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705A - 카드 어댑터 - Google Patents

카드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705A
KR20030011705A KR1020020045049A KR20020045049A KR20030011705A KR 20030011705 A KR20030011705 A KR 20030011705A KR 1020020045049 A KR1020020045049 A KR 1020020045049A KR 20020045049 A KR20020045049 A KR 20020045049A KR 20030011705 A KR20030011705 A KR 2003001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rm
chassis
card adapt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마다쯔도무
스와가나메
사카타쯔구히데
니시오아쯔시
가와사키다카시
오카자끼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와 퍼스널 컴퓨터에 마련된 슬롯 및 카드형 전자 장치를 신뢰성 있게 절연시킬 수 있는 카드 어댑터를 개시한다. 카드 어댑터(1)는 섀시(10)와, 섀시(10)의 상하측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도전판(70, 71) 등을 포함한다. 섀시(10)는 한 쌍의 아암(17L, 17R)을 포함하고, 아암(17L, 17R)의 선단부에는 사용자로부터 한 쌍의 도전판(70, 71)을 절연시키도록 각각 한 쌍의 절연 파지부 (18L, 18R)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카드 어댑터(1)는 사용자의 신체 내에 축적된 정전기가 슬롯으로 또는 도전판(70, 71) 등의 도전성 부품을 통해 카드 어댑터(1)에 접속된 카드형 전자 장치로 방전되어 카드형 전자 장치 내에 또는 슬롯 에 마련된 전자 회로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어댑터{CARD ADAPTER}
본 발명은, 카드형 전자 장치의 전기 접속부를, 상이한 규격에 따라 제조되는 또 다른 카드형 전자 장치를 수용하도록 퍼스널 컴퓨터 등에 마련된 슬롯의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카드 어댑터는 예컨대 PC 카드보다 작은 카드형 전자 장치인 CF(Compact Flash) 카드의 접촉부를 PC 카드를 수용하도록 퍼스널 컴퓨터 내에 제공된 슬롯 내의 접점에 전기 접속하도록 종래부터 사용되었다.
도 17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59782호에 개시된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카드 어댑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된 카드 어댑터(80)는 수지 등으로 제조된 섀시(81)와, 섀시 (81) 상에 장착된 회로 기판 조립체(82)와, 각각 섀시(81)의 상하측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도전판(83, 83)을 갖는다.
섀시(81)는 CF 카드를 수용하는 CF 카드 수용 공간(84)을 갖는다. 회로 기판 조립체(82)에는 PC 카드를 위한 슬롯 내에 제공된 접속부(접촉 핀)에 전기 접속되는 제1 커넥터(85)와, CF 카드의 접촉부에 전기 접속되는 제2 커넥터(86)와, 방출 버튼(방출 레버)(87)과, CF 카드 수용 공간(84) 내에 수용된 CF 카드를 방출시키는 방출 아암(88)이 제공된다.
방출 버튼(87)은 어댑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섀시(81) 내에 배치된다. 방출 아암(88)은 회전축(89)에 의해 회로 기판 조립체(82)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방출 버튼(87)의 선단부(tip portion)는 연결부(90)를 통해 방출 아암(88)의 일단부와 링크된다.
CF 카드 수용 공간(84) 내에 수용된 CF 카드를 방출시킬 때, 방출 동작은 섀시(81) 내로 방출 버튼(87)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된다. 방출 버튼(87)이 가압될 때, 방출 아암(88)은 회전축(89)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그 타단부[이는 방출 버튼 (87)과 링크되는 단부에 대향인 단부임]는 CF 카드 수용 공간(84)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CF 카드는 방출 아암(88)에 의해 카드 어댑터(80)로부터 접속 해제된다.
또한, CF 카드에는 CF 카드 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도록 그 측면 상에 접촉 접촉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고, 섀시(81)에도 CF 카드의 접지 접촉부로부터 PC 카드를 위한 슬롯의 접지 수단으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전기 통로가 제공된다.
전기 통로는 CF 카드의 접지 접촉부와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91)와, PC 카드를 위한 슬롯의 접지 수단과 전기 접속되는 접촉편(92)과, 탄성 접촉부 (91) 및 접촉편(92)을 전기 접속하는 도전판(83)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어댑터(80)에서, 접촉편(92)은 사용자에 의해 자주 파지되는 섀시 (81)의 외면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드 어댑터(80)를 파지할 때 접촉편(92)을 만지면, 사용자 내에 축적된 정전기가 카드 어댑터를 수용하는 PC 카드를 위한 슬롯 내에 제공된 접점으로 그리고 접촉편(92), 도전판(83) 및 탄성 접촉부 (91)를 통해 CF 카드의 접지 접촉부로 방전되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CF 카드의 전자 회로가 파손되는 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와 퍼스널 컴퓨터에 마련된 슬롯 및 CF 카드 등의 카드형 전자 장치를 신뢰성 있게 절연시킬 수 있는 카드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형 전자 장치의 복수개의 전기 접속부를 상이한 규격에 따라 제조되는 또 다른 카드형 전자 장치를 수용하도록 슬롯 내에 제공된 복수개의 접점에 전기 접속하는 카드 어댑터에 있어서, 슬롯 내에 제공된 접점에 전기 접속되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고, 카드형 전자 장치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제2 커넥터와; 제1 및 제2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하측을 갖는 섀시와; 섀시의 상하측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도전판을 포함하고, 섀시는 소정 공간이 카드형 전자 장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각각 제2 커넥터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섀시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을 갖고, 아암에는 카드 어댑터를 파지한 사용자로부터 도전판을 절연시키는 한 쌍의 절연 파지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어댑터가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어댑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주 파지되는 부분인 아암에는 섀시의 상하측 상에 제공된 도전판 등의 도전성 부품이 사용자로부터 신뢰성 있게 절연되도록 한 쌍의 절연 파지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어댑터는 사용자 내에 축적된 정전기가 사용자로부터 카드 어댑터를 수용하도록 슬롯 내에 제공된 접점으로 그리고 카드 어댑터의 도전성 부품을 통해 카드 어댑터로 접속되는 카드형 전자 장치의 접지 접촉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에서, 각각의 아암은 선단측을 갖고, 절연 파지부는 연장 방향으로 아암의 선단측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시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절연 파지부는 아암의 절연 재료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선단측은 아암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1 ㎝에 걸쳐 아암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의 소정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판에는 슬롯 내에 제공된 접지 수단에 전기 접속된 복수개의 접속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카드 어댑터가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접속 돌출부는 제1 커넥터가 슬롯 내의 접점에 전기 접속된 후 슬롯 내의 접지 수단과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카드형 전자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카드 및 하드 디스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 카드는 어댑터에 접속될 때 섀시의 아암과 접촉되는 대향 측면을 갖고, 메모리 카드에는 적어도 하나의 대향 측면 상에 접지 접촉부가 제공되며, 아암에는 메모리 카드가 제2 커넥터에 접속될 때 적어도 하나의 도전판에 접지 접촉부를 전기 접속하는 접속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추가 목적, 구조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어댑터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카드 어댑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CF 카드가 접속 해제된 상태로 도전판이 제거되어 있는 카드 어댑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CF 카드가 접속된 상태로 도전판이 제거되어 있는 카드 어댑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드 어댑터의 아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절결도.
도 6은 섀시, 가압 부재 및 링크 아암을 도시하는 카드 어댑터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화살표 A에 의해 나타낸 제1 링크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도 6의 화살표 B에 의해 나타낸 회전축 및 링크 아암의 단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9의 (a)는 카드 어댑터의 제2 링크부를 도시하는, 도 2의 우측 하부로부터 본 사시도.
도 9의 (b)는 카드 어댑터의 제2 링크부를 도시하는, 도 2의 좌측 하부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a) 및 (b)는 각각 카드 어댑터의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카드 어댑터의 도전판을 도시하는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a) 및 (b)는 각각 도 11의 탄성 접촉 부재 및 그 주변을 각각 도시하는 확대도.
도 1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에 접속되는 CF 카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아암이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방출 레버와 결합된 캡이 변형된 카드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카드 어댑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드 어댑터2: CF 카드
3: 접지 접촉부10: 섀시
11: 제1 커넥터12: 제2 커넥터
13: 회전축14: 제1 링크(결합)부
15: 제2 링크(결합)부17L, 17R: 아암
18L, 18R: 절연 파지부23: 탄성 부재 수용 공간
25: 방출 레버 수용 공간30: 접속 부재
40: 가압 부재43: 탄성 부재
50: 방출 레버53: 방출 레버 캡
60: 링크 아암70, 71: 도전판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어댑터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어댑터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카드 어댑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CF 카드가 접속 해제된 상태로 도전판이 제거되어 있는 카드 어댑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CF 카드가 접속된 상태로 도전판이 제거되어 있는 카드 어댑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드 어댑터의 아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절결도이고; 도 6은 섀시, 가압 부재 및 링크 아암을 도시하는 카드 어댑터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화살표 A에 의해 나타낸 제1 링크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화살표 B에 의해 나타낸 회전축 및 링크 아암의단면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9의 (a)는 카드 어댑터의 제2 링크부를 도시하는, 도 2의 우측 하부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카드 어댑터의 제2 링크부를 도시하는, 도 2의 좌측 하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0의 (a) 및 (b)는 각각 카드 어댑터의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카드 어댑터의 도전판을 도시하는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2의 (a) 및 (b)는 각각 도 11의 탄성 접촉 부재 및 그 주변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에 접속되는 CF 카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아암이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6은 방출 레버와 결합된 캡이 변형된 카드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어댑터는 예컨대 CF[Compact Flash, 이는 샌디스크 코포레이션(SanDisk Corporation)의 상표] 카드, 인터페이스 카드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카드형 전자 장치의 복수개의 전기 접속부를 전술된 CF 카드 등과 상이한 규격에 따라 제조되는 또 다른 카드형 전자 장치를 수용하도록 퍼스널 컴퓨터 등 내에 제공된 슬롯 내의 복수개의 접점에 전기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어댑터가 CF 카드의 전기 접속부를 PC 카드를 위한 슬롯 내에 제공된 접점(접촉 핀)에 전기 접속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어댑터(1)는 PC 카드를 위한 슬롯 내에 제공된 접점에 전기 접속되는 제1 커넥터(11)와; 제1 커넥터(11)에 전기 접속되고, CF 카드(2)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제2 커넥터(12)와; 제1 및 제2 커넥터(11, 12)가 배치되는 섀시(10)와; 섀시(10)의 상하측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도전판(70, 71)과; CF 카드(2)가 방출될 때 사용되는 방출 기구를 포함한다. 방출 기구는 가압 부재(40), 방출 레버(50) 및 링크 아암(60)을 포함한다. 가압 부재(40)는 섀시 내에 배치되고, CF 카드(2)의 전기 접속부가 제2 커넥터(12)에 접속될 수 있는 제1 위치(도 4 참조)와 CF 카드(2)의 전기 접속부가 제2 커넥터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제2 위치(도 3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2 위치를 향해 제1 위치에 위치된 CF 카드(2)를 가압할 수 있다. 방출 레버(50)는 섀시(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링크 아암(60)은 가압 부재(40) 및 방출 레버(50)를 링크하도록 회전축(13)을 통해 섀시(10)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링크 아암 (60)의 일단부는 제1 링크(결합)부(14)를 통해 가압 부재(40)와 링크되고, 그 타단부는 제2 링크(결합)부(15)를 통해 방출 레버(50)와 링크되어, 링크 아암은 가압 부재(40)로 방출 레버(50)의 이동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의 기능을 갖는다.
섀시(10)는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제조되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는 제1 커넥터(11)가 일단부에 위치되고 제2 커넥터(12)가 타단부에 위치되는 본체(16)와, 후술된 CF 카드 수용 공간(19)(도 3 및 도 5 참조)을 형성하도록 제2 커넥터(12)가 제공된 본체(16)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소정 공간을 갖는 한 쌍의 아암(17L, 17R)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7L)에는 방출 레버(50)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방출 레버 수용 공간(25)이 제공되고, 아암(17R)에는 가압 부재(40)상에 제공된 탄성 부재(43)(후술됨)를 수용하는 탄성 부재 수용 공간(23)이 제공된다. 또한, 아암(17L, 17R)의 연장 방향으로의 선단부에는 카드 어댑터(1)를 파지한 사용자로부터 한 쌍의 도전판(70, 71)을 절연시키는 한 쌍의 절연 파지부(18L, 18R)가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파지부(18L, 18R)는 한 쌍의 아암 (17L, 17R)의 연장 방향으로 선단부의 절연 재료를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절연 재료의 이러한 노출은 각각의 도전판(70, 71)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절연 파지부(18L, 18R)를 파지한 사용자는 전술된 도전판(70, 71) 및 접속 부재(30) 등의 도전성 부재와 접촉을 이루지 않는다.
또한, 절연 파지부(18L, 18R)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아암(17L, 17R)의 연장 방향으로 선단부로부터 적어도 1 ㎝의 거리에 제공되는데, 이들 영역은 카드 어댑터(1)가 슬롯 내로 장착될 때 사용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파지된다.
그러면, 이러한 종류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카드 어댑터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절연 파지부(18L, 18R)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정전기로부터 절연되는데, 이는 이러한 정전기가 도전판(70, 71) 및 다른 도전성 부재를 통해 슬롯 및 CF 카드(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7L)의 길이와 아암(17R)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고, 방출 레버 캡(53)(후술됨)은 아암(17L)의 선단에 위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아암이 긴 아암(17R')이 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아암이 짧은 아암(17L')이 되도록 형성되며, 방출 레버(50)가 짧은 아암(17') 내에 제공되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에, 방출 레버(50)가 섀시(10)의 내측으로 견인될 때 긴 아암(17R')의 선단부에 대해 방출 레버(50)의 캡(53)의 선단부의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F 카드(2)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판과 같은 카드형 전자 장치이고,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제공된 접촉부(제2 커넥터의 접촉부)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전기 접속부(도시되지 않음)는 도면 상부측의 단부면 내에 제공된다. 또한, 도면에서 CF 카드(2)의 좌우측 단부면 모두 즉 CF 카드(2)가 섀시(10)의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위치될 때 아암(17L, 17R)측에 위치된 측면에는 CF 카드 수용 공간(19)의 좌우측 모두 상에 제공된 접속 부재(30)(후술됨)로 CF 카드(2) 상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접지 접촉부(3)와, CF 카드(2)가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장착될 때 CF 카드(2)를 안내하는 안내 홈(4) 및 안내 오목부(5)가 각각 제공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의 아암(17L, 17R)에는 CF 카드(2)의 접지 접촉부(3)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접속 부재(30)가 제공된다.
각각의 접속 부재(30)는 금속 재료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속 부재(30)는 섀시(10) 상에 제공된 하나의 장착 부분(20, 20)에 접속 부재(30)를 장착하는 장착부(32)와, CF 카드(2)가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수용될 때 접지 접촉부(3)와 탄성 접촉을 이루는 탄성접촉부(금속 스프링의 형태)(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속 부재(30)의 장착부(32)는 한 쌍의 대향 상부 및 저부 결합부(33, 33)를 갖도록 대략 C자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부(33, 33)는 한 쌍의 후크(34, 34)를 포함한다. 이들 후크(34)는 접속 부재(30)가 장착 부분(20)에 장착될 때 장착 부분(20)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촉부(31)는 장착부 (32)와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대략 V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굽혀진 스트립을 포함한다.
또한,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부분(20, 20)은 섀시(10)의 아암(17L, 17R) 내의 2개의 소정 위치에 각각 제공된다. 또한,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장착 부분(20)은 각각의 아암(17L, 17R)의 상부면 내에 형성되는 오목부(27)를 갖는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접속 부재(30)는 장착부(32)의 그 상부 및 저부 결합부 (33, 33)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부(27)의 위치에서 각각 아암의 상부면 및 저부면을 유지하도록 대응 장착 부분에 장착된다. 접속 부재(30)가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부분(20)에 장착될 때, 접속 부재(30)의 탄성 접촉부(31)는 CF 카드 (2)가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수용될 때 CF 카드(2)의 접지 접촉부(3)와 탄성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아암(17L 또는 17R)의 내면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도전판(70) 상에 제공된 대응탄성 접촉 부재(74L, 74R)는 접속 부재(30)가 도전판(70)에 전기 접속되도록 각각 접속 부재(30)의 상부 결합부(33)와 접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에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가압 부재(40)를 정상적으로 편의시키는 한 쌍의 편의 부재(21, 21)가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 부재(21, 21)는 제2 커넥터(12)의 양단부 상에 제공된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가압 부재(40)는 편의 부재(21, 21)의 편의력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편의되고 변위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링크 아암(60)을 지지하는 회전축(13)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은 섀시(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링크 아암(60)이 장착된 후, 회전축(13)의 선단부는 열변형 등에 의해 회전축(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버섯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링크 아암(60)이 회전축(13)으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에는 회전축(13) 주위에서 링크 아암(6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벽(22a 내지 22d)이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2a, 22b)은 가압 부재(40)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회전축(13)으로부터 도면 좌측의 링크 아암(60)의 하부 측면과 회전축(13)으로부터 도면 우측의 링크 아암(60)의 상부 측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2c, 22d)은 가압 부재(40)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회전축(13)으로부터 도면 좌측의 링크 아암(60)의 상부 측면과 회전축(13)으로부터 도면 우측의 링크 아암(60)의 하부 측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제, 요구 각도를 넘어 링크 아암(60)을 회전시키려고 할 때, 링크 아암 (60)의 측부[즉, 회전축(13)으로부터 좌측의 링크 아암(60)의 상부 측면과 회전축 (13)으로부터 우측의 링크 아암(60)의 하부 측면]는 벽(22c, 22d)과 맞닿게 되어, 링크 아암(60)의 회전은 제한된다. 그러면, 이러한 방식으로 링크 아암(6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링크 아암(60)의 각각의 단부의 변위 즉 제1 링크부(14) 및 제2 링크부(15)에 각각 링크된 가압 부재(40) 및 방출 레버(50)의 변위도 제한된다.
가압 부재(40)는 CF 카드(2)를 가압하는 기능과, CF 카드(2)가 제거될 때 제2 커넥터(12)의 접촉 핀(29)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압 부재(40)는 섀시(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12)의 접촉 핀(29)을 덮는 핀 덮개부(41)와, 제1 커넥터(11)측에서 덮개부(4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42)[이는 도면에서 덮개부(41)의 상측에 도시되어 있음]와, 도면 우측 상의 덮개부(41)의 단부 상에 제공된 탄성 부재(4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41)는 대략 평탄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커넥터(12)의 접촉 핀(29)의 돌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CF 카드 수용 공간(19)측에서 단부면 내에 형성된 돌출부 구멍(44)을 포함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2)는 제1 커넥터(11)를향해 그 폭 방향으로 대략 덮개부(41)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링크 아암 (60)의 돌출부(62)(후술됨)와 결합되는 구멍(45)은 그 폭 방향으로 대략 돌출부 (42)의 중심부 내에 배치된다. 구멍(45)은 링크 아암(60)이 회전될 때 돌출부(62)가 구멍(4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링크 아암(60)의 단부 상에 배치된 돌출부 (62)(후술됨)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또는 약간 큰) 폭을 갖는 슬릿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돌출부(62)와 구멍(45) 사이에 소정의 유격(play)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링크 아암(60)의 회전 운동을 가압 부재(40)의 왕복 운동으로 이상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62) 및 구멍(45)의 결합부는 제1 링크부(14)로 불린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62)는 링크 아암(60) 상에 배치되고, 구멍 (45)은 가압 부재(40) 내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배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 부재(40) 상에 돌출부를 제공하고 링크 아암(60) 내에 구멍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구조가 채택된 경우에, 본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링크부(14)는 그 폭 방향으로 대략 가압 부재(40)의 중심부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40)가 변위될 때, 전술된 종래의 카드 어댑터(80)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이 그 폭 방향으로 CF 카드(2)의 단부의 변위의 차이가 없어서, 가압 부재(40)가 변위될 때 제2 커넥터(12)의 접촉 핀(29)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탄성 부재(43)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의 탄성 부재 수용 공간(23) 내에 형성된 로킹 구멍(24)과 로킹되는 로킹 돌출부(46)와, 로킹 돌출부(46)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평탄한 스프링부 (47)를 포함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탄성 부재(43)는 가압 부재(40)의 단부(이는 도면 우측에 도시되어 있음)에 고정되고, 섀시(10)의 아암(17R) 내에 제공된 탄성 부재 수용 공간(23) 내에 수용된다.
도 3 및 도 5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40)가 제2 위치에 도달될 때, 로킹 돌출부(46)는 섀시(10)의 로킹 구멍(24)과 로킹된다. 그러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가압 부재(40)를 변위시키려고 할 때, 로킹 돌출부(46)의 로킹면은 로킹 구멍(24)의 로킹면과 접촉을 이루어, 가압 부재(40)는 제2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F 카드(2)가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장착될 때, 로킹 돌출부(46)는 CF 카드(2)의 측면과 접촉을 이루고, 도면 우측으로 즉 아암(17R)의 내측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변위는 로킹 돌출부(46)와 로킹 구멍 (24) 사이의 로킹을 결합 해제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압 부재(40)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4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위치 즉 CF 카드(2)의 전기 접속부가 제2 커넥터(12)의 접촉 핀에 접속되는 상태 하에서 CF 카드(2)가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수용되는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제2 위치 즉 CF 카드(2)의 전기 접속부가 제2 커넥터(12)로부터 접속 해제될 수 있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가압 부재(4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가압 부재(40)는 제2 위치를 향해 제1 위치에 위치된 CF 카드(2)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부재(40)의 이동에 따라, 가압 부재(40)의 덮개부(41)의 돌출부 구멍 (44)은 접촉 핀(29)이 가압 부재(40)의 덮개부(41) 내측에 유지되도록 제2 커넥터 (12)의 접촉 핀(29)(도 2 참조)을 덮어, 접촉 핀(29)은 덮개부(41)에 의해 보호된다. 바꿔 말하면, 가압 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제2 커넥터(12)의 접촉 핀(29)은 CF 카드(2)의 전기 접속부로부터 견인된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40)는 그 폭 방향으로 가압 부재(40)의 중심의 양측을 따라 면접촉 또는 다중 점접촉에 의해 CF 카드(2)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적어도 2개의 점접촉이 중심 위치의 양측에서 일어나지만, 다수의 접촉 지점이 바람직함). 따라서, 접촉은 전술된 종래의 카드 어댑터(80)의 방출 아암(88)의 선단부와 같이 단일 지점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CF 카드 (2)의 접점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술된 면접촉 또는 다중 점접촉이 가압 부재(40)의 중심 위치의 양측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측에서 CF 카드(2)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링크 아암(60)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아암(60)에는 섀시(10) 상에 제공된 회전축(13)에 의한 지지를 위한 대략 그 중심 내의 축 구멍(61)이 제공된다. 또한, 돌출부(62)는 도면에서 링크 아암(60)의 우측 단부 상에 배치되고, 링크 돌출부(63)는 도면에서 링크 아암(60)의 좌측 단부 상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 돌출부(63)를 제외한 링크 아암(60)의부분은 편의상 링크 아암 본체(64)로 불리고, 링크 돌출부(63) 및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의 결합부는 제2 링크부(15)로 불린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2)는 도면에서 링크 아암(60)의 우측 단부 상에 버어링 처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링크 아암(60)(이는 금속 재료로 형성됨)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버어링 처리에 의해 돌출부(62)를 링크 아암(6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링크 아암(60)을 제조할 때 수행되는 처리는 효율화된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돌출부(63)는 대략 직사각형 판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단차부(65)를 통해 도면에서 링크 아암 본체 (64)의 좌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단차부(65)는 방출 레버(50) 내에 제공된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후술됨)에 대한 링크 돌출부(63)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링크 돌출부(63) 및 링크 아암 본체(64)는 단차부(65)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링크 아암(60)이 섀시(10)에 장착될 때, 방출 레버(50)의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에 링크 돌출부(63)를 결합시키는 동작은 효율화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레버(50)는 섀시(10) 내에 제공된 방출 레버 수용 공간(25) 내에 수용되는 로드형 방출 로드(52)와, 방출 로드(52)의 선단부(도면 하측에 도시되어 있음)를 덮는 캡(53)(절연 수지로 제조됨)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캡(53)은 대략 직사각형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3)은 아암(17L)과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캡(53)의 내측면(이는 도면 우측에 도시되어 있음)에 아암(17L)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돌출 부재)(54)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F 카드(2)가 섀시(10)의 CF 카드 수용 공간(19) 내에 장착될 때, 안내부 (54)는 CF 카드(2)를 안내하기 위해 CF 카드(2)의 측면 상에 제공된 안내 오목부 (5)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부(54)를 제공함으로써, 카드 어댑터(1)가 PC 카드를 위한 슬롯(도시되지 않음)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CF 카드(2)가 카드 어댑터(1) 내로 장착될 때, CF 카드(2)의 안내 오목부(5)는 CF 카드(2)가 매끄럽게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부(54)에 의해 안내된다.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아암(60)의 링크 돌출부(63)를 수용하는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은 방출 로드(52)의 기단부 내에 제공된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은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면 내로 방출 로드(52)를 통과하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다.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의 폭은 링크 돌출부(63)의 폭보다 크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의 폭을 링크 돌출부(63)의 폭보다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링크 돌출부(63)와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 사이에 소정의 유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링크 아암(60)의 회전 운동을 방출 레버(50)의 왕복 운동으로 이상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전판(70, 71)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전판은 섀시(10)의 본체(16)를 보호하는 대략 직사각형 본체 덮개부 (72)와, 본체 덮개부(72)의 모서리의 양측 단부(이는 도면 하측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 덮개부(73L, 73R)로 구성된다.
섀시(10)에 장착될 때, 본체 덮개부(72)는 섀시(10)의 상부 상에 제공된 접속판(28)과 접촉을 이룬다. 접속판(28)은 제1 커넥터(11)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 핀에 전기 접속되고, 본체 덮개부(72)로부터 슬롯의 접지 단자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판(70)의 한 쌍의 아암 덮개부(73L, 73R)의 하측 상에서, 아암 덮개부(73L, 73R)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을 행해 연장되도록 각각 길고 좁은 판형 탄성 접촉 부재(74L, 74R)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판(70)이 섀시(10)에 장착될 때, 탄성 접촉 부재 (74L, 74R)는 접속 부재(30)와 도전판(70) 사이에서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섀시 (10) 상에 제공된 접속 부재(30)의 결합부(33)와 탄성 접촉을 이룬다.
또한, 도전판(70)에는 슬롯의 상측 내에 위치된 복수개의 설부 부재(tongue member) 등의 슬롯의 접지 수단과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속 돌출부(75)가 제공된다.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돌출부(75)는 제1 커넥터(11)의 단부 근처에서 도전판(70) 상에 제공되고, 각각의 접속 돌출부(75)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이다. 접속 돌출부(75)는 제1 커넥터(11)가 슬롯의 접점에 전기 접속된 후 슬롯의 접지 수단과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판(70)으로부터의 정전기는 방전 통로 등의 파괴로 인해 제1 커넥터로부터 방전될 수 없는 경우에, 접속 돌출부(75)는 도전판(70)으로부터의 정전기가 슬롯의 접지 수단으로 방전되도록 슬롯의 접지 수단에 접속된다. 또한, 접속 돌출부(75)는 다수 지점에서 슬롯의 접지 수단과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본체 덮개부(72)의 접지 저항은 하강되는데, 이는 장치 내측에서 발생된 전자기파의 원하지 않는 복사로부터 외측을 차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 우선 CF 카드(2)로부터의 정전기는 접속 부재(30), 도전판(70), 접속판(28) 및 제1 커넥터(11)를 통해 슬롯의 접지 단자로 방전되는데, 이들은 제1 방전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제1 방전 통로가 어떤 이유로 파괴되어 있는 경우에, CF 카드(2)로부터의 정전기는 제2 방전 통로를 통해 즉 접속 부재(30) 및 도전판(70)[접속 돌출부(75)]을 통해 슬롯의 상측 내의 접지 수단으로 방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CF 카드(2)로부터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이들 2개의 별도 방전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신뢰성 있게 CF 카드(2)로부터 슬롯의 접지 수단으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술된 구조에서, 도전판(83)과 접촉을 이루도록 섀시(81)의 측부 상에 배열되는 전술된 종래의 카드 어댑터(80)의 접촉 부재(92)와 동등한 임의의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카드 어댑터(1)를 파지한 사용자로부터 도전판 (70)을 신뢰성 있게 절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특히 겨울철 등 중에 대량의 정전기가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이러한 정전기는 도전판(70)을 통해 슬롯 또는 CF 카드(2)로 방전되지 않아서, 내부 전자 회로가 이러한 정전기에 의해 오작동하거나 손상될 위험성이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1)에서, 가압 부재(40), 링크 아암(60) 및 방출 레버(50)는 이들 3개의 부재 중 하나가 변위될 때, 다른 2개의 부재도 이동되도록 제1 링크부(14) 및 제2 링크부(15)를 통해 링크된다. 또한, CF 카드(2)가 카드 어댑터(1)로부터 제거될 때 즉 가압 부재(4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될 때, 방출 레버(50)는 가압 부재(40)의 변위에 따라 섀시(10) 내측으로 신뢰성 있게 견인된다.
결과적으로, CF 카드(2)가 방출 레버(50)를 사용하지 않고 손에 의해 카드 어댑터(1)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도, 방출 레버(50)는 섀시(10) 내측에 유지된다. 따라서, CF 카드(2)가 카드 어댑터(1)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방출 레버(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회전축(13)은 섀시(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 (13)이 링크 아암(60)의 축 구멍(61)을 통해 삽입된 후, 그 상단부는 회전축(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가공되어, 링크 아암(60)이 회전축(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벽(22a 내지 22d)은 섀시(10) 상에서 링크 아암(6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으로서 제공되므로, 링크 아암(60)이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링크 아암(60)의 이러한 제한된 회전 때문에, 가압 부재(40) 및 방출 레버(50)는 필요 이상으로 섀시(10)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제1 링크부(14)는 링크 아암(60)의 일단부 상에 배치된 돌출부(62)와, 돌출부(62)와 결합되도록 가압 부재(40) 내에 형성된 구멍(45)에 의해 구성되고, 구멍(45)은 그 폭 방향으로 대략 가압 부재(40)의 중심부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40)가 변위될 때 가압 부재(40)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링크 아암(60)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돌출부(62)는 버어링 처리에 의해 링크 아암(60)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링크 아암(60)의 제조 공정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구멍(45)은 돌출부(6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돌출부(62)는 링크 아암(60)이 회전될 때 구멍(4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아암(60)의 회전 운동을 가압 부재(40)의 왕복 운동으로 이상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제2 링크부(15)는 링크 아암(60)의 타단부 상에 제공된 링크 돌출부(63)와, 링크 돌출부(63)와 결합되도록 방출 레버(50) 내에 제공된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에 의해 구성되어, 링크 아암(60)의 회전 운동은 방출 레버(50)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링크 돌출부(63)는 링크 돌출부 수용 구멍(51)에 대한 링크 돌출부(63)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단차부(65)를 통해 링크 아암 본체(64)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방출 레버(50)에 링크 아암(60)을 부착시키는 동작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가압 부재(40)가 제2 위치에 도달될 때, 유지 수단은 제2 위치에서 가압 부재(40)를 보유한다. 이러한 유지 수단은 가압 부재(40) 상에 제공되는 로킹 돌출부(46)와, 섀시(10) 내에 형성된 로킹 구멍(24)을 구비한 탄성 부재(43)로부터 구성되고, 로킹 돌출부(46)는 제2 위치에서 가압 부재(40)를 신뢰성 있게 보유하도록 로킹 구멍(24)과 로킹된다. 또한, 로킹 돌출부(46)는 CF 카드(2)가 장착될 때 CF 카드(2)의 측면과 접촉되어 변위를 경험하도록 구성되고, 로킹 돌출부(46)와 로킹 구멍(24) 사이의 로킹은 이러한 변위에 의해 결합 해제되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압 부재(40)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가압 부재(40)는 CF 카드(2)가 장착되어 있는 때에만 변위를 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섀시(10)는 CF 카드 수용 공간(19)을 형성하도록 각각 제2 커넥터(12)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섀시(10)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정 공간을 갖는 한 쌍의 아암(17L, 17R)을 포함하고, 하나의 아암(17L, 17R)에는 방출 레버(50)가 제공되고, 다른 아암에는 탄성 부재(43)가 제공된다. 따라서, 섀시 (10) 내측의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섀시(10)의 한 쌍의 아암(17L, 17R)에는 카드 어댑터(1)를 파지한 사용자로부터 섀시(10)의 양면을 덮는 한 쌍의 도전판(70, 71)을 절연시키는 한 쌍의 절연 파지부(18L, 18R)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CF 카드(2)의 내측으로의 또는 도전판(70, 71)을 통해 제1 커넥터(11)에 접속된 슬롯으로의 정전기의 방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섀시(10)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절연 파지부(18R, 18L)는 그 연장 방향으로 아암(17L, 17R)의 선단부의 절연 재료를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이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절연 파지부(18L, 18R)는 사용자로부터 도전판(70, 71)을 신뢰성 있게 절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절연 파지부(18L, 18R)는 사용자가 카드 어댑터(1)를 파지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연장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아암(17L, 17R)의 선단으로부터 적어도 1 ㎝의 거리에 제공된다.
또한, 전술된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판(70, 71)에는 슬롯 내에 제공된 접지 수단과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접속 돌출부(75)가 제공된다. 따라서, 신뢰성 있게 CF 카드(2)로부터 슬롯의 접지 수단으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속 돌출부(75)는 제1 커넥터(11)가 슬롯의 접점에 전기 접속된 후 슬롯의 접지 수단과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커넥터(11)가 슬롯의 접점에 접속되기 전 슬롯의 단자와 접촉되는 도전판 상의 소정 위치 즉 도전판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접속 돌출부(75)가 제공되면, 카드 어댑터는 슬롯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더라도 접지를 이루도록 접지 수단과 접촉된다. 사용자가 절연 파지부(18L, 18R)로부터 떨어져 도전판(70)의 아암 덮개부 (73L, 73R)의 부분을 만질 가능성의 증가로 인해 방전 위험성의 증가를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1)는 CF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카드를 위한 카드 어댑터로서 이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1)가 CF 카드를 위한 카드 어댑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접속 부재(30) 등의 접속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도전판(70, 71)에 CF 카드(2)의 접지 접촉부(3)를 전기 접속하도록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개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CF 카드 및 PC 카드와 상이한 규격 하에서 제조된 카드를 위한 다양한 다른 카드 어댑터에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에 사용될 수 있는 카드형 전자 장치의 예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카드 및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카드 어댑터(1)는 사용자의 신체 내에 축적된 정전기가 슬롯으로 또는 도전판(70, 71) 등의 도전성 부품을 통해 카드 어댑터(1)에 접속된 카드형 전자 장치로 방전되어 카드형 전자 장치 내에 또는 슬롯 내에 제공된 전자 회로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카드형 전자 장치의 복수개의 전기 접속부를, 상이한 규격에 따라 제조되는 또 다른 카드형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에 마련된 복수개의 접점에 전기 접속하는 카드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접점에 전기 접속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카드형 전자 장치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측을 갖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하측 상에 설치된 한 쌍의 도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는, 제2 커넥터의 양측에 위치한 섀시 부분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상기 카드형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규정하는 한쌍의 아암을 구비하고, 이들 아암에는 상기한 한쌍의 도전판과 카드 어댑터를 파지한 사용자를 절연시키는 한 쌍의 절연 파지부가 설치되는 카드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아암은 선단측을 갖고, 상기 절연 파지부는 상기 아암의 연장방향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카드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카드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파지부는 아암의 절연 재료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카드 어댑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단측은 아암의 선단으로부터 아암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1㎝에 걸쳐 뻗어 있는 아암의 일부 영역인 카드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슬롯에 마련된 접지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카드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어댑터가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접속 돌출부는 제1 커넥터가 슬롯의 접점에 전기 접속된 후 슬롯 내의 접지 수단과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카드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형 전자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카드 및 하드 디스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카드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어댑터에 접속될 때 섀시의 아암과 접촉하는 측면을 갖고, 이 메모리 카드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상에 접지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아암에는 메모리 카드가 제2 커넥터에 접속될 때 적어도 하나의 도전판에 접지 접촉부를 전기 접속하는 접속 수단이 제공되는 카드 어댑터.
KR1020020045049A 2001-07-30 2002-07-30 카드 어댑터 KR20030011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0070A JP4416969B2 (ja) 2001-07-30 2001-07-30 アダプタ
JPJP-P-2001-00230070 2001-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05A true KR20030011705A (ko) 2003-02-11

Family

ID=1906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049A KR20030011705A (ko) 2001-07-30 2002-07-30 카드 어댑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3398B2 (ko)
EP (1) EP1282198A3 (ko)
JP (1) JP4416969B2 (ko)
KR (1) KR20030011705A (ko)
CN (1) CN100407501C (ko)
TW (1) TW5545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500B1 (ko) * 2005-09-30 2008-02-25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1540B2 (en) * 2002-07-30 2006-04-04 Canon Kabushiki Kaisha Storage medium mounting/dismount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236440B2 (ja) * 2002-10-09 2009-03-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Icカード
US20050013106A1 (en) 2003-07-17 2005-01-20 Takiar Hem P. Peripheral card with hidden test pins
WO2005010808A2 (en) * 2003-07-17 2005-02-03 Sandisk Corporation Memory card with raised portion
US7416132B2 (en) * 2003-07-17 2008-08-26 Sandisk Corporation Memory card with and without enclosure
JP4046659B2 (ja) 2003-07-31 2008-02-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TWM240680U (en) * 2003-09-17 2004-08-11 Molex Taiwan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US6935872B1 (en) * 2004-02-12 2005-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cap to inhibit damage to a connector due to electrostatic discharge
US7589613B2 (en) * 2006-04-03 2009-09-15 Lear Corporation Trinary to trinary rolling code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US10218097B2 (en) * 2017-07-11 2019-02-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8418B1 (en) * 1992-05-20 1998-11-04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for electronic apparatus
JP2846301B2 (ja) * 1997-06-11 1999-0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カード
JP3285321B2 (ja) 1998-02-26 2002-05-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接続用アダプタ
JP2000214971A (ja) * 1999-01-22 2000-08-04 Honda Tsushin Kogyo Co Ltd Cfカ―ド用アダプタ
JP2000259782A (ja) * 1999-03-12 2000-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500B1 (ko) * 2005-09-30 2008-02-25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63398B2 (en) 2003-12-16
TW554594B (en) 2003-09-21
JP4416969B2 (ja) 2010-02-17
EP1282198A3 (en) 2003-12-03
EP1282198A2 (en) 2003-02-05
US20030022540A1 (en) 2003-01-30
CN1400691A (zh) 2003-03-05
JP2003045575A (ja) 2003-02-14
CN100407501C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190A (en) Connector having ground plate for PC cards
JP2736749B2 (ja) 電荷除去手段を備えたメモリ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US7160125B1 (en) Reversible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connector
KR100923003B1 (ko) 카드 어댑터
US7261578B2 (en) Card connector
EP1387445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amera
KR20030011705A (ko) 카드 어댑터
JP461207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50040810A (ko) 카드용 커넥터
CA2237531C (en) Smart card adaptor latch
US6478592B1 (en) Card ejecting mechanism for CF card connector
US7238034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7503782B2 (en) Card connector
EP1282197B1 (en) Card adapter
US6634905B2 (en) Stacked electrical card connector assembly
JP2001291070A (ja) コネクタ装置
US6346672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central processing unit
WO2004032289A1 (en) Memory card connector
CN114976768A (zh) 连接器
JP2764503B2 (ja) Ic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0058186A (ja) 電気コネクタ
JP2791854B2 (ja) イジェクト機構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JP4202230B2 (ja) カード誤挿入防止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1135420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H11273820A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カード形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