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810A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810A
KR20050040810A KR1020040087402A KR20040087402A KR20050040810A KR 20050040810 A KR20050040810 A KR 20050040810A KR 1020040087402 A KR1020040087402 A KR 1020040087402A KR 20040087402 A KR20040087402 A KR 20040087402A KR 20050040810 A KR20050040810 A KR 2005004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round
metal cover
contact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모토오사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카드용 커넥터의 금속 커버의 일부에 다소의 변형을 가함으로써, 금속 커버를 그라운드 접속에 이용하여 카드용 커넥터에서의 그라운드 효과를 보다 더 높인다.
(해결수단)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배치한 절연 하우징과 금속 커버를 갖는다.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카드 수용 공간에 삽입된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시키고, 금속 커버의 일부를,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상태로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시키고, 카드가 카드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접촉시켜서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수직상방 영역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이 변위된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수직상방 영역에서 금속 커버의 일부와 직접 접촉시키거나, 또는 접촉력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CONNECTOR FOR CARD}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 더욱 상세히 말하면, 카드용 커넥터의 금속 커버를 이용하여 그라운드 효과를 발휘시키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9557호에 종래 카드 커넥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는,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배치한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금속 커버를 갖는다. 이 카드용 커넥터에는, 표면 상에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를 배치한 IC 카드가 삽입 발출되는 카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카드 수용 공간에 IC 카드 등의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그 표면 상의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가 대응하는 절연 하우징의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에 각각 접촉한다.
이러한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그라운드 단자가, 실질적으로 그라운드 단자만을 위해 형성된, 기판 상의 단자용 기판 회로만을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라운드 접속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있고, 이 결과,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에서의 임피던스가 높아져, 노이즈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955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카드용 커넥터의 금속 커버의 일부에 다소의 변형을 가함으로써, 카드용 커넥터로 카드를 삽입할 때에 금속 커버를 카드용 커넥터의 그라운드 접촉부와의 그라운드 접속을 위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배치한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금속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표면 상에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를 배치한 카드가 삽입 발출되는 카드 수용 공간을 상기 절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카드 표면 상의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가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수직상방 영역으로 변위시키고, 이 변위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와 직접 접촉시키는 것, 또는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배치한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금속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표면 상에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를 배치한 카드가 삽입 발출되는 카드 수용 공간을 상기 절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카드 표면 상의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두께 방향의 일측에서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고, 또한 상기 두께 방향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와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있어서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있어서 탄성 변위가 가능해도 된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상기 카드를 상기 카드 수용 공간으로부터 발출하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카드를 상기 카드 수용 공간으로 삽입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의 다른 일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서 상기 카드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를 삽입할 때, 단순히 카드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가 금속 커버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그라운드 접촉부와 금속 커버의 접촉을 통하여 카드를 효율적으로 그라운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의 임피던스를 낮춰, 노이즈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1. 구성
도 1 내지 도 3 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용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이 카드용 커넥터의 완성 사시도, 도 2 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앞쪽 측면 부근의 일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카드용 커넥터 (1) 는 주로, 절연 하우징 (3) 과, 이 절연 하우징 (3) 에 장착되는 접촉 단자 (21, 22) 와 금속 커버 (5), 또 카드의 삽입 발출 제어 부재, 예를 들어, 이젝터 (71), 핀 (72), 스프링 탄성부재 (73) 로 이루어진다. 또, 여기서 사용하는 카드 (후술하는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평탄한 IC 카드 등으로 생각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카드의 표면 상에는,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속에 사용되는 그라운드 접촉부 (도 5 의 91) 가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 이들 신호 접촉부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나 위치는 일반적으로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일례로서 합계 9 개의 신호 접촉부와 2 개의 그라운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절연 하우징
절연 하우징 (3) 은, 예를 들어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절연 하우징 (3) 의 상면 (31) 과 후방 측면 (32) 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특히 개방 상면 (31) 은, 금속 커버 (5) 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인다. 절연 하우징 (3) 에 금속 커버 (5) 를 고정하기 위해, 개방된 상면 (31) 과 개방된 후방 측면 (32) 이외의 측면 (즉, 좌우 측면 (30) 과 전방 측면 (33)) 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34) 나 걸림부 (35) 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 (3) 에 금속 커버 (5) 가 고정되었을 때, 절연 하우징 (3) 과 금속 커버 (5) 의 일부에 의해 IC 카드를 배치하는 중공의 카드 수용 공간 (36) 이 형성된다. IC 카드는, 이 카드 수용 공간 (36) 으로, 개방된 후방 측면 (32) 을 통하여 삽입 발출된다.
절연 하우징 (3) 의 전방 측면 (37) 에 접촉 단자 (21, 22) 를 배열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 단자 배열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 단자 (21, 22) 는, 이들 각 접촉 단자 배열부 (38) 에, 카드 수용 공간 (36) 에 대한 IC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서 배열, 고정되어 있다. 접촉 단자의 수나 종류는 규격에 의해 정해지지만, 여기서는 상기 서술한 IC 카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대응 위치에 합계 11 개의 접촉 단자 (21, 22) (이들 중 9 개는 통상적인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신호 단자 (21), 나머지 2 개는 그라운드 접속를 위해 사용되는 그라운드 단자 (22) 이다)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촉 단자 (21, 22) 는 각각, IC 카드가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의 두께 방향 (예를 들어, 그라운드 단자 가동부 (22) 의 두께 (226) 방향) (바꾸어 말하면, 카드 수용 공간 (36) 에 대한 IC 카드의 삽입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 (이하, 간단히 「단자 두께 방향」) 으로 상하로 변위하면서, IC 카드 표면 상의 신호 접촉부나 그라운드 접촉부 (91) 의 대응 부분과 탄성 접촉할 수 있다.
개방된 후방 측면 (32) 으로부터 보아 좌측 측면에, IC 카드의 삽입 발출 제어 부재, 예를 들어 이젝터 (71), 핀 (72), 및 스프링 탄성부재 (73) 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 (37) 이 형성되어 있다 (단, 우측 측면에 형성해도 된다). 이 장착 공간 (37) 의 전방측에는, 절연 하우징 (3) 의 전방 측면 (37) 의 내벽에서 장착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스프링 탄성부재 (73) 을 위한 위치 결정 원주 돌기 (38’) 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장착 공간 (37) 의 후방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72) 의 일단 (721) 을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위치 결정하는 반원형 걸림부 (39) 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원주 돌기 (38’) 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스프링 탄성부재 (73) 의 일단 (731) 을 이 위치 결정 원주 돌기 (38’) 에 장착하는 동시에, 스프링 탄성부재 (73) 의 타단 (733) 을 스프링 탄성부재 (7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젝터 (71) 의 일단측에 형성한 스프링 탄성부재 삽입 구멍 (711) 에 삽입하고, 또 핀 (72) 의 일단 (721) 을 반원형 걸림부 (39) 에 배치하는 동시에, 핀 (72) 의 타단 (723) 을 이젝터 (71) 의 타단측에 형성한 하트형 슬라이딩 접촉부 (712)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IC 카드의 푸시식 삽입 발출 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타입의 삽입 발출 기구는 종래부터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1-2. 금속 커버
금속 커버 (5) 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은 얇은 금속 판자를 펀칭, 굽힘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그 가공은 비교적 용이하다.
금속 커버 (5) 는, 절연 하우징 (3) 의 외부를 덮는다. 금속 커버 (5) 는, 일반적으로 충격 보호나 시일드로서 기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속를 위해 기능한다. 그라운드 접속을 유효한 것으로 하기 위해, 금속 커버 (5) 는,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 단자 (22) 와 동일하게 그라운드 (6) 에 접속된다. 그라운드 (6) 에 대한 접속은, 그라운드 단자 (22) 를 그라운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자용 기판 회로 (61) 와 동일한 금속 커버용 기판 회로 (64) 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금속 커버 (5) 의 전방 측면 (51) 은, 접촉 단자 (21, 22) 를 노출시키기 위해 대략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 후방 측면 (52) 은, IC 카드의 삽입을 위해 대략 모든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한편, 그 좌우 측면 (53) 은 실질적으로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 측면 (51 내지 53) 에는, 금속 커버 (5) 를 절연 하우징 (3) 에 고정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 (3) 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34) 나 직사각형의 걸림부 (35) 에 대응하여 고정 구멍 (54) 이나 고정 돌기 (55) 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금속 커버 (5) 의 상면 양측의 후방에,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된 카드를 고정하기 위해, 금속 커버 (5) 의 일부를 카드 수용측으로 일으켜 세움으로써 형성된 대소 2 세트의 카드 유지 변위부 (56A, 5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카드 유지 변위부 (56) 에 의해,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된 카드를 상측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IC 카드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커버 (5) 의 상면 양측의 전방에는, 절연 하우징 (3) 에 장착된 스프링 탄성부재 (73) 등에 대한 액세스를 쉽게 하기 위해 직사각형의 액세스 구멍 (57)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커버 (5) 상면의, 특히 절연 하우징 (3) 의 장착 공간 (37) 의 상부에는, 장착 공간 (37) 에 배치된 핀 (72) 을 위에서부터 누르기 위해, 금속 커버 (5) 의 일부를 카드 수용측으로 일으켜 세움으로써 형성된 핀 유지용 변위부 (58)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 커버 (5) 의 상면 전방측에, 각 접촉 단자 (21, 22) 에 대응하여 1 개씩 금속 커버 (5) 를 잘라내어 형성한 도피 구멍 (59)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피 구멍 (59) 은, IC 카드가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됨으로써 카드용 커넥터의 신호 단자 (21) 나 그라운드 단자 (22) 가 상방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이들 변위된 신호 단자 (21) 나 그라운드 단자 (22) 의 상방을 향한 선단부 (221) 부근을 카드 수용 공간 (36) 의 외부로 도피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1-3. 그라운드편
금속 커버 (5) 의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2 개의 그라운드편 (60)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도피 구멍 (59) 은, 이들 그라운드편 (60) 의 대략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편 (60) 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윤곽을 이루고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IC 카드를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외팔보형이면서 또한 상기 서술한 단자 두께 방향에 있어서 그라운드 단자 (22) 와 중복 부분을 갖는 상태로,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된 IC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의 수직상방 영역 (이하, 간단히 「수직상방 영역」) 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그라운드편 (60) 은, 상기 서술한 단자 두께 방향에 있어서 IC 카드의 수직상방 영역에서 탄성 변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그라운드편 (60) 은, 적어도 카드 수용 공간 (36) 측에서, 카드 수용 공간 (36) 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그라운드편 (60) 은 그라운드 단자 (22) 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이 그라운드 단자 (22) 와의 접촉을 통하여 IC 카드를 그라운드 (6) 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라운드편 (60) 의 선단부 (61) 는, 선단부 부근을 구부림으로써 전체적으로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 (61) 의 선단에는, 좀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곡면 모양의 볼록부 (62) 가 압연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이 곡면 모양의 볼록부 (62) 를 통하여, 예를 들어 항상 (적어도 카드 수용 공간 (36) 에 IC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그라운드 단자 (22) 와 직접 접촉이 가능하다.
1-4. 카드 규제부
그라운드편 (60) 의 근원 부근에, 금속 커버 (5) 의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카드 규제부 (63)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규제부 (63) 는, 도피 구멍 (59) 의 안쪽을 향하여 카드 수용 공간 (36) 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그 선단 부근의 하방 만곡부 (630) 는, 상기 서술한 수직상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드 규제부 (63) 를 그라운드편 (60) 의 대응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한 이유는, 카드 규제부 (63) 가 IC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만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부언하면, 신호 접촉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카드 규제부 (63) 가 신호 접촉부와 접촉한 경우, 전기 쇼트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 카드 규제부 (63) 에는 주로 2 가지 기능이 있다. 하나는, 카드용 커넥터에 대한 IC 카드의 삽입시에 IC 카드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범위를 규제하는 것, 또 이것에 의해 접촉 단자 (21, 22) 나 그라운드편 (60) 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는 것, 또 다른 하나는, 이 규제를 통하여 IC 카드와 그라운드 단자 (22) (신호 단자 (21) 도 동일) 의 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후자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서술한다.
1-5. 그라운드 단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촉 단자에는 신호 단자 (21) 와 그라운드 단자 (22) 의 2 가지 타입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그라운드 단자 (22) 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신호 단자 (21) 는 일반적인 것과 동일하다. 단, 그라운드 단자 (22) 와 신호 단자 (21) 는 그들의 기능이 다를 뿐이고, 구조적으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그라운드 단자 (22) 는, 고정부 (221) 와, 장착부 (224) 와, 가동부 (225) 로 이루어진다. 고정부 (221) 는 땜납 등에 의해 기판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단자용 기판 회로 (61) 를 통하여 그라운드 (6) 에 접속된다. 장착부 (224) 는 고정부 (221) 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 (3) 외면에 형성된 수직 배열홈에 장착된다. 가동부 (225) 는, 이 장착부 (224) 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장착부 (224) 에 연결되는 기부가 절연 하우징 (3) 의 접촉 단자 배열부 (38) 에 삽입되어 압입ㆍ고정된다.
특히, 가동부 (225) 는, 절연 하우징 (3) 의 내부에서 IC 카드를 카드 수용 공간 (36) 으로부터 발출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단자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수직상방 영역에서 상하로 탄성 변위가 가능하다.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가동편 (225) 의 연장 방향은 상기 서술한 그라운드편 (60) 의 연장 방향, 즉 IC 카드를 카드 수용 공간 (36) 에 삽입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 (225) 와 그라운드편 (60) 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 (225) 의 자유단측이 그라운드편 (60) 의 도피 구멍 (59) 으로 도피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 (225) 와 그라운드편 (60) 끼리가 실질적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고, 그 결과, 가동부 (225) 에서의 스프링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그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동부 (225) 의 선단 부근에,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시킴으로써 단자 접촉부 (222)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용 커넥터에 대해 IC 카드를 삽입할 때, 이 단자 접촉부 (222) 의 하부 부근이 IC 카드의 그라운드편 (60) 과 물리적ㆍ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또, 카드 수용 공간 (36) 의 바닥면 (40) 으로부터 이 단자 접촉부 (222) 까지의 거리 (가) 는, 바닥면 (40) 에서 카드 규제부의 하방 만곡부 (630) 까지의 거리 (나)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규제부 (63) 가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와 접촉하기 전에 반드시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가 그라운드 단자 (22) 와 접속할 수 있다.
가동부 (225) 의 중간 부근 (223) 은 전체적으로 다소 산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 정상 부근의 상면에 있어서 그라운드편 (60) 의 곡면모양 볼록부 (62)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촉은, 카드용 커넥터에 IC 카드를 삽입하기 전에는 비교적 작은 접압이 되도록 조정되고, 한편 삽입 후에는 그라운드 단자 (22) 의 상방으로의 탄성 변위에 응답하여 보다 큰 접압이 되도록 조정되고 있다. 그리고, 가동부 (225) 와 그라운드편 (60) 이 IC 카드 삽입 전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는 여기서 중요하지 않고, IC 카드 삽입 후에서 그들이 확실하게 (직접) 접촉되면 충분하다. 부언하면, 가동부 (225) 와 그라운드편 (60) 은, IC 카드 삽입 전부터 그들이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IC 카드 삽입 후에는 그들의 접촉력을 증가시킨 상태가 되고, 한편, IC 카드 삽입 전에 그들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IC 카드 삽입 후에는 그들이 확실하게 접촉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IC 카드 삽입 전에서 비교적 작은 접압으로 조정한 것은, 그라운드 단자 (22) 에 대한 그라운드편 (60) 의 접압이 크면 카드용 커넥터 제조시에 사용하는 고온 분위기 중의 리플로 열에 의해, 가동부 (225) 가 그라운드편 (60) 에 의한 접압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변형된 상태로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2. 동작
도 4 및 도 5 에, 도 3 의 4-4 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 는 특히, 카드 수용 공간 (36) 에 IC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5 에서 알 수 있듯이, IC 카드에 있어서, IC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신호 접촉부도 동일) 는, 그 구조상 IC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주변 부분보다도 약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카드 수용 공간 (36) 의 바닥면 (40) 측으로 들어가 있는 위치에 있다).
카드 수용 공간 (36) 에 IC 카드 (9) 가 삽입되면 이 삽입 동작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IC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는 그라운드 단자 가동부 (22) 의 두께 (226) 방향의 일측에서 가동부 (225) 의 단자 접촉부 (222) 와 직접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 (225) 가 그 두께 (226) 방향에서 상기 서술한 수직상방 영역으로 변위되고, 또 이 변위에 의해, 가동부 (225) 의 중간 부근 (223) 이 그라운드 단자 가동부 (22) 의 두께 (226) 방향의 다른 일측에서 그라운드편 (60) 의 곡면모양 볼록부 (62) 와 직접적으로 (확실히) 접촉된다. 이 결과,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는, 그라운드 단자 (22) 를 통하여 금속 커버 (5) 와 간접적으로 전기 접속되게 되고,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는, 그라운드 단자 (22) 뿐만 아니라 금속 커버 (5) 를 통하여 그라운드에도 접속되게 된다. 또, 여기서는 접촉 단자 (22) 의 일부가 그라운드 단자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삽입ㆍ발거 동작에는 하등 지장을 일으키지 않고, 그라운드 단자를 IC 카드의 접촉부 (91) 와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단자 (22) 는 비교적 가늘고 긴 경로인 단자용 기판 회로 (61) (도 1 참조) 만을 통하여 그라운드 (6) 에 접속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그라운드 단자 (22) 는, 단자용 기판 회로 (61) 뿐만 아니라, 이 단자용 기판 회로 (61) 에 비하여 상당히 큰 영역 (65) 을 갖는 금속 커버 (5) 에도 접속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보다 유효한 그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이 그라운드 단자 (22) 와 금속 커버 (5) 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보다 유효한 그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언하면, 금속 커버 (5) 는, 최종적으로는 단자용 기판 회로 (61) 와 같은 비교적 가늘고 긴 경로인 금속 커버용 기판 회로 (64) 를 통하여 그라운드 (6) 에 접속되게 되어 있지만, 종래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 (22) 로부터 직접적으로 기판 회로 (61) 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금속 커버 (5) 라는 경로를 통하여 기판 회로 (64) 에도 접속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그라운드 효과를 대단히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그라운드 단자 (22) 와 금속 커버 (5) 의 직접 접촉을 통하여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에서의 임피던스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또 IC 카드의 그라운드 접촉부 (91) 가 그 수직상방 영역에서 금속제의 그라운드 단자 (22) 나 그라운드편 (60) 에 의해 항상 덮이기 때문에, 이들 구성에 의해 노이즈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기타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편 (60) 은 IC 카드를 카드 수용 공간 (36) 으로부터 발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했지만, 반대로, 카드를 카드 수용 공간 (36) 으로 삽입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금속 커버 (5) 는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것으로 했지만, 반드시 그라운드에 접속될 필요는 없고, 그라운드에 접속되지 않더라도 그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카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표면 위 등에 그라운드 접촉부가 배열되어 있으면 된다. 부언하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반드시 카드 표면 상에 있을 필요는 없고, 이면 상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그라운드 접촉부가 카드의 표면 위, 이면 위, 혹은 이들 양면 위 중 어디에 있더라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 일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용 커넥터의 완성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용 커넥터의 앞쪽 측면 부근의 일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4-4 선 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4-4 선 단면도로서, 카드 수용 공간에 IC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드용 커넥터
3: 절연 하우징
5: 금속 커버
59: 도피 구멍
91: 그라운드 접촉부
21: 신호 단자
22: 그라운드 단자
60: 그라운드편
63: 카드 규제부
226: 그라운드 단자 가동부의 두께

Claims (7)

  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배치한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금속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표면 상에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를 배치한 카드가 삽입 발출되는 카드 수용 공간을 상기 절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카드 표면 상의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가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수직상방 영역으로 변위시키고, 이 변위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를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와 직접 접촉시키는 것, 또는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배치한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금속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로서, 표면 상에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를 배치한 카드가 삽입 발출되는 카드 수용 공간을 상기 절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카드 표면 상의 신호 접촉부와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두께 방향의 일측에서 상기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고, 또한 상기 두께 방향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와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있어서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있어서 탄성 변위가 가능한 카드용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상기 카드를 상기 카드 수용 공간으로부터 발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상기 카드를 상기 카드 수용 공간으로 삽입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가동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 상기 금속 커버의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의 다른 일부는, 상기 수직상방 영역에서 상기 카드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KR1020040087402A 2003-10-29 2004-10-29 카드용 커넥터 KR20050040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8397A JP3816914B2 (ja) 2003-10-29 2003-10-29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03-00368397 2003-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810A true KR20050040810A (ko) 2005-05-03

Family

ID=3442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402A KR20050040810A (ko) 2003-10-29 2004-10-29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11533B2 (ko)
EP (1) EP1528638A3 (ko)
JP (1) JP3816914B2 (ko)
KR (1) KR20050040810A (ko)
CN (1) CN1324768C (ko)
TW (1) TWI248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1362B2 (ja) * 2003-09-29 2008-08-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アダプタ
TWM253081U (en) * 2003-11-18 2004-12-1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JP4376075B2 (ja) * 2004-01-26 2009-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US7479020B2 (en) * 2004-11-22 2009-01-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control module having an internal electric ground
TWI334244B (en) * 2006-04-24 2010-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CN100466385C (zh) * 2006-05-31 2009-03-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906523B2 (ja) * 2007-01-25 2012-03-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933293B2 (ja) * 2007-02-09 2012-05-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1409392B (zh) * 2007-10-09 2011-06-1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1112846Y (zh) * 2007-10-12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20090111306A1 (en) * 2007-10-31 2009-04-30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JP5035008B2 (ja) * 2008-02-20 2012-09-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5147657B2 (ja) * 2008-11-25 2013-02-2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374415Y (zh) * 2009-02-27 2009-12-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402462B2 (ja) * 2009-09-24 2014-01-29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
CN103208708A (zh) * 2012-01-13 2013-07-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2797539U (zh) * 2012-07-25 2013-03-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8992263B2 (en) * 2012-08-01 2015-03-31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erial bus receptacle with exterior socket clamping
JP5516914B2 (ja) * 2012-11-26 2014-06-11 Smk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03288875U (zh) * 2013-04-18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3288877U (zh) 2013-04-26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5852056B2 (ja) * 2013-06-28 2016-02-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JP2015088301A (ja) * 2013-10-30 2015-05-07 Smk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03690610U (zh) * 2013-11-05 2014-07-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6656808B2 (ja) * 2015-02-17 2020-03-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組立体
TWI612730B (zh) * 2015-05-22 2018-01-21 格稜股份有限公司 高速連接器
EP4156421B1 (en) 2015-12-14 2024-05-15 Molex, LLC Backplane connector omitting ground shields and system using same
US9881650B1 (en) * 2016-12-26 2018-01-3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nnector mitigating crosstalk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260A (en) * 1994-07-29 1995-12-26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JP3126102B2 (ja) * 1995-08-11 2001-01-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Pcカード用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これを有するpcカード
TW383950U (en) * 1998-12-28 2000-03-01 Hon Hai Prec Ind Co Ltd Combination of electrical connector
US6074223A (en) * 1999-04-01 2000-06-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act flash card having a grounding tab
TW427564U (en) * 1999-12-14 2001-03-21 Hon Hai Prec Ind Co Ltd Stack-type electrical connector
TW481385U (en) * 2000-11-17 2002-03-21 Hon Hai Prec Ind Co Ltd Stacked type electronic card connector
TW531942B (en) * 2001-03-15 2003-05-11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US6739884B2 (en) * 2001-05-23 2004-05-25 Samtec,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plane with independently configurable contacts
JP2003059557A (ja) * 2001-08-08 2003-02-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小型カード用コネクタ
US6544071B1 (en) * 2001-12-24 2003-04-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onnector
TW581338U (en) * 2002-05-23 2004-03-21 Molex Taiwan Ltd Head structure of electronic card connector
CN2563767Y (zh) * 2002-07-25 2003-07-30 莫列斯公司 电子卡连接器
CN2574241Y (zh) * 2002-09-17 2003-09-17 莫列斯公司 电连接器
US6773275B1 (en) * 2003-08-15 2004-08-10 Kye Systems Corp. Connector with static electricity drain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35667A (ja) 2005-05-26
EP1528638A3 (en) 2008-06-04
TW200515646A (en) 2005-05-01
CN1612427A (zh) 2005-05-04
JP3816914B2 (ja) 2006-08-30
US20050095917A1 (en) 2005-05-05
CN1324768C (zh) 2007-07-04
TWI248235B (en) 2006-01-21
EP1528638A2 (en) 2005-05-04
US7011533B2 (en)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0810A (ko) 카드용 커넥터
US982540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metal shell
US7320623B2 (en) Connector with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accumulated on a mating connector
US72292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6089882A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grounding clip
US7780476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2293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US6431893B1 (en) Switch for a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189088B2 (en) Card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device
US8251728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retaining device
US6478630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polarization mechanism
US20120094514A1 (en) Card connector with switch unit
US6767232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write-protect and full-insertion switches
US683292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tt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60048983A (ko) 카드용 커넥터
US6361339B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having an integral ejector mechanism
US20060276069A1 (en) Lif socket connector
US724705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118396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6629860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n improved shell
US7063571B2 (en) Smart card connector
US7238052B2 (en) Card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device
US6120310A (en) Switch device for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390223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guiding member
US6645013B1 (en) Electronic system and connector us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