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172A -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172A
KR20030007172A KR1020020040944A KR20020040944A KR20030007172A KR 20030007172 A KR20030007172 A KR 20030007172A KR 1020020040944 A KR1020020040944 A KR 1020020040944A KR 20020040944 A KR20020040944 A KR 20020040944A KR 20030007172 A KR20030007172 A KR 2003000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housing
connector
type connecto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750B1 (ko
Inventor
나가타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3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760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9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9840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전화기등의 휴대단말 기기의 I0보트 등에 이용하는 박형의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 및 그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와 짜맞추어서 이용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A를 제공한 것이다.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는, 하우징(1)에, 도전성 수지 재료로 성형한 셔터(5)를 개폐쇄동 가능하게 수용 하고, 셔터(5)를 스프링체(55)에 의해 상시 폐쇄위치측에 부세(付勢)하고 있다.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 하면, 셔터(5)의 맞음부분(52a)가 하우징(1)에 내장해있는 어드접편(41)에 접촉한다. 셔터(5)의 하단에 돌기(54)를 형성함으로써, 셔터(5)와 전극(3)과의 사이에 충분히 큰 절연 공간을 확보한다. 플러그형 커넥터A는, 전극(73)과, 전극(73)의 앞쪽으로 돌출한 돌출부(8)를 가진다. 돌출부(8)는 셔터(5)를 밀어 여는 것에 도움이 된다.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뒤틀려서 기우뚱거렸을 때에는, 돌출부(8)가 잭형 커넥터 B의 초기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고 외측으로 빠져 나가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SHUTTER ATTACHED JACK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특히 휴대형 전화기등의 휴다단말기기의 IO포토 등에 이용되는 박형의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는, 미사용시의 방진 대책이나 내장 전극에 접속된 전자소자등의 정전 파괴를 방지하는 대책이 강구되고 있는 외에, 다수의 내장 전극 상호간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는 대책이 강구되고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나 그것을 상대방 커넥터로서 사용하는 플러그형 커넥터는, 양자를 끼워맞춤할 때에 무리한 뒤틀림작용이 가해졌을 때에도, 플러그형 커넥터가 잭형 커넥터로부터 이탈해서 파손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실개평6-50270호 공보(제 1선행예)에 방진 대책을 실시한 잭형 커넥터로서의 소형 커넥터에 대한 기재가 있다. 이것은, 내벽면에 마주겹쳐진 전극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의 내부에, 그 하우징의 플러그끼워맞춤의 끼워맞춤 구멍을 막는 폐쇄위치와 그 후 방의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이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측을 향해서 탄발부세(彈發付勢)되어있고,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삽입되어 온 플러그형 커넥터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탄발부세력에 저항해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밀어넣어지게 되어있다. 또, 이 슬라이더에는, 폐쇄위치에서 상기 전극에 접촉하고, 개방위치에서 사기 전극으로부터 이(離反)하는 슬라이드 전극이 갖추어지고 있어, 슬라이드 전극이 하우징측의 전극으로부터 이반함으로써,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상대방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있게 되어있다. 또, 이 제 1선행예에서는, 잭형 커넥터에 질러 넣어지는 돌출 부분에 컨택트를 장비시켜, 돌출부분에서 잭형 커넥터에 갖춰지고 있는 슬라이드를 밀어넣어 상기 컨택트를 상대방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시키도록 하고있다.
또, 실등 260l800호공보(제 2선행예)에는 잭형 커넥터에 대한 기재가 있다. 이것은, 전극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을 시일드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고, 그 하우징의 플러그 삽입 구멍을 개폐쇄하는 덮개를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도전체로 형성 해두고,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에 그 덮개가 플러그형 커넥터에 의해 밀어넣어 개동(開動)되어 그 덮개에 일체로 구비 되어 있는 접편부가 상기 시일드 프레임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 실개평6-54260호공보( 제3 선행예)에는, 전극을 수용 하고 있는 하우징을 시일드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고, 그 하우징의 플러그 삽입 구멍을 개폐쇄하기 위한 셔터를 금속부재인 도전재료로 형성 하는 동시에, 이 셔터가 개방시 및 폐쇄시에 관계없이 상기 시일드 프레임에 상시 접속 되어 있는 잭형 커넥터에 대한 기재가 있다.
제 1내지 제 3의 각 선행예는, 모두,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슬라이더, 덮개 또는 셔터에 의해 닫혀서 방진되게 되어 있다.
또, 제 1선행예에서는, 슬라이더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개폐쇄 동하므로, 슬라이더의 개방시의 수용 스페이스를 하우징의 후부에 확보하는 것만으로 되고, 하우징내의 위 쪽 또는 아래 쪽에 슬라이더의 개방시의 수용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고도 되므로, 하우징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제 1선행예에서는, 슬라이더에 합성 수지 성형체가 이용되고 있어, 이 슬라이더 자체에는, 하우징에 수용 되어 있는 전극을 전자파 시일드 하는 성질이 갖춰지지 않았다. 그 때문에, 하우징을 예를 들어 휴대단말 기기에 짜넣고, 그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전극을 휴대단말 기기의 전자소자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 하고 있는 경우에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시에 슬라이더로 그 하우징의 끼워맞춤구멍이 닫혀 있다고 해도, 외부 전자파의 영향이 슬라이더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전극 나아가서는 전자소자에 미쳐서, 전자소자등이 정전 파괴된다고 하는 사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제 2및 제 3의 각 선행예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되어 왔을 때에, 덮개 또는 셔터(이하 「셔터 등」이라고 한다)가 그 상대방 커넥터에 의해 밀어넣어져 수평축을 중심으로 개방향으로 요동 하고, 하우징의 상벽 또는 하벽에 겹치는 형상으로 수용되어 플러그형 커넥터 와 하우징의 상벽 또는 하벽과의 사이에 끼들어가게 되어 있으므로, 셔터등의 개방시의 수용 스페이스를 하우징내의 위 쪽 또는 아래 쪽에 확보할 필요가 생기고 그것이 하우징의 박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 반면으로, 제 2또는 제 3의 각 선행예에서는, 셔터등이 도전성을 갖춘 금속부재로 제작되고 있고, 또한, 적어도 폐쇄시에는 그들의 셔터등이 하우징을 둘러싸고 있는 시일드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셔터등에 의해서 닫혀 있는 미사용시에, 그러한 셔터등이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는 작용을 발휘해서, 하우징에 수용 되어 있는 전극이나 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소자등의 정전(靜電)파괴가 방지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셔터등을 금속부재로 제작 하면, 셔터 등에 개폐쇄 요동 동작에 필요하게되는 요소인 보스나 리브를 프레스 성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복잡한 굽힘 형상이 필요하게 되거나, 스프링체를 멈추기 위한 스프링 받침편등을 잘라일으켜 형성하거나 할 필요가 생기므로, 셔터 전면의 디자인이 그 굽힘 개소나 잘라일으킨 자욱에 남는 구멍으로 손상된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추가해서, 접동성을 높이기 위한 절단면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만큼 제작비가 높게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셔터등을, 전자파 차단기능를 구비시키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도전성을 갖춘 부분과 보스등의 기구 부분 으로 나누어 도전성을 갖춘 부분을 금속부재로 형성 하고, 그 금속부재를 기구 부분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부 와 함께 인서트 성형하는 것을 생각할수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금형이나 성형을 위한 공임이 높게 되어 전체적으로 고비용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 종래부터, 휴대전화기등의 휴대단말 기기의 I0포토를 형성 하고 있는 다극 커넥터에서는, 유전체인 elastomer등을 이용한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커버를 착탈할수 있도록해서 방진 대책으로서 하고있지만, 이 다극 커넥터의 미사용시의 정전 파괴방지를 위한 대책은 특별히 강구되고 있지 않았었다.
제 1내지 제 3의 각 선행예에 기재되어 있는 플러그형 커넥터는, 모두, 잭형 커넥터에 끼워져 있는 돌출부분과, 그 돌출부분을 사이에 두는 양측으로 위치하고 있는 잭형 커넥터의 내면 과의 사이에 미소한 틈새가 확보 되어 있는에 불과하다. 그 때문에, 돌출부분이 잭형 커넥터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그들의 커넥터가 무리하게 뒤틀리거나 하면, 돌출부분이 잭형 커넥터의 내면에 부딛쳐서 파손하거나 상대방 커넥터의 하우징등이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미사용시의 방진 작용이 셔터에 의해 유효하게 발휘되는 것은 물론, 미사용시에는, 셔터 자체가 외부 전자파의 차단 작용을 현저하게 발휘 해서, 하우징에 수용 되어 있는 내장 전극 및 그 내장 전극에 전기적으로 도통된 휴대단말 기기등의 전자소자의 정전 파괴를 막는 작용이 주효 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셔터의 제작비가 싸게 억제되어 전체로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쉽고, 또한, 셔터에 문자나 기호등을 표시하기 쉽게 해서 전체의 디자인성을 높이기 쉬운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셔터자체에 도전성을 갖게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하우징에 조밀하게 수용 되어 있는 다수의 내장 전극 상호간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기 쉬운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잭형 커넥터에 끼워맞춤 형상으로 연결된 플러그형 커넥터가 무리하게 뒤틀려도, 잭형 커넥터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나 잭형 커넥터가 파손할 우려가 없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잭형 커넥터에 끼워맞춤 형상으로 연결된 플러그형 커넥터가 무리하게 뒤틀렸을 때에는,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잭형 커넥터로부터 이탈 해서 파손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 부착 다극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르는 부분을 확대한 개략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르는 부분을 확대한 개략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르는 부분의 개략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내장 전극의 배열 패턴등을 설명하기 위해서 주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한 개략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도 2에 상응하는 개략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도 4에 상응하는 개략 수평 단면도이다.
도 8(a)는 돌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도이고, 동 (b)는 돌기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셔터 부착 다극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셔터 부착 다극 커넥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와 상대방 커넥터를 개별적으로 표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르는 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대방 커넥터에 연결한 커넥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4는 주요부를 확대한 종단면도로 표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 15는 커넥터가 뒤틀린 상태에서의 주요부를 확대한 종단면도로 표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l6은 커넥터가 뒤틀린 상태에서의 주요부를 확대한 종단면도로 표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작용을 발휘시키는데 필요하게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18은 걸어맞춤클릭을 확대해서 표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는 걸어맞춤클릭과 걸러맞춤면과의 걸어맞춤상태를 표시한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XX-XX선에 따르는 부분을 나타낸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3: 내장전극
5: 셔터6: 하우징(플러그형 커넥터의)
7: 접편부재8: 돌출부
13: 저벽14: 상부벽
15: 단부벽16: 후벽(하우징1의)
17: 접편수용공간18: 구멍부
19,21: 오목한곳(凹所)22: 앞쪽돌기(凸條)
23: 측부돌기(側部凸條)24: 하우징(1)의 앞단면
24a: 받침부25: 걸어맞춤면
26: 속임(盜)오목한 곳31: 되접어 꺾음형상의 접편
32: 연출부35a,35b: 외측끝가장자리
41: 어드접편41a: 어드접편(41)의 후단면
42: 접속단자45: 시일드케이스
51,92: 걸어맞춤클릭52: 클릭편
52a,63a: 맞음부(當部)53: 하단 가장자리(셔터(5)의)
54: 돌기55: 스프링체
56: 셔터본체57: 금속판
58: 금속판58: 걸어멈춤편
59: 걸어맞춤구멍부62: 홈
63: 앞단면(플러그형 커넥터A의 하우징(6)의 횡장직사각형 형상)
64: 하우징본에65: 커버부
71: 장착부(폭이 넓은)72: 지지막대기부
73: 전극(내장전극(3)에 접촉되는)81: 돌출부(8)의 앞단
91: 막대기부(杆部)94: 경사 가이드면
A: 플러그형 커넥터B: 잭형 커넥터
S: 틈새 스페이스S1: 내부공간
T: 두께방향P1,P2: 지지점(支點)
R1,R2,R3,R4: 가상원L: 돌출부의 외륜각선
도 1∼도 8을 참조 해서 본 발명의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를 설명한다. 또한, 도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것이며, 내용을 도면예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는, 상대방 커넥터인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삽발구(20)를 가지고, 그 삽발구(20)에 삽입된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전극이 접촉하는 다수의 내장 전극(3)을 수용 하고 있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부 공간 에 있어서 상기 삽발구(20)를 닫는 폐쇄위치와 상기 삽발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와의 사이에서 개폐쇄동 되는 셔터(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이면, 셔터(5)가 하우징(1)의 내부 공간 에 있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와의 사이를 개폐쇄 동하므로 셔터(5)가 하우징(1)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되고, 당해 커넥터의 설치 스페이스 로서 하우징(1)의 크기보다 넓은 스페이스를확보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휴대전화기등의 휴대단말 기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 짜붙이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로서 유익하다.
본 발명의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에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상기 셔터(5)와, 상기 셔터(5)를 폐쇄위치를 향해서 상시 탄발부세 하는 수단(스프링 체(55)과, 상기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 해서 있을 때 이 셔터(5)의 일부를 형성 하고 있는 맞음부(52a)가 접촉 하고, 이 셔터(5)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해서 개동 됨으로써 상기 맞음부(52a)가 이반 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있는 어드접편(41)을 가진다. 어드접편(41)은, 상기 하우징(1)에 수용 해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어드접편(41)은, 상기 하우징(1)을 덮어서 그 하우징(1)의 외측에 배치된 시일드 케이스(45)에 의해 형성하는 일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와 그 셔터 본체의 앞면에 장착된 금속판에 의해 형성 하고, 상기 맞음부를 상기 금속판에 구비 시켜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플러그형 커넥터가 하우징(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시에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 해서 삽발구(20)가 닫혀져 있기 때문에 그 삽발구 (20)으로부터 하우징(1)의 내부에 진개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하우징(1)에 수용 되어 있는 내장 전극(3)이나 어드접편(41)이 방진되어 그것들에 대한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전극이나 맞음부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한다. 또, 셔터(5)가 도전성을 가지고, 그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 하고 있을 때에는 셔터(5)의 일부를 형성 하고 있는 맞음부(52a)가 어드접편(41)에 접촉 하고 있으므로, 셔터(5) 자체가 전자파 시일드성을 발휘 해서 외부 전자파를 차단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1)에 수용 되어 있는 내장 전극(3)이나 그 내장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소자등의 정전 파괴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5)가 도전성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셔터(5)를 용이하고 염가로 일체 성형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이 아니고, 성형용 금형에 조각을 실시해서 셔터(5)의 표면에 문자나 기호등을 입체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도전성 수지 재료를 조색(調色)해둠으로써 도장을 실시하는 일 없이 셔터(5)를 채색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셔터(5)의 디자인이나 색을, 당해 잭형 커넥터가 짜넣어지는 휴대단말 기기등의 외관에 매치 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이 횡장중공(橫長中空)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1)의 저벽(13)의 횡방향 복수 개소에 나란히 하고, 상기저벽(13)의 앞가장자리부에 구비된 가로방향으로 뻗는 앞쪽돌기(凸條)(22)와 이 앞쪽돌기(22)로부터 상기저벽(13)의 후부쪽으로 뻗어나온 좌우의 측부돌기(23)와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오목한곳(21)이 형성 되고, 그러한 오목한곳(21)의 각각에 상기 내장 전극(3)이 수용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앞쪽돌기(22) 및 측부돌기(23)의 상단면이, 상기 내장 전극(3)의 상면 보다도 고위에 위치 하고 있다고 말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가 상기 앞쪽돌기(22)나 측부돌기(23)의 상단면에 섭접해도 셔터(5)와 내장전극(3)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틈새가확보되므로, 도전성의 셔터(5)가 내장 전극(3)에 접촉해서 내장전극(3)이 서로 합선해 버린다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당해 잭형 커넥터를 초박형으로 형성해도, 도전성의 셔터(5)가 내장 전극(3)에 접촉하는 것에 따르는 오신호의 발생등이 방지되어 성능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5)의 하단 또는 상기 앞쪽돌기(22)에, 이 셔터의 하단가장자리와 상기 내장전극(3)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한 돌기(54)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같이 되어있으면,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와 상기 내장전극(3)과의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높이기 위한 틈새 스페이스S가 확보되고, 또한, 내장 전극(3)과 셔터(5)와의 사이의 연면(沿面)거리가 길어져 상기한 성능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또한, 돌기는, 셔터의 하단가장자리 만에 돌출되어 있어도, 앞쪽돌기만에 돌출되어 있어도, 셔터의 하단가장자리 앞쪽돌기와의 양쪽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의 가로방향 끝부분 벽면에 형성된 오목한 곳(19)에 판편형상의 도체 4가 수용되고 있고, 이 도체(4)의 앞끝부분에 상기 오목한 곳(19)내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상기 어드접편(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셔터(5)의 가로방향 끝부분에, 이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어드접편(41)의 후단면(41a)에 걸어맞추고, 이 셔터(5)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해서 개동됨으로써 그 어드접편(41)의 후단면(41a)으로부터 이탈하는 걸어맞춤클릭(51)이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걸어막춤클릭(51)의 상기 어드접편(41)의 후단면(41a)에 대한 계탈개소가 상기 맞음부(52a)로서 형성되어있는 구성을 채요할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셔터(5)가 하우징(1)으로부터 탈락한다는 사태가, 걸어맞춤클릭(51)과 어드접편(41)의 후단면(41a)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셔터(5)의 탈락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그만큼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이러한 탈락방지작용을 발휘하는 걸어맞춤클릭(51)에 상기 맞음부(52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맞음부(52a)를 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이것에 의해도 구조의 간략화가 촉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5)가 상기 하우징(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 되어 있는 동시에, 이 셔터(5)의 개폐동방향이 하우징(1)의 전후방향으로 일치하고 있고, 셔터(5)와 하우징(1)의 뒤벽(16)과의 사이에, 셔터(5)를 폐쇄위치를 향해서 상기 탄발부세하는 스프링체(55)가 개재되어있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면, 첫머리에서 설명한 제 1선행예와 마찬가지로, 셔터(5)가 하우징(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개폐동하는 것만이므로, 셔터개방시의 수용스페이스를 하우징(1)의 후부에 확보하는 것만으로 되고, 하우징(1)내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셔터개방시의 수용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고도 되므로, 하우징(1)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부착잭형 커넥터에 의하면미사용시의 방진작용이 셔터에 의해 유효하게 발휘된다. 또, 미사용시에는 셔터 자체가 외부 전자파의 차단 작용을 현저하게 발휘해서,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내장 전극 및 그 내장 전극에 전기적으로 도통된 휴대단말 기기등의 전자소자의 정전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셔터를 도전성 수지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셔터를 염가로 제작하는것이 가능해지므로, 당해 잭형 커넥터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 쉽고, 그 위에 셔터에 문자나 기호등을 표시하기 쉽기 때문에 그 디자인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또, 셔터 자체에 도전성을 갖게해 있는데도 불구하고, 하우징에 조밀하게 수용되어 있는 다수의 내장 전극 상호간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1∼도 2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설명한다. 또한, 이 란에서 도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고, 내용을 도면예에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플러그형 커넥터A에서는, 상기한 횡장 형상의 잭형 커넥터B가 상대방 커넥터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플러그형 커넥터A는, 상대방 커넥터인 횡장의 잭형 커넥터B에 구비되어 있는 횡장 직사각형 형상의 삽발구(20)로부터 그 내부 공간S1에 질러넣으므로써 그 잭형 커넥터B의 내장 전극(3)에 접촉되는 전극(73)과, 잭형 커넥터B에 구비되어 있는 받힘부(24A)에 맞닿아서 상기 내부 공간S1에 대한 상기 전극(73)의 플럭대용품(差入代)을 규제하는 맞음부(63a)와, 상기 전극(73)의 앞쪽에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전극(73)을 상기 삽발구(20)으로부터 잭형 커넥터B의 상기 내부 공간S1에 질러넣을 때에 잭형 커넥터B의 상기 삽발구(20)를 닫고 있는 셔터(5)를 밀어 여는 돌출부(8)를 가지고 있다.
또, 본발명에서는,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A가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려서 기우뚱거리게 되는것에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S1의 주위 벽면의 초기 형상 및 상기 돌출부(8)에 의해 밀어 열어지고 있는 상기 셔터(5)의 초기 형상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상기 돌출부(8)가 상기 삽발구(20)를 거쳐 상기 내부 공간S1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도록 그 형상이 정해진 상기 돌출부(8)와 상기 돌출부(8)가 상기 삽발구(20)를 거쳐서 상기 내부 공간S1의 외측으로 빠져 나올때의 이동 궤적의 외측에 배치된 잭형 커넥터B의 상기 내장 전극(3)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A가 두께방향T를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려서 기우뚱거렸다고 하더라도, 잭형 커넥터B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8)가 잭형 커넥터B나 그 셔터(5)를 파손시키지 않고 빠져 나올 뿐만 아니라, 잭형 커넥터B의 내장 전극(3)을 파손시킬 우려가 없다. 또, 돌출부(3)가 파손할 우려도 없다.
본 발명에서는, 잭형 커넥터 B의 상기삽발구(20)가 이 잭형 커넥터 B에 구비 되어 있는 하우징(1)의 앞단으로 개구 되고 있어, 상기 받침부(24a)가 상기삽발구(20)의 입가장자리부인 상기 하우징(1)의 앞끝면에 의해 형성 되어 있는 것에 대해, 상기 맞음부(63a)가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앞끝면에 의해 형성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받침부(24a)에 상기 맞음부(63a)가 맞닿아 있는 상태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두께 방향 T를 따르는 방향으로 비틀렸을 때에,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상기 맞음부(63a)와 상기 받침부(24a)와의 맞닿는 영역 가운데의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두께 방향의 한 개소를 지지점 P1 또는 P2 로서 기우뚱거리게 되어 있고, 상기 잭형 커넥터 B의 내부 공간 S1에 삽입되어 상기 셔터(5)를 밀어 열고 있는 상기 돌출부(8)는, 상기 지지점 P1 또는 P2를 중심으로해서, 그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삽발구(20)의 입가장자리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1 또는 R2의 안쪽에 위치 하도록, 그 형상이 정해져 있다라고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하우징(6)의 횡장 직사각형 형상의 앞끝면( 63)에 맞닿아 있는 상기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의 두께 방향 양측의 외측끝 가장자리의 위치의 각각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뒤틀려서 기우뚱거릴때의 지지점 위치 로서 상정되고 있고, 상기 돌출부(8)는, 상기 두께 방향 양측의 외측끝 가장자리 가운데 한 쪽 옆끝 가장자리의 위치에 의해 상정된 한 쪽 옆지점 P1를 중심로해서 그 한 쪽 옆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 삽발구(20)의 입가장자리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1의 안쪽에 위치 하고, 또한, 다른 한편 옆끝 가장자리의 위치에 의해 상정된 한편 옆지지점 P2를 중심으로서 그 다른쪽측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삽발구(20)의 입가장자리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2의 안쪽에 위치 하도록 그 형상이 정해져 있다라고 말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의 형상이, 2개의 상기 가상원 Rl, R2를 따르는 타원 유사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하우징(6)에 접편 부재(7)이 내장 되고, 그 접편 부재(7)의 앞단에 철(凸)원호상으로 형성된 상기 전극(73)이 구비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전극(73)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상기 하우징(6)의 앞끝면(63)과 상기 돌출부(8)의 앞단(81)과의 상호간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의 외측에 돌출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잭형 커넥터 B의 상기 내장 전극(3)이, 그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내면에 잭형 커넥터 B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형상으로 배치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편 부재(7)가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부(24a)에 상기맞음부(63a)가 맞닿았을 때에 서로 걸어맞춤 하고, 또한, 상기 받침부(24a)로부터 상기 맞음부(63a)가 이반 되는데 따라서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걸어맞춤클릭(92)과 걸어맞춤면(25)이, 상기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과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하우징(6)에 각별하게 갖춰지고 있는 동시에,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려서 기우뚱거릴 때에, 상기 걸어맞춤면(25)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기 걸어맞춤클릭(92)의 이동 궤적이, 상기 걸어맞춤면(25)을 사이에 두는 양측으로 형성된 속임 오목한 곳(26)의 안쪽에 위치 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걸어맞춤클릭(92)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하우징(6)에 구비된 탄성휨 변형 가능한 막대기부(杆部)(91)의 선단에 구비 되어 있는 동시에, 그 걸어맞춤클릭(92)에, 상기 속임 오목한곳(26)의 가장자리부와 접동해서 그 가장자리부를 넘는 경사 가이드면(94)이 갖춰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 및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작용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더 명백해진다.
도 1∼도 8에 셔터(1) 부착 잭형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셔터 부착 커넥터는, 휴대단말 기기 로서의 휴대전화기에 짜넣어져 I0포토를 형성시키는 것에 이용된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편평인 횡장 중공의 하우징(1)은, 그 좌우의 양단부에, 상대방 커넥터 로서의 플러그형 커넥터 A (도 6 및 도 7 참조)의 탈락을 막기 위한 걸어맞춤부(12), (12)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 하우징(1)은 전기 절연성이 뛰어난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저벽(13), 저벽(13)에 대향하는 상벽(14), 저벽(13)과 상벽(14)을 좌우 양측으로 연결하고 있는 좌우의 끝부분벽(15), (15)및 후벽(16)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후벽(16)은 그 하부가 요입(凹入)형상으로 패여서 그 패인 부분(l6a)에 의해 접편수용 공간(17)이 형성 되어 있다. 도 2 또는 도 5등에 표시한 바와같이, 저벽(13)의 등간격 걸러의 복수개소에는 가로방향으로 나란히된 오목한 곳(21)이 형성 되어 있다. 이들의 오목한 곳(21)의 각각은, 저벽(13)의 앞가장자리부에 구비된 가로방향으로 뻗는 앞쪽돌기(22)와 이 앞쪽돌기(22)로부터 저벽(13)의 후부측에 뻗어나온 좌우의 측부돌기(23), (23)와 상기 후벽(16)의 패인 부분(16a)과에 의해 둘러싸여 직사각형으로 형성 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의 오목한 곳(21)의 각각에 가늘고 긴판 형상의 전극(3)이 수용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돌기(22), (23)는 동일한 높이 치수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그들의 높이 치수가 전극(3)의 두께 치수 보다도 조금 길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앞쪽돌기(22) 및 좌우의 측부돌기(23)의 상단면이, 오목한 곳(21)의 저면에 마주겹쳐진 전극(3)의 상부면(33)보다도 치수 H만큼 고위에 위치 해 있다(도 2 참조).
도 2및 도 6과 같이, 전극(3)에는 되접어 꺾음형상의 접편(31)을 가진 연출부(延出部)(32)가 후방으로 향해 연설 되고 있고, 연출부(32)가 후벽(16)에 구비된 구멍부분(18)을 거쳐 상기접편수용 공간(17)으로 뻗어나가고, 접편(31)이 그 접편수용 공간(17)에 수용 되어 있다. 또한, 접편(31)을 일체로 갖춘 전극(3)은, 하우징(1)의 뒤쪽(후방)으로부터 상기 구멍부분(18)을 통해서 오목한 곳(21)에 배치된다.
도 4, 도 5 또는 도 7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우징(1)의 좌우(횡방향)의 각 끝부분벽(15)의 내면에, 그 끝부분멱(15)의 후단에서 앞끝근방 개소에 이르는 오목한 곳919)이 형성되어있고, 이 오목한 곳(19)에 판편형상의 도체(4)가 끼워져 있다. 도 3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도체(4)는, 그 앞끝부분에 상기 오목한 곳(19)내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어드접편(41)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그 후 끝부분에 접속 단자(42)를 가지고 있고, 접속단자(42)가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접지용 회로에 접속되게 되어 있다.
하우징(1)의 앞끝에 플러그형 커넥터A가 삽발되는 삽발구(20)가 구비되어 있다. 또, 하우징(1)에는, 그 내부 공간에 있어서 삽발구(20)를 닫는 폐쇄위치와 삽발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해서 개폐동 되는 셔터(5)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셔터(5)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해서 개폐동하게 되어 있으면, 셔터개방시의 수용 스페이스를 하우징(1)의 후부에 확보하는 것만으로 끝나고, 하우징(1) 내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셔터개방시의 수용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고 끝나므로, 하우징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쉽다.
상기 셔터(5)는 도전성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고 있고, 이 좌우방향(횡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걸어맞춤클릭(51),(51)이 후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도 4 또는 도 7과 같이, 걸어맞춤클릭(51)에는 횡방향 외측으로 향해 돌출한클릭편(52)이 갖춰지고 있고, 이 클릭편(52)이 상기한 도체(4)의 상부에서 상기 오목한곳(19)내에 수용되어 상기 어드접편(41)의 후단면(41a)에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해 있을때는, 클릭편(52)의 앞끝면이 어드접편(41)의 후끝면(41a)에도 도 3 또는 도 4와 걸아막춤해서 셔터(5)가 하우징(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고 있다. 또, 클릭편(52)의 앞끝면이 어드접편(41)의 후끝면(41a)에 걸어막춤해서 있는 상태에서는, 어드접편(41)과 셔터(5)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이것에 대해, 도 7과 같이 셔터(5)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해 개동되면, 어드접편(41)의 후끝면(41a)으로부터 클릭편(52)의 앞끝면이 이탈해서 어드접편(41)과 셔터(5)와의 전기적 도통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클릭편(52)의 앞끝면이 어드접편(41)의 후끝면에 대한 계탈개소에 상당하고 잇고, 이 클릭편(52)의 앞끝면이 어드접편(41)에 대한 맞음부(52a)로 된다. 셔터(5)와 하우징(1)의 뒤벽(16)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체(55)가 개재되고 있어, 이 스프링체(55)에 의해 셔터(5)가 폐쇄위치를 향해 상시 탄발부세되어있다.
도 2에 표시한 바와같이, 셔터(5)의 횡방향 끝부분 하단에 이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와 전극(3)와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 S를 확보하기 위한 돌기(54)가 하향으로 돌출하고, 이와 같이 셔터(5)의 횡방향 끝부분 하단에 돌기(54)를 형성해서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와 전극(3)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 S를 확보 해두면,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와 전극(3)과의 사이의 전기 절연성이 향상 하고, 또한, 전극(3)와 셔터(5)와의 사이의 연면(沿面)거리도 길어진다. 그 때문에, 셔터(5)가 도전성인 데도 불구하고, 옆으로 나란히한 전극(3)이 서로 전기적인 합선을 일으켜 오신호를 발생한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의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 에 있어서, 상대방의 플러그형 커넥터 A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시에는, 도 2∼도 4와 같이 스프링체(55)의 탄발부세 된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 해서 하우징(1)의 삽발구(20)을 닫고 있다. 그 때문에, 삽발구(20)로부터 하우징(1)의 내부에 진개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하우징(1)에 수용 되어 있는 전극(3)이나 어드접편(41)이 방진된다. 또, 걸어맞춤클릭(51)의 맞음부(52a)가 어드접편(41)에 접촉 하고 있으므로, 그 걸어맞춤클릭(51)을 갖추고 있는 셔터(5) 자체가 전자파 시일드성을 발휘 해서 외부 전자파를 차단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수용 되어 있는 전극이나 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소자등의 정전 파괴가 방지된다. 또, 셔터(5)가 하우징(1)의 저벽(13)에 접촉 하고 있어도,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나 돌기(54)와 전극(3)와의 사이에는, 적어도 도 2에 표시한 치수 H만의 틈새가 확보되므로, 도전성의 셔터(5)가 전극(3)에 접촉 해서 전극(3)이 서로 합선 해버린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해 다극 커넥터를 초박형으로 형성 해도, 도전성의 셔터(5)가 전극(3)에 접촉하는 것에 따르는 오신호의 발생등이 방지된다.
도 6 및 도 7의 화살표 P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가상선)가 삽발구(20)에 삽입되면, 셔터(5)가 스프링체(55)의 부세에 저항해서 플러그형 커넥터 A에 의해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해 후방에 밀어넣어져 거기에 따라 맞음부(52a)가어드접편(41)으로부터 이탈한다. 또, 플러그형 커넥터 A에 갖춰지고 있는 다수의 전극(불도시)의 각각이 전극(3)에 각별하게 접촉한다.
이상 설명한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 에 있어서, 셔터(5)는 도전성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 성형용 금형에 조각을 실시해 두는 것만으로 셔터(5)의 표면에 문자나 기호등을 입체적으로 표시시킬수 있고, 도전성 수지 재료를 색의 조화를 해둠으로서 도장을 실시 하지 않고 셔터(5)를 채색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셔터(5)의 디자인이나 색을, 당해 다극 커넥터가 짜넣어지는 휴대단말 기기등의 외관에 매치 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과 같이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와 전극(3)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 S를 확보하기 위한 돌기(54)를, 셔터(5)의 횡방향 끝부분 하단에 하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도전성의 셔터(5)와 전극과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고 있으나, 이 점은 다른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사례를 도 8에 표시하고 있다. 즉, 도 8은 돌기(5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도이고, 동 도(A)의 사례에서는, 하우징(1)의 저벽(13)에 형성 되어 있는 앞측돌기(22)의 횡방향 끝부분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기(54a)를 형성함으로써, 셔터(5)의 하단 가장자리(53)와 전극(3)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 S를 확보 해서 도전성의 셔터(5)와 전극과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고 있다. 또, 동 도(B)의 사례에서는, 하우징(1)의 저벽(13)에 형성 되어 있는 앞측돌기(22)의 등간격 걸러의 횡방향 복수 개소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기(54b)를 형성함으로써,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와 전극(3)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 S를 확보 해서 도전성의 셔터(5)와 전극과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도시 하고 있지 않으나, 돌기를 셔터의 하단가장자리 와 앞쪽돌기와의 양쪽으로 돌출시킴으로서, 셔터(5)의 하단가장자리(53)와 전극(3)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 S를 확보 하고, 도전성의 셔터(5)와 전극 과의 전기 절연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의 다른 실시 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에서는, 편평인 횡장중공의 하우징(1)의 외측에, 금속판에 굽힘 가공등의 기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시일드 케이스(45)가 배치되고 있고, 이 시일드 케이스(45)에 의해 하우징(1)이 덮여져 있다. 또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의 앞면과, 저벽(13)의 아래쪽 면과, 상벽(14)의 상부면에 시일드 케이스(45)가 마주 겹쳐져 있다. 이 실시 형태 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 케이스(45)는, 도 1∼도 8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의 도체(4)에 의해 형성 되어 있는 어드접편(41)에 상당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도 9와 같이, 셔터(5)는,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셔터 본체(56)와 그 셔터 본체(56)의 앞면에 장착된 금속판(57)에 의해 형성되고 있고, 금속판(57)은, 좌우 방향으로 긴 셔터 본체(56)의 좌우 방향 대략 전체 길이 부분에 걸쳐서 배치 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 본체(56)의 좌우 각각의 끝부분이, 하우징(1)의 삽발구(20)의 좌우의 양단부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시일드 케이스(45)의 돌편부(45a)에 대향해 있고, 그들의 좌우의 끝부분이 맞음부(57a)로서 형성 되고,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는 셔터(5)의 맞음부(57a)가 상기 시일드 케이스(45)의 돌편부(45a)에 접촉 하고, 셔터(5)가 개방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는 셔터(5)의 맞음부(57a)가 상기 시일드 케이스(45)의 돌편부(45a)가 이반 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0과 같이, 금속판(57)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편(58)을 셔터 본체(56)에 구비 시키고 있는 걸어맞춤 구멍부분(59)에 걸어맞추므로서, 금속판(57)을 셔터 본체(56)에 고착시키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도 8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9 및 도 10에서는, 도 1∼도 8에 표시한 부분과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구조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B 에 있어서, 상대방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시에는, 스프링체(55)에 의해 탄발부세 된 셔터(5)가 폐쇄위치에 위치 해서 하우징(1)의 삽발구(20)를 닫고 있다. 그 때문에, 삽발구(20)로부터 하우징(1)의 내부에 진개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하우징(1)에 수용 되어 있는 전극(3)이나 어드접편(41)이 방진된다. 또, 셔터(5)의 금속판(57)의 맞음부(57a)가 어드접편으로서의 시일드 케이스(45)의 돌편부(45a)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셔터(5) 자체가 전자파 시일드성을 발휘 해서 외부 전자파를 차단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수용 되어 있는 전극이나 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소자등의 정전 파괴가 방지된다.
도 11∼도 20에 플러그형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1과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는 평면시 횡장 직사각형에 형성 되어 있는다. 또, 도 11와 도 12를 합쳐서 봄으로써 알수 있듯이, 이 플러그형 커넥터 A에서는, 편평인 상자형에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6)에 의해 그 전체 형상이 정해져있다. 이 하우징(6)에는, 다수의 홈(62)이 횡방향 등간격 걸러서 형성되고 있고, 그러한 각 홈(62)에 접편 부재(7)가 배치 되어 있다. 도 12와 같이, 이 접편 부재(7)는, 그 기초부에 폭이 넓은 부착부(7l)가 일체로 연설 되어 있는 동시에, 그 부착부(71)에 지지막대부(72)가 일체로 돌출되어있고, 그 지지막대부(72)가 하우징(6)의 내면에 접촉 해서 백업 되어 있다. 또, 접편 부재(7)는 그 앞단(74)이 하우징(6)의 앞끝면(63)의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접편 부재(7)는, 플러그형 커넥터 A의 두께 방향 화살표 T에 탄성변형 가능하며 , 그 앞단(74)에는 철원호상으로 형성된 전극(23)이 갖춰지고 있다. 또, 하우징(6)의 앞끝면(63)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향해 돌출부(8)이 일체로 돌설 되어 있다. 이 돌출부(8)는, 하우징(6)의 앞끝면(63)에 횡방향 등간격 걸러서 설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8), (8)의 상호간에 상기접편 부재(7)의 앞단(74)이나 전극(73)이 위치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돌출부(8)의 앞단(81)과 하우징(6)의 앞끝면(63)과의 상호간 위치에서 상기 전극(73)이 각각의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도 17 참조)의 외측에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전극(73)은,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보다도 하우징(6)의 두께 방향 T의 한쪽 편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1과 같이, 하우징(6)의 횡방향(폭방향) W의 양단부에 걸어맞춤편(9)이 장착되고 있다. 이 걸어맞춤편(9)은, 하우징(6)의 앞끝면(63)의 전방으로 돌출한 탄성변형 가능한 저부(91)와 그 막대기부(91)에 일체로 형성된걸어맞춤클릭(92)을 갖추고 있다. 이들의 돌출부(8)이나 걸어맞춤클릭(92)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또 후술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6)은, 홈(62)을 갖춘 하우징 본체(64)와 홈(62)를 막도록 하우징 본체(64)에 결합된 커버부(65)에 의해 편평인 직사각형상자형에 형성 되어 있다.
도 11및 도 12등에 표시한 상대방 커넥터 로서의 잭형 커넥터 B는, 도 1∼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 B는, 휴대단말 기기 로서의 휴대전화기에 짜넣어져 I0보트를 형성시키는 것 등에 이용 되고, 편평인 횡장 중공의 하우징(1)은, 그 좌우의 양단부에, 플러그형 커넥터 A의 걸어맞춤클릭(92)에 걸어맞추어서 그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탈락을 막기 위한 걸어맞춤면(25)을 갖추고 있다. 또, 횡방향 등간격 걸러서 나란히한 오목한곳(21)(도l2참조)을 갖추어, 이들의 오목한 곳(21)의 각각에 끼워진가늘고 긴판형상의 전극(3)이, 이 하우징(1)의 내면에 그 두께 방향(상기 하우징(6)의 두께 방향 T에 일치한다)으로 겹쳐진 형상으로 배치되고있다.
또, 하우징(1)의 앞단에서 삽발구(20)가 개구 하고 있고, 이 삽발구(20)에 셔터(5)가 장비 되어 있다. 이 셔터(5)는, 하우징(1)에 내장 되어 있는 스프링체(55)에 의해서 삽발구(20)를 닫는 방향으로 상시 탄발부세 되어 있는 동시에, 잭형 커넥터 B의 미사용시에는 셔터(5)가 삽발구(20)을 닫는 위치에 위치 결정 되어 있다. 또, 이 셔터(5)는, 플러그형 커넥터 A측의 전극(73)을 상기 삽발구(20)으로부터 내부 공간 S1에 질러넣을 때에, 돌출부(8)에 의해 밀어 열어진다.
여기까지로 설명한 플러그형 커넥터 A를, 상대방인 잭형 커넥터 B에 접속 할때에는, 도 14의 화살표 Y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전극(73)과 돌출부(8)를 잭형 커넥터 B의 삽발구(20)으로부터 그 내부 공간 S1에 질러넣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발구(20)를 닫고 있던 셔터(5)가 돌출부(8)에 의해 밀어 열어져 스프링체(55)의 부세에 저항해서 후퇴하고, 전극(73)이 잭형 커넥터 B의 내장 전극(3)에 접촉한다. 그리고, 전극(73)의 잭형 커넥터 B의 내부 공간 S1에의 플럭대용품은, 하우징(6)의 앞끝면(63)이 하우징(1)의 앞끝면(24)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서로 맞닿아서 전극(73)의 플럭대용품을 규제하는 맞음부(63a)와 받이부(24a)가, 각각, 하우징(6)의 앞끝면(63)과 잭형 커넥터 B의 삽발구(20)의 입가장자리인 하우징(1)의 앞끝면(24)와에 의해 형성 되어 있다.
도 12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두께는 잭형 커넥터 B의 그것 보다도 두껍게되고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를 잭형 커넥터 B에 접속했을 때에는,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하우징(6)의 앞끝면(63)인 맞음부(63a)에,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24)인 받침부(24a)의 전체가 겹쳐지는 형상으로 맞닿는다. 그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 A의 두께 방향 T에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리는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도 15에 표시한 것과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24)의 두께 방향 한쪽 편의 외측끝 가장자리(35a)의 위치를 지지점으로서 기기우뚱거리거나, 혹은, 도 16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24)의 두께 방향다른쪽의 외측끝 가장자리(35b)의 위치를 지지점으로서 기우뚱거림의 어느 하나로 된다. 그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뒤틀려서 기우뚱거릴 때의 지지점위치로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 A의 하우징(1)의 앞끝면(63)에 맞닿아 있는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24)의 한 쪽 옆의 외측끝 가장자리(35a)의 위치와 다른쪽의 외측끝 가장자리(35b)의 위치의 2개의 위치를 상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것을 전제로서, 다음에, 상기한 돌출부(8)의 형상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즉, 돌출부(8)은,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한 쪽의 외측끝 가장자리(35a)의 위치에 의해 상정된 한쪽지지점 P1을 중심으로서 그 한 쪽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삽발구(20)의 입가장자리(20a)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1의 안쪽에 위치 하고, 또한, 다른쪽끝 가장자리(35b)의 위치에 의해 상정된 다른쪽지지점 P2를 중심으로서 그 다른쪽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 삽발구의 입가장자리(20b)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2의 안쪽에 위치 하도록 그 형상이 정해져 있다.
돌출부(8)의 형상이 도 17에서 설명한 형상으로 정해져 있으면, 도 15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를 뒤틀려서,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24)의 두께 방향 한쪽 편의 외측끝 가장자리(35a)의 위치를 지지점로서 기우뚱거렸을 경우, 및 도 16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뒤틀려서,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의 앞끝면(24)의 두께 방향다른쪽의 외측끝 가장자리(35b)의 위치를 지지점 로서 기우뚱거렸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돌출부(8)이, 잭형 커넥터 B의 내부 공간 S1의 주위 벽면 즉 하우징(1)의 내벽면이나 셔터(5)를 무리하게 압압 해서 그들의 초기 형상을 변형 해버린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8)가, 잭형 커넥터 B의 내부 공간 S1의 주위 벽면의 초기 형상 및 셔터(5)의 초기 형상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삽발구(20)를 거쳐 내부 공간 Sl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뒤틀렸다고 해도, 돌출부(8)이 파손하거나 잭형 커넥터 B의 하우징(1)이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없다.
또, 잭형 커넥터 B의 내장 전극(3)은, 상기한 바와같이, 하우징(1)의 내면에 잭형 커넥터 B의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는 형상으로 배치 되어 있으므로, 내장 전극(3)의 배치 개소는, 돌출부(8)가 삽발구(20)를 거쳐 내부 공간 Sl의 외측으로 빠져나올 때의 이동 궤적의 외측에 위치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내장 전극(3)에 돌출부(8)가 간섭 해서 내장 전극(3) 또는 돌출부(8)가 파손한다고하는 사태 도 일어날 수 없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에 원리적으로 표시하고 있는바와같이,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의 형상을, 상기한 2개의 가상원 Rl, R2의 바로 가까이에서 그들의 가상원 Rl, R2를 따르는 타원 유사 형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의 형상이 가상원 R1, R2를 따르는 타원 유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란, 돌출부(8)의 바깥윤곽선L의 형상이, 돌출부(8)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정도 가상원 Rl, R2에 따르도록 끝이 협소한 형상이 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부(8)의 형상을 정해 두면, 하우징(6)의 앞끝면(63)으로부터의 돌출부(8)의 출폭(出幅)C가 가급적 길어진다. 그 때문에, 도 14 등에 표시한 전극(73)의 하우징(6)의 앞끝면(63)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상기 출폭C에 균형되게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잭형 커넥터 B의 내장 전극(3)에 있어서의 전극(73)과의 접촉 범위 도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그리고, 내장 전극(3)에 있어서의 전극(73)과의 접촉 범위를 길게하면, 그 만큼 내장 전극(3)과 전극(73)과의 접촉 안정성내지 접촉 신뢰성이 향상 할 뿐만 아니라, 그 전극(73)을 잭형 커넥터 B의 내부 공간 S1에 대해서 삽발 할 때의 전극(73)과 내장 전극(3)과의 스치는 폭이 길어져 그 만큼 셀프 클리닝 작용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8∼도 20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걸어맞춤클릭(92)은, 막대기부(91)의 측방에 돌출하고 있어, 그 주위에 경사 가이드면(94)이 구비됨으로써 끝이 협소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잭형 커넥터 B측에는 솜임 오목한곳(26)이 형성 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두께 방향 T에 따른 방향으로 뒤틀려서 기우뚱거릴 때에, 걸어맞춤면(2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걸어맞춤클릭(92)의 이동 궤적이, 상기 속임 오목한곳(26)의 안쪽에 위치 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경사 가이드면(94)은, 속임 오목한곳(26)의 가장자리부(26a)와 접동 해서 그 가장자리부(26a)를 타고 넘을 수 있는 구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 A가 두께 방향 T를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려서 기우뚱거렸을 때에는, 걸어맞춤클릭(92)과 걸어맞춤면(25)과의 걸어맞춤이 무리없이 해제된 후, 걸어맞춤클릭(92)이 속임 오목한 곳(26)으로부터 그 외측에 빠져 나온다. 따라서, 플러그형 커넥터 A 와 잭형 커넥터 B 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그들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도 20에는, 상기한 한 쪽 지지점 Pl를 중심으로서 그 한 쪽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속임 오목한 곳(26)의 입가장자리(26a)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3과, 한 쪽 지지점 P2를 중심으로서 그 다른쪽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속임 오목한 곳(26)의 입가장자리(26b)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 R4를 각각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고, 이들의 가상원 R3, R4의 안쪽에 상기 걸어맞춤클릭(92)이 위치 하도록 그 걸어맞춤클릭(92)의 형상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걸어맞춤면(25)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걸어맞춤클릭(92)의 이동 궤적이 속임 오목한 곳(26)의 안쪽에 위치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사용시의 방진작용이 셔터에 의해서 유효하게 발휘되는, 또, 미사용시에는 셔터자체가 외부전자파의 차단작용을 현저하게 발휘해서, 하우징에 수용되고있는 전극 및 그 전극에 전기적으로 도통된 휴대단말기기등의 전자소자의 정전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셔터를 도전성두지재료에 의해 성형함ㅇ르ㅗ써 셔터를 염가로 제작하는것이 가능해지므로, 당해 다극 커넥터의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기 쉽고, 그 위에, 셔터에 문자나 기호등을 표시하기 용이하므로 그 디자인성을 높이기가 용이하게된다. 또, 셔터자체에 도전성을 가지게 하고있는데도 불구하고, 하우징에 조밀하게 수용되고있는 다수의 전극상호간의 전기절연성을 높이기 쉽고, 또한, 상대방커넥터에 연결된 커넥터가 무리하게 뒤틀려도, 상대방 커넥터에 끼워져있는 돌출부나 전극, 상대방 커넥터등이 파손할 우려가 없다. 또, 상대방커넥터에 연결된 커넥터가 무리하게 뒤틀렸을때에는, 당해 커넥터가 상대방 커넥터로부터 이탈해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16)

  1. 상대방 커넥터인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발구를 가지고, 그 삽발구에 삽입된 플러그형 터넥터의 전극이 접촉하는 다수의 내장 전극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상기 삽발구를 닫는 폐쇄위치와 상기 삽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쇄동 시키는 셔터와,
    를 구비한 셔터 부착잭형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성을 가지는 상기 셔터와,
    상기 셔터를 폐쇄위치를 향해 상시 탄발부세하는 수단과,
    상기 셔터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이 셔터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맞음부가 접촉하고, 이 셔터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형해서 개동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맞음부가 이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있는 어드접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부착 잭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어드접편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도전성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횡장 중공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하우징의 저벽의 횡방향 복수 개소에 나란히해서, 앞쪽돌기와 앞쪽돌기로부터 상기 저벽의 후부측에 뻗어나온 좌우의 측부돌기와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오목한 곳이 형성되고, 그들의 오목한 곳의 각각에 상기 내장 전극이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앞쪽돌기 및 측부돌기의 상단면이, 상기 내장 전극의 상부면보다도 고위에 위치해서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하단 또는 상단 앞쪽돌기에, 이 셔터의 하단가장자리와 상기 내장 전극과의 사이에 틈새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우한 돌기가 돌출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횡방향 끝부분벽면에 형성된 오목한곳에 판편형상의 도체가 수용되어 있고, 이 도체의 앞끝부분에 상기 오목한 곳내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상기 어드접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셔터의 횡방향 끝부분에, 이 셔터가 폐쇄위치에 위치해서 있을때에 상기 어드접편의 후단면에 걸어맞춤하고, 이 셔터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해서 개동되는것에 의해 그 어드접편의 후단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걸어막춤클릭이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이 걸어맞춤클릭의 상기 어드접편의 후단면에 대한 걸어막춤과 이탈개소가 상기 맞음부로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하우징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있는 동시에 이 셔터의 개폐쇄동방향이 하우징의 전후바향으로 일치하고 있고, 셔터와 하우징의 뒤벽과의 사이에, 셔터를 폐쇄위치를 향해서 상시 탄발부세하는 스프링체가 개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접편이, 상기 하우징을 씌워서 그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시일드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가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셔터본체와 그 셔터 본체의 앞면에 장착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맞음부가 상기 금속판에 구비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9. 상대방 커넥터인 횡장의 잭형 커넥터게 구비되어 있는 ㅗ힝장 직사각형 형상의 삽발구로부터 그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그 잭형 커넥터의 내장 전극에 접촉되는 전극과,
    잭형 커넥터에 구비되어있는 받침부에 맞닿아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상기 전극의 플럭대용품을 규제하는 맞음부와,
    상기 전극의 앞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전극을 상기 삽발구로부터 잭형 커넥터의 상기 내부공간에 질러넣었을때에 잭형 커넥터의 상기 삽발구를 닫고 있는 셔터를 밀어 여는 돌출부와,
    를 가지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있어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림으로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기운 움직임 되는데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의 주위 벽면의 초기형상 및 사이 돌출부에 의해 밀어 열어지고 있는 상기 셔터의 초기 형상을 변형시키는 일없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발구를 거쳐 상기 내부 공간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도록, 그 형상이 정해진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발구를 거쳐 상기 내부 공간의 외측으로 빠져 나올때의 이동 궤적의 외측에 배치된 잭형 커넥터의 상기 내장 전극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잭 형 커넥터의 상기 삽발구가 이 잭형 커넥터에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의 앞끝에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받힘부가 상기 삽발구의 입가장자리인 상기 하우징의 앞끝면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상기 맞츰부가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앞끝면에 의해 형성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받힘부에 상기 맞음부가 맞닿아 있는 상태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렸을 때에,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상ㄱ ㅣ맞음부와 상기 받힘부와의 맞닿는 영역중의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한 개소를 지지점으로서 기운 움직임 되게 되어 있고,
    상기 잭형 커넥터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혀터를 밀어 열고 있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점을 중심으로서 그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 삽발구의 구 가장자리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의 앞쪽에 위치 하도록 그 형상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하우징의 횡장 직사각형 형상의 앞끝면에 맞닿아 있는 상기 잭형 커넥터의 하우징의 앞끝면의 두께 방향 양측의 외측끝 가장자리의 위치의 각각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뒤틀려서 기운 움직임 할때의 지지점 위치로서, 상정(想定)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두께 방향 양측의 외측끝 가장자리 중의 한쪽끝 가장자리의 위치에 의해서 상정된 한쪽 지지점을 중심으로서 그 한쪽 지지점 우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 삽발구의 구가장자리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의 안쪽에 위치하고, 또한, 다른쪽끝 가장자리의 위치에 의해 상정된 다른쪽지지점을 중심으로서 그 다른쪽 지지점 위치로부터 먼 쪽의 상기 삽발구의 구가장자리에 이르는 반경 길이를 가지는 가상원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그 형상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사이 돌출부의 바깥윤곽선의 형상이, 2개의 상기 가상원을 따르는 타원 유사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편(接片)부재가 내장되고, 그 접편 부재의 앞단에 철(凸)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전극기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 전극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의 앞끝면과 상기 돌출부의 앞끝과의 상호간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의 바깥윤곽선의 외측에 돌출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잭형 커넥터의 상기 내장 전극이, 상기 잭형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면에 잭형 커넥터의 두께 방향으로 겹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부재가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힘부에 상기 맞음부가 맞닿았을 때에 서로 걸어맞춤하고, 또한 상기 받힘부로부터 상기 맞음부가 이반 되는데 따라서 걸어막춤 해제되는 걸어맞춤클릭과 걸어맞춤이, 상기 잭형 커넥터의 하우징과 당해 플러그형커넥터의 하우징에 각각 별로로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가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뒤틀려서 기운 움직임 할때에, 상기 걸어맞춤면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기 걸어맞춤클릭의 이동 궤적이, 상기 걸어맞춤면을 사이에 두는 양측으로 형성된 속임 오목한 곳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클릭이, 당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하우징에 구비된 탄성휨 변형 가능한 막대기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 걸어맞춤클릭에, 상기 속임 오목한곳의 가장자리부와 접동해서 그 가장자리부를 타고 넘는 경사 가이드면이 갖춰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KR10-2002-0040944A 2001-07-13 2002-07-13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KR100516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3537 2001-07-13
JP2001213537A JP4576073B2 (ja) 2001-07-13 2001-07-13 シャッター付き多極コネクタ
JPJP-P-2001-00219700 2001-07-19
JP2001219700A JP3749840B2 (ja) 2001-07-19 2001-07-1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172A true KR20030007172A (ko) 2003-01-23
KR100516750B1 KR100516750B1 (ko) 2005-09-22

Family

ID=2661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944A KR100516750B1 (ko) 2001-07-13 2002-07-13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00292B2 (ko)
EP (1) EP1276176B1 (ko)
KR (1) KR100516750B1 (ko)
CN (1) CN100444476C (ko)
CA (1) CA2392501C (ko)
HK (1) HK1050274A1 (ko)
TW (1) TW5714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8690B1 (en) * 2003-01-07 2004-07-06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hield device
JP4181895B2 (ja) * 2003-02-25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
JP4491393B2 (ja) * 2005-09-27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10073353A (ja) * 2008-09-16 2010-04-02 Mitsumi Electric Co Ltd 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及びプラグ
US7883276B2 (en) * 2008-10-14 2011-02-08 Sonosite, Inc. Optical transmission coupling
JP5080692B2 (ja) * 2009-09-01 2012-11-2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内視鏡
JP5366759B2 (ja) * 2009-10-28 2013-12-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60148B2 (ja) * 2013-02-22 2015-01-28 Tdk株式会社 端子台及びそれを含む電子機器
CN110737055B (zh) * 2018-07-18 2021-04-20 武汉福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传输的高速光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3438A (fr) * 1962-10-30 1964-09-25 Bbc Brown Boveri & Cie Accouplement électrique formé de deux têtes d'accouplement
US4146291A (en) * 1977-08-03 1979-03-27 Msi Data Corporation Antistati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DE3604764A1 (de) * 1986-02-14 1987-08-20 Dynamit Nobel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4780793A (en) * 1986-06-03 1988-10-25 Daiichi Denshi Kogyo Kabushiki Kaisha IC card and connector therefor
JP2601800B2 (ja) 1986-06-16 1997-04-1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KR900004629B1 (ko) * 1986-06-20 1990-06-30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등에서의 개폐문 도통기구
KR930009394B1 (ko) * 1988-02-12 1993-10-02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의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체
JPH02222087A (ja) * 1989-02-23 1990-09-04 Toshiba Corp 記録媒体接続装置
JPH0650270A (ja) 1991-04-15 1994-02-22 Shuichi Kitamura 非接触回転機械の羽根と回転中心体とを有するローターの構築方法
US5167516A (en) * 1991-08-21 1992-12-01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nection with floating shield
JP2669750B2 (ja) 1992-07-30 1997-10-29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H0620570U (ja) * 1992-08-26 1994-03-1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フロート弁鎖の接続構造
JPH0650270U (ja) * 1992-12-11 1994-07-08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プラグ
JP2601800Y2 (ja) * 1993-04-05 1999-12-06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型コネクタ
JP2999364B2 (ja) * 1994-04-08 2000-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878096A (ja) * 1994-08-31 1996-03-22 Hosiden Corp 多極コネクタ
JP4129318B2 (ja) * 1998-07-22 2008-08-06 東洋技研株式会社 安全プラグ装置
US6179479B1 (en) * 1999-07-09 2001-01-30 Veam S.R.L. Fiber optic connector with self-closing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6176A2 (en) 2003-01-15
CN1398026A (zh) 2003-02-19
CN100444476C (zh) 2008-12-17
TW571464B (en) 2004-01-11
HK1050274A1 (en) 2003-06-13
KR100516750B1 (ko) 2005-09-22
CA2392501C (en) 2007-12-18
US7300292B2 (en) 2007-11-27
EP1276176A3 (en) 2003-12-10
CA2392501A1 (en) 2003-01-13
EP1276176B1 (en) 2012-05-09
US20030013333A1 (en)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7516A (en) Connection with floating shield
US4767179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7223108B2 (en) Dustproof receptacle connector
KR101315688B1 (ko) 비삽입형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포터블 전자기기용 케이스
TW200832827A (en) Contact, and card adaptor and c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98377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tact protector
US683292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tt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516750B1 (ko) 셔터 부착 잭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KR100731443B1 (ko) 체결 성능이 강화된 전기 커넥터
US720781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8966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circuit board
CN112385095A (zh) 屏蔽连接器及外导体端子
US792250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 flange-like plane portion for guiding insertion of a card
US20150295347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US7040907B2 (en) Electric plug
CN107683551A (zh) 电连接器
SG186516A1 (en) Card connector
CN110149120B (zh) 按键与卡槽组合结构及移动终端
US7891998B1 (en) Card connector with detection terminal unit
US2008004507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arms
US840370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US7682168B2 (en) Shielded memory card connector
US2002002239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50003713A1 (en) Catchable plug
JP2014086208A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