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626A -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626A
KR20030011626A KR1020020043578A KR20020043578A KR20030011626A KR 20030011626 A KR20030011626 A KR 20030011626A KR 1020020043578 A KR1020020043578 A KR 1020020043578A KR 20020043578 A KR20020043578 A KR 20020043578A KR 20030011626 A KR20030011626 A KR 2003001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sk
selection area
patter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마모토타케시
토노오카요우지
Original Assignee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17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 H01J37/3174Particle-beam lithography, e.g. electron beam lith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6Masks having proximity correction features; Preparation thereof, e.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design proces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76Patterning of masks by imaging
    • G03F1/78Patterning of masks by imaging by charged particle beam [CPB], e.g. electron beam patterning of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02Controlling tubes by external information, e.g. programme control
    • H01J37/3023Programme control
    • H01J37/3026Patterning strate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0Electron or ion beam tubes for processing objects
    • H01J2237/317Processing objects on a microscale
    • H01J2237/3175Lithography
    • H01J2237/31761Patterning strategy
    • H01J2237/31764Dividing into sub-patter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43Electron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lectr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의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특히 형상 정밀도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로부터 미소 도형을 제거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의 패턴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마스크에 형성할 예정의 패턴(1)을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패턴(1)으로부터 선택 영역(7)을 선택하고,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있는 경우에는 선택 영역(7)을 복수의 사각형(8 내지 10)으로 재분할한다. 선택 영역(7)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콘택트 또는 비어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MASK LITHOGRAPHY DATA GENERATION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사용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벡터형의 전자빔 노광 장치에 의해 리소그라피를 행하기 위한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도전성 또는 절연성의 박막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턴화하여 반도체 장치의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공정은 가공하고자 하는 박막을 성막하고 상기 박막상에 레지스트를 성막하고 상기 레지스트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에 의해 EB(Electron beam: 전자빔) 리소그라피(웨이퍼 리소그라피)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노광하고, 그 후 상기 레지스트를 현상함으로써 상기 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박막을 에칭 등의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술한 웨이퍼 리소그라피에 사용되는 마스크 역시 EB 리소그라피(마스크 리소그라피)에 의해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소재상에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에 대하여 전자빔에 의해 패턴을 리소그라피하고, 그 후 상기 레지스트를 현상함으로써 상기 레지스트의 일부를 제거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을 형성된 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에칭 등의 수단에 의해 상기 마스크 소재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제조한다.
근래에,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에 따라 웨이퍼상에 형성되는 패턴의 미세화가 진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0.18/㎛이던 패턴의 최소 치수가 0.10㎛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EB 리소그라피에 사용하는 마스크도 미세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EB 리소그라피에 사용하는 마스크를 미세화 하면 근접 효과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EB 리소그라피(웨이퍼 리소그라피)에 사용하는 마스크의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b)는 상기 마스크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보정 후의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61)에 개구부(62)를 마련하고 개구부(62)의 폭(A)을 예를 들면 400nm로 하고 개구부(62)에 근접하는 위치에 다른 개구부(63)를 마련하는 경우에 상기 마스크(61)를 사용하여 웨이퍼상에 예를 들면 투영 배율을 (1/4)배로 하여 리소그라피를 행하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면 개구부(62)에 대응하는 레지스트 패턴(64)의 형상은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62)의 형상의 유사 형상(62a)로는 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유사 형상(62a)보다 가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종래 기술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61)에 형성하는 개구부(62)의 형상을 미리 개구부(62b)와 같이 보정하여 둔다. 개구부(62b)의 형상은 원래의 개구부(62)에 보정부(62c)를 부가한 형상이다. 개구부(62) 폭은 예를 들면 400nm이며 보정부(62c)의 폭은 예를 들면 20nm이다. 상기 마스크(61)를 사용하여 (1/4)배의 투영 배율로 리소그라피를 행하면 웨이퍼상에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에 있어서, 개구부(62)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은 100nm가 되고 보정부(62c)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은 5nm가 된다.
EB 노광 장치는 전자빔을 주사하여 리소그라피하는 라스터형 EB 노광 장치와,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사각형마다 전자빔을 숏하여 리소그라피하는 벡터형 EB 노광 장치가 있다. 상기 중에서 벡터형 EB 노광 장치쪽이 보다 고정밀도인 리소그라피가 가능하기 때문에 마스크 소재에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여 마스크를 형성할 때는 벡터형 EB 노광 장치가 사용된다. 벡터형 EB 노광 장치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리 마스크에 형성하는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한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를 생성하여야 한다.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에 의거하여 마스크 소재에 대하여 EB 리소그라피(마스크 리소그라피)함으로써 마스크를 제조한다.
도 3의 a 및 b는 개구부(62b)의 분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개구부(62b)가 형성된 마스크(61)(도 2를 참조)에 의해 EB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경우에 개구부(62b)를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을 숏한다. 개구부(62b)의 분할 방법은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62)와 보정부(62c)로서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보정부(62c)의 폭이 가늘면 EB 리소그라피의 폭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의 a 및 b는 횡축에는 분할된 사각형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에 EB 출력을 나타내어 분할된 사각형의 폭이 EB 출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도로서, 도 4의 a는 사각형의 폭(X)이 넓은 경우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사각형의 폭(X)이 좁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폭(X)이 넓은 경우에, 예를 들면 웨이퍼상에서 25nm 이상인 경우에는 폭방향에 걸쳐서 거의 균일한 EB 출력이 얻어진다. 이에 대하여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폭(X)이 좁은 경우, 예를 들면 웨이퍼상에서 25n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사각형의 단부에서의 EB 출력이 저하되고 상기 사각형의 중앙부에서의 EB 출력도 저하된다. 즉, EB 출력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EB 노광의 폭 정밀도가 저하되고 그에 따라 마스크 패턴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되고 그 결과 반도체 장치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된다.
전술한 이유에 기인하여,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62b)를 폭이 좁은 도형(이하, 미소 도형이라 한다)이 형성되지 않도록 분할하여 전자빔을 숏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62b)를 사각형(68a,68b, 68c)으로 분할하면 미소 도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EB 출력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종래, 이와 같이 마스크의 패턴을 미소 도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할하고 리소그라피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실시된다.
도 5는 종래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장치는 사각형 분할 처리부(52),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53) 및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변환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종래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레이아웃 데이터(51)를 생성한다. 레이아웃 데이터(5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개구부(62b)의 형상을 나타내는 2차원 좌표 데이터이다. 다음에, 레이아웃 데이터(51)를 사각형 분할 처리부(52)에 입력하고, 레이아웃 데이터(51)의 사각형 분할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상기 개구부(62b)에 대응하는 패턴이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각형, 즉, 개구부(62) 및 보정부(62c)로 분할된다. 이 경우에, 보정부(62c)에 대응하는 사각형은 폭이 좁고 미소 도형으로 된다.
다음에, 사각형 분할 처리 이후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53)에 입력한다. 이로써,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분할한 패턴을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재분할하여 미소 도형(보정부(62c)에 상당)을 제거하고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54)를 생성한다. 그 후,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54)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변환부(55)에 입력하고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54)의 포맷을 마스크 리소그라피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고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56)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56)를 마스크 리소그라피장치에 입력하고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56)에 의거하여 전자빔에 의한 리소그라피를 행하고 마스크를 제조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6의 a는 웨이퍼상에 형성하는 레지스트 패턴의 형상을 도사한 도면으로서, 도 6읠 b는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의 개구부의 형상을 도사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상에 형성하는 레지스트 패턴(65)의 형상은 L자형이다. 또한, 레지스트 패턴(65)의 부분(65a)은 예를 들면,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또한, 레지스트 패턴(65)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별도의 레지스트 패턴(66 및 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지스트 패턴(65)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스크에 형성하는 패턴(41)의 형상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 패턴(65)의 상사형인 L자형(69)에 근접 효과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70 및 71)을 결합한 형상이 된다.
도 7의 a 및 b는 마스크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사각형 분할 전의 패턴을 도시하고 도 7의 b는 사각형 분할 후의 패턴을 도시한다. 도 6의 b에 도시한 패턴(41)으로부터 도 5에 도시한 종래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레이아웃 데이터(51)를 생성한다. 레이아웃 데이터(51)는 패턴(41)의 형상을 나타내는 2차원 좌표 데이터이다. 다음에, 레이아웃 데이터(51)를 사각형분할 처리부(52)에 입력한다. 이로써,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41)이 사각형(43 내지 46)으로 분할된다. 상기 경우에, 사각형(43 및 44)이 미소 도형으로 된다.
다음에, 상기 사각형 2차원 좌표 후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53)에 입력한다. 그러나, 패턴(41)은 미소 코너부(42)를 포함하기 때문에 패턴(41)을 어떻게 사각형으로 분할하더라도 반드시 미소 도형이 발생하여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53)에서 미소 도형을 제거할 수가 없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56)에도 미소 도형인 사각형(43 및 44)이 남아서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56)를 사용하여 리소그라피를 행하면 EB 출력 특성이 악화된다. 그 결과, 리소그라피의 정밀도가 저하되고 마스크에 형성하는 패턴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된다. 그 결과, 웨이퍼상에 형성하는 레지스트 패턴(65)(도 6의 a를 참조)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레지스트 패턴(65)의 부분(65a)은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동작속도 등의 특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각형의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특히 형상 정밀도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로부터 미소 도형을 제거하고,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의 패턴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다각형의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일부로서 형상 정밀도가 필요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하는 동시에 잔부로서 상기 선택 영역보다 형상 정밀도가 낮아도 좋은 영역을 비선택 영역으로 하여 상기 패턴의 형상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선택 영역 데이터와 비선택 영역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선택 영역을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된 선택 영역 데이터와 비선택 영역 데이터를 재통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스크에 형성하는 패턴을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함으로써, 패턴 전체에 관해서는 미소 도형의 제거를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선택 영역에서는 미소 도형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특히 형상 정밀도가 요구되는 영역,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콘택트 및 비어 등이 형성되는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함으로써 이들 영역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상기 재통합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로 변환하는 공정을 포함하면 양호하다. 이로써, 레이아웃 데이터를 마스크 리소그라피장치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영역을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은 상기 선택 영역의 각 정점을 잇는 선에 의해 상기 선택 영역을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서로 통합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더욱 큰 사각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더욱 큰 사각형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각형에 있어서의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최단의 변의 길이가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더욱 큰 사각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 인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공정을 재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각형의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특히 형상 정밀도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로부터 미소 도형을 제거하고,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 패턴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EB 리소그라피에 사용하는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상기 마스크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보정 후의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의 a 및 b는 개구부(62b)의 분할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횡축에 분할된 사각형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에 EB 출력을 나타내어 분할된 사각형의 폭이 EB 출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도로서, 도 4의 a는 사각형의 폭(X)이 넓은 경우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사각형의 폭(X)이 좁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의 a는 웨이퍼상에 형성하는 레지스트 패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의 개구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의 a 및 b는 마스크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사각형 분할 전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사각형 분할 후의 패턴을 도시한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도.
도 10의 a 내지 c는 마스크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사각형 분할 전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사각형 분할 후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이 c는 미소 도형 제거처리 후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10의 a 내지 c는 마스크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사각형 분할 전의 패턴을 도시하고, 도 10의 b는 사각형 분할 후의 패턴을 도시하고, 도 10의 c는 미소 도형 제거처리 후의 패턴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장치(20)는 사각형 분할 처리부(22), 선택된 영역을 지정하는 추출 처리부(23),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26), 선택 영역 머지(merge) 처리부(27) 및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변환부(29)를 포함한다.
사각형 분할 처리부(22)는 형성될 패턴(1 ; 도 10의 a를 참조))에 대해 레이아웃 데이터(21)의 입력을 수신하고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사각형을 추울 처리부(23)에 출력한다.
상기 추출 처리부(23)는 패턴(1)의 일부인 영역을 선택 영역(7)으로서 선택하고 사각형 분할 처리부(22)의 출력 데이터를 선택 데이터(25)와 비선택 데이터(24)로 분할한다.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26)는 선택 영역(7)에서 미소 도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소 도형과 상기 미소 도형에 직접 또는 다른 사각형을 사이에 두고 접촉하는 사각형을 통합하여 단일 형상으로 취급하고 상기 단일 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사용하여 사각형으로 재분할하고 상기 재분할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각형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합하여 더욱 큰 통합 사각형을 형성한다.
선택 영역 머지 처리부(27)는 선택 데이터(25)와 비선택 데이터(24)를 통합하여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28)를 생성하고, 상기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28)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변환부(29)에 출력한다.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변환부(29)는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28)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30)를 생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장치(20)의 동작, 즉, 본 실시예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생성 방법이 기술된다.
먼저, 레이아웃 데이터(21 ; 도 8을 참조)를 생성한다. 레이아웃 데이터(21)는 도 10의 a에 도시한 패턴(1)의 형상을 나타내는 2차원 좌표 데이터이다. 패턴(1)은 EB 리소그라피에 사용하는 마스크에 형성할 예정의 패턴이다. 또한, 패턴(1)의 형상은 도 7의 a에 도시한 패턴(41)의 형상과 동일한 것으로서 미소 코너부(2)를 갖고 있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아웃 데이터(21)를 사각형 분할 처리부(22)에 입력한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2 및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분할 처리부(22)에서 패턴(1)을 사각형(3 내지 6)으로 분할한다. 이때, 사각형(3 및 4)은 폭이 좁은 미소 도형으로 된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3 및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영역 지정도형에 의한 추출 처리부(23)에서, 패턴(1)의 일부의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 영역(7)으로 한다. 이로써, 레이아웃 데이터(21)를 선택 영역(7)에 대응하는 선택 데이터(25)와, 선택 영역(7) 밖의 영역에 대응하는 비선택 데이터(24)로 분할한다. 선택 영역(7)은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특히 형상 정밀도가 요구되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다. 또한, 이러한 영역은 반도체 장치의 설계 데이터, 예를 들면, 필드 공정에서의 레이아웃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선택한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26)에서,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선택 영역(7) 내에 있는 사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고 적어도 1변의 길이가 기준치 미만인 사각형을 미소 도형으로 취급한다. 상기 기준치는 사용하는 EB 노광 장치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100nm이다. 또한, 투영 배율이 (1/4)배인 경우에 마스크에 있어서의 100nm의 길이는 웨이퍼상에서 25nm의 길이가 된다.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없는 경우는 이후의 스텝 S5 내지 S7은 생략되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한편,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있는 경우는 도 9에 스텝 S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소 도형에 직접 또는 다른 사각형을 사이에 두고 접촉하고 있는 사각형을 통합하여 하나의 도형으로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인 사각형(3 및 4)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택 영역(7) 내에서 사각형(3 및 4), 및 사각형(4)에 접촉하고 있는 사각형(5)을 통합하여 하나의 다각형(7a)으로 한다. 또한, 이로써, 패턴(1(에 있어서의 선택 영역(7) 밖의 영역은 사각형(11 내지 13)으로 분할된다. 또한, 스텝 S4 내지 S7은 미소 도형 제거 처리부(26)에서 행하여진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7a)의 각 정점을 잇는 직선에 의해 다각형(7a)를 복수의 사각형으로 재분할한다. 그 후, 도 9의 스텝 S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분할된 복수의 사각형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합하여 더욱 큰 통합 사각형을 형성한다. 이때, 통합 사각형에 있어서의 최단의 변의 길이가 가급적 길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사각형을 통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영역(7) 내에서 통합 사각형(8 내지 1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4로 되돌아가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있는 경우는 전술한 스텝 S5 내지 S7 및 S4를 재차 실행한다. 한편, 선택 영역(7) 내에 미소 도형이 없는 경우는 도 9의 스텝 S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데이터(25) 및 비선택 데이터(24)를 선택 영역 머지 처리부(27)에 입력한다. 그리고, 선택 영역 머지 처리부(27)에서 선택 데이터(25)와 비선택 데이터(24)를 통합(머지(merge))하고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28)를 생성한다. 이로써, 선택 영역(7) 내의 도형, 즉, 통합 사각형(8 내지 10)과, 선택 영역(7) 밖의 도형, 즉, 사각형(11 내지 13)이 통합되어 하나의 도형으로서 인식된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28)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 변환부(29)에 입력한다. 이로써, 미소 도형 제거 데이터(28)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인식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30)를 생성한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30)를 마스크 리소그라피장치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리소그라피장치에 의해,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30)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소재에 대하여 EB 리소그라피를 행한다. 이로써, 마스크 소재에 패턴을 형성하고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를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1)을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에 의해 패턴(1) 전체로서는 미소 도형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패턴(1)을 선택 영역(7)과 그 이외의 영역과 나누고 선택 영역(7) 내에서 미소 도형 제거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로써, 패턴(1) 전체로서는 미소 도형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선택 영역(7) 내에서는 미소 도형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마스크에 있어서의 선택 영역(7) 내의 형상 정밀도가 향상한다. 이 때문에, 선택 영역(7)을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라고 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에 있어서의 동작속도 등의 특성의 오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패턴(1)의 형상은 L자형에 보정부를 부가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영역(7)은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택트 또는 비어를 포함하는 영역이도 좋다. 상기 경우에는 상기 콘택트 또는 비어가 형성되는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콘택트 또는 비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접촉 불량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각형의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특히 형상 정밀도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로부터 미소 도형을 제거하고,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 패턴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다각형의 패턴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하는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의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일부로서 형상 정밀도가 필요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하는 동시에 잔부로서 상기 선택 영역보다 형상 정밀도가 낮아도 좋은 영역을 비선택 영역으로 하여 상기 패턴의 형상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선택 영역 데이터와 비선택 영역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선택 영역을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하고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된 선택 영역 데이터와 비선택 영역 데이터를 재통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통합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로 변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4. 제 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을 최단의 변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은,
    상기 선택 영역의 각 정점을 잇는 선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 영역을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서로 통합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보다 큰 사각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보다 큰 사각형 데이터 각각에 의해 표시된 사각형의 최단의 변의 길이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최단의 변의 길이가 상기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상기 공정이 상기 최단의 변의 길이가 상기 소정값 이하라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영역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 영역을 복수의 사각형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선택 영역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데이터로 분할하는 공정과, 상기 보다 큰 사각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최단의 변의 길이가 상기 소정값과 적어도 동일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공정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5. 제 1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는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마스크이고,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6. 제 1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는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마스크이고,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7. 제 1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노광용 마스크는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전자빔 리소그라피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마스크이고,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비어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KR1020020043578A 2001-07-30 2002-07-24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KR20030011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0438 2001-07-30
JP2001230438A JP2003045780A (ja) 2001-07-30 2001-07-30 マスク描画データの作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626A true KR20030011626A (ko) 2003-02-11

Family

ID=1906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78A KR20030011626A (ko) 2001-07-30 2002-07-24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33932B2 (ko)
JP (1) JP2003045780A (ko)
KR (1) KR20030011626A (ko)
DE (1) DE10234464B4 (ko)
TW (1) TW5629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1045B2 (ja) 2005-06-20 2009-02-12 富士通株式会社 フロアプラン設計支援装置,フロアプラン設計支援プログラム及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8304750B2 (en) * 2007-12-17 2012-11-06 Carl Zeiss Nts Gmbh Scanning charged particle beams
KR20130136922A (ko) * 2012-06-05 2013-12-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마스크 데이터 생성 방법
JP5665915B2 (ja) 2012-06-05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スクデータ作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10A (ja) * 1996-06-27 1998-01-16 Nec Corp 電子線露光装置用露光マスクデータの作成方法および電 子線露光装置用マスク
KR19980063588A (ko) * 1996-12-06 1998-10-07 기따오까다까시 하전빔 묘화 데이타 작성 방법
US5824437A (en) * 1996-01-09 1998-10-20 Fujitsu Limited Mask and method of creating mask as well as electron-beam exposure method and electron-beam exposure device
KR19990008257A (ko) * 1995-05-03 1999-01-25 마우서리스 존 리소그래피 마스크 패턴용 근접 보정피쳐들을 형성하는 방법
JP2001007018A (ja) * 1999-04-21 2001-01-12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描画パターンデータ生成方法、パターン描画方法及び荷電粒子描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422A (ja) * 1998-01-14 1999-07-30 Nikon Corp 荷電粒子線転写方法
JP4156700B2 (ja) * 1998-03-16 2008-09-24 富士通株式会社 露光データ作成方法、露光データ作成装置、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57A (ko) * 1995-05-03 1999-01-25 마우서리스 존 리소그래피 마스크 패턴용 근접 보정피쳐들을 형성하는 방법
US5824437A (en) * 1996-01-09 1998-10-20 Fujitsu Limited Mask and method of creating mask as well as electron-beam exposure method and electron-beam exposure device
JPH1012510A (ja) * 1996-06-27 1998-01-16 Nec Corp 電子線露光装置用露光マスクデータの作成方法および電 子線露光装置用マスク
KR19980063588A (ko) * 1996-12-06 1998-10-07 기따오까다까시 하전빔 묘화 데이타 작성 방법
JP2001007018A (ja) * 1999-04-21 2001-01-12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描画パターンデータ生成方法、パターン描画方法及び荷電粒子描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33932B2 (en) 2004-05-11
JP2003045780A (ja) 2003-02-14
DE10234464A1 (de) 2003-02-27
DE10234464B4 (de) 2006-11-09
TW562993B (en) 2003-11-21
US20030022078A1 (en) 200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0804B2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製造用マスク及び光近接効果補正方法
US6303251B1 (en) Mask pattern correction process, photomask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0472267B1 (ko) 마스크의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및 이 마스크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0162758A (ja) 光学的近接効果補正方法
US20010028981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compensating for photo proximity effect with reduced data amount, and photomask fabricated using same
JP4115615B2 (ja) マスクパターン設計方法
US8127257B2 (en) Designing method of photo-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photo-mask
JP3074675B2 (ja) 電子線直描方法及び装置
JP2001209167A (ja) フォトマスク、フォトマスクペア、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88893B1 (ko) 반도체 소자의 마스크 패턴 형성 방법
KR20030011626A (ko) 마스크 리소그라피 데이터의 생성 방법
JPH11329957A (ja) 露光装置用のデ―タ作成方法
JP2001312045A (ja) マスクの形成方法
US6563127B2 (e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with rectangular contact
JPH11126824A (ja) パターン設計方法
JP4756720B2 (ja) フォトマスク、フォトマスクの製造方法、フォトマスクの検査修正方法、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2009271174A (ja) マスクパターン作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12334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3273001A (ja) 電子線描画データ作成方法、マスク製造方法および描画装置
KR100217903B1 (ko) 포토마스크의 제작방법
US20080076047A1 (en) Method of forming image contour for predicting semiconductor device pattern
KR20080018039A (ko) 오프 그리드 방지를 위한 opc 처리방법
JP5314937B2 (ja) 描画装置及び描画用データの処理方法
JPH1115139A (ja) マスクパターン作成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マスク
JP3366686B2 (ja) 光露光用マスク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