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037A -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037A
KR20030007037A KR1020020039209A KR20020039209A KR20030007037A KR 20030007037 A KR20030007037 A KR 20030007037A KR 1020020039209 A KR1020020039209 A KR 1020020039209A KR 20020039209 A KR20020039209 A KR 20020039209A KR 20030007037 A KR20030007037 A KR 2003000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tting
lock
connector housing
lo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499B1 (ko
Inventor
나가미네아키라
미즈노스나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끼워맞춤 가능한 한쌍의 커넥터하우징(2, 3)과, 이 커넥터하우징의 한쪽(2)에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커넥터하우징(2, 3)을 끼워맞춤한 때에, 그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아암(4)을 구비한다. 이 로크아암(4)은,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로크부(34)와,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방향에서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에 결합되는 결합로크부(35)를 갖는다. 상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만이 이탈될 때, 상기 결합로크부(35)가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를 저지하고, 상기 로크아암(4)이 상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함께 상기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가 상기 결합로크부(35)에 의해 저지되지 않도록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와 상기 결합로크부(35)를 배치한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ED FOR IT}
본 발명은, 끼워맞춤하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을 보증하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 이하,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라 한다)를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커넥터위치 보증장치의 주된 기능은, 끼워맞춤하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는 래치의 휨을 저지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끼리가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에 있다. 또,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는, 작업자가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또한 작업자가 완전한 끼워맞춤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요구된다. 이들의 것은, 전기시스템 접속의 접속신뢰성이 필요 불가결하게 되어, 제조의 수고를 최소로 하는 것이 요구되는 자동차 산업의 분야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에는, 일본국 특허 제 2647335호 공보, 동 제 264733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8-26422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한쪽에 커넥터위치보증장치가 굴곡가능한 연결부재를 통하여 이산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이 끼워맞춤된 후, 상기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커넥터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끼워맞춤상태가 잠겨진다.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끼워맞춤이 불충분하면,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커넥터하우징의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할 수가 없으므로, 작업자는 커넥터하우징 끼리의 불완전한 끼워맞춤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이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는, 끼워맞춤 가능한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과는 끼워맞춤시까지 별개체로 분리된 것으로 있다. 그 때문에, 끼우맞춤 보증장치는, 별개부재로서 취급되므로, 조립라인에 있어서 작업 스텝이 추가되어 조립공수가 복잡하게 된다.
그래서, 끼워맞춤 가능한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 중 한쪽에,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가(假)결합하여, 상기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이 끼워맞춤한 때에만 가결합위치로부터 본(本)결합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한 전기커넥터 조립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커넥터가 일본국 특개평 3-285280호 공보, 동 특개평 9-17505호 공보 등에 개시된다. 끼워맞춤장치가 가결합된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을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에 끼워맞춤시키면, 커넥터위치 보증장치가 커넥터하우징 끼리의 끼워맞춤의 로크해제를 저지하는 위치까지 진입하여 커넥터하우징과 끼워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재차 가결합위치까지 되돌리지 않는한,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을 분리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커넥터하우징에 장착하던가, 또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가결합위치로부터 본결합위치까지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커넥터하우징 끼리의 끼워맞춤을 잠금하고,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던가, 또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본 결합위치로부터 가결합위치까지 되돌리는 동작에 의해, 커넥터하우징 끼리의 끼워맞춤의 잠금을 해제한다. 그 때문에,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끼워맞춤의 해제에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의 빼내는 동작과,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빼내는 2개의 동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를 포함하고,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착탈동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부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부착 커넥터조립체가 끼워맞춤 상태로 있는 경우의 측단면의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위치 보증장치가 결합된 플러그형 하우징의 일부가 측단면으로 된 사시도.
도 4는, 플러그형 하우징에 삽입상태로 결합되는 로크아암의 사시도.
도 5는,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플러그형 하우징(2)의 이탈방지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플러그형 하우징(2)의 이탈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커넥터조립체
2. 플러그형 하우징(커넥터하우징)
3. 리셉터클형 하우징(커넥터하우징)
4. 로크아암(커넥터위치 보증장치)
32. 슬라이드로크(slide lock),
33. 탄성아암
34. 끼워맞춤로크부
35. 결합로크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조립체는, 끼워맞춤 가능한 한쌍의 커넥터하우징(2, 3)과, 이 커넥터하우징(2, 3)의 한쪽(2)에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커넥터하우징(2, 3)을 끼워맞춤한 때에, 그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아암(4)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아암(4)은,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로크부(34)와,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방향에서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에 결합되는 결합로크부(35)를 갖고, 상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만이 이탈될 때, 상기 결합로크부(35)가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를 저지하고, 상기 로크아암(4)이 상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함께 상기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으로부터 이탈될때,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가 상기 결합로크부(35)에 의해 저지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커넥터조립체의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만이 이탈될 때,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과 끼워맞춤로크부(34)에서 끼워맞춤하고 있는 로크아암(4)이 남겨지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결합하는 결합로크부(35)가 동작상태로 되어,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를 저지한다. 그 때문에, 전선을 인장(引張)하는 등에 의해, 한쪽의 커텍터하우징(2) 만이 이탈하려고 하여도, 한쌍의 커넥터하우징(2, 3)의 이탈이 저지된다.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에 결합된 로크아암(4)이 이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함께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으로부터 이탈될 때,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3)과 끼워맞춤로크부(34)에서 끼워맞춤하고 있는 로크아암(4)이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결합하는 결합로크부(35)가 해제상태로 되어,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의 해제가 저지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로크아암(4) 또는 로크아암(4) 및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의 양방을 인장하면, 한쌍의 커넥터하우징(2, 3)이 이탈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로크아암(4)은, 탄성아암(33)을 구비하고, 이 탄성아암(33)의 선단에,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와 상기 결합로크부(35)가 그 작용방향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아암(33)의 선단에 상기 끼워맞춤로크부(34)와 상기 결합로크부(35)가 그 작용방향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결합로크부(35)가 잠금위치로 되면 끼워맞춤로크부(34)도 잠금위치로 되고, 결합로크부(35)가 해제위치로 되면 끼워맞춤로크부(34)도 해제위치로 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로크아암(4)은,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에 대하여 끼워맞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이동에 의해, 상기 결합로크부(35)가 결합위치와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조립체는, 로크아암(4)이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하여 끼워맞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로크부(35)의 결합위치와 해제위치가 로크아암(4)의 축방향의 근소한 이동으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방(mating side) 커넥터(3)와의 끼워맞춤용의 탄성아암(33)을 구비하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4)를 상대방 커넥터(3)에 끼워맞춤되는 커넥터하우징(2)내에 결합한다. 상기 탄성아암(33)의 선단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측에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 대한 결합부(35)를 설치한다. 상기 탄성아암(33)의 선단의 안쪽으로 향하는 측에 상대방 커넥터(3)에 대한 끼워맞춤부(3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아암(33)은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35)가 결합하는 위치와 상기 결합부(35)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결합된다. 상기 상대방 커넥터(3)가 상기 커넥터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결합부(35)가 결합위치로 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과 상기 탄성아암(33)이 함께 상기 상대방 커넥터(3)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결합부(35)가 분리되는 위치로 된다.
상기 커넥터의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에 결합된 탄성아암(33)의 선단에 상대방 커넥터하우징(3)에 대한 끼워맞춤부(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과 탄성아암(33)의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탄성아암(33)의 선단의 결합부(35)가 한쪽의 커넥터하우징(2)에 대하여 결합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되어, 상기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위치 또는 해제위치의 어느 것인가로 전환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부착 전기커넥터조립체,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부착 전기커넥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부착 전기커넥터조립체가 끼워맞춤 상태로 있는 경우의 측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기커넥터 조립체(커넥터위치 보증장치부착 커넥터조립체)(1)는, 플러그형 하우징(커넥터하우징)(2)과, 리셉터클형 하우징(커넥터하우징)(3)을 갖는다. 플러그형 하우징(2)은, 도시 생략된 전선측의 암컷형 커넥터로서,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로서의 로크아암(4)이 미리 결합된 것이다. 리셉터클형 하우징(커넥터하우징)(3)은, 스킵(squib)의 홀더측의 수컷형 커넥터로서, 단락 인서트(5)가 미리 장착된 것이다.
도 3은, 커넥터위치 보증장치(4)가 결합된 플러그형 하우징의 일부가 측단면으로 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형 하우징(2)은, 중앙플러그부분(11)과, 통부(12)와, 확장부(14)를 갖는다. 중앙플러그부분(11)은 한쌍의 암컷형 단자부재(10)를 유지한다. 통부(12)는 중앙플러그부분(11)의 기부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수용공간(13)은 통부(12)의 내부에 형성된다. 확장부(14)는 통부(12)의 일부로부터 직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넥터위치 보증장치로서의 로크아암(4)을 수용하는 아암수용공간(15)을 확장부(14)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플러그부분(11)에는 한쌍의 암컷형 단자부재(10)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암컷형 단자부재(10)의 삽압방향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리테이너(17)가 중앙플러그부분(11)에 조립되어 있다. 또, 중앙플러그부분(11)의 단자수용실(16)에 인접하는 외팔보의 렌스(lance)(결합 아암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플러그부분(11)의 기부에는, 암컷형 단자부재(10)에 접속되는 전선(6)을 둘러싸서 노이즈를 해제하는 페라이트 비드(19)와, 전선(6)에 대한 밀봉용의 고무플러그(20)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 수용공간(13)의 안측의 중앙플러그부분(11)의 외주에 밀봉링(21)이 끼워넣어지며, 이 밀봉링(21)에 의해 후술하는 리셉터클형 하우징(3)과의 사이에서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또, 도 3의 부호 22는, 전선(6)에 대한 보호캡이다.
도 2에 있어서, 단자부재(10)를 삽입하면, 그 선단이 렌스(18)를 밀어내리면서 진행하고, 단자부재(10)의 직사각형의 오목한 곳에 렌스(18)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하여, 단자부재(10)가 빠지지 않는 상태로 된다.
도 4는, 플러그형 하우징(2)에 삽입상태로 결합되는 로크아암(4)의 사시도이다. 로크아암(4)은, 풀링핸들(31)과, 슬라이드로크(32)와, 탄성아암(33)과, 탄성아암(33)의 선단 내향의 끼워맞춤로크부(34)와, 탄성아암(33)의 선단 외향의 결합로크부(35)를 갖는다. 끼워맞춤로크부(34)와 결합로크부(35)는 로크작용의 방향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로크(32)가 아암수용공간(15)의 양측에 형성된 단(段)(23)에 결합된다. 이 단(23)이 축방향으로 개구하는 형상에 의해, 로크아암(4)은 플러그형 하우징(2)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ε만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부(14)의 선단의 내향으로 결합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아암(4)의 결합로크부(35)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탄성아암(33)의 외향의 변형이 저지된다.
로크아암(4)이 전진위치에 있으면, 간격 ε이 넓어지고, 간격 δ가 좁게 되어, 로크아암(4)과 확장부(14)의 결합로크부(24, 35)가 결합상태로 된다. 결합로크부(24, 35)가 결합되면, 아암(33)의 탄성변형이 저지되며, 끼워맞춤로크부(34)의 끼워맞춤이 유지된다.
로크아암(4)이 후퇴위치에 있으면, 간격 ε이 좁아지고, 간격 δ가 넓게되어, 로크아암(4)과 확장부(14)의 결합로크부(24, 35)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결합로크부(24, 35)가 해제되면, 아암(27)의 외측으로의 변형이 허용되며, 끼워맞춤로크부(34)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형 하우징(3)은,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기에 설치되는 스킵 홀더의 일부로서 구비된다. 스킵에는 2본의 수컷형 단자인핀(41)을 통하여 점화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공급된다. 이 리셉터클형 하우징(3)은, 핀(41)이 돌설되는 기부(42)와, 핀(41)의 주위로서, 기부(42)로부터 돌설되는 원통부(43)를 갖는 소켓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43)의 외주에는, 로크아암(2)의 끼워맞춤로크부(34)에 대한 끼워맞춤 돌기(44)와, 플러그형 하우징(2)의 통부(12)에 설치된 홈(25)에 끼워지는 위치결정용의 볼록돌기(4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소켓을 형성하는 통부(12)내에 단락장치로서의 단락인서트(5)가 삽입되어 있다. 단락인서트(5)는 통부(12)내에 받아들여지는 원주상의 본체(51)와, 단락그립(5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51)에는, 플러그형 하우징(2)의 중앙플러그부분(11)이 진입하는, 상면과 양 측면이 개구하는 개구부(53)가 설치되어 있다. 단락그립(52)은, 탄성적인 도전성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립(52)의 선단의 일부는, 양방의 핀(41)에 맞접하는 방향으로 편향되고, 그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회로를 형성한다. 이 단락인서트(5)가 리셉터클형 하우징(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2본의 핀(41)은 전기적으로 단락된 채이다.
도 2에 명료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형 하우징(3)으로 향하여 플러그형 하우징(2)이 끼워넣어지면, 리테이너(17)가 단락그립(52)을 외측으로 변형시키기 때문에, 양방의 핀(41)에 대한 전기적인 단락이 해제된다. 동시에, 로크아암(4)의 선단의 끼워맞춤로크부(34)가, 원통부(43)의 끼워맞춤돌기(44)를 타고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형 하우징(3)에 대한 플러그형 하우징(2)의 끼워맞춤상태가 잠겨진다.
전술한 구조의 전기커넥터(1)의 동작을, 도 5∼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형 하우징(2)의 이탈방지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러그형 하우징(2)의 이탈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양 커넥터하우징(2, 3)을 끼워맞춤시키는 때에는, 로크아암(4) 또는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과 로크아암(4)의 양방을, 리셉터클형 하우징(3)으로 향하여 밀어넣는다.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과 로크아암(4)은 상호 이동가능한 상태이므로, 결합로크부(35)와 결합돌기(24)의 결합이 잠겨지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탄성아암(33)이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하므로서, 끼워맞춤로크부(34)가 끼워맞춤돌기(44)를 타고넘어, 도시한 끼워맞춤위치로 된다.
이 끼워맞춤시에, 수컷형 단자인 핀(41)이 암컷형 단자부재(10)에 끼워넣어져, 양 단자간의 전기적 도통이 확보된다. 동시에, 핀(41)과 단락그립(52) 사이에 리테이너(17)가 끼어드는 것에 의해 핀(41)의 전기적 단락이 해제된다. 그리고,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끼워맞춤상태의 확인은,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위치관계에 의해, 예를 들면 도시한 간격 L을 눈으로 보아 적절한가 아닌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행할 수가 있다.
도 6에 있어서, 전선(6)만이,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을 빼는 방향으로 인장되면,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이 전선(6)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끼워맞춤로크부(34)와 끼워맞춤돌기(44)의 끼워맞춤에 의해, 로크아암(4)은 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만이로크아암(4)으로 향하여 이동하여, 간격 δ이 거의 없게 되고, 결합로크부(35)와 결합돌기(24)가 결합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로크아암(4)의 탄성아암(33)은 변형이 저지되며, 끼워맞춤로크부(34)와 끼워맞춤돌기(44)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저지된다. 즉, 전선(6)만을 인장한 경우,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이탈이 저지된다.
도 7에 있어서, 로크아암(4) 또는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과 로크아암(4)의 양방을, 리셉터클형 하우징(3)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당긴다.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과 로크아암(4)은 상호 이동가능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간격 δ가 확보되어, 결합로크부(35)와 결합돌기(24)의 결합이 개방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탄성아암(33)이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하므로서, 끼워맞춤로크부(34)가 끼워맞춤 돌기(44)를 타고넘어,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을 이탈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조립체에 의하면,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끼워맞춤시에는, 로크아암(4) 또는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과 로크아암의 양방을, 리셉터클형 하우징(3)으로 향하여 밀어넣는 것 만으로, 끼워맞춤이 가능하다. 이 끼워맞춤과 동시에 수컷형 단자(41)의 전기적 단락도 해제될 수 있다. 또, 끼워맞춤 상태는,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끼워맞춤방향의 위치관계에서 눈으로 확인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시에는, 밀봉링(21) 및 고무플러그(20)(도 5참조)에 의해,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로크아암(4)은 이들 밀봉부재(20, 21)의 외측에 있어서, 양 커넥터의 밀봉성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의 전선(6)만이 인장되면, 끼워맞춤로크부(34)와끼워맞춤 돌기(44)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저지되어, 양 커넥터하우징(2, 3)이 빠지는 일이 없고, 끼워맞춤의 로크상태가 확보된다. 로크아암(4) 또는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과 로크아암의 양방, 즉, 통상의 플러그형 커넥터하우징(2)의 빼냄 동작의 경우에는, 끼워맞춤로크부(34)와 끼워맞춤 돌기(44)의 끼워맞춤이 해제가능하게 되어, 양 커넥터하우징(2, 3)을 이탈시킬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각종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양 커넥터하우징(2, 3)의 암수의 관계가 역으로 되어도 된다. 또, 양 단자(10, 41)의 암수의 관계가 역으로 되어도 된다. 또, 단락인서트를 갖는 경우의 전기커넥터를 설명하였지만, 단락인서트를 생략한 전기커넥터라도 된다. 또, 단자의 수도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본 이상이 일열 또는 복수열로 배설되는 전기커넥터라도 된다. 또, 단자부분에 대한 물밀봉이 시행되는 경우에 전기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물밀봉이 요구되지 않는 전기커넥터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의 착탈이 로크아암을 포함하는 한쪽의 커넥터하우징의 밀고 당김 동작에 의해 행해져, 신속한 착탈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전선만을 인장하는 바와 같은 경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만이 인장되면, 한쪽의 커넥터하우징의 착탈이 저지되므로, 끼워맞춤 보증도 확실하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상술한 동작으로 행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를 한쪽의 커넥터하우징에 탄성아암을 이동자유롭게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공될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4)

  1. 끼워맞춤 가능한 한쌍의 커넥터하우징과, 이 커넥터하우징의 한쪽에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커넥터하우징을 끼워맞춤한 때에, 그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아암을 구비하고 ;
    상기 로크아암은,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로크부와, 상기 끼워맞춤로크부의 해제방향에서 한쪽의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로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만이 이탈될 때 상기 결합로크부가 상기 끼워맞춤로크부의 해제를 저지하고, 상기 로크아암이 상기 한쪽의 커넥터하우징과 함께 상기 다른쪽의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끼워맞춤로크부의 해제가 상기 결합로크부에 의해 저지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로크부가 상기 로크아암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 제 1항 있어서,
    상기 로크아암은, 탄성아암을 구비하고, 이 탄성아암의 선단에, 상기 끼워맞춤로크부와 상기 결합로크부가 그 작용방향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커넥터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아암은, 한쪽의 커넥터하우징에 대하여 끼워맞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이동에 의해, 상기 결합로크부가 결합위치와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4. 상대방 커넥터;
    상기 상대방 커넥터에 끼워맞춤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용의 탄성아암을 갖는 커넥터위치 보증장치;
    상기 커넥터 하우징내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아암 선단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 상기 탄성아암 선단의 안쪽으로 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아암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위치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결합부가 결합위치로 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탄성아암이 함께 상기 상대방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결합부가 분리되는 위치로 되도록, 상기 결합부가 탄성아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20039209A 2001-07-09 2002-07-08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100881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7193A JP3607884B2 (ja) 2001-07-09 2001-07-09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JPJP-P-2001-00207193 2001-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37A true KR20030007037A (ko) 2003-01-23
KR100881499B1 KR100881499B1 (ko) 2009-02-05

Family

ID=1904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09A KR100881499B1 (ko) 2001-07-09 2002-07-08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59789B2 (ko)
EP (1) EP1276180B1 (ko)
JP (1) JP3607884B2 (ko)
KR (1) KR100881499B1 (ko)
CN (1) CN1265510C (ko)
DE (1) DE60205545T2 (ko)
HK (1) HK1051746A1 (ko)
TW (1) TW5884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732B1 (ko) * 2005-01-04 2007-03-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2658A1 (fr) * 2002-07-16 2004-01-23 Radiall Sa Boitier d'element de connecteur coaxial et element de connecteur coaxial
DE10350652B3 (de) * 2003-10-29 2005-06-30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ergehäuse mit Kurzschlußbrücke
US6896524B1 (en) * 2004-01-29 2005-05-24 Delphi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socket connector
DE102005013633B4 (de) * 2005-03-24 2012-11-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system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er
US7131854B1 (en) * 2005-08-31 2006-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irba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JP4713380B2 (ja) * 2006-03-24 2011-06-2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スクイブコネクタ
JP5144404B2 (ja) * 2008-07-04 2013-02-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4784673B2 (ja) *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53150B2 (ja) * 2010-09-16 2015-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5721473B2 (ja) 2011-03-01 2015-05-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5424B2 (ja) * 2012-01-17 2015-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926355B2 (en) * 2012-06-29 2015-01-06 Lea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assembly
JP2016012422A (ja) * 2014-06-27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45526B2 (ja) * 2014-10-17 2017-1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0355414B1 (en) 2018-02-08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6800921B2 (ja) * 2018-08-01 2020-12-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886264B1 (en) * 2020-03-27 2023-11-08 Aptiv Technologies Limi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US11594838B2 (en) * 2020-04-28 2023-02-28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11710927B2 (en) * 2021-06-01 2023-07-2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nd mechanical assis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287U (ko) * 1988-07-27 1990-02-09
JP2537302B2 (ja) 1990-03-01 1996-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確認装置
US5120255A (en) * 1990-03-01 1992-06-09 Yazaki Corporation Complete locking confirming device for confirming the complete locking of an electric connector
JPH0770340B2 (ja) * 1990-03-27 1995-07-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US5217390A (en) * 1990-04-16 1993-06-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DE19500959C2 (de) 1995-01-14 1996-11-21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5681178A (en) 1995-06-27 1997-10-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228854B2 (ja) * 1995-09-21 2001-11-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458034B2 (ja) * 1995-12-28 2003-10-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解除機構
JP3086849B2 (ja) * 1996-08-06 2000-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3685290B2 (ja) * 1997-07-01 2005-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261115B1 (en) * 1999-06-11 2001-07-17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Connector module
JP3427743B2 (ja) * 1998-08-20 2003-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3817089B2 (ja) * 1999-06-11 2006-08-30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741351B2 (ja) * 1999-10-26 2006-02-01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508015B2 (ja) * 1999-12-03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732B1 (ko) * 2005-01-04 2007-03-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6180B1 (en) 2005-08-17
CN1265510C (zh) 2006-07-19
EP1276180A2 (en) 2003-01-15
EP1276180A3 (en) 2004-01-02
TW588482B (en) 2004-05-21
KR100881499B1 (ko) 2009-02-05
HK1051746A1 (en) 2003-08-15
CN1396680A (zh) 2003-02-12
JP2003022876A (ja) 2003-01-24
US6659789B2 (en) 2003-12-09
DE60205545T2 (de) 2006-06-08
JP3607884B2 (ja) 2005-01-05
US20030008546A1 (en) 2003-01-09
DE60205545D1 (de)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499B1 (ko)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US5718596A (en) Connector engaging structure
EP0622869B1 (en) Connector device
EP187387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893277B2 (en) Squib connector assembly with CPA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JP3165909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CN111095688B (zh) 连接器
US10164371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er for terminal
JPH08213103A (ja) 電気コネクタ
US497831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operable shorting bar
JPH09147948A (ja) 電気端子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5302715A (ja) 電気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CA2352541A1 (en) Electrical plug housing
US20090098758A1 (en) Connection system and squib connector therefor
CN110911891B (zh) 连接器结构
US7303423B2 (en) Squib-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engagement means
CN112005446B (zh) 连接器位置保证构件
KR20180120597A (ko) 안전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EP0975061A2 (en) A watertight connector with inertial locking mechanism
JP2544953Y2 (ja) コネクタ
JP3047175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2022034486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2090577A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組立体の保護装置
CN111106490B (zh) 嵌合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