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732B1 - 커넥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732B1
KR100700732B1 KR1020050000633A KR20050000633A KR100700732B1 KR 100700732 B1 KR100700732 B1 KR 100700732B1 KR 1020050000633 A KR1020050000633 A KR 1020050000633A KR 20050000633 A KR20050000633 A KR 20050000633A KR 100700732 B1 KR100700732 B1 KR 10070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ar
locking bar
connector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087A (ko
Inventor
김경준
노명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7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 D01D5/16Stretch-spinning methods using rollers, or like mechanical devices, e.g. snubbing pi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02J13/005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rotating ro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은 상대 커넥터(40)가 진입가능한 단자안착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12)에는 중앙축(18)을 기준으로 상기 단차안착공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타측이 상/하 구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록킹바(20)가 구비되는 하우징본체(10)와, 상기 록킹바(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록킹바(20)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록킹바(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버(30)와, 상기 레버(30)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각단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바(20)를 따라 이동된 레버(3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및 간섭물에 의해 레버(30)가 눌리더라도 하우징본체(10)와 상대 커넥터(4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커넥터, 탄성, 단자, 록킹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hous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체결과정을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해체과정을 도시한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본체 12 : 단자안착공간
14 : 관통구 16 : 스프링안착홈
17 : 걸림턱 18 : 중앙축
20 : 록킹바 22 : 기준바
24 : 구동바 26 : 기준스토퍼
28 : 구동스토퍼 30 : 레버
32 : 밀판부 34 : 구동차
36 : 스프링안착부 38 : 압축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본체에 대해 상대 커넥터를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은 크게 하우징본체(1)와 레버(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1)는 상대 커넥터가 진입할 수 있는 단자안착공간(3)이 그 내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안착공간(3)에는 상기 상대 커넥터를 하우징본체(1)에 고정할 수 있는 레버(5)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5)는 그 중단부가 상기 단자안착공간(3)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부를 기준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탄성변형되며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레버(5)는 중단부를 기준으로 기준부(7)와 구동부(9)로 구분된다. 상기 기준부(7)는 상방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힘을 가하면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9)는 상기 기준부(7)와 동축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기준부(7)와 반대로 하방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부(7)에 힘을 가할 때 상기 구동부(9)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기준부(7)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9)의 중앙부에는 상대 커넥터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공(9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상기 단자안착공간(3)에 고정된 때 상기 기준부(7)에 힘을 가하여 상기 구동부(9)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돌기는 상기 걸림공(9a)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대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본체(1)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해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하우징본체(1)에 상대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중 상기 레버(5)에 전선 및 간섭물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레버(5)의 구동부(9)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9)의 걸림공(9a)에 삽입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의 돌기가 이탈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가 하우징본체(1)로부터 해체됨으로써 커넥터에 의한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본체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본체에 대한 상대 커넥터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가 진입가능한 단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에는 중앙축을 기준으로 상기 단차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측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타측이 상/하 구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록킹바가 구비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록킹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록킹바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록킹바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각단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바를 따라 이동된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바는, 상기 중앙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는 기준바와, 상기 중앙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상대적으로 얇은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축과 기준바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으로 진입한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가능하게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공이 관통 형성되는 구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는 상기 기준바가 상기 레버에 의해 눌려질 때 상방으로 들려져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차를 이탈되게 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를 해제시킨다.
상기 록킹바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레버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레버에 힘이 가해져 상기 레버가 상기 록킹바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고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축코일스프링이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레버의 이동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는 지점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및 간섭물에 의해 레버가 눌리더라도 하우징본체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본체(10)는 그 내부로 상대 커넥터(도 7 및 도 8의 40)가 진입될 수 있는 단자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단자안착공간(12)을 따라 이동되는 이하에서 설명될 레버(30)의 밀판부(3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관통구(14)가 상기 단자안착공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탄성수단인 압축코일스프링(38)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는 스프링안착홈(16)이 이하에 서 설명될 스프링안착부(36)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공간(12)에는 상기 상대 커넥터(40)를 하우징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록킹바(20)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바(20)는 중앙축(18)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기준바(22)와 구동바(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앙축(18)은 상기 단자안착공간(12)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도 6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축(18)의 상단에는 상기 록킹바(20)가 대략 직각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록킹바(20)의 기준바(22)는 상기 중앙축(18)으로부터 상기 단자안착공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바(20)의 구동바(24)는 상기 중앙축(18)으로부터 상기 단자안착공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기준바(22)와 구동바(24)는 상기 중앙축(18)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서로 동축배열된다.
이때 상기 기준바(22)와 구동바(24)는 상기 중앙축(18)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뻗어나갈 때 상방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바(22)와 구동바(24)에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되며 하방으로 이동되고,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기준바(22)는 상기 구동바(24)에 비해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바(22) 상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기준바(22)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중앙축(18)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있는 상기 구동바(24)는 상기 중앙축(18)이 상기 기준바(22)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동바(24)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걸림공(24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4a)은 상기 단자안착공간(12)으로 진입한 상대 커넥터(40)의 돌기(42)가 삽입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4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바(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레버(3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중 상기 기준바(22)의 끝단에 형성된 기준스토퍼(26)는 상기 레버(30)가 상기 기준바(22)의 상단을 따라 미끄러지며 전진할 때 그 전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중 상기 구동바(24)의 끝단에 형성된 구동스토퍼(28)는 상기 레버(30)가 이하에서 설명될 탄성수단에 의해 원위치로 밀려날 때 상기 하우징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후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중앙축(18)과 록킹바(20)는 서로 몰드물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중앙축(18)과 록킹바(20)가 별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러한 경우 상기 중앙축(18)과 록킹바(20)를 결합하는데 추가적인 작업 및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레버(30)는 상기 록킹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되어 상기 록킹바(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레버(30)는 크게 밀판부(32)와 구동차(34)와 스프링안착부(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판부(32)는 상기 레버(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4)를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4)는 상기 록킹바(20)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판부(32)는 상기 관통구(14)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버(30)가 상기 록킹바(20)의 상단에서 슬라이드되게 한다.
상기 구동차(34)는 상기 밀판부(32)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록킹바(2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상기 레버(30)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차(34)의 양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록킹바(2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차(34)의 중앙부는 상기 록킹부에 대응되고 양단부는 상대 커넥터(40)에 대응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40)가 상기 단자안착공간(12)에 진입될 때 상기 상대 커넥터(40)와 함께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안착부(36)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스프링안착홈(16)과 협력하여 탄성수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압축코일스프링(38)을 지지한다. 즉, 상기 스프링안착부(36)는 상기 레버(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8)의 내부로 삽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안착부(36)는 상기 레버(30)의 양단에 상기 레버(30)의 중심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안착부(36)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8)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레버(30)가 구동될 때 비틀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수단은 상기 레버(30)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각단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바(20)를 따라 이동된 상기 레버(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수단으로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38)이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압축코일스프링(38)은 상기 스프링안착부(36)와 스프링안착홈(16)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8)은 상기 레버(30)에 힘이 가해져 상기 레버(30)가 상기 록킹바(20)를 따라 이동하면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고, 상기 레버(30)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레버(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대 커넥터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대 커넥터(40)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0)의 단자안착공간(12)에 진입시키면,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선단은 레버(30)의 구동차(34)에 접촉하여 상기 레버(30)도 동시에 전진되게 한다. 이때 상기 레버(30)는 록킹바(20)의 구동바(24) 상면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3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바(24)의 일단에서 중앙축(18)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구동차(34)가 상기 록킹바(20)의 중앙축(18)에 도착하면 상기 구동바(24)에는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상기 구동바(24)는 비교적 작은 힘에도 상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대 커넥터(40)가 진입되면서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돌기(42)가 도 7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바(24)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며 진입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 (24)의 중앙부에는 걸림공(2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42)는 상기 걸림공(24a)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대 커넥터(4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레버(30)의 구동차(34)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걸림턱(17)에 걸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들려 기울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걸림턱(17)의 모서리가 챔퍼 처리되어 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방으로 들린 구동차(34)는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미는 힘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차(34)가 상기 상대 커넥터(40)에 의해 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38)에 축적된 탄성력이 발휘되면서 상기 레버(30)는 도 7c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후진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30)는 상기 록킹바(20)의 기준바(22)로부터 중앙축(18)을 지나 구동바(24)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는 상기 구동바(24)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상기 구동바(24)의 걸림공(24a)에 삽입된 돌기(42)가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40)는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8)에 의해 후진된 레버(30)는 상기 구동바(24)의 일단에 형성된 구동스토퍼(28)에 의해 그 이동이 원위치에서 멈추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대 커넥터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에 대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대 커넥터(40)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레버(30)의 밀판부(32)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밀어야 한다. 이때 상기 밀판부(32)는 상기 하우징본체(10)에 형성된 관통구(14)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의 하단에 형성된 구동차(34)도 상기 구동바(24)와 중앙축(18)을 지나 기준바(22)로 향하게 된다.
상기 레버(30)의 구동차(34)가 상기 기준바(22)에 위치되어 상기 기준바(22)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상기 기준바(22)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구동바(24)를 도 8a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바(24)의 걸림공(24a)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돌기(42)가 이탈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30)의 전진은 상기 기준바(22)의 일단에 형성된 기준스토퍼(26)에 의해 그 범위가 제한된다.
이렇게 상기 레버(30)가 상기 기준스토퍼(26)에 다다르면,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돌기(42)는 상기 걸림공(24a)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이므로 상기 상대 커넥터(40)는 상기 하우징본체(10)로부터 손쉽게 해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대 커넥터(40)가 상기 하우징본체(10)를 완전히 빠져 나갈 때까지 상기 레버(30)를 상기 기준스토퍼(26)에 접촉되게 하는 힘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상대 커넥터(40)가 완전히 해체되면 상기 레버(3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해도 된다. 그러면 상기 레버(30)가 전진하면서 상기 레버(30)의 스프링안착부(36)와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스프링안착홈(16) 사이에서 압축되었던 압축코일스프링(38)이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레버(30)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는 후진하여 상기 기준바(22)에서 상기 구동바(24)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상기 레버(30)는 상기 구동스토퍼(28)에 의해 그 이 동이 멈추게 될 때까지 이동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가 하우징본체에 결합된 때 상기 상대 커넥터를 실질적으로 고정하는 록킹바가 레버에 의해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및 간섭물에 의해 레버가 눌리더라도 하우징본체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본체로 진입됨에 의해 레버를 전진시키고 상기 전진된 레버는 탄성수단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록킹바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버를 수동으로 전진시킴에 의해 상기 상대 커넥터가 록킹바로부터 해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되는 레버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본체에 비교적 손쉽게 결합 및 해체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상대 커넥터가 진입가능한 단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에는 중앙축을 기준으로 상기 단차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타측이 상/하 구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록킹바가 구비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록킹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록킹바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록킹바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각단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바를 따라 이동된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바는, 상기 중앙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는 기준바와,
    상기 중앙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상기 기준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축과 기준바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으로 진입한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가능하게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공이 관통 형성되는 구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는 상기 기준바가 상기 레버에 의해 눌려질 때 상방으로 들려져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차를 이탈되게 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를 해제시키며,
    상기 록킹바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레버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레버에 힘이 가해져 상기 레버가 상기 록킹바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고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축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레버의 이동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는 지점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KR1020050000633A 2005-01-04 2005-01-04 커넥터하우징 KR10070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633A KR100700732B1 (ko) 2005-01-04 2005-01-04 커넥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633A KR100700732B1 (ko) 2005-01-04 2005-01-04 커넥터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087A KR20060080087A (ko) 2006-07-07
KR100700732B1 true KR100700732B1 (ko) 2007-03-27

Family

ID=3717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633A KR100700732B1 (ko) 2005-01-04 2005-01-04 커넥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53B1 (ko) * 2007-02-28 2009-02-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0823341B1 (ko) * 2007-02-28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653A (ja) * 1995-12-28 1997-09-09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11204202A (ja) 1998-01-13 1999-07-30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0082542A (ja) * 1998-09-08 2000-03-2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20030007037A (ko) * 2001-07-09 2003-01-23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653A (ja) * 1995-12-28 1997-09-09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11204202A (ja) 1998-01-13 1999-07-30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0082542A (ja) * 1998-09-08 2000-03-2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20030007037A (ko) * 2001-07-09 2003-01-23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087A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244B2 (en)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JP2019525433A (ja) ばね力締付接続部
EP0981185B1 (en) Fitting detecting connector
US8292330B2 (en) Insertable tube system for a vacuum cleaner
US9859639B2 (en) Connector
JP2013187117A (ja) コネクタ
JP7012829B2 (ja) プラグイン方向に可動なロック要素を有するプラグソケット
CN107054177B (zh) 扶手装置
JP2013187116A (ja) コネクタ
US6050838A (en) Connector housing having temporary lock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ly engaging with another connector housing
CN103238255A (zh) 连接器组件
CN102529769A (zh) 用于车辆座椅的头托
JP2001338727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100700732B1 (ko) 커넥터하우징
JP7419527B2 (ja) 接続構成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4179129B2 (ja) コネクタ
KR101832645B1 (ko) 커넥터
US7002091B2 (en) Shaving head cleaner
JP7405974B2 (ja) 接続装置、接続クランプ、及び電子装置
JP2002270302A (ja) コネクタ
US7294798B2 (en) Mechanical locking device for contactors, and auxiliary tool therefor
JP2009512991A (ja) 接触ハウジング並びに電気的な接触装置
US20210316645A1 (en) Headrest Locking Device
KR20150115640A (ko) 커넥터
KR100922206B1 (ko) 커넥터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