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455A - 카트리지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455A
KR20030009455A KR1020027014438A KR20027014438A KR20030009455A KR 20030009455 A KR20030009455 A KR 20030009455A KR 1020027014438 A KR1020027014438 A KR 1020027014438A KR 20027014438 A KR20027014438 A KR 20027014438A KR 20030009455 A KR20030009455 A KR 20030009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holder
fitting shaft
chassi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079B1 (ko
Inventor
나까시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2922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80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74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5016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트리지 수납 장치는 일단부가 섀시(1)에 피봇 지지(32)되고, 섀시(1)에 대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홀더(3)를 구비하고 있다. 섀시(1) 상에는 카트리지(6)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전방면이 개구(62)된 위치 결정 절결부(61)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축(5)이 설치되어 있다.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개구(62)의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 하면의 이행 궤적(M)과 끼워 맞춤축(5)의 교점(X)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수납 장치{CARTRIDGE STORAGE DEVICE}
종래부터 기록 매체인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내포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4a는 출원인이 이전에 제안한 카트리지(6)의 평면도이고, 도4b는 동일한 정면도이다.
이는 초해상 방식의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이용된다. 합성 수지제인 카트리지(6) 내에 디스크(6O)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카트리지(6) 상면에 디스크(60)의 노출과 폐색을 절환하는 셔터(63)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카트리지(6)에는 하면이 개구된 위치 결정 절결부(61), 오삽입 방지 구멍(64) 및 끼워 맞춤 구멍(65)이 개방 설치되어 있다.
셔터(63)는 카트리지(6) 내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67)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고,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67)은 카트리지(6)의 측면에 개방 설치된 관통 구멍(66)을 통해 카트리지(6) 내에 삽입된다. 셔터(63)는, 통상은 폐쇄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먼지가 디스크(6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3은 이 카트리지(6)를 수납하는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턴테이블(7) 및 픽업(70)을 탑재한 섀시(1) 상의 일단부에는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홀더(3)의 기단부가 피봇 지지된다. 카트리지(6)의 삽입 방향은 셔터(63)의 슬라이드 방향에 일치하고, 카트리지(6)는 관통 구멍(66)을 우측을 향해 상승한 홀더(3)에 삽입된다.
홀더(3)의 양측부로부터는 받침판(30)(30)이 내부로 돌출하고, 상기 받침판(30)(30)에 의해 카트리지(6)의 하면을 지지한다. 홀더(3) 내에는 셔터(63)를 개방하는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셔터(63)가 개방되어 노출된 디스크(60)에 대해 픽업(70)으로부터 빔이 조사된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 배출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섀시(5)의 전후단부에는 카트리지(6)의 위치 결정 절결부(61) 및 끼워 맞춤 구멍(65)에 각각 끼우는 제1 끼워 맞춤축(5), 제2 끼워 맞춤축(5a)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각 끼워 맞춤축(5)(5a)은 카트리지(6)의 하면을 받는 원주형의 받침축(50)의 상면으로부터 원뿔형의 안내부(51)를 돌출하고 있다.
위치 결정 절결부(61)와 오삽입 방지 구멍(64)은 전후로 연장되고,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폭(S)은 안내부(51)의 하단부 직경보다도 약간 작다(도4a 참조). 위치 결정 절결부(61)는 전방면의 일부가 개구(62)하고 있다.
카트리지(6)를 홀더(3) 내에 삽입하면, 위치 결정 절결부(61)가 제1 끼워 맞춤축(5)의 안내부(51)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6)의 좌우 덜걱거림이 규제된다. 홀더(3)를 하강 회전시키면, 카트리지(6)는 받침축(50)의 상면에 적재된다. 디스크(60)가 턴테이블(7)에 적재되어 신호가 기록 또는 재생된다.
도5는 하강한 홀더(3)의 단면 평면도이고, 홀더(3)의 피봇 지지부(32)(32)를 좌우를 향해 도시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홀더(3)의 천정판을 생략한다. 도6은 도5의 홀더(3)를 B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우측의 받침판(30) 단부는 절곡 기립되어 오삽입 방지 돌기(31)로 되어 있다. 좌측의 받침판(30) 후단부에는 관통 구멍(33)이 개방 설치되어 제2 끼워 맞춤축(5a)은 관통 구멍(33)을 관통한다.
카트리지(6)를 홀더(3)에 삽입할 때는 오삽입 방지 돌기(31)가 오삽입 방지 구멍(64)에 끼워진다. 가령, 카트리지(6)를 상하, 즉 표리를 반대로 하여 삽입한 경우에는 오삽입 방지 돌기(31)가 오삽입 방지 구멍(64)에 끼워지지 않으므로, 카트리지(6)를 홀더(3)에 삽입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카트리지(6)를 상하 반대로 오삽입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호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최근, 출원인이 제안한 카트리지(6)보다도 전후 사이즈가 짧은 미니 카트리지(8)가 출원인 이외의 업자로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 미니 카트리지(8)는 출원인이 제안한 카트리지(6) 내의 디스크(6O)와는 기록 또는 재생 사양이 다른 디스크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도7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카트리지(8)는 전단부의 중앙으로부터 우측단부에 걸쳐 후방으로 오목한 단부(8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미니 카트리지(8)의 전단부에는 좌우 덜걱거림을 규제하기 위해, 위치 결정 구멍(68)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위치 결정 구멍(68)은 하면이 개구되어 전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이 미니 카트리지(8) 내의 디스크는 카트리지(6) 내의 디스크(60)와는 기록또는 재생 사양이 다르므로, 미니 카트리지(8)는 본래 홀더(3)에 삽입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실수로 상기 미니 카트리지(8)를 종래 장치인 홀더(3)에 삽입하면, 단부(81)가 오삽입 방지 돌기(31)에 도달하는 일 없이, 미니 카트리지(8)가 홀더(3) 내에 수납된다. 여기서는 오삽입 방지 돌기(31)를 설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니 카트리지(8)가 삽입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출원인은 이 점에 비추어 섀시(1) 상의 카트리지(6) 위치를 결정하는 제1 끼워 맞춤축(5)에 의해 미니 카트리지(8)가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착안하였다. 즉, 미니 카트리지(3)의 단부는 후방으로 오목해져 있으므로, 미니 카트리지(8)는 홀더(3)의 우측단부에 위치하는 오삽입 방지 돌기(31)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런데, 미니 카트리지(8)는 홀더(3)의 좌측단부에 대응하여 섀시(1) 상에 설치된 제1 끼워 맞춤축(5)에는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1 끼워 맞춤축(5)에 의해 미니 카트리지(8)가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성으로 정규 카트리지 이외의 카트리지가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인 디스크를 내포한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장치,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는 카트리지가 끼워 맞춤축의 받침축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a 및 도4b는 출원인이 이전에 제안한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5는 종래 홀더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6은 도5를 B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7은 미니 카트리지와 홀더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얇은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9는 종래의 장치에 카트리지를 오삽입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종래의 장치에 카트리지를 오삽입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을 A1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2는 다른 제1 끼워 맞춤축을 구비한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다른 제1 끼워 맞춤축의 정면도이다.
도14는 상승한 홀더에 카트리지를 정규 상태에서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15는 상승한 홀더에 카트리지를 잘못된 방향을 향해 삽입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16은 다른 제1 끼워 맞춤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7은 바람직하지 않은 제1 끼워 맞춤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섀시(1) 상에는 카트리지(6)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전방면이 개구(62)된 위치 결정 절결부(61)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개구(62)의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과 끼워 맞춤축(5)의 교점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카트리지(6) 하면의 이행 궤적(M)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다른 끼워 맞춤축(5)은 카트리지(6)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축(5O)과, 상기 받침축(5O)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안내부(51)와, 상기 안내부(51)의 상면으로부터 섀시(1)면에 대략 직교하여 상향으로 연장된 오삽입 규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오삽입 규제부(52)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카트리지(6)의 하면이 그리는 이행 궤적(M) 상에 위치한다. 오삽입 규제부(52)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개구(62)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측면도로, 홀더(3)가 상승하고 있다. 홀더(3)의 형상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카트리지(6)를 도4의 F-F선을 포함하는 면으로 파단하여 도시하고 있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디스크(60)는 카트리지(6)에 수납되고, 카트리지(6)의 전단부에는 하면 및 전방면이 개구(62)된 위치 결정 절결부(61)가 개방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6)의 후단부에는 하면이 개구된 끼워 맞춤 구멍(55)이 개방 설치되어 있다.
섀시(1) 상에는 위치 결정 절결부(61) 및 끼워 맞춤 구멍(65)에 각각 끼워지는 제1 끼워 맞춤축(5), 제2 끼워 맞춤축(5a)이 설치되고, 각 끼워 맞춤축(5)(5a)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6)의 하면을 받는 받침축(50)의 상면으로부터 원뿔형의 안내부(51)를 돌출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폭은 안내부(51)의 하단부 직경보다도 약간 작고, 이에 의해 안내부(51)에 끼워 맞춤한 카트리지(6)는 좌우 덜걱거림이 규제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1 끼워 맞춤축(5)에서 미니 카트리지(8)가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끼워 맞춤축(5)의 안내부(51)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전방면 개구(62)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안내부(51)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카트리지(6)의 하면이 그리는 이행 궤적(M)과 제1 끼워 맞춤축(5)의 교점(X)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규 카트리지(6), 또는 미니 카트리지(8)가 홀더(3)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이하와 같이 미니 카트리지(8)만이 삽입이 저지된다.
[정규 카트리지(6)를 홀더에 삽입한 경우]
상방으로 기울어진 홀더(3)에 카트리지(6)를 삽입하면,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전방면 개구(62)는 제1 끼워 맞춤축(5)에 대향한다. 상기 제1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개구(62) 상단부 모서리의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끼워 맞춤축(5)은 카트리지(6)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1 끼워 맞춤축(5)은 위치 결정 절결부(61) 내에 끼워진다.
[실수로 미니 카트리지(8)를 홀더에 삽입한 경우]
상방으로 기울어진 홀더(3)에 미니 카트리지(8)를 잘못 삽입한다. 상기 미니 카트리지(8)의 위치 결정 구멍(68)은 전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또한 제1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카트리지 하면의 이행 궤적(M)과 제1 끼워 맞춤축(5)의 교점(X)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미니 카트리지(8)는 끼워 맞춤축(5)에 의해 삽입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축(5)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미니 카트리지(8)가 잘못 삽입될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6)의 두께는 수 밀리이고, 이 카트리지(6)를 정규 카트리지라 부른다. 상기 정규 카트리지(6)는 홀더(3) 내에 상하 덜걱거림이 적은 상태에서 수납된다. 그런데, 미니 카트리지(8)와는 별도로 정규 카트리지(6)보다도 두께가 약 1 밀리 얇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 치수가 대략 동일한 얇은 카트리지(8O)가 시장에 출현할 우려가 나왔다. 이와 같은 얇은 카트리지(80)는 본래 홀더(3) 내에 삽입해야 할 것은 아니지만, 두께가 정규 카트리지(6)보다도 얇으므로 얇은 카트리지(80)는 홀더(3)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얇은 카트리지(80)는 미니 카트리지(8)와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 구멍(68)의 전단부는 폐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얇은 카트리지(80) 홀더(3) 내로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본 예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로부터 홀더(3)의 천정판 이면까지의 최단 거리(E)를 얇은 카트리지(80)의 두께보다도 작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얇은 카트리지(80)를 홀더(3)에 삽입하려고 해도 상기 얇은 카트리지는 끼워 맞춤축(5)에 걸려 삽입이 저지된다.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로부터 홀더(3)의 천정판 이면까지의 최단 거리(E)를 얇은 카트리지(80)의 두께보다도 작게 하는 동시에, 끼워 맞춤축(5)은 또한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다. 도2는 카트리지(6)가 끼워 맞춤축(5)의 받침축(50)(50)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끼워 맞춤축(5)은 위치 결정 절결부(61) 내에 수납되므로, 카트리지(6)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상단부 모서리까지의 높이(C)는 끼워 맞춤축(5)의 안내부(51) 높이보다도 높다. 또한, 안내부(51)는 카트리지(6) 하면으로부터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전방면 개구(62) 상단부 모서리까지의 높이(A)보다도 높다.
본 예의 장치에 있어서는 카트리지(6)를 상하 반대로 하여, 즉 표리를 반대로 하여 홀더(3)에 삽입하면, 오삽입 방지 돌기(31)에 의해 홀더(3)로의 삽입이 규제된다. 그러나, 가령 오삽입 방지 돌기(31)가 없더라도 카트리지(6)를 표리 반대로 하면, 위치 결정 절결부(61)가 상부를 향하므로, 카트리지(6)의 선단부가 안내부(51)에 닿아 카트리지(6)는 마지막까지 삽입할 수 없다.
즉, 본 예에 있어서는 끼워 맞춤축(5)에 의해 카트리지(6)를 상하 반대로 한 오삽입, 미니 카트리지(8) 및 얇은 카트리지(80) 홀더(3)로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소한 구성으로 3종류의 카트리지 오삽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는 미니 카트리지(8) 및 얇은 카트리지(80)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고 했지만, 미니 카트리지(8) 및 얇은 카트리지(80)에 형상이 근사한 이물질의 삽입 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출원인은 상기 장치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정규 카트리지(6)를 잘못된 방향을 향해 무리하게 압입하면, 그대로 삽입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도9는 개방된 홀더(3)에 카트리지(6)를 오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동일한 측면도, 도11은 도10을 A1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9에 있어서는 카트리지(6)를 상하 반대로 하고, 또한 위치 결정 절결부(61)를 우측을 향해 카트리지(6)를 오삽입하려고 하고 있다. 이 경우, 관통 구멍(66)이 전방을 향하고 있고(도11 참조), 카트리지(6)를 홀더(3) 내에 삽입하면, 카트리지(6)의 선단부가 제1 끼워 맞춤축(5)의 안내부(51)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6)를 홀더(3) 내에 강한 힘으로 삽입하면,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51)는 테이퍼형이므로, 카트리지(6)의 하면이 안내부(51)에 접촉하여 밀어 올려져 상부 방향으로 휜다. 안내부(51)의 선단부가 카트리지(6)의 하면을 밀어 올린 상태에서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수납된다. 즉, 오삽입된 카트리지(6)가 그대로 홀더(3) 내에 수납된다.
여기서는 신호를 정확하게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없다. 더불어, 카트리지(6)의 하면과 안내부(51)의 마찰에 의해 카트리지(6)를 홀더(3)로부터 취출할 수 없게 된다. 카트리지(6)가 잘못된 자세로 삽입될 우려를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 제1 끼워 맞춤축(5)을 이하와 같이 형성하였다.
도12는 본 예에 관계되는 제1 끼워 맞춤축(5)을 구비한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13은 제1 끼워 맞춤축(5)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제1 끼워 맞춤축(5)은 카트리지(6)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축(50)과, 상기 받침축(5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안내부(51)와, 상기 안내부(51)의 상면으로부터 섀시(1)면에 대략 직교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선단부면이 평탄한 오삽입 규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오삽입 규제부(52)는 라운드축으로 형성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끼워 맞춤축(5a)은 종래와 동일 형상으로(도3 참조), 받침축(50)과 안내부(51)를 구비하고 있다.
도14는 상승한 홀더(3)에 카트리지(6)를 정규 상태로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의 측면도이고, 카트리지(6)를 도4a의 F-F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파단하고 있다. 위치 결정 절결부(61)는 하면 및 전방면이 개구(62)되고, 상기 개구(62)의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은 L로 표시된다. 홀더(3)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오삽입 규제부(52)의 선단부는 개구(62)의 상단부 모서리의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오삽입 규제부(52)는 정확한 자세로 삽입된 카트리지(6) 홀더(3)로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오삽입 규제부(52)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카트리지(6)의 하면이 그리는 이행 궤적(M) 상에 위치하고 있다.
[카트리지를 정규로 삽입한 경우]
카트리지(6)를 정규 자세로 삽입하면, 오삽입 규제부(52)는 카트리지(6)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제1 끼워 맞춤축(5)은 위치 결정 절결부(61) 내에 위치한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폭은 안내부(51)의 하단부 직경에 대략 비슷하고, 이에 의해 안내부(51)에 끼워 맞춘 카트리지(6)는 좌우 덜걱거림이 규제된다.
[카트리지를 오삽입한 경우]
도15는 상승한 홀더(3)에 카트리지(6)를 잘못된 방향을 향해 삽입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카트리지(6)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가 반대가 되고, 또한 위치 결정 절결부(61)가 우측을 향하고 있다.
오삽입 규제부(52)는 카트리지(6) 하면의 이행 궤적(M)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6)를 홀더(3)에 삽입하면 카트리지(6)의 하단부가 오삽입 규제부(52)에 닿는다. 오삽입 규제부(52)는 라운드축이므로 카트리지(6)의 하단부가 오삽입 규제부(52)에 닿아도 카트리지(6)의 하면은 상방으로 휘지 않는다. 따라서, 카트리지(6)가 강한 힘으로 삽입되어도 카트리지(6)의 하면이 제1 끼워 맞춤축(5)에 얹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6)는 삽입이 규제되어, 사용자는 카트리지(6)를 오삽입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6)를 상하 반대로 하고, 또한 위치 결정 절결부(61)를 우측을 향해 홀더(3)에 오삽입하면, 오삽입 규제부(52)에 의해 삽입이 규제된다. 그런데, 이 이외의 자세로 카트리지(6)를 오삽입해도 카트리지(6)의 선단부가 오삽입 규제부(52)에 닿아 오삽입이 방지된다. 즉, 오삽입 규제부(52)가 위치 결정 절결부(61) 내에 끼워지지 않으므로, 카트리지(6)는 홀더(3)로의 삽입 도중에서 멈춘다.
상기 예에서는 오삽입 규제부(52)를 라운드축으로 하였지만,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51)의 상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방호벽이라도 좋다. 단,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삽입 규제부(52)를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면, 위치 결정 절결부(61)가 오삽입 규제부(52)에 끼워지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상방으로 기울어진 홀더(3)에 카트리지(6)를 삽입하면,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전방면 개구(62)는 끼워 맞춤축(5)에 대향한다. 상기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개구(62)의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끼워 맞춤축(5)은 카트리지(6)의 삽입을 방해하는 일 없이 위치 결정 절결부(61) 내에 끼워진다.
상방으로 기울어진 홀더(3)에 미니 카트리지(8)를 실수로 삽입한다. 상기 미니 카트리지(8)의 위치 결정 절결부(61)는 전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또한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카트리지 하면의 이행 궤적(M)과 끼워 맞춤축(5)의 교점(X)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미니 카트리지(8)는 끼워 맞춤축(5)에 의해 삽입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축(5)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미니 카트리지(8)의 오삽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카트리지(6)를 상하를 반대로 하고 또한 위치 결정 절결부(61)를 가로를 향해 홀더(3)에 오삽입해도(도9 참조), 오삽입 규제부(52)는 카트리지(6) 하면의 이행 궤적(M)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6)의 하단부는 오삽입 규제부(52)에 닿는다. 오삽입 규제부(52)는 섀시(1)면에 대략 직교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6)의 하면은 오삽입 규제부(52)에 닿아도 상방으로 휘지 않는다. 따라서, 카트리지(6)가 끼워 맞춤축(5)에얹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어떻게 오삽입되어도, 그대로 홀더(3)에 장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일단부가 섀시(1)에 피봇 지지(32)되어 섀시(1)에 대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홀더(3)를 구비하고, 섀시(1) 상에는 카트리지(6)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전방면 및 하면이 개구(62)된 위치 결정 절결부(61)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축(5)이 설치된 카트리지 수납 장치에 있어서,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개구(62)의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카트리지(6) 하면의 이행 궤적(M)과 끼워 맞춤축(5)의 교점(X)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3)에는 상하 덜걱거림이 적은 상태에서 수납되는 정규 카트리지(6)와, 상기 정규 카트리지(6)보다도 두께가 얇은 얇은 카트리지(30)가 삽입 가능하고,
    끼워 맞춤축(5)의 선단부로부터 홀더(3) 천정면까지의 최단 거리(E)는 얇은 카트리지(80)의 두께보다도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수납 장치.
  3. 일단부가 섀시(1)에 피봇 지지(32)되고, 섀시(1)에 대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홀더(3)를 구비하고, 섀시(1) 상에는 카트리지(6)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전방면 및 하면이 개구(62)된 위치 결정절결부(61)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축(5)이 설치된 카트리지 수납 장치에 있어서,
    끼워 맞춤축(5)은 카트리지(6)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축(50)과, 상기 받침축(5O)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안내부(51)와, 상기 안내부(51)의 상면으로부터 섀시(1)면에 대략 직교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오삽입 규제부(52)를 구비하고,
    오삽입 규제부(52)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카트리지(6)의 하면이 그리는 이행 궤적(M) 상에 위치하고, 또한 오삽입 규제부(52)의 선단부는 카트리지(6)가 홀더(3)에 삽입될 때에 위치 결정 절결부(61)의 개구(62) 상단부 모서리가 그리는 이행 궤적(L)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수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오삽입 규제부(52)는 안내부(51)와 일체로 형성된 라운드축 또는 방호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수납 장치.
KR1020027014438A 2000-04-28 2001-04-23 카트리지 수납 장치 KR100652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29222 2000-04-28
JP2000129222A JP3668098B2 (ja) 2000-04-28 2000-04-28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JPJP-P-2000-00274276 2000-09-11
JP2000274276A JP3605016B2 (ja) 2000-09-11 2000-09-11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PCT/JP2001/003489 WO2001084548A1 (fr) 2000-04-28 2001-04-23 Dispositif de stockage de cartou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55A true KR20030009455A (ko) 2003-01-29
KR100652079B1 KR100652079B1 (ko) 2006-11-30

Family

ID=2659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438A KR100652079B1 (ko) 2000-04-28 2001-04-23 카트리지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29774B2 (ko)
EP (1) EP1291863A4 (ko)
KR (1) KR100652079B1 (ko)
CN (1) CN1168086C (ko)
WO (1) WO2001084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37B1 (ko) 2003-07-22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장치
KR100517505B1 (ko) * 2003-07-22 2005-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 장치
DE602004027258D1 (de) * 2003-07-28 2010-07-01 Sony Corp Datenträgerkassette und datenträger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einrichtung
CN100573700C (zh) * 2003-07-28 2009-12-23 索尼株式会社 盘盒及盘记录和/或再生装置
JP4748038B2 (ja) * 2006-11-24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CN110415736A (zh) * 2019-08-30 2019-11-05 北京星震同源数字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机架式离线光盘管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38Y2 (ja) * 1989-04-21 1994-02-02 ティアツク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H05225743A (ja) * 1991-12-19 1993-09-03 Sony Corp 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JP3198583B2 (ja) * 1992-02-10 2001-08-1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
JP3425337B2 (ja) * 1997-10-03 2003-07-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100491575B1 (ko) * 1998-06-24 2005-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29774B2 (en) 2004-12-07
US20030103436A1 (en) 2003-06-05
KR100652079B1 (ko) 2006-11-30
EP1291863A4 (en) 2005-02-02
CN1426580A (zh) 2003-06-25
WO2001084548A1 (fr) 2001-11-08
EP1291863A1 (en) 2003-03-12
CN1168086C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693A (en) Disc cartridge having a shutter
WO1987003414A1 (en) Disk cartridge having shutter and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US5063554A (en) Magneto-optic disk unit having means for preventing erroneous insertion of disk cartridge
US5088085A (en) Magneto-optic disk unit having means for preventing erroneous insertion of disk cartridge
US6268977B1 (en) Disk cartridge loading apparatus and disk storage apparatus including such disk cartridge loading apparatus
KR100652079B1 (ko) 카트리지 수납 장치
US6603725B2 (en) Disk cartridge apparatus
JP4055209B2 (ja) 磁気ヘッド装置及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WO1997022970A1 (fr) Cartouche et lecteur pour disques magnetiques
US6874157B2 (en) Disk case
JP3605016B2 (ja)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JP3469823B2 (ja) ディスクを収納したカートリッジ及び該ディスクへの信号記録又は再生装置
JP2001338485A (ja) ホルダの取付構造
JP4457287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ホルダ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668098B2 (ja)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US6829773B1 (en) Device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signal on or from disk with a releasing mechanism
JPH09198834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JP3051286B2 (ja)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誤挿入防止機構
RU2037889C1 (ru) Дисковая кассета и затвор для нее
JP395698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95698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454798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S6370978A (ja) 情報記憶媒体用カ−トリツジ
JPS6386173A (ja) 情報記憶媒体用カ−トリツジ
JP2005050426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