의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경화제를 갖지 않은 또는 경화제를 함유한 코팅 시스템의 10㎖ 당 추가된다. 그후, 덩더진 현탁액이 전체적으로 저어지고, 그후 코팅의 형태로 아직 미가황된 압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되었으며, 이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은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프라이머 Cuvertin(R) X8536으로 예비처리되며, 이 프라이머 Cuvertin(R) X8536은 유기 용매의 클로리네이티드 폴리머의 용액이다.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상에 대한 이 코팅의 적용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침지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한 Sipiol(R) 시스템은 또한, 부가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성 폴리우레탄-폴리실록산 분산체이다. Henkel KGaA 로부터 공지된 이들 제품들에 대한 부가적인 세부사항들은 대응 데이터 시트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 실록산, 선택적인 경화제와, 첨가제로서 도입된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함유하는 상기한 마찰방지 코팅을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얇은 코팅의 형태로 적용한 이후에, 처음에 120℃에서 10분동안 건조가 수행되었다. 그후, 코팅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절단되고, 유리에 대한 건조 마찰 계수(μdry)가 비교 실험과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이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μdry= 0.9 내지 1.5의 건조 마찰 계수들이 측정되었다.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특히 미세한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이 코팅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사용할 때 습한 상태의 윈드실드의 경우의 와이핑 거동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마찰방지 코팅내에 추가된 폴리아미드 파우더의 고형체 함량은 준비된 마찰방지코팅 현탁액에 기초하여 90중량%까지일 수 있다. 이는 25중량% 미만인 것이 적합하며, 그 이유는 일부 경우에, 얻어진 코팅이 높은 함량에서 충분히 탄성적인 상태로 남아있지 못한다는 것, 즉, 탄성중합체 프로파일 상의 코팅의 접착이 감소된다는 것 때문이다.
초미세 폴리아미드 파우더 추가의 대안으로서, 또한 폴리에틸렌 파우더가 마찰방지 코팅 또는 마찰방지 코팅 콤포넌트를 위한 분쇄 첨가제로서 적절하다. 매우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파우더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파우더 입자의 입자 크기는 마찬가지로 10㎛ 미만이다.
제 2 실시예에서, 매우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1.5g의 폴리에틸렌 파우더가 10㎖의 Sipiol(R) 코팅 시스템 중 하나의 혼합물,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경화제 WV20를 함유하는 Sipiol(R) WL 2000-21 또는 경화제가 없는 Sipiol(R) WL 2000-21에 추가되었다. 예로서, 오베르하우젠의 Ticona에 의해 PE-UHMW Hostalen(R)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폴리에틸렌 파우더가 이 용도에 적합하다.
이 폴리에틸렌 파우더의 추가 이후 얻어진 마찰 방지 코팅이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다시한번 적용되고, 120℃에서, 15분 동안 건조되었다. 이어지는 절단 이후에, 유리에 대한 건조 마찰 계수가 상기 실시예 또는 비교 실험과 유사하게 결정되었으며, 약 0.4 내지 0.5의 건조마찰 계수가 측정되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파우더는 적합한 건식 윤활제 또는 매우 낮은 건조 마찰 계수를 가지는 윈드실드 와이퍼상의 코팅을 얻기 위한 마찰방지 코팅을 위한 첨가제이다.
제 3 실시예는 이미 언급한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Sipiol(R) 코팅 시스템 중 하나로부터 다시 한번 시작한다. 또한, 폴리아미드의 알콜성 또는 수성 용액이 이 코팅에 추가되고, 내부에 함유된 폴리아미드는 유리에 대한 건조 마찰을 감소시키는 첨가제로서 작용하며, 용해된 형태의 추가의 결과로서, 기저 시스템 또는 폴리우레탄과 실록산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시스템내에서 매우 미세한 분포를 가진다. 특히, 이는 충분한 폴리아미드가 코팅내의 모든 위치에서 건식 윤활제로서 가용하게되는 것을 보증한다.
사용될 수 있는 용해성 폴리아미드는 예로서, 알콜에 용해성인 모든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이다. N-메톡시메틸레이티드 폴리아미드(N-methoxymethylated polyamide)의 사용이 특히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부가적으로, 용해된 첨가 폴리아미드의 크로스링킹을 촉진하는 화합물이 마찰방지 코팅에 추가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유기산이 이 목적을 위해 적합하다. 이 방식으로, 두 상호침투 불용성 네트워크가 크로스링크된 폴리아미드와 크로스링크된 폴리우레탄 시스템으로 형성하며, 이는 또한, 폴리아미드의 폴리우레탄 시스템과의 크로스링킹이 발생할 수 있게 한다. Sipiol(R) 코팅 시스템과 경화제의 혼합물 또는 경화제가 없는 Sipiol(R) 코팅 시스템은 얻어진 코팅의 탄성 특성을 보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폴리아미드 콤포넌트는 건조 마찰 계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관계에서, 초기에 미변형 Sipiol(R) 코팅 시스템/경화제 혼합물이나 경화제가 없는 Sipiol(R) 코팅 시스템으로, 즉, 폴리아미드 첨가제 없이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코팅하고, 그후, 후속하는 최종 경화 이전에 부가적인, 알콜에 용해된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부가적인 제 2 코팅을 이 제 1 코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추가로 구상할 수 있다. 제 2 코팅의 적용은 이미 먼저 공기-건조된 코팅 상에 또는 습한상태-대-습한상태(wet-in-wet), 즉, 여전히 습한 상태인 제 1 코팅상에 실시될 수 있다. 이 연속적으로 적용된 두 코팅을 포함하는 절차는 제 1 코팅이 특히 개선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대한 접착력을 부여하고, 제 2 코팅이 주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 또는 유리에 대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건조 마찰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조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감소된 마모 및 개선된 서비스 수명 모두가 이 방식으로 성취된다. 또한, 와이핑 대상 윈드실드 유형에 대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의 와이핑 거동의 또는 첨가제의 개조는 제 1 코딩을 구비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상의 제 2 코팅의 적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제 4 실시예에서, 이미 상술된 Sipiol(R)/경화제 혼합물 또는 대안적인 경화제가 없는 Sipiol(R) 시스템이 다시 한번 지시에 따라 교반되어 준비되고, 먼저 분쇄제 첨가제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비해 결과적으로 얻어진 코팅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30%의 물로 희석된다.
이 마찰방지 코팅이 그후 준비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되고, 습한 부분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공기중에서 25℃로 건조된다. 에탄올-물 혼합물내의 폴리아미드의 5% 내지 10% 강도 용액, 예로서, 우드비그샤펜의 BASF AG에 의해 판매되는 폴리아미드 Ultramid(R) 1C의 용액이 그후 이 제 1 코팅에 제 2 코팅의 형태로 적용된다. 그후, 이 방식으로 코팅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90℃ 내지 120℃에서 15분 동안 건조되고, 절단되며, 그후, 상기와 같이 유리상의 건조마찰 계수가 결정된다. 0.8 내지 1.2의 값이 얻어진다. 이 코팅 역시 종방향의 현저한 신장 이후에, 어떠한 분리도 나타내지 않으며, 매우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제 4 실시예를 변화시키는 다른 실시예들은 최종적으로 준비된 Sipiol(R)/경화제 혼합물 또는 경화제가 없은 Sipiol(R) 시스템에 알콜성 폴리아미드 용액을 추가함으로써 구상될 수 있다. Sipiol(R)/경화제 혼합물 또는 Sipiol(R) 시스템의 폴리아미드에 대한 혼합 비율은 1:1로부터 1:5까지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1.2 미만의 건조 마찰 계수를 가지는, 견고히 접착된 탄성막이 이 방식으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 상의 코팅으로서 얻어진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유기산 같은 적절한 촉매에 의해 화학적으로 크로스링크될 수 있는 N-메톡시메릴레이티드 폴리아미드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 실시예는 처음에, 첨가제가 없는, 즉, 부가적인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갖지 않는 Sipiol(R) 기반 시스템이나 폴리에틸렌 분말 또는 폴리아미드의 용액중 하나를 코팅 형택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하고, 그후, 미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미세 폴리에틸렌 파우더, 특히, 매우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미세 폴리에틸렌 파우더를 여전히 젖어있는 상태의 코팅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서, 이 파우더는 예로서, 여전히 젖어있는 상태의 코팅상으로 흩뿌려지거나(sprinkled), 바람에 날려지게(blown)되며, 흩뿌림 또는 바람에 날려지는 것에 의해 이 파우더가 통합된 코팅이 그후 120℃에서 15분 동안 건조된다. 이 방식으로 제조된 코팅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건조 마찰 계수의 후속 측정은 0.6 내지 0.9의 건조 마찰 계수를 제공한다.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상술한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준비나 그 열적 후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하여, 이는 탄성중합체 프로파일들이 일반적으로 압출기의 도움으로 제조되고, 기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코팅이 그 위에 적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압출 직후에, 분무, 침지 또는 브러싱에 의해 적용된다. 코팅의 적용 이후에,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의 기성 가황 프로세스가 코팅 이전에 예로서, 염 욕조(salt bath) 또는 오븐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후, 가황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최종적으로 절단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대한 코팅의 적용은 또한 단지 가황 이후에 실행될 수 있으며, 그러나, 가황이 선행하는 경우에, 이는 적합하게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부가적인 열처리를 필요로한다. 이 열처리는 그후 실행되며, 예로서, 오븐의 하류의 부가적인 고온 영역에서 또는 염 욕조의 하류에서 실행된다.
하류 고온 영역내의 또는 가황 동안의 열처리는 코팅내의 화학적 크로스링킹을 실행하고, 또한 코팅을 아래에 존재하는 탄성중합체 프로파일과 접합 또는 크로스링크 시킨다.

Claims (18)

  1. 폴리우레탄, 실록산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코팅하기 위한 마찰방지 코팅 제조시의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또는 폴리아미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는 10㎛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용액은 알콜성 또는 수성 용액, 특히, N-메톡시-메틸레이티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의 알콜성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용액 또는 분산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지 코팅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마찰방지 코팅 조성물을 함유 또는 포함하는 마찰방지 코팅.
  6. 제 5 항에 있어서, 경화제,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기반 경화제가 추가 성분으로서 상기 마찰방지 코팅에 추가되는 마찰방지 코팅.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 코팅내의 폴리아미드의 용액의 최종 경화를 촉진하는 촉매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방지 코팅.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 코팅내의 상기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에틸렌의 고형체 함량은 0.5중량% 내지 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지 코팅.
  9.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찰방지 코팅이 코팅의 형태로 적용되고, 그후, 상기 코팅이 건조 및/또는 열적으로 크로스링크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분무, 침지 또는 브러싱에 의해 적용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그 압출 직후에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되고, 상기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코팅 이후에 가황되거나,
    상기 코팅이 가황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2.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첨가제를 갖거나 갖지 않은 마찰방지 코팅이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제 1 코팅의 형태로 적용되고, 그후, 제 2 코팅의 형태의 폴리아미드의 알콜성 또는 수성 용액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나 폴리에틸렌 파우더가 상기 제 1 코팅에 적용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는 제 1 코팅상으로 흩뿌려지거나, 바람에 날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은 제 2 코팅 또는 파우더의 적용 이전에 먼저 건조되거나, 상기 제 2 코팅 또는 파우더는 아직 미건조 상태의 제 1 코팅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팅 또는 분말의 적용 이후에, 상기 코팅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이 건조 열처리 및/또는 적어도 상기 제 1 코팅을 열적으로 크로스링크시키는 열처리를 받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코팅은 분무, 침지 또는 브러싱에 의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은 압출 직후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코팅을 구비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 또는 제 1 코팅 및 분말이 그후 가황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코팅 또는 상기 제 1 코팅과 분말이 이미 가황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코팅 방법.
  18. 감소된 건조 마찰 계수를 가지는 코팅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를 위해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찰방지 코팅 또는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 방법.
KR1020027016527A 2001-04-05 2002-03-28 마찰방지 코팅 성분, 마찰방지 코팅제 및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KR100878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6929.9 2001-04-05
DE10116929A DE10116929A1 (de) 2001-04-05 2001-04-05 Gleitlackkomponente, Gleitlack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Elastomeren wie Scheibenwischerblättern
PCT/DE2002/001137 WO2002081582A2 (de) 2001-04-05 2002-03-28 Gleitlackkomponente, gleitlack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elastomeren wie scheibenwischerblä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870A true KR20030011870A (ko) 2003-02-11
KR100878129B1 KR100878129B1 (ko) 2009-01-14

Family

ID=768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27A KR100878129B1 (ko) 2001-04-05 2002-03-28 마찰방지 코팅 성분, 마찰방지 코팅제 및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0360B2 (ko)
EP (1) EP1390437A2 (ko)
JP (1) JP4276844B2 (ko)
KR (1) KR100878129B1 (ko)
AU (1) AU2002302323A1 (ko)
DE (1) DE10116929A1 (ko)
WO (1) WO20020815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3273B2 (en) * 2000-09-05 2004-06-01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polymer microfiber, polymer nanofiber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s
DE10125045A1 (de) * 2001-05-23 2002-12-05 Bosch Gmbh Robert Wischerblatt
DE10226752A1 (de) * 2002-06-14 2004-01-08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Scheibenwisch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NL1024027C2 (nl) * 2003-07-31 2005-02-01 Tno Glijlak.
DE10337753A1 (de) 2003-08-08 2005-03-03 Robert Bosch Gmbh Klimaanlage, insbesondere zum Einsatz in Kraftfahrzeuge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07050164A1 (de) * 2006-10-23 2008-04-24 KLüBER LUBRICATION MüNCHEN KG Gleitlack zur Beschichtung von Elastomeren
DE102007015139A1 (de) * 2007-03-29 2008-10-02 Volkswagen Ag Verfahren zur Reparatur eines mit einem Gleitlack, insbesondere einem Strukturlack zumindest abschnittsweise beschichten Profils
DE102007034328A1 (de) * 2007-07-24 2009-01-29 Robert Bosch Gmbh Strangextrudat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007036780A1 (de) * 2007-08-03 2009-02-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ichteten Elastomerprofiles, ein Elastomerprofil sowie dessen Verwendung
CA2623553C (en) 2007-08-17 2013-01-15 Adm 21 Co., Ltd. Composition for coating wiper blade rubbers,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wiper blade rubbers made therefrom
DE102007046914A1 (de) 2007-09-28 2009-04-09 Robert Bosch Gmbh Gleitlack zur Beschichtung von Wischblättern eines Scheibenwischers
DE102007050120A1 (de) * 2007-10-19 2009-04-23 Robert Bosch Gmbh Strangförmiges Profil sowie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strangförmigen Profils
US20100175555A1 (en) * 2008-09-12 2010-07-15 Ismael Ferrer Polyamide Fine Fibers
DE102009000912A1 (de) 2009-02-17 2010-08-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angförmigen Profils
DE102009026914A1 (de) * 2009-06-12 2010-12-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s Strangprofils
DE102010016756A1 (de) 2010-05-03 2011-11-03 Toyoda Gosei Europe Nv Abdecklippe für den Einstiegsbereich von Kraftfahrzeugen
FR2969078B1 (fr) 2010-12-15 2013-04-12 Valeo Systemes Dessuyage Organe d'essuyage en materiau a base d'elastomere(s) sur-reticule
JP5891129B2 (ja) * 2012-07-06 2016-03-2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ワイパーラバー
CN108219177B (zh) * 2018-01-10 2021-02-19 北京凯瑞捷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雨刮器胶条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873A (en) 1978-07-21 1980-02-04 Toyota Motor Corp Wiper blade rubber and manufacturing method
US4483893A (en) * 1982-09-30 1984-11-20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Fused flock system
DE3400852A1 (de) * 1984-01-12 1985-07-25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Haftfester elastomerlack
US4720518A (en) * 1987-03-05 1988-01-19 Gencorp Inc. Coatings which are abrasion resistant
CA1310441C (en) * 1987-05-28 1992-11-17 Lipa Roitman Reaction products of reactive silicone, polyol, and isocyanate, urethane-siloxane copolymers and coating compositions, methods of coating, coated articles, and prepolymer solutions thereof
DE3838904A1 (de) 1988-11-17 1990-06-07 Swf Auto Electric Gmbh Gummielastisches 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839937A1 (de) 1988-11-26 1990-05-31 Henkel Kgaa Gleitlack fuer elastomerteile
CA2016189C (en) * 1989-11-30 1999-05-25 Gerd M. Lenke Abrasion resistant polyurethane blend compositions
US5306537A (en) * 1991-12-20 1994-04-26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Wear resistant coating for glass run channel
US5488092A (en) * 1994-04-26 1996-01-30 Gencorp Inc. Low VOC, primerless, polyurethane compostions
DE19535452A1 (de) * 1995-09-23 1997-03-27 Herberts Gmbh Verfahren zur Effektlackierung genarbter Kunststoffteile
JPH1095314A (ja) * 1996-09-20 1998-04-14 Ntn Corp ワイパーブレ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54555B2 (ja) * 1996-12-09 2002-0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用ウェザストリップ
US6306514B1 (en) * 1996-12-31 2001-10-23 Ansell Healthcare Products Inc. Slip-coated elastomeric flexible articles and their method of manufacture
DE60219383T2 (de) * 2001-02-22 2008-01-03 Rohm And Haas Co. Wässrig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1582A3 (de) 2003-01-30
AU2002302323A1 (en) 2002-10-21
JP4276844B2 (ja) 2009-06-10
EP1390437A2 (de) 2004-02-25
US6730360B2 (en) 2004-05-04
US20030157257A1 (en) 2003-08-21
WO2002081582A2 (de) 2002-10-17
KR100878129B1 (ko) 2009-01-14
DE10116929A1 (de) 2002-11-07
JP2004518809A (ja)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129B1 (ko) 마찰방지 코팅 성분, 마찰방지 코팅제 및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US20060046047A1 (en) Wiper blade for windscreen wip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431450B2 (ja) 弾性の線状異形材、殊にウインドウ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コーティ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04068B2 (en) Composition for coating wiper blade rubbers,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wiper blade rubbers made therefrom
KR101006778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코팅 조성물 및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EP2130857B1 (de) Beschichtungsmaterial für Elastomermaterialien
JP5496097B2 (ja) ウインドウワイパーのワイパーブレードを被覆するための減摩塗料
WO2015080202A1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JP4162729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用塗料組成物
KR101524504B1 (ko)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
JPH1067872A (ja) ゴムまたはエラストマー材料製の成形体を製造する方法
KR100314514B1 (ko) 고체 윤활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코팅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200115108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1300679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19304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89783B1 (ko) 기름막 제거 기능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86669B1 (ko) 와이퍼블레이드용 고무의 코팅 조성물
KR20120096765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