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360A - 방송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360A
KR20030005360A KR1020027015534A KR20027015534A KR20030005360A KR 20030005360 A KR20030005360 A KR 20030005360A KR 1020027015534 A KR1020027015534 A KR 1020027015534A KR 20027015534 A KR20027015534 A KR 20027015534A KR 20030005360 A KR20030005360 A KR 2003000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section
section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타미츠코
요시카와마사아키
다케우치요시야스
이이노다이스케
이시바시히로요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04H20/103Transmitter-sid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Abstract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생성 송출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국의 사이에서, 공통의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생성 및 송신하는 방법을 실현한다. 그 때문에,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연계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과,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과, 연계국의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으로 대체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체대상인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을 구비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과,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함으로써, 연개하는 국의 사이에서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송신장치{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근래, 통신기술 및 데이터 처리기술의 발전에 의해 오디오 정보나 비주얼 정보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되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방송국이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경우,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 이외에, 그들 정보를 수신기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송출한다. 프로그램 제어정보는, 프로그램의 안내 정보뿐만 아니고, 영상이나 음성 등,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정보를 가리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에 동기하여 송출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프로그램 정보 생성장치로서는, 이미 제안되어 있는 종래의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 11-252516호 공보에 개시된 「방송시스템의 제어정보 생성장치」가 있다.
이 종래기술은,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에 변경이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변경검출을 행하고, 매회 송출범위내에서의 변경차분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에서는 연계국 사이에서 공유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경우에,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송신하는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연계국 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은 곤란했었다.
본 발명은, 영상·음성 등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정보와 동기하고 다중화하여 송신되는 프로그램 제어정보의 생성 및 송신을 행하는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에 사용하는 방송송신장치, 특히,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국 사이에서 공통의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생성 및 송신하는 방송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방송송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으로 작성된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되는 방송송신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2에서의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대체하는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련되는 방송송신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 3에서의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대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의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시에 사용하는 타국과 자국의 ID를 대응시킨 서비스 ID 대응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의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시에 사용하는 타국과 자국의 ID를 대응시킨 이벤트 ID 대응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고려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복수의 방송국에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서로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계하는 방송국 사이에서, 공통의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서로 연계하는 복수의 방송국 사이에서 공통의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송출하는데 있어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이라도 상기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는 방송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국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 대체되는 대상이 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연계국으로부터의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계국으로부터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 일부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타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함으로써 연계하는 국의 사이에서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의 양태로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 일부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연계국으로부터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 의해, 연계하는 국 사이에서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2의 양태로서,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고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추출하여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동일한 스트림포맷 형식으로 송수신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상세한 편집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3의 양태로서,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내용을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동일한 스트림 포맷형식으로 송수신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고속편집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4의 양태로서, 타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수취하여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미리 송신해 둘 수 있고, 또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섹션만 송신할 수있게 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편집시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5의 양태로서, 각각의 연계국에서 독립하여 작성하는 로컬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1개 또는 복수의 국에서 생성하고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거점국 등에서 로컬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정리하여 생성할 수 있고, 타 연계국에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에 대한 운용부담이나 설비를 극력 적게 할 수 있어, 스페이스 절약·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6의 양태로서, 전환신호에 따라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또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연계국의 사이에서 로컬 프로그램을 대체하는 경우에도, 프로그램 정보섹션 또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고속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7의 양태로서,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추어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또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연계국 사이에서 각각의 고유의 국설비에 대응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한층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의 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여러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방송송신장치를 사용한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101은 방송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이다. 102는 프로그램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하는 프로그램 정보 축적수단이다. 103은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자기국(이하 자국이라 함)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이다. 104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축적하여 관리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축적수단이다. 109는 다른 연계국(이하 타국이라고 함)으로부터 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프로그램 정보를 다중화한 스트림을 취득하는 스트림 취득수단이다. 105는 스트림 취득수단(109)으로부터 취득된 스트림으로부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추출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이다. 연계국 사이에서의 프로그램의 대체는, 자국의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타국의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으로 바꾼다, 라는 형태로 행해진다. 106은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103)이 생성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치환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이다. 107은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이다. 108은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송신하는 위성안테나 등의 송신수단이다. 110은 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송출하는 영상 음성데이터 송출수단이다. 111은 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출하는 다중화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서의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101)으로부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여, 프로그램 정보 축적수단(102)으로 축적 관리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103)으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 축적수단(104)으로 상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축적 관리한다.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섹션」이란,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매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택스 구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103)으로 작성된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일예를 도 2에 도시한다. 이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있어서,
table_id는, 이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관련이 있는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테이블의 식별자가 기입된다. EIT(Event information table)의 경우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기입된다.
section_syntax_indicator는 섹션신택스를 지시하는 데이터이다.
section_length는 섹션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것은 섹션 길이 필드의 직후로부터 섹션의 최후까지의 섹션의 바이트수를 규정한다.
service_id는 서비스식별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것은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내의 다른 서비스로부터 이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라벨의 역할을 한다.
event_id는, 이벤트 ID, 프로그램 식별을 나타낸다, 서비스 내에서 프로그램마다 유니크하게 부여된다.
start_times는, 상기의 event_id를 가지고, 프로그램의 개시시각을 나타낸다.
duration_times는 상기의 event_id를 갖는 프로그램의 계속시간을 나타낸다.
한편,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105)은, 스트림 취득수단(109)으로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다중화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고,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로 분리하여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취득하고, 연계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 일부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자국용의 연계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한다.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106)으로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축적수단(104)으로 축적 관리하고 있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105)으로 생성한 연계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하여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한다.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107)으로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고, 다중화수단(111)으로 영상 음성데이터 송출수단(110)으로부터 송출되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로 다중화하고, 자국용의 스트림으로서 송신수단(108)으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은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로서 다중화하여 배신하는 것으로 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프로그램 정보스트림과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스트림과는 별개로 수취하여 배신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에서의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연계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하는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되는 방송송신장치를 사용한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의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은, 연계하는 상대국, 즉 타국의 방송송신장치(200)와 자국의 방송송신장치(210)에 의해 구성된다.
도 3 중의 타국의 방송송신장치(200)에서, 201은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이다. 202는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생성 송출수단이다. 203은 연계하는 상대측의 방송송신장치(201)에 프로그램의 전환을 통지하는 전환수단이다.
도 3 중의 자국의 방송송신장치(210)에서, 211은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이다. 212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이다. 213은 타국으로부터 당해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이다. 214는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부터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검출(또는 추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검출수단이다. 215는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이다. 216은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대체하고,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이다. 217은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이다. 218은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01)에 대하여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는 연계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이다.
또한, 상기 이외에,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송출하는 영상음성 송출수단이나,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과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송출하는 다중화 수단 등을 필요로 하지만, 본 실시예의 주안점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타국측의 방송송신장치(200)에서 당해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송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국측의 방송송신장치(200)에서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01)으로 관리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생성 송출수단(202)으로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여 송출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에서는, 자국측의 방송송신장치(210)의 연계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218)으로부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01)에 입력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생성 송출수단(202)으로,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하여 송출한다.
다음에,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국의 방송송신장치(210)에서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에서 관리하고 있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212)으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한다.
다음에,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대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대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국의 프로그램 방송송신장치(210)에서는 다음의 복수단계에 걸치는 동작을 행한다.
(1)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의 취득(S301)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213)으로, 타국이 송출한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한다.
(2)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의 검출(S302)
프로그램 정보섹션 검출수단(214)으로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부터 다중화 되어있는 AV데이터를 분리하여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검출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헤더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 ID를 검출하고,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다음의 S306 및 S307의 처리에 의해 검출한다.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테이블의 추출(S306)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헤더로부터 버전번호를 검출하고, 버전번호가 갱신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데이터테이블을 추출한다.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내용에 변경이 없는지 체크(S307)
추출한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테이블의 ID와 일치하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내용에 변경이 없는지 체크한다. 이 체크처리에 있어서는, 다음의 (a), (b), (c)의 처리를 실행한다.
a)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의 체크(S308)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이,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데이터값과 동일한지 체크한다.
b)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 사이즈의 체크(S309)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의 바이트 사이즈가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데이터의 바이트 사이즈와 동일한지 체크한다.
c) 방송틀의 체크(S310)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 프로그램 정보테이블의 EIT의 start_time(방송시각)과 duration(방송시간)이라는 방송틀에 변경이 없는지 체크한다.
(3)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생성(S303)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215)으로,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서 변경이 있었던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자국용으로 생성한다. 즉,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생성시에는, 하기 S311, S312, S313, S314의 처리가 실행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이 경우는 자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데이터간의 정합성과 사이즈 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체크한다.
·ID의 교환(S311)
각국마다 고유의 ID인, 서비스 ID, 이벤트 ID 등은, 타국과 자국의 ID를 대응시킨 식별자 대응표(도 7, 도 8)에 따라서, 자국용의 ID로 변경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재생성한다. 여기에서, 서비스ID란 채널 No.를 나타내고, 또 이벤트ID는 개개의 프로그램의 식별을 나타낸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ID 데이터 사이의 관계 등을 체크하고, 정합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확인한다.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의 교환(S312)
플래그값 등,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이 변경되어 있는 경우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의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을 변경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재생성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플래그값의 범위 등을 체크하고, 정합성과 사이즈 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확인한다.
·바이트 사이즈의 변경(S313)
프로그램명 등의 명칭이나 프로그램의 개요를 설명하는 개요정보 등의 문자열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을 변경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재생성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사이즈 등이 자국의 제한대역을 오버하지 않는지 등을 체크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사이즈가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확인한다.
·방송틀의 교환(S314)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 프로그램 정보테이블인 EIT의 방송틀이 변경되어 있는경우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2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방송을 변경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재생성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플래그값의 범위 등을 체크하고, 정합성과 사이즈 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확인한다. 또, 사이즈 등이 자국의 제한대역을 오버하지 않는지 등을 체크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사이즈가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확인한다.
(4)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대체(S304)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216)은,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212)으로 생성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215)으로 생성한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대체하여,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한다.
특히,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지정하여 대체하는 수단을 갖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방송 예정시각 또는 방송개시시각을 지정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한다.
특히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지정하여 대체하는 수단을 갖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식별자인 서비스 ID와 이벤트 ID를 지정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한다.
(5)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송출(S305)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217)은,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216)으로생성한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출력하고,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여 송출한다.
특히,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하는 전환수단(203)을 구비하고 있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전환수단(203)으로부터의 전환신호에 따라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프로그램 정보섹션 전환수단(216)으로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대체하여 송출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 중, 스케줄의 치환에 대해서는 특히, 프로그램에 관한 시계열로 나열된 스케줄 정보인 스케줄 EIT 또는 현재와 다음의 프로그램에 관한 시계열정보인 pfEIT(pf: present following; EIT: Event Information Table)에 대해 치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특히, pfEIT에서는, 현재 또는 다음의 프로그램에 관한 스트림 중, 그 어느쪽인가 혹은 양방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특히, 스케줄 EIT에 대해서는, 타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지 않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수취하여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실시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련되는 방송송신장치를 사용한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방송시스템은, 연계하는 상대국, 즉 타국의 방송송신장치(400)와, 자국의 방송송신장치(410)에 의해 구성된다.
도 5의 타국의 방송송신장치(400)에서, 401은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이다. 402는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생성 송출수단이다. 403은 연계하는 상대측의 방송송신장치(401)에 프로그램의 전환을 통지하는 전환수단이다.
자국의 방송송신장치(410)에서, 411은,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이다. 412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이다. 413은 타국으로부터 당해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이다. 414는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부터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검출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 검출수단이다. 415는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 생성수단이다. 416은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 대체하여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 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이다. 417은 타국에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는 연계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이다.
또한, 상기 이외에,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송출하는 영상 음성 송출수단이나,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과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송출하는 다중화수단 등을 필요로 하지만, 본 실시예의 주안점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송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송출동작에 있어서, 타국의 방송송신장치(400)에서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01)으로 관리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생성 송출수단(402)으로,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여 송출한다.더욱이, 연계국에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는 연계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을 구비한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자국의 방송송신장치(410)의 연계프로그램 정보 입력수단(417)으로부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01)에 입력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생성 송출수단(402)으로 연계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1개 또는 복수의 국에서 정리하여 생성하고,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하여 송출한다.
다음에,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국의 방송송신장치(410)에서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11)으로 관리하고 있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412)으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한다.
다음에,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대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대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자국의 방송송신장치(410)에서는,
(1)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의 취득(S501)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413)으로, 타국이 송출한, 당해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한다.
(2)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의 검출(S502)
프로그램 정보패킷 검출수단(414)으로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검출하고,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헤더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 ID를 검출하고,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검출한다.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테이블의 추출(S505)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헤더로부터, 버전번호를 검출하고, 버전번호가 갱신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테이블을 추출한다.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내용에 변경이 없는지 체크(S506)
추출한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테이블의 ID와 일치하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내용에 변경이 없는지 체크한다.
a)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데이터값의 체크(S507)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데이터값이,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데이터값과 동일한지 체크한다.
(3)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의 생성(S503)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 생성수단(415)으로,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11)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변경이 있었던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자국용으로 생성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데이터 사이의 정합성과 사이즈 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체크한다.
·ID의 교환(S508)
도 7 및 도 8은 타국과 자국의 ID를 대응시킨 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동작에서는, 각국마다 고유의 ID인, 서비스 ID, 이벤트 ID 등은, 타국과 자국의 ID를 대응시킨 식별자 대응표(도 7, 도 8)에 따라, 자국용의 ID로 변경하고,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ID 데이터 사이의 관계 등을 체크하고, 정합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확인한다.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의 교환(S509)
플래그값 등,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이 변경되어 있는 경우는, 프로그램 정보관리수단(411)의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타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데이터값을 변경하고,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한다.
특히,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재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플래그값의 범위 등을 체크하고, 정합성 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 것을 확인한다.
(4)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대체(S504)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416)에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418)으로 송출하고 있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의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 생성수단(415)으로 생성한,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 대체하고, 자국용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으로 한다. 특히, 연계하는 상대국에 전환신호를 송신하여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대체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전환수단(403)으로부터의 전환신호에 따라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416)으로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 대체하여 송출한다.
특히,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지정하여 대체하는 수단을 갖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방송 예정시각 또는 방송 개시시각을 지정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대체한다.
특히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지정하여 대체하는 수단을 갖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식별자인 서비스 ID와 이벤트 ID를 지정해서,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대체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특히, pfEIT에 대해 치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특히 pfEIT에서는, 현재 또는 다음의 프로그램의 스트림에 관련되는, 그 어느쪽인가 혹은 양방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및 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서, 대체하는 대상을, 주로, 프로그램 정보테이블의 EIT로 한 예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그 밖의 정보테이블인,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BIT(Broadcaster Information Table), BAT(Bouquest Assocoation Table)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국으로부터 수취하는 형식은,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형식, 또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형식으로 한 예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파일형식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또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은, 관련되는 AV 데이터와 동일한 타국으로부터 배신하는 것으로 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관련되는 AV 데이터와는 상이한 연계국으로부터 배신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계하는 상대국을 1개로 한 예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복수의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또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수취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 또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타국의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또는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 대체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타국으로부터 전환신호를 송신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로컬국의 전환신호에 따라 대체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추어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또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하는 방송송신장치에서는, 식별자 대응표에 따라 치환하는 것으로 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에를 들면, 구성정보에 따라 대체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과,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 일부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타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생성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함으로써, 연계하는 국의 사이에서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여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검출하고 치환함으로써,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동일한 스트림 포맷형식으로 송수신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상세한 편집을 행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여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내용을 치환함으로써,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동일한 스트림 포맷형식으로 송수신하여,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고속 편집을 행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수취하여 치환함으로써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미리 송신해 두는 것과, 또 변경이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섹션만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프로그램 정보섹션의 편집시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계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1개 또는 복수의 국에서 정리하여 생성하고 배신함으로써 거점국 등에서 정리하여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할 수 있고, 타 연계국에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에 대한 운용부담이나 설비를 극력 적게 하여, 스페이스 절약·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의 변경시에, 전환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함으로써, 연계국의 사이에서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고속으로 대체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에 대하여 데이터 사이의 정합성과 사이즈 등이 자국의 속성에 맞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연계국의 사이에서 각각의 고유의 국설비에 대응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어, 그 실용적인 효과는 크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되어 왔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각종의 변경, 개변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그러한 변경예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자국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 대체되는 대상이 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연계국으로부터의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이 연계국으로부터의 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로 다중화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일부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로 분리하여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이 프로그램명, 방송일시, 프로그램 내용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기재되는 프로그램 정보테이블의 E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이,
    다른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취득수단,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에서 대체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추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검출수단,
    이 프로그램 정보섹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프로그램 정보 섹션으로부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체되는 대상이 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상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으로 치환한 후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여, 대체되는 대상의,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생성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상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체대상은 현재와 다음의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시계열 데이터인 pfE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에 대신하여,
    다른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는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으로부터 대체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추출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 검출수단,
    이 프로그램 정보패킷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프로그램 정보패킷으로부터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 생성수단,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으로부터 수취한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 및
    상기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체되는 대상이 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대체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으로 치환한 대체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을 구비하고,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수취하여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정보패킷의 내용을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정보패킷 중의 대체대상은 현재와 다음의 프로그램에 관한 시계열 데이터인 pfE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이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지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체대상인 프로그램을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이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지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대체대상인 프로그램을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이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지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과 동일 혹은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체프로그램과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이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지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의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과 동일 혹은 대체프로그램의 방송시간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체프로그램과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이 대체대상인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지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에서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패킷 대체수단이 대체대상인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지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중에서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스트림 대체수단에 대신하여,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이,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수취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취득수단,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부터 대체대상인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추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검출수단,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의 대체대상인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상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섹션 대체수단으로 치환한 후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반복하여 송출하고 프로그램 정보스트림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정보섹션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연계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수취하여, 대체되는 대상의, 자국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생성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상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정보섹션 중의 대체대상은 현재와 다음의 프로그램에 관한 시계열 데이터인 스케줄 E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연계국에 전환신호를 송신하여,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전환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연계국에 전환신호를 송신하여,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전환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프로그램 정보섹션 생성수단이,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추어서, 프로그램 정보섹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프로그램 정보패킷 생성수단이, 각각의 연계국에서 고유의 속성에 맞추어서, 프로그램 정보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송신장치.
KR1020027015534A 2001-03-19 2002-03-18 방송송신장치 KR20030005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7392 2001-03-19
JP2001077392 2001-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60A true KR20030005360A (ko) 2003-01-17

Family

ID=1893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34A KR20030005360A (ko) 2001-03-19 2002-03-18 방송송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47391A1 (ko)
EP (1) EP1372287A1 (ko)
JP (1) JP4121857B2 (ko)
KR (1) KR20030005360A (ko)
CN (1) CN1284315C (ko)
TW (1) TW548981B (ko)
WO (1) WO2002078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110B1 (en) * 2001-11-30 2007-01-30 Keen Personal Media, Inc. System and a method for storing audio/video programs on a hard disk drive for presentation to a viewer
EP1696592A1 (en) * 2003-11-26 2006-08-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nt transmitter apparatus
JP4509908B2 (ja) * 2005-10-05 2010-07-21 東芝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受局データ放送送出システム及び受局データ放送送出方法
WO2007080358A1 (en) * 2006-01-11 2007-07-19 Nds Limited Service replacement management in dvb systems
JP6155984B2 (ja) * 2013-08-30 2017-07-05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4099B2 (ja) * 1996-04-12 2006-08-0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素材供給装置及び方法、映像素材挿入装置及び方法
JP4000538B2 (ja) * 1996-11-28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番組送出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3649266B2 (ja) * 1997-10-03 2005-05-1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多重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112944A (ja) * 1997-10-03 1999-04-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JPH11317715A (ja) * 1998-01-29 1999-11-16 Hitachi Ltd デ―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これに使用するデ―タ送信装置とデ―タ受信装置
JPH11341492A (ja) * 1998-05-25 1999-12-10 Victor Co Of Japan Ltd 素材符号化伝送方法及び素材符号化伝送装置
JP2000101525A (ja) * 1998-09-21 2000-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番組案内データ集配信システムおよび番組案内データ集配信装置
EP1073225B1 (en) * 1999-01-12 2007-08-0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0232424A (ja) * 1999-02-10 2000-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9159A (zh) 2003-11-26
EP1372287A1 (en) 2003-12-17
WO2002078225A1 (fr) 2002-10-03
JPWO2002078225A1 (ja) 2004-07-15
CN1284315C (zh) 2006-11-08
US20030147391A1 (en) 2003-08-07
JP4121857B2 (ja) 2008-07-23
TW548981B (en)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93509B (zh) 传输装置、传输方法、接收装置和接收方法
CN103283220A (zh) 发送广播服务的方法、接收广播服务的方法和接收广播服务的设备
MXPA05004231A (es) Aparato para la insercion de datos digitales, y metodos para utilizarlo con audio/video comprimidos.
JP2007006349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KR20040014132A (ko)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
JP2007043739A (ja) コンテンツ記述情報と接続情報とを提供する方法
CN103098486A (zh) 插入区域内容的dvb-t2广播方法以及在该方法中使用的设备
CN106416270A (zh) 发送装置、发送方法和接收装置
EP1337112B1 (en) Process for transmitt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for multi-frequency terrestrial digital networks (DVB-T)
KR20030005360A (ko) 방송송신장치
CN101662687B (zh) 数字播送系统及装置
CN101584213B (zh) 在地面数字多媒体广播条件访问系统中使用的传送和接收设备及方法
EP1478184B1 (en) A proces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TV signals for single-frequency digital terrestrial networks (DVB-T) and for handling the signals after reception
KR20030070407A (ko) 데이터 방송 송출/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송출/수신 방법
CN101309425B (zh) 解复用方法、装置及系统
KR100904885B1 (ko) 방송 신호의 처리
KR20080005693A (ko) 데이터 방송 신호, 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하는 장치
JP2005341598A (ja) データストリーム合成装置、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データストリーム合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60136078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처리 시스템
US7190697B2 (en) Multiplexing of selection from among streams and parsed-out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KR20020024899A (ko) 디지털 방송의 주파수 정보 매핑 방법
EP0924931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digital signal
EP1175786B1 (e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system
JP2003032209A (ja) 放送システム及び放送送出設備
JP2023116358A (ja) 伝送システム、伝送方法、インサータ及びデータ構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