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75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753B1
KR100881753B1 KR1020070020174A KR20070020174A KR100881753B1 KR 100881753 B1 KR100881753 B1 KR 100881753B1 KR 1020070020174 A KR1020070020174 A KR 1020070020174A KR 20070020174 A KR20070020174 A KR 20070020174A KR 100881753 B1 KR100881753 B1 KR 10088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inforcing member
coupling part
movable
pus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772A (ko
Inventor
백광식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7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바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 1 바디;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2 바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 2 바디;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함께 수용되는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위치 강화 가동부를 갖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가동부 스톱퍼가 구비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제 2 바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제 2 바디의 제 2 바디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제 1 바디 및 커넥터 제 2 바디의 결합 전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제 1 바디 및 커넥터 제 2 바디의 결합 전 진입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제 1 바디 및 커넥터 제 2 바디의 결합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제 1 바디 및 커넥터 제 2 바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도면 부호 "A"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커넥터 100...커넥터 제 1 바디
110...제 1 바디 푸시 돌기 120...제 1 바디 결합부
130...제 1 바디 가이드 200...커넥터 제 2 바디
210...강화 부재 삽입구 220...제 2 바디 결합부
221...제 2 바디 푸시 돌기 300...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
310...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 320...위치 강화 가동부
330...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 400...체결 탄성 부재
본 발명은 커넥터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용이한 구조의 램프 단자 장착이 용이한 구조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복수 개의 전기 장치를 전기적 신호의 왜곡이나 전력 손실없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터미 널 단자를 구비한다. 커넥터 바디는 서로 대향하는 커넥터 간의 기계적 접속을 허용하고, 커넥터 터미널 단자는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커넥터의 다른 커넥터 터미널 단자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커넥터 간의 기계적 접속은 다양한 결합 메카니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간의 기계적 접속을 강화하기 위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CPA; Connector Position Assuarance)를 구비한다.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는 서로 결합된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 간의 연결이 원치 않는 상황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커넥터 바디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여 별도의 연결 공정이 필요하였고,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는 양측의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연결되는 구조가 복잡하여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이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의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를 구비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작동성을 강화시킨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바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 1 바디;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2 바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 2 바디;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함께 수용되는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위치 강화 가동부를 갖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가동부 스톱퍼가 구비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를 수용하는 제 2 바디 결합부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의 일측에는 제 1 바디 푸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바디 푸시 돌기와 대응하는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를 향한 일면 상에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에는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를 안내하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의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를 향한 측면은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 일에는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동부 안내 경사면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의 상기 가동부 안내 경사면의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강화 부재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는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강화 부재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의 외주면에 제 1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바디 가이드는 상기 강화 부재 삽입구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위치 강화 부재의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로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강화 부재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체결 탄성 부재의 외주에는 주름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 탄성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관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제 2 바디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커넥터 제 2 바디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위치 강화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와, 커넥터 제 2 바디(200)와,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와 체결 탄성 부재(400)를 구비하는데, 커넥터 제 1 바디(100)는 커넥터 제 2 바디(200)와 체결되고,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와 커넥터 제 2 바디(200)가 체결되는 경우 이들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하고, 체결 탄성 부재(400)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커넥터(10)는 커넥터 제 1 바디 및 커넥터 제 2 바디에 삽입 배치되는 커넥터 터미널 단자(커넥터 제 1 터미널 단자 및 커넥터 제 2 터미널 단자)가 구비되고, 커넥터 터미널 단자와 외부 전기 요소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 케이블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커넥터 터미널 단자 및 커넥터 터미널 케이블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내부에는 커넥터 제 1 터미널 단자(미도시)가 배치되고, 커넥터 제 1 터미널 단자는 커넥터 터미널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전기 요소(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커넥터 터미널 케이블(미도시)은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일단측에 형성된 커넥터 제 1 바디 터미널 관통구(101)를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부에는 커넥터 제 2 터미널 단자 장착부(201)가 배치되는데, 커넥터 제 2 터미널 단자 장착부(201)에는 커넥터 제 2 터미널 단자 (미도시)가 배치되고 커넥터 제 2 터미널 단자는 커넥터 제 2 바디 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다른 커넥터 터미널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다른 외부 전기 요소(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커넥터 제 2 터미널 단자는 커넥터 제 1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부에는 커넥터 제 1 바디(100)를 수용하는 내부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데,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일단이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수용 공간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제 2 바디(200)는 가동부 스톱퍼(240)를 구비하는데, 가동부 스톱퍼(240)는 하기되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에 캔틸레버 타입으로 장착된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가동(회동)을 제한한다. 즉, 하기되는 바와 같이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220)가 체결되는 경우,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가동부 스톱퍼(24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구비된다. 가동부 스톱퍼(240)는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형성되는 커넥터 제 2 바디 개구(230)를 구획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일단에는 가동부 스톱퍼(240)가 구비되고,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일면 상으로 가동부 스톱퍼(240)의 인근에는 커넥터 제 2 바디 개구(230)가 구비되는데, 커넥터 제 2 바디 개구(230)를 통하여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구비되는 강화 부재 삽입구(210)가 외부와 개방되는 구조를 취한다. 커넥터 제 2 바디 개구(230)는 가동부 개구(231)와 가동부 핸들 돌기 개구(232)를 포함하는데, 가동부 개구(231)에서 후술되는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가동 운동을 허용하고, 가동부 핸 들 돌기 개구(232)는 후술되는 가동부 핸들 돌기(340)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는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과 위치 강화 가동부(320)가 구비된다.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은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수용된다. 커넥터 제 2 바디(200)에는 강화 부재 삽입구(210)가 형성되고 강화 부재 삽입구(21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의 상단 측에 형성되는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로 수용되는 경우 커넥터 제 1 바디(100)와 함께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삽입된다. 경우에 따라, 커넥터 제 1 바디(100)와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1 바디(100)는 제 1 바디 가이드(130)가 구비되고 제 1 바디 가이드(130)는 강화 부재 삽입구(210)에 삽입 배치되도록 강화 부재 삽입구(2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바디 가이드(130)는 두 개가 구비되되, 두 개의 제 1 바디 가이드(13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커넥터 제 2 바디(200)로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제 1 바디 가이드(130)의 이격 거리는 강화 부재 삽입구(210)의 내측면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커넥터 제 1 바디(1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삽입되는 경우 제 1 바디 가이드(130)가 강화 부재 삽입구(210)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커넥터 제 2 바디(200)와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에는 이들 간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의 외측에 강화 부재 가이드(311)가 구비되고, 강화 부재 삽입구(210)의 내측면에는 삽입구 가이드(21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 구체적으로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를 통하여 커넥터 제 2 바디(200)로 삽입 배치되는 경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강화 부재 가이드(311)는 삽입구 가이드(211)를 따라 안내되어 삽입 배치됨으로써, 양자 간의 보다 원활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삽입구 가이드(211)의 선단에는 삽입구 가이드(211)의 폭보다 넓은 삽입구 가이드 진입구(212)를 구비함으로써,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커넥터 제 2 바디(200)로의 삽입 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위치 강화 프레임(3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위치 강화 프레임(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위치 강화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일단은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일단만이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에 캔틸레버 타입으로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타단이 자유 운동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위치 강화 가동부(320)가 가동부 스톱퍼(240)를 벗어나 커넥터 가동부 개구(231)에 위치하고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하면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의 내측에 장착된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커넥터 제 2 바디 개구(230)의 가동부 개구(231)에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위치 강화 가동부(320) 일면 상에는 가동부 핸들 돌기(340)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 핸들 돌기(340)는 가동부 핸들 돌기 개구(232)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강화 부재 삽입구(310)에서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동부 핸드 돌기(340)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 핸들 돌기(34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가동부 핸들 돌기가 수 개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위치 강화 가동부(320)가 가동 핸들 돌기(340)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가동 핸들 돌기(340)를 통한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커넥터 제 1 바디와 커넥터 제 2 바디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를 제한하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위치 강화 가동부(320)를 가동부 스톱퍼(240)의 제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커넥터 가동부 개구(231)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체결 탄성 부재(400)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와 커넥터 제 2 바디(2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탄성 부재(400)는 강화 부재 삽입구(21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체결 탄성 부재(400)의 일단은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일단과 접하고, 체결 탄성 부재(400)의 타단은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인가된 초기 탄성력 내지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를 통하여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체결 탄성 부재(400)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탄성복원력)이 발생하고, 체결 탄성 부재(400)에 형성된 탄성 복원력이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에 전달된다.
체결 탄성 부재(400)는 천연 고무, 라텍스, 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곰, 플루오르 고무 등과 같은 합성 고무, 합성 수지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체결 탄성 부재(400)는 육면체 타입으로 구성된다. 체결 탄성 부재(400)는 내부에 체결 탄성 부재 관통구(410)를 구비한다. 체결 탄성 부재 관통구(410)는 체결 탄성 부재(40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체결 탄성 부재 관통구(410)의 크기가 줄어 탄성 체적 변화량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탄성 변형을 이루더라도 강화 부재 삽입구(310) 내에서의 원활한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체결 탄성 부재(400)의 외주면에는 체결 탄성 부재 주름홈(420)이 구비되어 체결 탄성 부재(400)의 탄성 변형량을 증대시키되 강화 부재 삽입구(310) 내에서의 원활한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 1 바디(100)와 커넥터 제 2 바디(200)는 서로 체결되는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220)를 각각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2 바디 결합부(220)는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를 구비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 구조를 취한다. 제 2 바디 결합부(220)는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제 2 바디 결합부(22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부 공간과 강화 부재 삽입구(2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바디 결합부(220)는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를 구비하는데, 커넥터 제 1 바디(1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에 수용됨으로써,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커넥터 제 2 바디(200)를 향한 측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쐐기 형상의 돌기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 1 바디 결합부(120)가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에 수용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 결합부(120)가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와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디 결합부(220)는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224)를 더 구비하는데,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224)는 커넥터 제 2 바디의 내부 공간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선단에 형성된다.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224)는 두 개의 서로 대응하며 이격 배치되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224) 는 이들 사이에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 공간(225)을 형성하는데, 제 2 바디 가이드 공간(225)은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와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제 1 바디 결합부(120)가 제 2 바디 결합부(22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224)는 제 1 바디 결합부(120)를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 공간(225)으로 안내하여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제 2 바디 결합부 수용구(223)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수용됨과 동시에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를 함께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수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일측에는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가 구비되고,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에는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330)가 구비된다.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는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외주면으로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는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예일 뿐 제 1 바디 푸시 돌기의 개수 및 배치 위치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330)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하면에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제 1 바디(1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는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330)와 맞닿고 작업자에 의하여 커넥터 제 1 바디(100)에 가해지는 힘은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와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330)의 맞물림에 전달되어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를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는 커넥터 강화 부재(300)의 커넥터 제 2 바디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도 5 및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제 2 바디 결합부(220)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를 구비하고,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을 구비하는데,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는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일면으로 커넥터 제 2 바디 개구(230)를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된다.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은 위치 가동부(320)의 하면으로 제 2 바디 결합부(220)를 향한 일면에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가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로 삽입되어 내부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에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가 삽입되어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가 이동함에 따라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과의 접촉에 의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가 제 2 바디 푸시 돌기와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위치 강화 가동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즉,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의 일측면, 구체적으로 커넥터 제 1 바디(100)를 향한 측면에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222)이 형성되고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에 가동부 안내 경사면(322)이 구비되는데, 가동부 안내 경사면(322)은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22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위치 강화 가동부(320)에는 가동부 관통구(321)가 구비되는데, 가동부 관통구(321)의 일측면으로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222)에 대응하는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222)을 구성한다. 여기서,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222)은 경사진 일면으로부터 형성되는 법선이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를 향하도록, 그리고 가동부 안내 경사면(322)은 경사진 일면으로부터 형성되는 법선이 제 2 바디 결합부(220)를 향하도록 각각 경사지는 구성을 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원치 않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의 일측면으로 가동부 안내 경사면(322)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강화 부재 스톱퍼(325)가 구비되는데, 강화 부재 스톱퍼(325)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의 단부에 단차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강화 부재 스톱퍼(325)는 가동부 안내 경사면(322)보다 작은 크기의 소정의 단차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가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로의 진입을 허용한다.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에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에 체결 탄성 부재(400)로부터의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는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가 커넥터 제 1 바디(10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강화 부재 스톱퍼(325)가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와 맞닿는 구조를 취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가 원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 내지 급격한 이탈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장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10 및 도 12는 커넥터(10)의 장착 과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 도 11, 도 13는 커넥터(10)의 장착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의 도면 부호 "A"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커넥터 터미널 단자 및 커넥터 터미널 케이블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고, 일부 단면도들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도시는 생략되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커넥터 제 1 바디(100)는 커넥터 제 2 바디(200)로의 장착을 위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커넥터 제 2 바디(200)의 강화 부재 삽입구(210)에는 체결 탄성 부재(400)가 삽입 배치되고,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가 삽입 배치된다. 이때, 제 2 바디 푸시 돌기(221)는 강화 부재 스톱퍼(325)를 넘어 커넥터 강화 부재(300)의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323)에 수용된다.
그런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1 바디(100)는 커넥터 제 2 바디(200)로 삽입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1 바디(100)의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는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330)와 맞닿아 커넥터 제 1 바디(100)에 가해지는 작업자에 의한 외력은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로 전달되어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를 이동시키는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다른 단부에는 체결 탄성 부재(40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커넥터 제 1 바디(100)에 충분한 지속적인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지속적인 이동에 의하여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222)은 가동부 안내 경사면(322)와 접촉되고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가동부 개구(231)를 향하여 회동되고, 체결 탄성 부재(400)는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을 이룬다.
그런 후, 커넥터 제 1 바디(100)에 지속적인 힘이 인가되는 경우, 제 1 바디 푸시 돌기(110)는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330)를 넘어선다. 이때, 캔틸레버 타입으로 배치된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310)에 대하여 원위치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체결 탄성 부재(400)에 축적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는 인가되었던 외력의 작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강화 가동부(320)의 단부는 가동부 개구(231)의 영역을 벗어나 가동부 스톱퍼(24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제 2 바디 결합부(220)와 체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 제 1 바디 결합부(120)는 캔틸레버 타입으로 형성된 제 2 바디 결합부(220)를 일시적으로 회동시키고 제 2 바디 결합 부 가이드(224)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 공간(225)을 통하여 제 2 바디 결합부 관통구(223)에 삽입된다. 캔틸레버 타입의 제 2 바디 결합부(220) 간의 간극은 t의 값을 가지는데, t의 값은 제 1 바디 결합부(120)와 제 2 바디 결합부 관통구(223)의 맞물림 해제를 위해 필요한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회동량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가동부 스톱퍼(240)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는 위치 강화 가동부(320)는 제 2 바디 결합부(220)의 회동을 제한하여 궁극적으로 제 1 바디 결합부와 제 2 바디 결합부 간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넥터 제 1 바디와 커넥터 제 2 바디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300)의 가동부 핸들 돌기(340)에 힘을 가하여 위치 강화 가동부(320)가 가동부 스톱퍼(240)의 제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가동부 개구(231)에 배치되도록 하고 커넥터 제 1 바디(100)와 커넥터 제 2 바디(200)에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경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결 탄성 부재는 체적 변형으로 인한 강화 부재 삽입구 내에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체결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커넥터 제 2 바디의 내부에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위치 강화 가동부와 가동부 스톱퍼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가동부 스톱퍼가 위치 강화 가동부의 회동을 저지하여 제 1 바디 결합부와 제 2 바디 결합부 간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간단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키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킨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제 1 바디 및 커넥터 제 2 바디의 원치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를 장착함에 있어, 커넥터 제 1 바디와 동시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체결 탄성 부재를 통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가동부 스톱퍼 간의 제한 및 해제를 용이하게 이루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 1 바디 푸시 돌기와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를 구비하여 양자의 맞물림에 의하여 커넥터 제 1 바디에 인가되는 힘을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에 전달하여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커넥터 제 2 바디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 1 바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 1 바디;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2 바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제 2 바디;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함께 수용되는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에 대하여 가동 가능한 위치 강화 가동부를 갖는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에 주름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관통구가 형성되는 육면체 타입의 체결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와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가동부 스톱퍼가 구비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를 수용하는 제 2 바디 결합부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제 1 바디 결합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바디 결합부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의 일측에는 제 1 바디 푸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바디 푸시 돌기와 대응하는 강화 부재 푸시 대응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 결합부의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를 향한 일면 상에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강화 가동부에는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를 안내하는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의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를 향한 측면은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에는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 경사면 에 대응하는 가동부 안내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 이동 레일의 상기 가동부 안내 경사면의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바디 푸시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강화 부재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는 상기 커넥터 위치 강화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강화 부재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의 외주면에 제 1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 제 1 바디가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바디 가이드는 상기 강화 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강화 부재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위치 강화 부재의 상기 커넥터 제 2 바디로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강화 부재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020174A 2007-02-28 2007-02-28 커넥터 KR10088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74A KR100881753B1 (ko) 2007-02-28 2007-02-28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74A KR100881753B1 (ko) 2007-02-28 2007-02-28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72A KR20080079772A (ko) 2008-09-02
KR100881753B1 true KR100881753B1 (ko) 2009-02-06

Family

ID=4002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74A KR100881753B1 (ko) 2007-02-28 2007-02-2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7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057A (ja) 2001-04-04 2002-10-1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2002305058A (ja) 2001-04-04 2002-10-18 Yazaki Corp 半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6080025A (ja) * 2004-09-13 2006-03-23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コネクタ
KR20060080087A (ko) * 2005-01-04 2006-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057A (ja) 2001-04-04 2002-10-1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2002305058A (ja) 2001-04-04 2002-10-18 Yazaki Corp 半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6080025A (ja) * 2004-09-13 2006-03-23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コネクタ
KR20060080087A (ko) * 2005-01-04 2006-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72A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066B1 (ko) 이중 래칭 및 피드백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한레버형 전기 커넥터
JP5085694B2 (ja) 光コネクタ
JP587651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04466533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US9972937B2 (en) Lever type connector
US10109954B2 (en) Lever-type connector
JP6819903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EP3179570A1 (en) Connector apparatus
KR20070037661A (ko) 활주 부재를 갖는 레버형 전기 커넥터
KR20000077115A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US20190067874A1 (en) Connector cover and assembly structure of connector with connector cover
KR20070037663A (ko) 개선된 단자 장착 하우징 수단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200802769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レバー製造方法
KR100990021B1 (ko) 커넥터 구조
KR20100117593A (ko) 커넥터 커버
JP2012054009A (ja) コネクタ
KR100881753B1 (ko) 커넥터
US8139148B2 (en) Cap structure
JPH11312551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149736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TWI840962B (zh) 電連接裝置
KR20100037688A (ko) 체결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KR20200092828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52908A (ko) 케이블 접촉용 커넥터 장치
CN217641875U (zh) 一种Pogo Pin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