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568A -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568A
KR20030007568A KR1020027014692A KR20027014692A KR20030007568A KR 20030007568 A KR20030007568 A KR 20030007568A KR 1020027014692 A KR1020027014692 A KR 1020027014692A KR 20027014692 A KR20027014692 A KR 20027014692A KR 20030007568 A KR20030007568 A KR 2003000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ized bed
drying
compartment
drying chamber
granula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이나리미치
다케히코 이토
와타나베다카시
우노사와카즈오미
오오이시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프레운드인더스트리얼컴파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운드인더스트리얼컴파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프레운드인더스트리얼컴파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0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using fluidised-bed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06Coating of the granules without description of the process or the device by which the granules are ob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6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suspending the powder material in a gas, e.g. in fluidised beds or as a falling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8/00Coating apparatus
    • Y10S118/05Fluidized 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lanulat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분립체를 유동층 조립코팅하는 조립구획(10a) 하방에, 조립된 분립체를 건조시키는 건조구획(20a)을, 건조구획(20a)의 하방에 건조 불충분한 분립체를 건조시키는 건조구획(30a)을 설치하고, 건조구획(30a)의 하방에 건조 후의 제품을 배출하는 제품배출구획(40a)을 설치한다.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급기하고,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서 조립, 건조를 연속적으로 행하며, 더불어 조립구획으로부터 직하의 건조구획으로 이행하는 분립체를 풍력분급한다.

Description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Fluidized Bed Granulting Coating Device And Fluidized Bed Granulation Coating Method}
유동층 장치는 의약품, 식품 등의 조립 코팅, 건조를 단일한 장치로 수항하는 것이 가능하고, 밀폐구조이기 때문에 GMP에도 적당한 장치로서,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립물은 비교적 다공질의 부정형이고, 용해성이 양호한 입자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유동층 장치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예를 들면 「조립핸드북」 일본분체공업기술협회편, 옴사간행, p283∼348 참조) 조업방식으로서는 회분식과 연속식(반연속식과 연속식을 포함한다)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현재, 의약품 등의 조립에는 대부분의 경우 회분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회분식 쪽이 입자경이 균일한 조립물을 얻기에 적당하며, 충분한 건조품이 단일한 장치내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생성입자를 다른 건조장치로 이송할 필요가 없고, GMP상 우수하기 때문에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면 「조립 핸드북」p301, 도 7·56 및 동 p302, 도 7·57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연속식에서는 원료를 연속투입하고, 풍사(風篩) 등의 원리로 분급된 조립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한다. 이로 인해 원료의 투입, 예비혼합, 가열, 냉각, 배출 등의 주공정 전후의 독립한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처리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이론상으로는 정상적인 조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의 제어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연속식의 유동층 중에는 조립의 전단계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 이것을 풍사로 분급하여 배출하나, 분급효과의 완전을 기대하기 어렵고, 배출되는 제품의 입도분포가 넓게 되며, 항상 바인더 액을 분무하고 있는 유동실로부터 조립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완전히 건조된 제품이 얻어지기 어렵다는 결점을 가진다.
이들 결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제안도 있다. 예를 들면, 특개소 62-28262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조립실에 인접하여 건조실을 부설하는 것이나, 건조의 효과는 있어도, 입도분포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립 핸드북」p303, 도 7·59 및 도 7·61은 사분기(篩分機)를 설치하여 입도를 균일하게 하고 있으나, 이들은 시스템으로서의 제안에서, 장치 그 자체의 개선으로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연속식에서 제품입도의 불균일성은 숙명적인 것으로 남아있었다.
또한 반연속식의 경우 회분식의 장치에 있어서, 순차적인 투입, 배출이 행해지도록 한 것이나, 그 성격은 회분식과 연속식의 중간에 위치하고, 투입, 배출량과 처리량(체류량)의 관계에서, 그 어느쪽인가에 유사한 방식으로 된다. 따라서, 그잇점, 결점에서도 양자의 중간이다.
이러한 연속식의 결점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의약품의 조립, 코팅 등에는 회분식의 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나, 그 장치는 생산규모의 확대에 수반하여 유동층 장치를 스케일업 하는 때에 문제점을 가진다.
즉, 장치를 대형화하면, 1배치의 소요시간이 소형기에 비하여 길게 되어, 단위시간당 생산능력이 투입량에 비례하지 않고, 이것을 하회하게 된다. 이것은 투입량이 장치 길이의 3승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것에 비하여, 최적의 유동상태를 가지기 위한 유동공기량은 장치 길이의 2승(단면적)에 비례하고, 내용물의 건조속도는 유동공기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건조의 소요시간은 장치 길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대형의 장치에서는 조립된 입자의 체적밀도가 크게 되어, 상기한 유동층 조립물의 특징이 감쇄된다. 이것은 유동중에도 입자가 끊어지지 않고 저부로 낙하하는 운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퇴적하는 때에 입자에 걸리는 중량이 소형기보다 크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조업면에서도, 장치가 대형화하면 할수록 양호한 유동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채널링, 버블링, 슬러깅 등의 불량 유동상태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렇게, 유동층 상태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대형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규모를 확대하는 때에는 사용실적이 있는 소형장치를 병렬설치하여 동일한 조립처리를 복수의 장치로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장치의 설치 밑면적 및 작업인원당 생산효율이 생산규모의 확대에 수반하여 향상되지 않고, 대량생산의 장점을 누릴 수 없으며, 장치간의 조업조건의 흩어짐으로 인해 조립물의 품질의 불균일성이 문제가 될 염려가 있다. 유동층에서는 다른 조립방식에 비교하여 조업조건의 수가 많고, 흩어짐의 영향이 다른 방식보다 발현하기 쉬운 사정도 있다.
여기에서, 회분식 장치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면적당 생산능력을 향상시키는 연속식의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생각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에 있어서, 유동층 조립 코팅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공정에 기한 처리를 상하방향으로 회분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회분식으로 구성된 각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에 있어서, 유동층 조립 코팅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공정에 기한 처리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립체를 유동상태로 하여 분립체의 조립, 코팅, 혼합, 교반 또는 건조 등의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조립 코팅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B), (C)는 각각 분리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분립체 이행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조립구획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건조구획에 회전식 건조실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유동조립 코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건조구획에 회전식 건조실을 설치한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분리 철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9(A)는 회전건조실의 회전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이고, (B)는 평단면도이다.
도 10(A)는 송풍챔버 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나눈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B)는 (A)의 송풍챔버 상에 복수의 건조실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설명도이다.
도 11은 회전건조실의 각 건조실 바닥을 생략한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는 통방향을 상하로 배치하고, 상방으로 배기구, 하방으로 급기구를 설치한 통상의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통 내를 상하로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급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향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통과시키는 분리수단, 및 구획 간에 위로부터 아래로 분립체가 중력낙하하여 통과하는 분립체 통과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구획 중 1 또는 2 이상의구획에는 스프레이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구획 중의 하방의 구획에는 제품배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최상 구획에 설치되고, 상기 제품배출 수단을 최하 구획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은, 예를 들면 상기 분리수단에 개구된 분립체 통과구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분립체 통과구에는, 예를 들면 개폐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구획 중 1 또는 2 이상의 구획에는, 예를 들면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 이외의 보조기체를 구획 내로 급기하는 보조기체 급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구획 중, 최상구획과 최하구획의 사이에는 건조구획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구획은 분립체 수입구와 분립체 배출구가 설치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건조실, 복수의 상기 건조실을, 상기 건조실을 직상구획과 분리하는 분리수단으로 설치한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 측에 상기 분립체 수입구를 이동시키고, 상기 건조실을 직하구획과 분리하는 분리수단으로 설치한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 측에, 상기 분립체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건조실 구동수단, 및 상기 건조실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상기 건조실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공급하는 송풍챔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상기 건조실은 상기 건조실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회전축에 대해서 방사위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챔버는 챔버 내가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에는 각각 별도로 유량이 다른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실의 분립체 배출구는 상기 송풍 챔버 내를 관통하고,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급기되지 않는 분립체 통과로를 통하여 상기 제품배출 구획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은 유동층 상태에서 분립체를 처리하는 분립체 처리공정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구획하고, 인접구획 간에는 직하구획에서의 처리가 종료한 분립체를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풍력분급하여 하방구획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립체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통과시키면서, 상기 분립체의 조립 및/또는 코팅, 건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의 복수의 구획 중, 최상 구획에서 조립 및/또는 코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 및/또는 코팅 처리가 행해진 분립체를 상기 최상구획 이외의 1 또는 2 이상의 구획에서 건조를 행하여도 좋다. 상기 최상구획 이외의 어느 구획에서 코팅을 행하여도 좋다.
상기 분립체의 조립 및/또는 코팅으로부터 제품배출까지를 연속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분립체의 조립 및/또는 코팅으로부터, 제품배출까지를, 예를 들면, 상방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상기 분립체의 하방으로 이행을 차단하여 간헐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구획 중 1 또는 2 이상의 구획 내에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 이외의 보조기체를 급기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원에 개시된 상기 구성의 발명에 대해서, 그 개요를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방향을 상하로 배치한 통상의 장치본체는 그 통 내가 분리수단으로 상하로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구획은 예를 들면, 최상 구획을 스프레이 노즐을 구비한 구획으로 하고, 최하구획을 제품배출 수단을 구비한 구획으로 하며, 분리수단은 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본체의 상방의 배기구로부터 흡인하는 것에 의해 장치본체의 하방으로 설치한 급기구로부터,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장치본체의 통 내로 도입된다. 도입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복수의 구획 내를 분리수단을 통과하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한다.
예를 들면,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는 최상구획에서 공급된 분립체를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유동층 상태로 하면서 조립한다. 조립한 분립체는 분립체 통과수단에 의해 하방의 구획으로 이송되고, 하방의 구획에서 코팅, 건조 등의 필요에 따른 분립체 처리를 행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제품은 최종적으로 최하 구획의 제품배출 구획으로 이동되어 제품으로서 배출된다.
최상 구획에서 조립된 분립체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이용하여 자중에 의해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저항하여, 예를 들면 분리수단으로 개구한 분립체 통과구 등의 분립체 통과수단을 통하여 하방 구획으로 통과한다. 즉, 분립체 통과수단을 자중에 의해 중력낙하하는 분립체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풍력분급되도록 된다.
이로 인해, 풍력분급장치를 조립 코팅장치의 옆에 배치하는 구성과는 달리, 분립체를 풍력분급장치로 수송하는 분립체 수송기구가 필요없어 장치구성을 간단히할 수 있고, 더불어 설치면적의 축소도 꾀하여 진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는 상하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통과하기 때문에 조립 후의 습윤한 상태의 분립체의 건조는 분립체의 유동층 조립 코팅을 행하기 전의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본래의 분립체의 유동층 조립 코팅의 외에 풍력분급, 건조에도 이용하게 되고, 풍력분급, 건조 등으로 구분하도록 급기하는 구성에 비교해서, 각단의 장치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유동층 형성용 기체로는 별도로 보조기체를 급기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장치본체의 1 또는 2 이상의 구획에 보조기체 급기구를 설치하여 이것으로부터 보조기체를 급기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풍력분급, 유동상태의 콘트롤, 결로에 의해 분립체의 장치 내 벽면으로의 부착방지 등의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상방의 구획에는 습윤한 무거운 입자가, 그 하방의 구획에는 건조한 가벼운 입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동시에 양호한 유동상태로 보유하기 위해서는 상방의 구획의 유동기체 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보조기체의 도입이 바람직하다.
분립체 통과수단으로서의 분립체 통과구는, 예를 들면 장치본체의 통 내주면을 따라서 링 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분립체 통과구에 슬라이드 게이트 및 하중 튜브 등으로 구성된 개폐 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렇게 개폐가능하게 구성하면 각 구획의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분립체 통과로를 열고, 그 구획에분립체를 이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개폐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분립체 통과구를 상시 분립체가 통과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와는 달리, 위 구획에서의 처리 중에 미건조 분립체가 하 구획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구획의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유동을 정지하고, 먼저 최하구획의 제품을 배출하고 다음으로 그 위 구획의 분자를 최하구획으로 낙하시켜, 이렇게 하여 순차적으로 위의 구획의 입자를 다음의 구획으로 이송하는 것에 의해 소위 배치 연속처리가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조립만이 아니고, 분자의 코팅에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조립의 경우와 동일하게 최상 구획에서는 코팅을 행하면 좋다. 또한 조립한 후, 동일 장치의 밑의 구획에서 코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과 같이 최상 구획과 최하 구획의 사이에 설치된 건조구획을 건조실 구동수단에 의해 분립체 수입구를 직상구획과의 분리수단으로 설치한 분립체 통과수단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방의 구획에서 처리된 분립체가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을 통하여 복수의 건조실의 각각으로 공급된다.
건조실의 하방에는 송풍 챔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건조실 내로 공급된 분립체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유동층 상태로 되어, 건조된다. 건조 시에 분립체는 각 건조실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작은 배당량 상태로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건조실에서의 유동층 상태에 의한 건조가 충분히 행하진다.
또한 각 건조실에 들어가 있는 분립체는 각 건조실이 건조실 구동 수단에 의해 건조실의 분립체 배출구가 직하 구획과의 분리수단으로 설치된 분립체 통과수단 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건조실에서 건조된 분립체는 분립체 배출구, 분립체 통과수단을 통하여 하방 구획으로 배출된다.
분립체 수입구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실의 상방을 상시 개구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분립체 배출구는, 예를 들면, 건조실의 저면 측에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통과가능한 철망을 개폐가능한 뚜껑으로 하여 설치한 개구부로 구성하여도 좋다.
건조실의 직상 구획이 유동층 조립 코팅구획에서 최하 구획이 제품배출구획이면, 직상구획에서 조립, 또는 코팅, 또는 조립과 코팅의 쌍방 처리가 된 분립체는 건조구획의 복수의 건조실에서 건조되어 그 후 최하 구획으로부터 제품으로서 배출된다.
또한 건조실을 복수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개개의 건조실에 공급된 분립체는 그 건조실의 분립체 배출구가 건조실 구동수단에 의해 직하의 분립체 통과수단 측에 위치를 맞추기까지는 그 건조실에 체류하게 된다. 즉, 분립체 수입구로부터 공급된 분립체는 건조실에 체류하고 있는 동안은 작은 할당량으로 된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통과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유동층 상태에서 건조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건조된다.
종래 하나의 건조실에서 충분한 건조를 행하는 경우에 건조실의 제품배출을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건조처리만을 배치식으로 행하는 것이 고려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건조처리를 배치처리하고 있는 사이는 건조실로의 분립체 공급, 건조실로부터 배출된 제품의 수부(受付) 등을 행하지 않고, 분립체의 건조구획의 전후 처리를 일시적으로라도 중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과 같이 복수의 건조실을 순차 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분립체가 건조실로 공급되어 있는 때에 다른 건조실에서는 분립체의 건조가 행하여지고, 아울러 또 다른 건조실에서는 건조된 분립체가 분립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소위 연속식으로 건조처리가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한편 분립체가 공급되어 배출되기까지의 사이는 분립체의 건조처리가 회분식으로 행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연속식과 회분식의 쌍방의 장점을 병유하여 분립체의 입수, 건조, 배출을 연속적으로, 또한 분립체를 회분식으로 충분히 건조하는 것을 병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분립체를 공급하고, 하방으로부터 조립, 건조된 분립체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양산을 꾀하는 경우에도 스케일 업을 할 필요가 없고, 스케일 업 시 품질보증 등의 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태양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A)는 직통(直筒)상의 대경통부(大徑筒部:B)와 소경통부(小徑筒部:C)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수직한 통상으로, 즉 직통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본체(A)의 통내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구획 10, 20, 30, 40의 순으로 분리 수단 11, 21, 3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다.
분리수단(11)에 의해 대경통부(B)와 소경통부(C)가 구획되고, 소경통부(C) 내가 분리 수단(21, 31)에 의해 각각 구획 20, 30, 40으로 구획되어 있다.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유동층 조립 코팅 프로세스의 각 공정기능을 가지는 구획 10, 20, 30, 40이 각각 순차적으로 상하로 연속된 직통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획 10에는 스프레이 노즐(12)이 설치되어, 유동층 조립 프로세스의 조립기능을 가지는 조립 구획 10a(10)로 구성되어 있다. 조립구획 10a는 대경통부(B)로 형성되고, 대경통부(B)는 상단이 닫혀진 직통부(13a)와 직통부(13a)의 하방에 연속하여 설치된 밑으로 좁아지는 하방통부(13b)로 이루어지는 통체(13)로 구성되어 있다. 직통부(13a), 하방통부(13b)의 측면에는 관찰창(14a, 14b)이 설치되어 조립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직통부(13a)의 상방 측면에는 통 내로부터 외부로 연통하는 배기관(15)가 배기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직통부(13a)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백 필터(16)가 설치되고, 백 필터(16)의 상방에는 백 필터의 눈막힘 해소용 펄스 젯트용 노즐(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 필터의 눈막힘 해소수단으로서는 쉐이킹 수단이 채용되어도 좋다.
대경통부(B)와 소경통부(C)의 경계에 상당하는 하방통부(13b)의 하방개구부(13c) 측에는 소정 메쉬의 철망을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한 분리 철망(11a)이 분리 수단(11)로서 설치되어 있다. 칸만이 수단(11)에는 분립체 통과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분리 철망(11a)의 대경부(11b)를 하방개구부(13c)의 내주경(內周徑)보다 적게 형성하여 분리 철망(11a)을 대경부(11b)과 하방 개구부(13c)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설치하고, 분리 철망(11a)의 주위에 링상의 슬릿트(18a)를 형성하여 분립체 통과수단으로서 분립체 통과구(18)로 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분리 수단(11)에 의해 대경통부(B)와 구분된 소경통부(C)는 분리 수단(21, 31)에 의해 순차적으로 건조구획 20a, 건조구획 30a(쇼트패스 방지 구획) 제품배출구획(40a)으로 구획되어 있다.
건조구획 20a(20)은 상방이 분리 수단(11)을 통하여 조립구획(10a)의 직하로 구획되고, 하방이 분리 수단(21)을 통하여 쇼트패스 방지 구획(30a)으로 구획된 대략 직통상의 통체(22)로 형성되어 있다.
통체(22)의 통내에는 통체(22)의 측벽을 통하여 원료공급관(19)이 외부로부터 통하여 있다. 원료공급관(19)의 선단에는 전술한 스프레이 노즐(12)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이 노즐(12)은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된 상기 분리 철망(11a)의 원추정부(圓錐頂部)로부터 조립구획(10a) 내로 나와 있다.
원료공급관(19)에는 원료공급 호퍼(19a)가 도중 연속되어 있다. 원료공급관 (19)의 관말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예를 들면, 바인더 등의 액체의 공급원에 접속되어 바인더와 분립체를 압송용 기체와 함께 스프레이 노즐(12)로부터 분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스프레이 노즐(12)을 3유체 노즐로 구성하여 두면 좋다.
건조구획 20a을 구성하는 통체(22) 내의 하방 개구부에는 조립구획(10a)의 하방통부 (13b)와 동일하게 소정 메쉬의 철망을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한 분리 철망(21a)이 분리 수단(21)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분리 철망(21a)의 대경부(21b)는 건조 구획 20a의 통체(22)의 내주경보다 소경으로 형성되고, 대경부(21b)와 통체(2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링상의 슬릿트(23a)로 구성된 분립체 통과구(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체(22)의 측면에는 관찰창(24)이 설치되어 건조상황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건조구획 20a의 하방에는 건조구획 30a으로 구성된 구획(30)이 설치되어 있다. 건조구획 30a(30)은 상방을 분리 수단(21a)에 의해 건조구획 20a로 구획하고, 하방이 분리 수단(31)에 의해 제품배출구획(40a(40))으로 구획한 대략 직통상의 통체(32)로 형성되어 있다. 건조구획 30a의 통체(32) 내에는 소정 메쉬의 철망을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한 분리 철망(31a)가 분리 수단(31)로서 설치되어 있다. 분리 철망(31a)의 대경부(31b)는 건조구획 30a을 구성하는 통체(32)의 내주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대경부(31b)의 주위에는 분립체 통과구(33)로서의 링상의 슬리트(33a)가 상기와 동일하게 되어 설치되어 있다. 분리 철망(31a)의 하방에는 대경부(31b)로 합쳐져서 급기챔버(34)가 설치되고, 급기 챔버(34) 내로부터는 통체(32)로의 급기수단으로서 급기관(35)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통체(32)의 측면에는 관찰창(36)이 설치되어, 건조구획 30a 내의 상태가 필요에 따라 확인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건조구획 30a를 설치하여 두는 것에 의해 건조구획 20a로부터 보내진 분립체를 다시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건조 스테이지(20a)에서의 건조처리가 불충반한 분립체가 건조구획(30)의 하방에 접속되는 구획(40)으로서의 제품배출구획(40a)에 직행(쇼트패스)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건조구획 30a는 쇼트패스 방지구획으로서의 기능을 완수하고 있다.
건조구획(30a)의 하방에 분리 수단(31)으로서 분리 철망(31a)에 의해 구획되는 기능구획(40)은 상기와 같이 건조가 종료된 분립체를 배출하는 제품배출 구획(4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배출 구획(40a)는 건조구획 30a의 통체(32)의 하방개구부에 연속적으로 연속되는 하관찰창의 통체(41)과, 통체(41)의 하방에 연속하는 제품배출수단으로서의 로터리 밸브(42)와, 로터리 밸브(42)에 연속하는 제품배출관(4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획 10, 20, 30, 40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풍력분급, 건조 및 부착방지 등에 이용하는 보조기체의 급기관을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본 실시의 태양에서는 상기 구성의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분립체의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본체(A)의 상방에 설치된 배기관(15)을 흡기원으로 접속하여 흡인하는 것에 의해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도 2 중의 실선 화살표로 표시)는 급기관(35)으로부터 급기챔버(34) 내에 도입된다.
급기챔버(34) 내에 들어간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철망(31a)의 망 눈을 통하여 건조구획(30a)의 통체(32) 내로 들어간다. 건조구획
(30a) 내로 들어간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또한 슬리트(23a), 분리 철망(21a)의 망 눈을 통하여 건조구획(20a)의 통체(22) 내로 들어간다. 건조구획 (20a) 내에 들어간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또한 슬릿트(18a), 분리 철망(11a)의 망 눈을 통하여 조립구획(10a) 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에서는 통상의 장치 본체(A)의 통내를 상하로 연속된 복수의 구획 30, 20, 10을 통하여 하방으로 부터 상방까지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통과되도록 한다. 조립구획(10a)에 들어간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배기관(15)을 통하여 흡인된 장치 외로 배기된다.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상기와 같이 각 구획 40, 30, 20, 10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하여 있는 상태에서 원료공급관(19)으로부터 원료의 분립체와 바인더를 조립구획(10A)내로 공급한다. 분립체와 바인더는 스프레이 노즐(12)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조립구획(10a)내로 분출된다.
분출된 분립체와 바인더는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통체(13) 내에서 유동층 상태로 되어 분립체 끼리가 바인더를 통하여 결착되어 소정중량의 입자로 조립된다. 조립된 분립체는 풍력분급수단에 의해 분급되어 밑의 기능구획에 도달한다. 상기 풍력분급수단은 본 발명에서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이용하여 상하의 구획으로 연통하는 슬릿트(18a)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립된 분립체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소정중량을 만족하지 않는 분립체는 날아올라가 조립에 사용되며, 소정 중량에 도달한 분립체는 자체 중량으로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상승풍력에 저항하여 중력낙하하여 분급된다.
소정 중량의 조립된 분립체는 상기와 같이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저항하여 낙하하여 조립구획(10a) 내에서는, 예를 들면, 분리 철망(11a) 상으로 낙하한다(도중, 조립에 의해 소정중량으로 도달한 분립체를 점선으로 표시한다). 분리 철망(11a)은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철망(11a) 상으로 낙하한 분립체는 분리 철망(11a)의 원추사면을 주변 가장자리 측으로 떨어지고, 슬릿트
(18a)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건조구획(20a) 내에 도달한다.
건조구획(20a) 내에서는 하방으로부터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상방으로 향하여 통과하여 가기 때문에 조립되어 습윤한 상태의 분립체는 이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낙하하면서 건조된다. 건조구획(20a) 내에서 건조되면서 낙하하는 분립체는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된 분리 철망(21a) 상으로 낙하하여, 분리 철망(21a)의 원추사면 상을 굴러 떨어져 슬릿트(23a)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건조구획(30a) 내에 도달한다.
건조구획(30a) 내에서도 하방으로부터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상방으로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구획(20a) 내에서 충분하게 건조되어 있지 않은 분립체는 이 건조구획(30a) 내에서 충분히 건조된다. 건조구획(30a) 내에서 건조되면서 낙하하는 분립체는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된 분리 철망(31a) 상에 낙하되고, 분리 철망(31a)의 원추사면 상을 돌아서 떨어져, 슬릿트(33a)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제품배출구획(40a) 내에 도달한다.
상하의 기능구획에 연통하는 슬릿트(18a, 23a, 33a)는 각각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상시 개구되어 있으면 상방의 구획으로부터 하방의 구획으로의 분립체의 낙하는 연속적으로 행해지거나, 또한 각 구획의 처리가 완전히 종료하기까지 닫혀 있고, 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 열리도록 하면 각 구획으로부터 하방의 구획으로의 분립체의 낙하를 간헐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에서 사용하는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상기와 같이 건조구획(30a)으로부터 건조구획(20a)을 통과하여 가기 때문에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건조도는 건조구획(30a) 내를 통과하는 때의 경우가 건조구획(20a) 내를 통과하는 경우보다도 높다. 이로 인해 건조구획(20a) 내에서 충분히 건조되어 있지 않은 분립체를 충분히 건조시키기에 좋다.
즉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의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에서 채용된, 하방으로부터 건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상방을 통하여 이것에 대항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건조구획(20a, 30a)를 내려가면서 건조시키는 방법은, 사용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건조도의 관점으로부터 건조효율이 좋은 방법이다. 또한 필요가 있으면 각 구획에 상기 설명의 보조기체를 도입하여도 좋다.
제품배출구획(40a) 내에 들어간 분립체는 기밀하게 구성된 로터리 밸브(42)를 통과하여 제품배출관(4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제품배출관(43)은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제품저장탱크 등에 배관접속되어 있으면, 자동적으로 제품저장이 행해진다.
건조구획(30a) 내에는 상기와 같이 건조구획(20a) 내에서 충분히 건조되어있지 않은 분립체가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 불충분한 분립체의 제품배출 구획(40a) 내로의 진행은 미연에 방지된다. 즉, 건조구획(30a)는 건조불충분한 분립체가 건조구획(20a)으로부터 제품배출 구획(40a) 내로 직행하는, 소위 쇼트패스를 방지하는 쇼트패스 방지 구획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의 태양에서는 분리 수단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분리 수단으로서, 소정 메쉬의 철망을 대략 원추상으로 형성한 분리 철망 11a, 21a, 31a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 이외의 구성의 분리 수단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한 것처럼 분리 철망(50: 도중, 점선표시)을 소정메쉬의 철망을 역원추상으로 형성하여 그 중앙에 조립한 분립체가 낙하하는 낙하구
(51)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이용한 풍력분급은 낙하구(51) 부분에서 행해진다.
도 3(B)에 도시한 경우에는 소정 메쉬의 철망을 평판상으로 형성한 분리 철망(52)(도중, 점선표시)을 조립한 분립체가 철망면을 돌아 떨어지는 정도의 경도를 만든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분리 철망(52)의 단부측에 슬릿트(52a, 52b)를 설치하여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이용한 풍력분급을 행하여도 좋다. 특히 도 3(B)에 도시한 경우에는 슬릿트(52a, 52b)가 설치된 위치는 상하에서는 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하의 슬릿트(52a, 52b)를 직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3(C)에 도시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분리 철망(11a)과 도 3(A)에서 설명한 분리 철망(50)의 병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조립 코팅 스테이지(10a)로부터 건조스테이지(20a)로 이동하는 때에 풍력분급은 슬릿트(18a)에서 상기 설명과 동일하게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행해진다.
실시예 4
본 실시의 태양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구성과는 달리 풍력분급을 행하는 분립체 통과구를 슬릿트로 구성하지 않고, 상하로 접속하는 기능 구획간을 연결하는 분립체 이행로(53)에서 연결하고, 이 분립체 이행로(53) 내에 들어가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로 풍력분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분리 철망(11a, 21a)의 대경부(11b, 21b)는 통체(22, 32) 각각의 내주면에 각극을 설치하지 않고 접속되어 있다. 대경부(11b, 21b)와 통체(22, 32)와의 접속부에서는 통체(22, 32)의 외측으로 향하여 개구되고, 이 개구로부터 하방의 기능 스테이지 내에 역통하는 분립체 이행로(53)가 설치되어 있다. 분립체 이행로(53)의 하방개구부 근방에 하중핀(미도시)을 설치하여 분립체 이행로(53)측에 들어간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유량조절을 행하여 풍력분급의 조절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에서는 3유체 노즐의 스프레이 노즐(12)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스프레이 노즐(12)의 상방 백필터(16)의 하방위치에 가습용의 2유체 노즐 등의 스프레이 노즐(54)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설명에서는 건조구획을 상하로 2개 연속적으로 구획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충분한 건조가 행해지지 않으면, 건조구획을 1구획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하방의 제품배출 구획과 그 상방의 건조구획을 분리하는 분리 철망을 가동식으로 구성하여 두고, 정기적으로 가동식의 분리 철망을 움직여서 분립체의 이동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분립체 통과구로서 구성한 슬릿트 등을 상시 개구하여 둔 경우에 비교해서 쇼트 패스의 억제에 효과적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최상 구획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각 구획을 순서대로 조립구획, 건조구획, 건조구획(쇼트패스 방지구획), 제품배출 구획의 순으로 유동층 조립 코팅 프로세스를 종방향으로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이 이외에도 예를 들면 조립구획, 건조구획, 코팅구획, 건조구획, 제품배출구획의 순으로, 또는 조립코팅구획, 건조구획, 제품배출구획의 순으로, 또는 조립 1공정 구획, 조립 2공정 구획, 건조구획, 제품배출구획의 순으로, 조립구획(코팅, 건조구획), 제품배출 구획 등의 다양한 조합 공정 순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추가로, 상기 각종의 조합 구성에 있어, 실제장치의 운전의 경우에는 제품에 따라 불필요한 공정 기능을 가지는 구획의 기능을 정지시켜 그 구획을 간단히 통과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분급을 슬리트(18a)에서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이용하여 행하는 풍력분급수단으로 하지만, 가능한 경우에는 그 외의 분급수단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스프레이 노즐을 최상 구획에 설치한 경우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복수의 스프레이 노즐을, 상하 구획의 복수의 구획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예를 들어, 윗 방향의 스프레이 노즐에서 원료와 바인더를 공급하여 조립하고, 아래 방향의 스프레이 노즐에서 코팅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팅액 마다에 상이한 구획에 스프레이 노즐을 각각 설치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5
본 실시의 태양에서는, 상기 실시의 태양 1 내지 4에서 설명한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의 소경 통부(C)를 구성하는 건조구획을 회분식과 연속식을 병유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도 6은 본 실시태양의 유동층 조립 코팅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유동층 조립 코팅액 장치의 건조 구획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D)는 직통상의 대경 통부(B)와 소경통부(C)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의 통상에, 즉 직통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D)의 통 안은 상하방향에 복수의 구획 100, 200, 300의 순으로 구획되어 있다.
대경 통부(B)와 소경통부(C), 다시말해, 대경통부(B)를 구성하는 구획(100) 과 소경통부(C)의 상방구획에 상당한 구획(200)은 소정 메쉬의 분리철망(110a)으로 구성된 분리 수단(11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구획 100은 구획내에 스프레이 노즐(120)이 설치되어, 유동층 조립 프로세스의 조립 기능을 가지는 조립 구획(100a)로 구성되어 있다. 조립구획 100a(100)은 대경 통부(B)로 형성되고, 대경통부(B)는 상단이 닫혀진 직통부(130a)와 직통부
(130a)의 하방에 연속하여 설치된 밑으로 좁아지는 하방통부(130b)로 이루어진 통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직통부(130a)의 측면에는, 관찰창(140)이 설치되어, 조립상황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직통부(130a)의 상방 측면에는 통 안으로부터 외부로 연통한 배기관(150)이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배기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추가로, 직통부(130a) 안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필터(160)가 설치되어, 백필터(160)의 윗 쪽에는 백필터(160)의 눈막힘 해소용인, 펄스 젯트용 노즐(17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필터(160)의 눈막힘 해소수단으로서는, 쉐이킹 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의 대경 통부(B)의 구획(100)과 소경 통부(C)의 구획(200)을 분리한 분리 철망(110a)는 소정 메쉬의 철망으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철망면(110b)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립체 통과수단(180)으로서, 대약 삼각형상으로 형성한 절결부(切缺部:180a)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 철망(110a)은 그 절결부(180a)의 저변 상당부(110c)가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철망면(110b)의 경사면 최하위치에, 즉, 아래쪽 통부(130b)와 소경 통부(C)의 접합위치에 오도록 설치되어, 철망면(110b) 전체가 경사지도록 아래쪽 통부(130b)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립 구획(110a) 내에서 소정 중량으로 조립된 분립체는 분리 철망(110a)을 통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에 통하도록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철망면(110b) 상으로 낙하하고, 철망면(110b) 상을 굴러 절결부(180a)로부터 아래쪽의 건조구획(200a) 내로 떨어지게 된다.
하방 통부(130b)의 통 내부에는 그 측벽을 통하여, 원료 공급관(190)이 외부로부터 통해져 있다. 원료공급관(190)의 선단에는 전술한 스프레이 노즐(120)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이 노즐(120)은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분리 철망(110a)의 철망면(110b)의 중심위치로부터 조립 구획(110a) 내로 돌출되어 있다.
원료 공급관(190)에는, 원료 공급 호퍼(190a)가 도중 접속되어 있다. 원료 공급관(190)의 관단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바인더 등의 액체 공급원에 접속하여, 바인다와 분립체를 압송용 기체와 함께, 스프레이노즐(120)로부터 관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우에는, 스프레이 노즐(120)을 3 줄기의 흐름 노즐로 구성해두어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 철망(110a)에 의해, 대경 통부(B)와 분리된 소경통부(C)는 위 쪽으로부터 차례로 건조 구획(200a), 제품 배출구획(300a)으로 구획되어 있다. 건조 구획(200a(200))는, 위쪽이 분리 철망(110a)을 통하여 조립구획 (100a)의 직접 아래에 구획된 회전 건조실(210)과, 회전 건조실(210)의 아래에 설치된 송풍 챔버(220)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건조실(210)은, 도 7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구획 (100a)를 구성하는 아래쪽 통부(130b)에 접속하는 통체(230) 안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격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경우에는, 회전 건조실(210)은 투명부재로 형성된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211)에 둘러싸여진 원통 공간내에, 복수의 건조용 공간을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원통 공간내의 중심 위치에 설치된 회전축 커버(212)로부터 방사상으로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211)을 향해 격벽(213)이 설치되어, 복수의 건조실(214)이 회전 건조실(210)의 중심위치, 다시말해, 회전축 카바 (212)에 대해 방사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건조실(214)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기, 형상 등이 동등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건조실(214)의 상방의 분립체 수입구는 개구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건조실(214)의 저면측의 분립체 배출구로 된 개구부에는 각각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통과시키나, 건조실(214) 내에 수용된 분립체는 통과하지 않는 소정 메쉬의 분리 철망(215a)이, 아래쪽의 구획과 건조실(214)를 분리한 분리 수단(214)으로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분리 철망(215a)의 개폐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분리 철망(215a)을 지지하는 테두리부(216)를 회전축으로 구성해 두고, 테두리부(216)에 설치된 분리 철망(215a)이 날개 등의 부세(付勢) 수단으로 테두리부(216)을 축으로 회전하게 하여, 건조실(214)의 저면 개구부를 닫힘상태로 한다.
한편, 테두리부(216)에 대향한 테두리부(217)과, 분리 철망(215a)의 테두리부(217)에 닫힌 상태로 접촉한 접촉부(215b) 측에 각각 전자석(미도시)을 설치하여두고, 개구시에 양(兩) 전자석에 전류를 통함에 의해 테두리부(217), 접촉부(215b)에 각각 설치된 전자석이 서로 반발하여, 용수철에 의해 부세에 저항하여 분리 철망(215a)가 열리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개폐 기구는, 어디까지나 한 예로서, 상기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분진폭발의 원인이 되는 불꽃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개폐 가능한 알려진 기구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추가로, 상기 구성의 회전 건조실(210)을 회전가능하도록 격납하는 통체 (230)의 측면에는 관찰창(231)이 설치되어, 회전건조실(210)을 구성하는 각 건조실 (214)내에 있어 분립체의 건조상태가, 투명부재로 형성된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 (211)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건조실(210)의 아래쪽에 설치된 송풍 챔버(2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221)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풍 챔버 (220)는 아래쪽 측이 개구되어, 회전건조실(210)을 내포한 통체(230)의 아래쪽으로 접속되어 있다.
송풍 챔버(220)의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221)에는 급기관(222)이 설치되어 급기관(222)을 통하여 챔버내로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챔버 내에는 그 중심 위치에 회전축 커버(223)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커버(223)로부터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221)를 향해 방사상으로 격벽 (224)가 설치되어, 격벽(224)에 의해 격리되고,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공급되지 않는 분립체 통과로(225)는 챔버 안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분립체 통과로(225)는 그 통과로(225)의 위 쪽 개구부가, 분리 철망(110a)의 절결부(180a)의 개구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따라, 분립체 통과로(225)의 설치위치, 절결부(180a)의 설치위치의 순으로 위치설정이 되어, 절결부(180a)로부터 미건조의 분립체가 분립체 통과로(225)로 직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분립체 통과로(225)는, 위쪽 개구부의 형상이, 회전 건조실(210)을 구성하는 복수의 건조실(214)의 저면측의 개구부에 합쳐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로 인해, 건조실(214)의 저면측의 분리 철망(215a)을 연 형상으로, 건조실(214)로부터 분립체를 확실하게 분립체 통과로(225) 안으로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립체 통과로(225)의 위쪽 개구형상은 상기 구성에 한정할 필요가 없다. 건조실 (214) 내의 분립체를 단시간으로 확실히 분립체 통과로(225) 안으로 낙하시키는 형상이라면 상기 구성이외의 형상이어도 상관 없다.
송풍 챔버(220)의 챔버 내 아래쪽은 상기 분립체 통과로(225) 부분 이외는 모두 막혀, 챔버 내로 공급한 유동층 형상용기체가, 위쪽으로 향해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립체 통과로(225)의 아래쪽은 개구 상태로 형성되어 제품 배출구획 (300a)를 구성하는 통체(310)에 연통되어 있다. 통체(310)의 아래쪽에는 통체(310)에 연통한 제품 배출수단으로서의 로터리 밸브(320)와, 로터리 밸브(320)에 연통한 제품 배출구(3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장치본체(D)의 아래쪽에 설치된 송풍 챔버(220)의 급기관(222)을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급기원에접속하고, 상방에 설치한 조립구획(100)의 배기관(150)을 흡기원으로 접속하여 흡인함에 의해 건조한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급기관(222)으로부터 송풍 챔버(220) 안으로 도입한다.
송풍 챔버(220) 내로 들어간 유동층 형성용기체는 챔버 안을 위쪽으로 빼고, 건조 구획(200a) 내로 도입된다. 즉,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통체(230) 안을 회전하는 회전건조실(210)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의 건조실(214)의 저면에 설치된 분리 철망(215a)를 통하여, 각 건조실(214) 내를 위쪽으로 향해 통과한다. 각 건조실 (214)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통과한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건조구획 (200a)의 위쪽에 설치한 조립 구획(100a)안으로 도입된다. 조립 구획(100a) 안에 도입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배기관(150)을 통해 흡인되어 장치 밖으로 배기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하여, 유동층 형성용 기체는 장치본체(D)의 통안을 상하로 분리된 복수의 구획(200, 100)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하도록 된다.
또한,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상기와 같이 건조구획 (200a(200)), 조립 구획 (100a(100))을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통과하고 있는 상태로, 원료공급관(190)을 통하여, 원료의 분립체와 바인더를, 조립구획(100a) 안으로 공급한다. 조립체와 바인다는 스프레이 노즐(120)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조립구획(100a) 내로 분출된다.
분출된 조립체와 바인더는,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통체(130) 내로 유동층상태로 되고, 분립체들이 바인더를 매개로 결착된 소정 중량의 입자로 조립된다. 조립된 분립체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풍력 분급된다. 다시말해, 소정 중량에 차지 않은 분립체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날아 올라 조립에 사용되고, 소정 중량에 달한 분립체는 자동으로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상승풍력에 대항하여 중력낙하하여 분급된다.
소정 중량으로 조립된 분립체는, 상기와 같이,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낙하하여, 조립구획(100a) 내부에는, 예를 들어, 분리 철망(110a) 상으로 낙하한다. 분리철망(110a)은 철망면(110b)가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철망(110a) 위로 낙하한 분립체는 분리철망(110a)의 철망면(110b)을 굴러 떨어지고, 절결부(180a)로부터 건조구획(200a) 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 건조실(210)의 건조실(214) 안으로 운송된다.
회전건조실(210)의 복수개의 건조실 214는, 건조실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카바 (212)와 함께 회전된다. 예를 들어, 모터는 송풍 챔버(22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회전축을 송풍 챔버(220) 안의 회전축 카바(223), 회전건조실(210)의 회전축 카바(212)를 통하여, 회전축에 회전에 의해 회전축 커버(212)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모터에는, 소정 회전각도로 회전한 시점에서 소정 시간 정지, 다시, 소정의 회전각도의 회전을 한 것을 반복한 스테핑 제어가능한 모터를 사용해도 좋다.
이어서, 조립 구획(100a)으로부터 건조실(214)로의 조립체의 공급, 건조실 (214)에 있어 분립체의 건조, 건조한 분립체의 건조실(214)로부터 제품 배출구획 (300a)으로의 배출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복수개의 건조실(214)을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214a, 214b, 214c, 214d, 214e, 214f, 214g, 214h로부호를 붙여 나타내었다.
회전 건조실(210)의 건조실 214a(214)은 분리 철망(110a)의 절결부(180a)의 직하위치(이하, 간단히, 상기 위치를 분립체 공급위치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에, 그 위쪽 개구부가 위치가 맞도록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로, 조립 분획(100a) 안으로 유동층 상태로 소정 중량으로 조립된 분립체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상승풍력에 대항해 분리 철망(110a) 위로 낙하한다. 낙하한 분립체는 철망면(110b) 상에서 구르고, 절결부(180a)로부터 그 직하에 위치한, 다시말해 분립체 공급위치에 정지해 있는 건조실 214a 안으로 낙하한다.
소정 시간 정지 후, 회전 건조실(210)은 원스텝 회전하여, 회전방향을 따라가 접촉하고 있는 건조실 214b가 정지해 있는 위치까지 건조실 214a는 회전한다. 회전 건조실(210)은 상기와 같이 원스텝 회전함에 의해, 다른 건조실 214b, 214c, 214d, 214e, 214f, 214g, 214h가 인접 위치에 회전한 것은 물론이다.
미건조의 분립체가 공급된 건조실 214a는 상기와 같이 원스텝 회전함에 의해 건조실 214a의 후방에 인접한 건조실 214h(214)가, 분리 철망(110a)의 절결부 (180a) 직하로, 다시말해, 분립체 공급위치에 위치 맞추기를 시키고, 소정 시간 정지한다. 정지 중에, 조립구획(100a)으로 소정 중량에 조립된 미건조의 분립체는 건조실 214h 내로 공급된다.
한편, 건조실 214h 안으로 분립체가 상기 요령으로 공급되어 있는 동안, 미건조의 분립체를 수용한 건조실 214a는, 분립체 공급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정지되어 있고, 건조실 214a 안에서는 미건조의 분립체가 저면의 분리 철망 215a 통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통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유동층 상태로 되어 건조된다.
건조실 214h이 소정시간 정지후, 회전 건조실(210)은 다시한번 원스텝 회전하여, 건조실 214g이 분립체 공급위치에 정지된다. 건조실 214g 안에, 조립구획 (100a)에서 소정 중량으로 조립된 미건조의 분립체가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풍력 분급되어 공급된다. 한편, 분립체를 수용한 건조실 214a, 214h는 각각 절결부(180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정지하고, 각각의 실내에서 미건조의 분립체가 실내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빠지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건조되도록 된다.
상기 요령으로, 남아있는 건조실 214f(214), 214e(214), 214d(214), 214c(214), 214b(214)가 순차 원스텝 씩 회전하고, 분립체 공급위치에 소정 시간 정지되어, 조립 구획(100a)으로 조립된 미건조의 분립체가 실내로 공급된다. 건조실 214b가, 분립체 위치로 올때 까지, 건조실 214a, 214h, 214g, 214f, 214e, 214d, 214c는 각각 원스텝씩 회전, 정지가 반복되고, 그 사이에 실내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빠지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분립체가 연화건조된다. 이와같이 하여, 복수의 건조실(214)을 가진 회전 건조실(210)이 회전하여 한번 돈다.
회전 건조실(210)은 원스텝 씩 회전하고, 건조실 214a의 전방 인접위치의 건조실 214b가 분립체 공급위치에 돌아오면, 건조실 214b의 후방 인접위치의 건조실 214a는 송풍 챔버(220)에 설치된 분립체 통과로(225)의 바로 위 위치(이하, 간단히, 분립체 배출위치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에서 정지되도록 된다.
상기 상태에서, 건조실 214b 안에는 상기의 요령으로 분립체가 공급되는 한편, 건조실 214a에는, 저면에 설치된 분리 철망(215a)이 개구되어, 건조실 214a 내에 수용되어 있는 건조가 끝난 분립체가 한번에 분립체통과로(225) 내로 배출된다.
분립체의 배출은 건조실 214a의 하방을 개구하고, 중력에 의해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극히 짧은 시간에 배출이 완료한다. 배출 이후는, 분리 철망(215a)이 닫힌 상태로 되돌아온다.
예를 들어, 분리 철망(215a)의 개폐기구를 전기 설명과 같은 기구로 하여 두면, 분리 철망(215a)의 개구시의 통전(通電)에 의해 테두리부(217)과 접촉부(215b) 쌍방에 설치된 전자석의 반발력으로 테두리부(216)의 주변에 부세에 저항하여 분리 철망(215a)이 회전하고, 개구되도록 된다. 분립체의 배출완료 후에는, 통전을 중지하면, 전자석 사이의 반발력이 해소되어, 분리 철망(215a)는 용수철의 부세에 의해 테두리부(216)의 주변에 회전하여 닫힌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하여, 회전 건조실(210)은 원스텝씩 회전, 정지를 반복할 때마다, 분립체 공급위치에 정지한 건조실(214) 안에는 조립 구획(100a) 안에서 조립된 미건조의 분말체가 공급되고, 분립체 배출구위치에 정지한 건조실(214)로부터는 충분히 건조된 분립체가 분립체 통과로(225) 내로 배출된다. 아울러, 분립체 공급위치로부터 분립체 배출위치까지의 도중 구간에 있는 건조실(214) 내부에는, 실내의 미건조 분립체가 유동층형성기체에 의해 유동층상태로 건조된다.
다시말해, 상기 구성의 회전 건조실(210)에서는, 미건조의 분립체의 건조실 214로의 공급, 공급된 미건조 분립체의 건조실(214) 내로의 건조, 건조된 분립체의건조실(214)로부터의 배출이, 스텝 회전하는 복수개의 건조실 214의 어딘가에서 회분식으로, 또는 병행하여 연속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분립체 통과로(225) 내부로 배출된 건조분립체는, 분립체 통과로(225)에 연통하는 통체(310)을 통과하여, 직접 제품배출구획(300a) 내부로 들어가고, 기밀(氣密)하게 구성된 로타리 밸브(320)를 통과하여 제품 배출관(33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제품 배출구(330)를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제품 저장 탱크 등에 배관 접속해 두면, 자동적으로 제품저장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태양에서는, 건조 구획(200a)의 구성으로서, 복수의 건조실(214)을 가지는 회전 건조실(210)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분립체 공급 위치로부터 분립체 배출위치까지 순환하는 동안, 건조가 충분히 행해지게 된다. 또한, 건조실(214)을 복수 설치함에 의해, 하나의 큰 건조실로 대량의 미건조 분립체를 건조하는 경우에 비해, 각 건조실(214) 내부로 분립체가 작은 분량씩 분산되기 때문에, 각 건조실 (214) 안의 처리량을 작게 맞이하고, 충분한 건조를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의 태양 5에는, 하방 통부(130b) 내부로 기울어져 설치된 분리 철망 (110a)에, 분립체 통과수단(180)으로서, 절결부(180a)를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는 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철망(110a)의 철망면(110b)이 대경 통부(B)와 소경통부(C)의 접속위치에 접한 측면에, 분립체가 낙하가능한 정도의 슬릿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회전 건조실(210)을, 통체(230) 내에서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는 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회전 이외의 회전 기구를 채용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통체(230)을 설치하지 않고, 하방 통부 (130b)와 송풍 챔버(2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건조실(210)을 설치해둔다. 상기 상태로, 회전 건조실(210)을 구성하는 통형상의 바깥 테두리(211)의 측면에, 바로 접하거나 혹은 기아의 이맞물림등을 매개로 회전 건조실(210)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상기 회전체(240)를 회전시킴에 의해 회전실(210)을 회전시켜도 좋다. 회전체(240)는, 모터 등으로 스텝 회전제어하면 좋다.
통 형상의 바깥 테두리(211)는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하고, 개개의 건조실 (214) 마다에 관찰창(218)을 설치해 두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건조실(210)의 실내 중앙을 통한 회전축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건조실(214)의 공간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분리 철망(110a)의 절결부(180a)를 상시 개구로 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개폐 가능한 덮개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분립체의 건조실(214) 내부로의 공급을, 건조실(214)이 분립체 공급위치에 정지한 상태로만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결부(180a)를 상시 개구상태로 한 구성에는, 건조실(214)이 회전하는 사이에도 분립체의 공급이 행해져, 예를 들어, 인접한 2개의 건조실 214의 주변이 절결부(180a)의 범위내로 도착한 상태에서는, 2개의 건조실(214)의 쌍방에 분립체의 공급이 행해지도록 된다. 절결부(180a)를 통과한 분립체의 통과량, 건조실(214)의 회전 속도, 정지시간 등이 대략 일정하도록 제어된 경우에는, 상기 공급상태여도, 최종적인 건조상태의 질적 차이가 발생하는 정도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개패가능한 덮개를 설치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구성에서, 복수개 있는 건조실(214) 내, 예를 들어, 214a, 214c, 214e, 214g의 4개만 건너뛰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실 214b, 214d, 214f, 214h에는, 덮개를 닫은 상태로 하여 두고 분립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건조실(210)의 건조실(214)의 사용은, 상기와 같이, 제조상황에 맞추어 건조실(214)의 사용개수를 적의선택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건조하기 용이한 분립체의 경우에는, 건조실의 회전 속도를 올리지 않고, 사용하는 건조실의 수를 감소시켜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회전 기구의 변속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스테프의 회전 각도의 제어에 의해 간단히 대응을 행할 수 있다.
회전 건조실(210)을 구성하는 건조실(214)의 수는 도 7,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8개, 6개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이면, 몇개를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 6, 7에 있어, 송풍 챔버(220)는 분립체 통과로 225 이외의 공간을 하나의 챔버에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립체 통과로 225 이외의 챔버 내를 수개의 구획 X, Y, Z로 구획하여, 구획 X, Y, Z 마다에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유량이 다르도록 급기관 226a, 226b, 226c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유량은, 예를 들어, 급기관 226a > 급기관 226b > 급기관 226c의 순으로 적어지도록 조절하여 두면 좋다.
도 10(B)에는, 상기 구성의 송풍 챔버(220)에, 회전 건조실(210)의 각 건조실 214a 내지 214h 까지를 중복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건조실 214a는, 분립체 공급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건조실 214a, 214b, 214c가 송풍 챔버(220)의 구획 X위에 정지되어, 급기관 226a로부터 급기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각 건조실 214a, 214b, 214c를 위쪽으로 통과하게 된다.
건조실 214a에서는, 위쪽으로 통과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조립구획 100a로 조립된 습윤한 상태의 조립체가 실내로 공급된다. 건조실 214b에는 하나 바로 앞 단계에서 공급된 미건조의 분립체가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건조처리되고, 건조실 214c에서는, 건조실 214b의 단계에서 기분 건조된 분립체가 다시 건조처리되도록 된다. 건조실 214a, 214b, 214c에서는, 분립체는 충분한 건조상태에 도달하여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중량이 무겁고, 큰 유량의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그 유동층형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건조실 214d, 214e에서는, 송풍 챔버 220의 구획 Y위에 정지되고, 급기관 226b로부터 공급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충분한 건조 상태에 달하지 않은 분립체의 건조처리가 행해진다. 급기관 226b로부터의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풍량은, 급기관 226a로부터 풍량에 의해 적게 받아들여지고, 건조실 214a, 214b 214c에 수용된 분립체보다 건조되어 가벼워진 분립체의 유동층상태를 적절히 유지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건조실 214f, 214g는 송풍 챔버(220)의 구획 Z위에 정지되어, 급기관 226c로부터 공급된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의해 분립체의 충분한 건조처리가 행해진다. 급기관 226c로부터의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풍량은 급기관 226b로부터의 풍량 보다더욱 작게 받아들여지고, 건조실 214d, 214e에 수용된 분립체로부터 건조되어 보다 더 가볍게 된 분립체의 유동층 상태를 더욱 적절히 유지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송풍 챔버(220) 내의 구획은 상기 설명에서는 구획 X, Y, Z의 3구획으로 구분했으나, 2구획으로, 또는 상기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해도 상관없다. 나아가, 같은 수의 구획이라 하더라도, 동일 구획내에 들어간 건조실의 수를 변화시켜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구획의 수와, 개개의 구획내에 들어간 건조실의 수는 도 10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적당한 수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설명에는, 회전 건조실(210)의 각 건조실(214) 마다에, 개폐가능한 철망(215a)을 각각 저면개구부에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건조실(214)에 각각 분리 철망(215a)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1에는, 도 7에 나타난 분해사시도 중에, 건조구획(200a)의 회전 건조실(210), 제품배출구획(300a)의 구성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구성에는, 회전 건조실(210)은 이를 구성하는 건조실(214)의 저면 개구측에 분리 철망(215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통체(230) 내에 회전건조실(210)이 격납되는 등, 도 7에 나타난 구성과 같게 구성되어 있다. 송풍 챔버(220)의 위쪽 개구부에는, 도 11에 나타나도록 분리 철망(227)이 설치되어, 분립체 통과로(225)에 맞추어 분리 철망(227)에 절결부(2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분리 철망(227)의 위에는, 밑부분이 빠져 없게 구성한 복수개의 건조실(214)로부터 된 회전 건조실(210)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건조실(214)를 회전시킴에 의해, 절결부(228) 위로 온 건조실(214)로부터 분립체가 분립체 통과로(225) 내로 낙하하도록 된다. 상기 구성에는, 각 건조실(214)의 저면 개구부에 개패가능한 분리 철망(215a)을 설치하도록 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한 것이 가능하다. 다만, 건조실(214)의 회전에 있어, 이동하는 격벽(213)과 분리 철망(227)의 극간에 분립체가 끼이지 않는 정도의 충분히 큰 입경을 가진 조립체의 제조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로는, 각 구획이 상하 방향에 배치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분립체의 각 구획간의 이동을, 자동적으로 중력낙하로 행할 수 있어, 각 구획을 횡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분립체의 반송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어, 장치의 설치면적의 축소를 꾀할 수 있다. 장치 구성의 간략화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에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분립체의 조립과, 조립한 분립체의 건조와, 풍력 분급의 각각에 이용한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 전용의 기체 급기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구성을 간단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에는, 최상 구획 등의 위 쪽의 구획에 스프레이 노즐을 설치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급기된 유동형성용 기체는 조립 코팅 단계 내에서 도달할 무렵은, 적당한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되어 있고, 건조한 분립체의 조립에 때맞추어 유동층 형성용 기체의 공급이 이루어져서, 유동층 조립 코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을 사용하면, 생산 규모의 확대가 단일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생산규모에 상관없이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연구, 시험작동, 생산의 각 단계에서의 장치의 스케일 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스케일 업에 있어서의 조작 조건 등의 변경을 별도로 행하지 않고 마치며, 연구로부터 시험작동, 시험 작동으로부터 생산으로의 이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구획 내로 복수의 건조실을 가진 회전 건조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립체 공급위치로부터 분립체 배출위치까지 순환하는 사이, 건조가 충분히 행해지게 된다. 또한, 건조실을 복수 설치함에 의해, 하나의 큰 건조실로 건조하는 경우에 비해, 각 건조실내로 처리량이 분산되기 때문에 각 처리량이 작아지고 충분한 건조가 행해지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각 건조실내에서의 건조처리가 소위 배치식으로 행해지고, 나아가, 각 건조실이 회전하기 때문에, 각 건조실 안의 배치 처리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소위 반연속식의 건조처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치 처리, 또는 연속처리의 어느 한쪽의 만으로 행하는 경우에 비교해, 쌍방의 처리의 장소를 병유한 처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통방향을 상하로 배치하고, 상방으로 배기구, 하방으로 급기구를 설치한 통상의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통 내를 상하로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급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향하는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통과시키는 분리 수단,
    구획 간에 위로부터 아래로 분립체가 중력낙하하여 통과하는 분립체 통과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구획 중 1 또는 2 이상의 구획에는 스프레이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구획 중의 하방의 구획에는 제품배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최상 구획에 설치되고, 상기 제품배출 수단은 최하구획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으로서 상기 분리수단에 개구된 분립체 통과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통과구에는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 중 1 또는 2 이상의 구획에는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 이외의 보조기체를 구획 내로 급기하는 보조기체 급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수의 구획 중, 최상구획과 최하구획의 사이에는 건조구획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구획은 분립체 수입구와 분립체 배출구가 설치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건조실,
    복수의 상기 건조실을, 상기 건조실을 직상구획과 분리하는 분리수단으로 설치한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 측에 상기 분립체 수입구를 이동시키고, 상기 건조실을 직하구획과 분리하는 분리수단으로 설치한 상기 분립체 통과수단 측에, 상기 분립체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건조실 구동수단, 및
    상기 건조실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를 상기 건조실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공급하는 송풍챔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건조실은 상기 건조실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회전축에 대해서 방사위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챔버는 챔버 내가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에는 각각 별도로 유량이 다른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분립체 배출구는 상기 송풍 챔버 내를 관통하고,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가 급기되지 않는 분립체 통과로를 통하여 상기 제품배출 구획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
  10. 유동층 상태에서 분립체를 처리하는 분립체 처리공정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구획하고,
    인접구획 간에는 직하구획에서의 처리가 종료한 분립체를 유동층 형성용 기체에 대항하여 풍력분급하여 하방구획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립체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통과시키면서, 상기 분립체의 조립 및/또는 코팅, 건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유동층 조립 코팅장치의 복수의 구획 중, 최상 구획에서 조립 및/또는 코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조립 및/또는 코팅 처리가 행해진 분립체를 상기 최상구획 이외의 1 또는 2 이상의 구획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구획 이외의 어느 구획에서 코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의 조립 및/또는 코팅으로부터 제품배출까지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의 조립 및/또는 코팅으로부터, 제품배출까지를 상방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상기 분립체의 하방으로 이행을 차단하여 간헐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 중 1 또는 2 이상의 구획 내에 상기 유동층 형성용 기체 이외의 보조기체를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조립 코팅방법.
KR1020027014692A 2000-05-01 2001-04-25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KR20030007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32421 2000-05-01
JP2000132421 2000-05-01
JPJP-P-2001-00017840 2001-01-26
JP2001017840A JP4663887B2 (ja) 2000-05-01 2001-01-26 流動層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流動層造粒コーティング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568A true KR20030007568A (ko) 2003-01-23

Family

ID=2659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692A KR20030007568A (ko) 2000-05-01 2001-04-25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2244B2 (ko)
EP (1) EP1312410A4 (ko)
JP (1) JP4663887B2 (ko)
KR (1) KR20030007568A (ko)
WO (1) WO20010830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175B1 (ko) * 2007-10-17 2008-01-10 주식회사 엔씨비네트웍스 다이크로익 거울을 이용한 위상천이 영사식 3차원형상측정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1251A1 (en) 2003-06-26 2004-12-29 Urea Casale S.A. Fluid bed granulation process and apparatus
EP1491252A1 (en) * 2003-06-26 2004-12-29 Urea Casale S.A. Fluid bed granulation process and apparatus
EP1491253A1 (en) * 2003-06-26 2004-12-29 Urea Casale S.A. Fluid bed granulation process and apparatus
ITBO20030485A1 (it) * 2003-08-07 2005-02-08 Ima Spa Dispositivo granulatore per il trattamento di prodotti polverulenti
EP1752165A4 (en) * 2004-03-31 2008-12-03 Tsukasa Kasei Kogyo STERILIZER
BRPI0815727B1 (pt) * 2007-08-27 2019-03-26 Borealis Technology Oy Equipamento e processo para produzir pelotas poliméricas, uso do equipamento, e processo para produzir um cabo reticulável
KR101102587B1 (ko) 2008-11-27 2012-01-04 주식회사 대종 분말체 코팅 장치
CN101700480B (zh) * 2009-11-11 2012-06-27 王新月 大型连续式流化床喷浆造粒包衣生产方法
JP5171802B2 (ja) * 2009-12-22 2013-03-27 富士夫 堀 造粒装置
JP5950533B2 (ja) * 2010-11-12 2016-07-13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流動層装置
EP2735831A1 (en) * 2011-07-19 2014-05-28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Drying conveyer, and thermal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d with same
CN103816837B (zh) * 2012-04-17 2016-01-20 陆文光 喷雾制粒流化干燥系统的卧式沸腾床的工作方法
CN102748921A (zh) * 2012-07-18 2012-10-24 上海立得催化剂有限公司 一种带流化装置的高性能电加热粉料脱水器
US20150303447A1 (en) * 2012-08-29 2015-10-22 Nippon Coke &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egative-electrode carbon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electrode carbon material using same
JP6379177B2 (ja) 2013-04-03 2018-08-22 グラット インジェニェーア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Glatt Ingenieurtechnik GmbH 流動化装置及び固体粒子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
DE102013005921A1 (de) 2013-04-03 2014-10-09 Glatt Ingenieurtechnik Gmbh Fluidisierungsapparat
JP6059097B2 (ja) * 2013-07-05 2017-01-11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連続顆粒製造システム
US10260807B2 (en) 2013-07-05 2019-04-16 Freund Corporation Drying device and continuous granule production system
JP6289981B2 (ja) * 2014-04-09 2018-03-07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気流式乾燥装置の被処理物分散機構
DE102014106122A1 (de) * 2014-04-30 2015-11-05 Bma Braunschweigische Maschinenbauanstalt Ag Wirbelschichtverdampfungstrockner
AU2017277703A1 (en) * 2016-06-06 2019-01-17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Dust control system, operating system including dus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279355B2 (en) * 2016-08-09 2019-05-07 Superior Industries, Inc. Hydraulic classifiers
JP6733442B2 (ja) * 2016-09-08 2020-07-2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メッシュ式ネブライザ
DE102021200162A1 (de) * 2021-01-11 2022-07-14 Glatt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luidisierungsapparat zur Behandlung von partikelförmigem Material
DE102021200163A1 (de) * 2021-01-11 2022-07-14 Glatt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partikelförmigem Material in einem Fluidisierungsapparat
CN115468385A (zh) * 2022-03-17 2022-12-13 伊春药业有限公司 咽炎片制备过程用沸腾干燥设备
CN116272652B (zh) * 2023-04-11 2023-10-27 江苏金旺智能科技有限公司 干悬浮剂造粒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6338A (en) * 1959-01-08 1962-05-29 G & A Lab Inc Coating and pelletizing of fusible materials
JPS5331705A (en) * 1976-09-06 1978-03-25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Gasification of coal by multi-stage fluidized layers
GB1562571A (en) * 1978-01-26 1980-03-12 Melik Akhnazarov Others regeneration of hydrocarbon cracking catalyst
NL191557C (nl) * 1980-05-12 1995-09-19 Azote Sa Cie Neerlandais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uit een kern en een omhulling opgebouwde korrels.
JPS5949839A (ja) * 1982-09-10 1984-03-22 Okawara Mfg Co Ltd 流動造粒装置
JPS6188078A (ja) * 1984-10-08 1986-05-06 Furointo Sangyo Kk シ−ル装置
JPS61230730A (ja) * 1985-04-05 1986-10-15 Yoshiro Funakoshi 粉粒体処理装置
JPS62183849A (ja) * 1986-02-10 1987-08-12 Nittetsu Mining Co Ltd 周壁噴流式流動層装置
JPS62237939A (ja) * 1986-04-08 1987-10-17 Nittetsu Mining Co Ltd 多段噴流層装置
JPS62282629A (ja) 1986-05-30 1987-12-08 Okawara Mfg Co Ltd 連続式流動層造粒装置
JPH0824838B2 (ja) * 1988-03-08 1996-03-13 宇部興産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材料を粒体表面にコーティング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370736U (ko) * 1989-11-15 1991-07-16
FR2664506B1 (fr) * 1990-07-13 1993-05-07 Bp Chemicals Snc Procede et dispositif d'introduction d'une poudre dans un reacteur.
JP3417669B2 (ja) * 1994-07-14 2003-06-16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槽移動式流動乾燥装置
NL1000611C2 (nl) * 1995-06-20 1996-12-23 Stork Friesland Bv Inrichting, alsmede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gesproeidroogd produkt.
JP2000038621A (ja) * 1998-07-22 2000-02-08 Hitachi Cable Ltd 流動層式連続熱処理炉における排気方法
GB9930644D0 (en) * 1999-12-23 2000-02-16 Lanfina Bitumen Limited Bitumen coating of particulate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175B1 (ko) * 2007-10-17 2008-01-10 주식회사 엔씨비네트웍스 다이크로익 거울을 이용한 위상천이 영사식 3차원형상측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12244B2 (en) 2006-09-26
EP1312410A4 (en) 2007-02-14
EP1312410A1 (en) 2003-05-21
JP4663887B2 (ja) 2011-04-06
WO2001083098A1 (fr) 2001-11-08
JP2002018266A (ja) 2002-01-22
US20030190417A1 (en) 200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7568A (ko)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US4591324A (en) Granulating apparatus
US4556175A (en) Granulating and coating machine
US4532155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granulating and/or drying particles
US9370756B2 (en) Agglom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gglomerated particles
US6253465B1 (en) Multi-chamber fluidized bed-carrying classifier
ES2732292T3 (es) Estrella rotativa de secado para el tratamiento de partículas sólidas
US5470387A (en) Continuous multicell process and apparatus for particle coating including particle recirculation
CA1314384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gaseous polluants from exhaust gases
US20210007934A1 (en) Method and a drum coater for coating small items, such as tablets, and a coating system comprising such drum coaters
US20090220676A1 (en) Multi-stage coating device for moulded bodies
KR100696053B1 (ko)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CN1330568A (zh) 用于流化床处理系统的带若干单独喷嘴的喷枪及其方法
CN1635928A (zh) 一种用于流化床处理系统的搅拌系统及其方法
JP2003126680A (ja) 粉粒体の流動処理装置
JP2001219050A (ja) 流動層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流動層造粒コーティング方法
JP4194866B2 (ja) 流動層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の結露防止装置
AU623931C (en) Spray drying apparatus
JPH06187B2 (ja) 粉粒体処理方法および装置
GB205018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ying liquid suspensions or solution
GB2050181A (en) Apparatus for drying liquid suspensions or solutions
JP2000051681A (ja) 横型回転式固気接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