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353A -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353A
KR20030005353A KR1020027015392A KR20027015392A KR20030005353A KR 20030005353 A KR20030005353 A KR 20030005353A KR 1020027015392 A KR1020027015392 A KR 1020027015392A KR 20027015392 A KR20027015392 A KR 20027015392A KR 20030005353 A KR20030005353 A KR 2003000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length adjusting
length
operation member
sto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987B1 (ko
Inventor
시로 카와게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44C5/2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44C5/2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 A44C5/24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having size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02Cam lever and loop
    • Y10T24/2104Step adjusted
    • Y10T24/2115Jewel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43Strap-attached folding lever
    • Y10T24/2155Jewelry-watch s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82Watch strap

Landscapes

  • Buckles (AREA)
  • Adornments (AREA)
  • Toy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길이 조정부(11)의 걸림식 치형(38)을 정지 및 해방시키기 위한 정지 부재(60)를 작동시키는 조작 부재(43)의 누름부(54)가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LENGTH ADJUSTMENT DEVICE OF BAND-SHAPED ORNAMENT}
손목 시계나 팔찌 등의 띠모양 장신구에는 길이 조절 기구를 갖춘 여러 가지 버클이 알려져 있다. 일본 실용신안 제2582413호의 공보는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손목 시계 밴드의 3회 접철식 버클을 개시하고 있다.
이 3회 접철식 버클은 바깥 커버에 수납되어, 바깥 커버로부터 밴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출몰 가능한 길이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바깥 커버에는 밴드의 폭 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한 푸시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푸시 버튼은 압박 수단인 스프링에 의해서 바깥 커버의 외측으로 압박된다. 압박된 푸시 버튼의 결합부는 길이 조정판에 형성된 연속하는 일련의 걸림식 치형의 하나에 결합하여 길이 조정판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푸시 버튼을 스프링의 압박에 대항하여 손가락으로 누르면, 걸림부가 걸림 식 치형으로부터 이격되어, 길이 조정판을 바깥 커버 내로 집어넣거나 바깥 커버로부터 빼내거나 할 수 있다. 푸시 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 푸시 버튼은 스프링에 압박되어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다시 길이 조정판과 접촉한다. 따라서, 길이 조정판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이 3회 접철식 버클은 버클 밴드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제2582413호에 개시된 버클은 손목을 내측으로 구부리면, 푸시 버튼이 바깥 커버를 향해서 눌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하면, 휴대자의 의도에 반하여 길이 조정판이 부주의하게 이동하여 버린다. 특히, 길이 조정판이 바깥 커버로부터 부주의하게 빼내어지면, 손목 시계가 손목에서 빠져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3회 접철식 버클을 닫은 위치에서 잠그는 자물쇠식 잠금 장치로서, 최근 일본 특허 공개 평10-327914호 공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바깥 커버에 밴드의 폭 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한 푸시 버튼이 구비된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자물쇠식 잠금 장치는 푸시 버튼을 누르면 자물쇠가 해제되어, 3회 접철식 버클을 닫은 위치에서 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자물쇠식 잠금 장치와 길이 조정 장치를 바깥 커버에 함께 설치하면, 자물쇠식 잠금 장치와 길이 조정 장치의 푸시 버튼을 분별하기 어려워 오조작 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부주의하게 길이 조정판이 풀리어 띠모양 장신구가 헐거워져 버리는 일이 없는 길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서 오동작되는 일이 없고, 조작성이 좋은 길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목 시계의 밴드, 팔찌 등의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시계용 밴드의 길이 조절 장치를 통칭 3회 접철식 버클이라 불리는 버클에 적용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절단 평면도이고,
도 4는 절단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고,
도 6은 길이 조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그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9는 조작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그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길이 조정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길이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길이 방향의 절단면도이고,
도 18은 횡방향의 절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밴드 길이 방향 절단면도이고,
도 20은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길이 방향 절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을 연결식 버클에 적용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길이 방향의 절단면도이며,
도 23은 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5는 제8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길이 방향의 절단면도이며,
도 27은 제9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제10 실시예를 도시하는 절단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띠모양 장신구는 띠모양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안내 수단과, 띠모양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되고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길이 조정부와,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설치된 작동 전달부와, 길이 조정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와, 조작 부재와 정지 부재의 접촉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한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한쪽으로 이동시켜 길이 조정부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이것을 정지하고 조작 부재의 다른 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길이 조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이것을 해방하는 작동 변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조작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길이 조정부는 이동 불능이 된다. 또, 조작 부재를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길이 조정부가 이동 가능하게 되어, 길이 조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의 이동 방향을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했기 때문에, 손목을 내측으로 구부려 조작 부재가 띠모양 장신구의 폭 방향을 따라 눌리더라도 조작 부재가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 띠모양 장신구의 폭 방향을 따라 출몰하는 푸시 버튼을 갖춘 자물쇠식 잠금 장치를 버클에 함께 설치하더라도, 서로 누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조작 부재와 푸시 버튼을 오인하여 오조작 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안내 수단은 하우징이며, 작동 변환 수단은 조작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작동 전달부와 정지 부재에 형성된 사면(斜面)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조정부가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의 1쌍의 톱니 형상 걸림식 치형을 지니고, 정지 부재는 띠모양 장신구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식 치형에 결합하는 갈고리를 갖는 1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작동 전달부는 각각 정지 부재를 작동시키는 두 개의 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와 하우징 사이에 조작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정지 부재를 길이 조정부의 작동 전달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띠모양 장신구란 장신구를 구성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즉, 띠모양 물체로서의 밴드 이외에 밴드의 고리를 넓히기 위한 버클, 밴드를 환상(環狀)으로 연결하는 잠금 고리, 손목 시계의 경우에는 무브먼트를 수납한 케이스도 포함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길이 조절 장치를 버클 속에 설치한 예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손목 시계의 밴드에 적용한 것으로, 따라서 밴드는 한쪽 밴드와 다른 쪽 밴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목 시계용 밴드의 길이 조절 장치를 통칭 3회 접철식 버클이라 불리는 버클에 적용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절단 평면도이고, 도 4는 절단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길이 조절 장치(9)는 한쪽의 밴드(1)와 다른 쪽의 밴드(6) 사이에 설치되는 버클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그 버클은 한쪽의 밴드(1)에 후술하는 길이 조정부(11)를 통해 용수철 막대(2)로 연결되는 상부 구조(3)와, 이 상부구조(3)에 핀(4)으로 연결된 중판(5)과, 중판(5)과 다른 쪽의 밴드(6)에 각각 핀(7, 8)으로 연결되는 하판(10)을 구비한다. 상부 구조(3)는 바깥 커버(13)를 지니고, 그 안에는 한쪽의 밴드(1)에 연결 부재(12)를 통해 용수철 막대(2)로 연결된 안내 겸 길이 조정부(11)와, 길이 조정부(11)를 개방하고 자물쇠식으로 잠그는 조작 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부의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버클의 자물쇠식 잠금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바깥 커버(13)는 상판(15)과 양측판(16)으로 이루어져 양측판(16) 사이에 도 4에 도시하는 단면이 긴 고리 형상의 지지 프레임(17)이 고정되고, 그 속에 좌우 한쌍의 푸시 버튼(18)이 활주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어 있다. 양 푸시 버튼(1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대칭 형상을 지니며, 베이스의 조작부(20)와 선단의 훅부(21)를 각각 지닌다. 양 푸시 버튼의 단부(段部; 22) 사이에는 스프링(23)이 설치되고 양 푸시 버튼이 바깥 커버(13)의 외측으로 압박되면, 푸시 버튼의 단부(段部; 24)가 지지 프레임(17)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25)에 접촉하여 압박된 푸시 버튼은 정지하고 푸시 버튼은 조작부(20)가 측판(16)의 개구(26)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한편, 하판(10)에는 잠금 핀(27)이 돌출 설치되어, 버클을 닫았을 때 잠금 핀(27)이 중판(5)의 개구(28)를 지나 핀의 원추대형 헤드부(30)가 푸시 버튼(18)의 훅부(21)를 눌러 푸시 버튼을 스프링(23)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밀어서 연다. 헤드부(30)가 훅부(21)를 통과하면 푸시 버튼은 스프링(23)에 의해 복귀하여 헤드부(30)가 훅에 결합하여 버클이 자물쇠식으로 잠긴다.
버클을 확대 개방할 때는 푸시 버튼(18)의 조작부(20)를 동시에 내측으로 누르면, 훅부(21)가 잠금 핀(27)에서 벗겨져 버클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자물쇠식 잠금 장치에 인접하여 본 발명의 길이 조절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그 길이 조절 장치는 길이 조정부(11)와 그 길이 조정부(11)를 고정 해방하는 조작 기구(32)로 이루어진다.
도 6은 길이 조정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그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8은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9는 조작 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그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11)는 연결 부재(12), 천정판(35) 및 걸림판(36)으로 이루어진다. 천정판(35)은 한 쌍의 원통형 연결부(35a)를 지니고, 여기에 용수철 막대(33)가 삽입되어 연결 부재(12)의 U자형 유지부(34)에 용수철 막대를 얹고, 용수철 막대 선단의 핀(33a)을 연결 부재(12)의 구멍(29)에 삽입하여 연결되어 있다.
걸림판(36)은 직사각형의 개구(37)를 지니며, 그 밴드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톱니 형상 걸림식 치형(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판(36)은 천정판(35)의 오목부(40) 내에 수용되며, 걸림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스폿 용접용의 돌기부(41)에서 천정판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각 걸림식 치형(3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를 넓히는 방향으로 향한 면, 즉 밴드(1)을 향한 측이 밴드의 폭 방향과 평행한 걸림면(38b), 밴드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향한 면, 즉 밴드(6)를 향한 측이 밴드 폭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사면(38a)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작 기구(32)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2)과, 하우징(42) 내에서 밴드 길이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활주 조작 부재(43)와 밴드 폭 방향으로 활주하는 1쌍의 정지 부재(6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42)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45)과 하판(46)으로 이루어지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각각에 형성된 연결통부(47a, 47b, 48a, 48b)를 조합시키고 연결통부에 각각 용수철 막대(50, 51)를 삽입하여 평탄한 상자 형태로 조립된다.
조작 부재(43)는 コ자형의 활주부(53), 양 아암부(57), 그 선단 내측으로 돌출되는 작동 전달부(66) 및 양측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누름부(54)로 이루어진다. 활주부(53)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53a)이 형성되고, 이 부분이 하우징(42)의 하판(46) 상에 밴드 길이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얹어져 있다.
활주부(53)의 횡방향 양단, 누름부(54)에 인접하여 각각 스프링 수납 오목부(55)가 형성되고, 이것과 하우징 하판(46)의 연결통부(48a) 사이에 제1 스프링(56)이 삽입되어 활주부(53)를 밴드(1) 쪽으로 압박하고, 활주부의 양 아암부(57)의 선단부(57a)를 하판(46)의 연결통부(48b)에 압접(壓接)시키고 있다.
누름부(54)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깥 커버(13)의 측벽(16)에 형성된 개구(49)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누름부(54)의 압압 볼록부(54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49)의 단부(49a)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고 있다.
도 5,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주부(53)의 양 아암부(57) 사이의 오목부(59) 내에서, 1쌍의 정지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양 부재는 하우징의 하판(46) 상에 밴드의 폭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 정지 부재의 상부는 상판(45)의 개구(61)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정지 부재(60)의 밴드 길이 방향 양단면에 형성된 견부(肩部; 60a, 60b)가 상판(45)의 하면에 활주 가능하게 접하여 유지되고 있다. 각 정지 부재(60)에는 삼각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쇠(爪部; 6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쇠(62)는 밴드 폭 방향으로 평행한 걸림면(62b)과 밴드 폭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사면(62a)으로 이루어지며, 사면(62a)은 작동 방향 변환면을 겸하고 있다. 양 걸림쇠의 측면의 오목부(64; 도 11) 사이에 제2 스프링(63)이 설치되고, 걸림쇠를 밴드 폭 방향을 따라 바깥 커버의 외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걸림쇠 각각은 상판(45)에 있어서의 밴드 폭 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61)로부터 돌출되고, 걸림쇠의 이동은 개구(61)로 안내되며, 각 정지 부재(60)는 밴드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43)의 작동 전달부(66)는 걸림쇠(62)의 사면(62a)에 접하고 있으며, 작동 전달부(66)의 밴드 길이 방향 이동이 걸림쇠(62)의 폭 방향 이동으로 변환된다. 즉, 전달부(66)와 사면(62a)은 작동 변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42)은 용수철 막대(50, 51)에 의해 바깥 커버(13)의 측판(16)에 부착되고, 길이 조정부(11)의 일체의 천정판(35)과 걸림판(3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기구(32)의 상판(45)과 바깥 커버(13)의 상판(15) 사이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쇠(62)는 그 사면(62a)을 길이 조정부(11)에있는 걸림판(36)의 걸림식 치형(38)의 사면(38a)에 접촉시키고, 그 걸림면(62b)을 걸림면(38b)에 접촉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길이 조정부(11)의 걸림판(36) 및 천정판(35)은 밴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밴드의 길이는 변경할 수 없다.
본 버클에 의해 밴드를 사용자의 팔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 버튼(18)을 동시에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푸시 버튼(18)의 훅부(21)가 잠금 핀(27)에서 떨어져 바깥 커버(13)를 들어 올려서 중판(5)을 열어 밴드를 넓힐 수 있다. 계속해서, 넓혀진 밴드를 팔에 끼고, 바깥 커버(13)를 하판(10) 쪽으로 밀어부치면 푸시 버튼(18)의 훅부(21)가 잠금 핀(27)에 결합하여 버클이 자물쇠식으로 잠긴다.
다음에, 밴드의 고리가 팔의 직경에 맞지 않을 때의 밴드 길이 조정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 누름부(54)를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과 인지 손가락 사이에 끼워, 좌측으로 누르면 아암부(57)의 작동 전달부(66)가 각 걸림쇠(62)의 사면에 의한 작동 방향 변환면(62a)에 접촉하여 이것을 누르고, 걸림쇠를 스프링(63)에 대항하여 안쪽으로 변위시켜 정지 부재(60)를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걸림쇠의 걸림면(62b)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11)의 걸림판(36)의 걸림식 치형(38)으로부터 이탈하고 걸림판(36)에 대한 자물쇠식 잠금이 해제되어, 이것이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누름부(54)는 누른 상태로 유지해 두고, 밴드가 꽉 조이는 경우에는 도 13에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11)를 빼내고 헐거운 경우에는 밀어넣어 적당한 길이가 되게 한다. 그 다음에 누름부(54)에서 손가락을 떼면, 조작 부재(43)는 스프링(56)에 의해 복귀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주부(53)의 작동 전달부(66)가 걸림쇠(62)의 사면(62a)에서 떨어져, 걸림쇠가 스프링(63)에 의해 걸림판(36)의 원하는 위치의 걸림식 치형(38)에 맞물려, 걸림판(36)이 자물쇠식으로 잠긴다. 이런 식으로, 밴드가 설정된 길이로 조정된다.
다른 조절 방법으로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3)의 누름부(54)를 눌러 바깥 커버(13)로부터 길이 조정부(11)를 빼내고, 누름부(54)에서 손가락을 떼낸다. 그렇게 하면, 걸림쇠가 스프링(63)에 의해 걸림판(36) 중 어느 한 걸림식 치형(38)에 맞물려 걸림판(36)이 자물쇠식으로 잠긴다. 이어서, 손목의 굵기에 맞도록 길이 조정부(11)를 바깥 커버(13)에 밀어 넣는다. 그렇게 하면, 걸림식 치형(38)의 사면(38a)이 걸림쇠(62)의 사면(62a)을 눌러 걸림쇠(62)를 밴드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걸림쇠(62)의 사면(62a)은 활주부(53)의 작동 전달부(66)를 외측으로 눌러, 조작 부재(43)가 스프링(56)의 압박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걸림쇠(62)가 최초에 맞물려 있던 걸림식 치형을 타고 넘어가면, 다시 스프링(63)에 압박되어 외측으로 이동하여, 최초에 맞물려 있던 걸림식 치형과 인접하는 다른 걸림식 치형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길이 조정부(11)를 바깥 커버(13)에 밀어넣으면, 차례차례 걸림쇠가 걸림식 치형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손목의 굵기에 맞는 위치까지 길이 조정부(11)를 바깥 커버(13)에 밀어넣어 가면, 버클을 적절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바깥 커버(13)로부터 길이 조정부(11)를 빼내려고 하더라도, 걸림식 치형(38)에 있는 밴드 폭 방향을 따르는 걸림면(38b)이 걸림쇠(62)에 있는 밴드의 폭 방향을 따르는 걸림면(62b)과 접촉하여, 길이 조정부(11)의 이동을 저지한다. 조작 부재(43)를 누르지 않는 한, 길이 조정부(11)를 빼낼 수는 없다.
이와 같이, 길게 할 때는 조작 부재(43)를 눌러 바깥 커버(13)로부터 길이 조정부(11)를 빼내고, 짧게 할 때는 조작 부재(43)를 누르지 않고서 길이 조정부(11)를 바깥 커버(13)에 밀어넣으면 된다.
또 하나의 다른 조정 방법으로서, 밴드를 팔에 장착한 상태에서, 도 12에서 누름부(54)를 잡아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 걸림쇠(62)를 걸림식 치형(38)으로부터 벗긴 상태 그대로 더욱 누름부(54)를 통해 조작 기구(32) 전체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길이 조정부(11)를 그 자리에 남기고 밴드의 고리를 넓혀 밴드를 길게 할 수 있다. 적당한 곳에서 누름부(54)를 개방하여 길이 조정부(11)를 자물쇠식으로 잠그면 된다. 반대의 조작을 하면 밴드를 짧게 할 수 있다.
걸림식 치형(38)의 방향을 반대, 즉 사면(38a)이 밴드(1)를 향하고, 걸림면(38b)이 밴드(6)를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길게 할 때는 조작 부재(43)를 누르는 일이 없이, 바깥 커버(13)로부터 길이 조정부(11)를 빼내고, 짧게 할 때는 조작 부재(43)를 눌러 길이 조정부(11)를 바깥 커버(13)에 밀어넣는 버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걸림식 치형(38)에 있는 사면(38a) 대신에, 밴드 폭 방향을 따라 걸림면(38b)과 같은 모양의 면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바깥 커버(13)로부터길이 조정부(11)를 빼낼 때도, 길이 조정부(11)를 바깥 커버(13)에 밀어넣을 때도, 조작 부재(43)를 누르지 않으면 안되는 버클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변환 수단을 구성하는 작동 전달부(66)와 걸림쇠(62)에 있어서, 사면(62a)이 걸림쇠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사면을 작동 전달부(66)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손목 시계의 버클에 적용한 것이지만, 팔찌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띠모양 장신구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길이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길이 방향의 절단면도이고, 도 18은 횡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길이 조절 장치(9)를 한쪽 밴드(68)의 일단에 연결된 버클(70)과 다른 쪽 밴드(69) 사이에 설치한 것이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3회 접철식 버클(70)은 도 1, 도 2에 도시한 3회 접철식 버클 부분만이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것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조절 장치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길이 조절 장치는 버클(70)의 하판(10)에 용수철 막대(8)로 연결된 상부 하우징(71)과 하부 하우징(72)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지니고, 제1 실시예의 조작 기구(32)와 동일 구조의 조작 기구(32)가 양 하우징(71, 72)에 끼워지며, 용수철 막대(50, 51)를 상부 하우징 측벽의 구멍(71a) 및 하부 하우징(72)의 입상부(立上部)의 구멍(72a)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71)과 조작 기구(32) 사이에 길이 조정부(11)가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길이 조정부(11)는 연결 부재(12)에 의하여 다른 쪽 밴드(69)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각 부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것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길이 조절 장치가 버클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버클의 길이 방향 길이가 짧아지며, 손목 시계의 경우에는 손목이 가는 사람이라도 장착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목에 맞춰 장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밴드 길이 방향 절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버클을, 통칭 쌍바라지 문이라 불리는 버클에 적용한 것이다. 이 버클은 바깥 커버(75) 내의 하우징(42) 내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길이 조정부(11), 조작 기구(32) 및 버클 자물쇠식 잠금 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길이 조정부(11)는 한쪽의 밴드(1)에 연결 부재(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바깥 커버(75)는 제1 중판(76)에서 핀(80)에 의해 연결되고, 그 중판(76)은 하판(77)을 통해 제2 중판(78)에 연결되며, 중판(78)은 핀(81)에 의해 다른 쪽의 밴드(6)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것과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따라서 자물쇠식 잠금 장치의 잠금 핀(27)으로부터 푸시 버튼(18)이 해방되면 바깥 커버(75)를 들어 올려, 중판(76, 78)을 양쪽으로 열 수 있다.
도 20은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길이 방향 절단면도이다. 이 버클도 쌍바라지 문이지만, 제1 바깥 커버(83)와 제2 바깥 커버(84)로 구분되어 있다. 제1 바깥 커버(83) 내에는 하우징(42) 내에서 본 발명의 길이 조정 장치(9)가 수용되어 있고, 제2 바깥 커버(84)에는 버클 자물쇠식 잠금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제1 바깥 커버(83)는 핀(88)에 의해 제1 중판(85)에 연결되고, 제1 중판(85)은 하판(86)을 통해 제2 중판(87)에 연결되며, 제2 중판은 핀(89)에 의해 제2 바깥 커버(84)에 연결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하는 자물쇠 잠금 상태에서는 제2 바깥 커버(84)의 선단이 제1 바깥 커버(83) 위에 겹쳐져, 제1 바깥 커버가 열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다른 구조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1은 본 발명을 연결식 버클에 적용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길이 방향의 절단면도이다. 이 버클은 한쪽 밴드(90)의 일단에 핀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길이 조정부(11)를 갖는 지지체(92)와, 지지체(92)의 일단에 핀(96)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바깥판(93)과, 다른 쪽의 밴드(91)에 부착된 연결 마디(94)로 이루어진다. 지지체(92) 내에는 하우징(42) 내에 있어서의 길이 조정부(11)와 조작 기구(32)가 설치되며, 전례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지지체(92)는 상면에 오목부(95)를 지니고, 여기에 바깥판(93)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95)는 내부의 자물쇠식 잠금 장치에 연결되는 원형의 개구(97)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의 자물쇠식 잠금 장치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바깥판(93)은 하측에 잠금 핀(101)을 지니고, 잠금 핀(101)은 오목부(95)의개구(97)에 대응하는 반구형의 헤드를 구비한다. 연결 마디(94)에는 횡방향으로 연결축(102)이 설치되어 있다.
버클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바깥판(93)을 연결 마디(94)의 연결축(102)의 내측 공간에 아래쪽에서부터 삽입하고, 연결축(102)은 지지체(92)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아암(103) 상에 배치되고, 바깥판(93)이 핀(96)을 중심으로 연결축(102)을 넘어서 회전된다. 바깥판(93)이 오목부(95)에 접촉하도록 압압되고, 잠금 핀(101)이 오목부의 개구(97)에 삽입되어, 푸시 버튼(98)의 훅에 결합하여 자물쇠식으로 잠긴다.
버클을 벗기기 위해서는 양 푸시 버튼(98)을 동시에 압압하면 자물쇠식 잠금이 해제되어, 바깥판(93)을 상기와 역의 순서로 벗기면 된다.
도 23은 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길이 조절 장치를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물쇠식 잠금 장치로부터 분리 독립시킨 것으로, 길이 조절 장치(9)는 다른 쪽 밴드(91)의 단부와 연결 마디(9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도 15, 도 2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가죽 밴드의 잠금 고리에 적용한 것으로, 한쪽의 가죽 밴드(105)의 단부에 길이 조절 장치(9)가 부착되어 있다. 길이 조절 장치의 타단에는 잠금 고리(106)의 프레임(107)에 연결되는 1쌍의 연결 돌기(108)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돌기(108)는 프레임(107) 사이에 삽입되어 양 돌기 사이에 돌기봉(110)이 끼워지고, 용수철 막대(111)가 연결 돌기(108)의 구멍 및 돌기봉(110)의 베이스의 구멍에 삽입되어 용수철 막대(111) 양단의 핀(112)이 프레임(107)의 구멍(113)에 결합되어 길이 조정 장치(9)가 밴드에 부착된다. 그리고, 길이 조절 장치의 조절 피치는 다른 쪽 밴드(114)의 돌기봉이 결합하는 구멍의 피치(L)보다 짧게 되어 있다.
도 25는 제8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길이 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길이 조절 장치(9)를 손목 시계의 케이스(115) 내에 설치한 것이다. 즉, 케이스(115)의 한쪽 단부에 연장부(116)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수납 공간(1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수납 공간(117) 내에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 장치(9)가 설치된다. 또한 도 26에는 길이 조절 장치(9)가 아래쪽으로 노출되고 있지만,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덮개(118)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27은 제9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길이 조절 장치(9)를 2조 밴드에 부착한 예이다. 즉, 제1 길이 조절 장치(9a)는 손목 시계 케이스(120)와 한쪽 밴드(121) 사이에 설치되고, 제2 길이 조절 장치(9b)는 다른 쪽 밴드 중간의 제1 부분(122)과 제2 부분(123) 사이에 설치된다. 각 밴드 길이 조절 장치는 도 15에 도시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길이 조절 장치의 갯수는 2개에 한하지 않고, 수가 증가하면 조절 길이가 커지며, 또한 밴드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28은 제10 실시예를 도시하는 절단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길이 조정부(11a)의 걸림판(36a)에는 한쪽에만 걸림식 치형(3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기구(32a)에는 한쪽의 아암부(57a) 및 한쪽의 정지 부재(60a)만이 설치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작용 효과에는 변함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작 부재가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행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버클을 풀기 위하여 밴드 폭 방향으로 누르는 푸시 버튼을 오조작 하는 일이 없이 조작성이 좋다. 또한, 조작 부재는 손목을 구부리더라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장신구의 길이가 확대되는 일이 없다.

Claims (37)

  1. 띠모양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안내 수단과,
    띠모양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되고,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길이 조정부와,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설치된 작동 전달부와,
    길이 조정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와,
    조작 부재와 정지 부재의 접촉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한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길이 조정부에 접촉시켜서 이것을 정지하고, 조작 부재의 다른 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길이 조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이것을 해방시키는 작동 변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이 하우징인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변환 수단이 조작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작동 전달부와 정지 부재에 형성된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 조정부가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의 1쌍의 톱니 형상 걸림식 치형을 지니고, 정지 부재는 띠모양 장신구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식 치형에 결합하는 걸림쇠를 갖는 1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작동 전달부는 각각 정지 부재를 작동시키는 2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길이 조정부가,
    상하로 관통하는 절결(切缺)로 이루어지는 걸림식 치형을 갖춘 걸림판과,
    절결을 덮도록 걸림판에 겹쳐지는 천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길이 조정부에 연결 부재가 연결되고, 연결 부재에 띠모양 장신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정지 부재를 길이 조정부의 작동 전달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와 하우징 사이에 조작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에 이것을 조작하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이 누름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사면이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면인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에 형성된 1쌍의 아암 사이의 오목부 내부에, 정지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가 상호 상반되는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누름부를 구비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가리는 바깥 커버를 구비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정지 부재 각각과 작동 전달부 사이에, 작동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걸림쇠의 상부가 개구부보다 위로 돌출되고, 걸림쇠가 개구부 내를 이동함으로써, 정지 부재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정 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에 형성된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방향의 홈에, 하우징의 일부가 삽입되어 조작 부재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정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제1 압박 수단이 조작 부재를 길이 조정부 쪽으로 압박하도록 설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정지 부재가 하우징으로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0.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손목 시계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1. 제5항에 있어서, 걸림판이 천정판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천정판과 요철 결합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2.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정지 부재 사이에 제2 압박 수단이 배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3. 제8항에 있어서, 양 정지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사이에 제2 압박 수단이 삽입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4. 제10항에 있어서, 바깥 커버가 조작 부재의 누름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개구부를 지니고,
    누름부가 개구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는 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누름부 각각의 근방에, 2개의 제1 압박 수단이 배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바깥 커버 내에 접철식 버클이 설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바깥 커버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푸시 버튼과, 이 푸시 버튼의 훅에 결합하는 잠금 핀을 구비하는 버클 자물쇠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28. 안내 수단과,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길이 조정부와,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설치된 작동 전달부와,
    길이 조정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와,
    조작 부재와 정지 부재의 접촉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한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길이 조정부에 접촉시켜서 이것을 정지하고, 조작 부재의 다른 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길이 조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이것을 해방하는 작동 변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 장치와,
    일단이 안내 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길이 조정부에 연결된 띠모양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
  29. 제28항에 있어서, 띠모양 물체의 일단이 띠모양 물체의 확장을 위한 접철식버클인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띠모양 물체의 일단이 손목 시계의 케이스인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띠모양 물체의 일단이 잠금 고리인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띠모양 물체의 일단이 연결식 버클인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길이 조정 장치가 2조 띠모양 물체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버클과 길이 조절 장치가 각각 독립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버클과 길이 조절 장치가 각각 독립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인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36. 밴드와,
    밴드의 일단에 연결된 안내 수단과,
    밴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길이 조정부와,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설치된 작동 전달부와,
    길이 조정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와,
    조작 부재와 정지 부재의 접촉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한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길이 조정부에 접촉시켜서 이것을 정지하고, 조작 부재의 다른 쪽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길이 조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이것을 해방하는 작동 변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길이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것인 손목 시계.
  37. 안내 수단과,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길이 조정부와,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설치된 작동 전달부와,
    길이 조정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와,
    조작 부재와 정지 부재의 접촉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한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길이 조정부에 접촉시켜서 이것을 정지하고, 조작 부재의 다른 쪽 방향 이동에 의해 정지 부재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길이 조정부로부터 이격하여 이것을 해방하는 작동 변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 장치와,
    일단이 안내 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길이 조정부에 연결된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인 손목 시계용 밴드.
KR1020027015392A 2001-03-19 2002-03-18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띠모양 장신구, 길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손목 시계 및 손목 시계용 밴드 KR10081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7931 2001-03-19
JP2001077931 2001-03-19
PCT/JP2002/002536 WO2002074124A1 (fr) 2001-03-19 2002-03-18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d'une parure en forme de b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53A true KR20030005353A (ko) 2003-01-17
KR100814987B1 KR100814987B1 (ko) 2008-03-18

Family

ID=1893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392A KR100814987B1 (ko) 2001-03-19 2002-03-18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띠모양 장신구, 길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손목 시계 및 손목 시계용 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44916B2 (ko)
EP (1) EP1378185B1 (ko)
JP (1) JP4127506B2 (ko)
KR (1) KR100814987B1 (ko)
CN (1) CN1248618C (ko)
HK (1) HK1058465A1 (ko)
WO (1) WO20020741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2095A (zh) * 2011-06-30 2014-04-16 Thi手表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特别用于手表的腕带的可展开搭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7522B1 (fr) * 2001-09-08 2008-11-28 Tag Heuer Sa Bracelet muni d'un fermoir.
JP4545547B2 (ja) * 2004-10-20 2010-09-15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装身具の中留構造
US7434583B2 (en) * 2005-08-05 2008-10-14 Jeff Win Leg/elbow fixing device
WO2007072108A1 (fr) * 2005-12-22 2007-06-28 Eberhard & Co. Sa Dispositif extensible pour bracelet de montre
JP4946178B2 (ja) * 2006-05-26 2012-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中留、帯状装身具及び時計
EP1920673A1 (fr) * 2006-11-09 2008-05-14 Cornu & Cie Sa Fermoir de bracelet à boucle déployante
EP1943917B1 (fr) * 2007-01-10 2013-04-17 Boucledor SA Fermoir à boucle déployante pour bracelet
US7289310B1 (en) * 2007-01-24 2007-10-30 Chun-An Yuan Adjustable static current discharging bracelet
US7849566B2 (en) * 2007-04-12 2010-12-14 Seiko Epson Corporatio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JP4426608B2 (ja) * 2007-08-20 2010-03-03 株式会社グローリー バンド用バックル
EP2248437A1 (fr) 2009-05-08 2010-11-10 Dexel S.A. Dispositif de réglage de la longueur utile d'un bracelet et fermoir de bracelet correspondant
CH702061A1 (fr) * 2009-10-26 2011-04-29 Thi Technologies Horlogeres Ind S A Fermoir extensible pour bracelet.
CH702641B1 (fr) 2010-02-04 2015-02-13 Arcofil Sa Fermoir de bracelet à boucle déployante.
EP2361523B1 (fr) * 2010-02-23 2014-06-25 Winox Sa Fermoir pour bracelet
EP2568846A1 (fr) 2010-05-11 2013-03-20 Dexel S.A.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utile d'un bracelet et fermoir de bracelet correspondant
CN102440486B (zh) * 2010-09-30 2016-03-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带以及电子设备
CH704335B1 (fr) * 2011-01-13 2015-06-30 Thi Technologies Horlogères Ind S A Fermoir extensible pour bracelet notamment d'une montre.
EP2502515B1 (fr) * 2011-03-21 2013-09-04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Fermoir de bracelet
EP2534970B1 (fr) * 2011-06-16 2014-04-16 Montres Breguet SA Fermoir triple déployant
EP2601856A1 (fr) * 2011-12-09 2013-06-12 Omega SA Fermoir pour bracelet de montre
EP2606762B1 (fr) * 2011-12-22 2015-08-12 Montres Tudor S.A. Fermoir à différents réglages de longueur de bracelet
EP2644050B1 (fr) * 2012-03-27 2016-05-25 Rolex S.A. Fermoir dépliant pour bracelet
EP2740381B1 (fr) 2012-12-04 2015-09-16 Omega SA Fermoir de bracelet ajustable
EP2740382B1 (fr) 2012-12-04 2015-10-28 Omega SA Fermoir de bracelet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églage de la longueur utile du bracelet
CH707483B1 (fr) * 2013-01-24 2017-06-15 Multicuirs Sa Fermoir de bracelet pour pièce d'horlogerie.
EP2767184B1 (fr) * 2013-02-13 2015-04-08 Omega SA Fermoir pour bracelet de montre
EP2868222B1 (fr) * 2013-11-01 2016-09-14 Dexel S.A. Fermoir pour bracelet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églage de longueur du bracelet
EP2888967B1 (fr) 2013-12-26 2018-05-02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Fermoir de bracelet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églage de la longueur utile du bracelet
US9152129B2 (en) * 2014-06-25 2015-10-06 Dilshan Thilina Modaragamage Electronic watch clasp systems and methods
CN104082921B (zh) * 2014-07-02 2016-08-2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带状物长度调节装置及手表
US9277791B2 (en) 2014-07-21 2016-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band mechanism
KR102234724B1 (ko) * 2014-09-23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클장치
EP3011857B1 (fr) * 2014-10-24 2017-03-15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Fermoir de bracelet
EP3085265B1 (fr) * 2015-04-23 2020-12-30 Omega SA Fermoir pour bracelet
EP3170420B1 (fr) * 2015-11-20 2020-01-01 Dexel S.A. Fermoir pour bracelet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églage de longueur du bracelet
CN107019297B (zh) * 2016-01-29 2021-02-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表扣、表带及钟表
EP3266335A1 (fr) * 2016-07-06 2018-01-10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bracelet
EP3593666A4 (en) * 2017-04-14 2020-06-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OUBLE WATCH BRACELET BUCKLE FOR ATTACHING THE LENGTH OF A WATCH BRACELET
JP6907738B2 (ja) 2017-06-13 2021-07-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中留および時計
CH715059A1 (de) * 2018-05-31 2019-12-13 Richemont Int Sa Faltschliesse für Armbanduhr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r solchen.
EP3666111B1 (fr) * 2018-12-13 2022-03-16 Omega SA Fermoir de bracelet ajustable
USD906872S1 (en) * 2019-01-21 2021-01-05 Richemont International AG Clasp for watch bracelet
EP3769640B1 (fr) * 2019-07-26 2022-03-30 Omega SA Fermoir pour bracelet de montre
JP7393237B2 (ja) 2020-02-10 2023-12-06 セイコーウオッチ株式会社 時計用中留構造、時計用バンド及び時計
US20210286402A1 (en) * 2020-03-13 2021-09-16 Interlokit Inc. Accessory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2023007088A (ja) * 2021-07-01 2023-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中留および時計
EP4159079B1 (fr) * 2021-10-01 2024-05-29 Omega SA Fermoir de bracelet avec reglage de la longueu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302A (ja) * 1984-12-25 1986-07-3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中留金具
JP2589222B2 (ja) 1991-02-27 1997-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発泡用樹脂組成物
JPH06327508A (ja) * 1993-03-26 1994-11-29 Citizen Watch Co Ltd 時計バンドの中留構造
JPH0730727A (ja) 1993-07-14 1995-01-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30727U (ja) * 1993-11-25 1995-06-13 株式会社服部セイコー 腕時計バンド用三つ折れ式留め具
JP3465947B2 (ja) * 1994-02-10 2003-11-1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三ツ折れ中留の長さ調整構造
US5787554A (en) * 1995-03-15 1998-08-04 Citizen Watch Co., Ltd. Device for making a fine adjustment of a length of a personal adornment band
GB2313399B (en) * 1996-05-24 1998-08-26 Helmet Integrated Syst Ltd Latching device
JP2589222Y2 (ja) * 1998-03-31 1999-01-27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三ツ折れ中留の長さ調整構造
JP2000279217A (ja) 1999-03-31 2000-10-10 Citizen Watch Co Ltd 長さ調節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2095A (zh) * 2011-06-30 2014-04-16 Thi手表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特别用于手表的腕带的可展开搭扣
CN103732095B (zh) * 2011-06-30 2016-04-27 Thi手表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特别用于手表的腕带的可展开搭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83581A1 (en) 2004-05-06
US6944916B2 (en) 2005-09-20
EP1378185A4 (en) 2004-05-19
JP4127506B2 (ja) 2008-07-30
JPWO2002074124A1 (ja) 2004-07-08
CN1248618C (zh) 2006-04-05
HK1058465A1 (en) 2004-05-21
WO2002074124A9 (fr) 2002-12-12
WO2002074124A1 (fr) 2002-09-26
EP1378185B1 (en) 2011-08-24
CN1458829A (zh) 2003-11-26
KR100814987B1 (ko) 2008-03-18
EP1378185A1 (en)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5353A (ko) 띠모양 장신구의 길이 조절 장치
US5485659A (en) Buckle for watch bands
US20070271740A1 (en) Clasp, accessory bracelet, and timepiece
US7797801B2 (en) Buckle for band and object wearing device using the buckle
RU2392838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браслете наручных часов
US6023816A (en) Locking device of a buckle of belt-shaped ornament
EP0587319B1 (en) Buckle for watch bands
US10085528B2 (en) Clasp, watch band, and watch
US7861383B2 (en) Clasp, accessory bracelet, and timepiece
JPH02111301A (ja) 腕輪の留金
US6311373B1 (en) Intermediate clasp for band type ornaments
EP1980171B1 (e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US11583042B2 (en) Bracelet with adjustable link for a watch or a piece of jewellery
KR100695704B1 (ko)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JP2000279217A (ja) 長さ調節機構
JP2007330289A (ja) 中留、帯状装身具及び時計
JP3569034B2 (ja) 観音開き型プッシュ中留構造
KR200234608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JP2005505391A (ja) ボタンと当該ボタンにより調整可能な部品を有する装置
KR200268745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KR100456609B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JP4409645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及びその中留を使用した腕時計
JP4407182B2 (ja) 中留具、帯状体、時計、および装身具
JP2005261477A (ja) 時計バンドのバックル
KR20030059924A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