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497A -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497A
KR20030003497A KR1020010039384A KR20010039384A KR20030003497A KR 20030003497 A KR20030003497 A KR 20030003497A KR 1020010039384 A KR1020010039384 A KR 1020010039384A KR 20010039384 A KR20010039384 A KR 20010039384A KR 20030003497 A KR20030003497 A KR 2003000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button
chinese
pinyin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694B1 (ko
Inventor
황재엽
양기호
Original Assignee
황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엽 filed Critical 황재엽
Priority to KR10-2001-003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6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전화기 등에 장착된 소형키패드를 이용한 중문코드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단추에 복수로 할당된 자음은 양방향 쉬프트단추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모음은 조합식으로 입력하고, 모음이 할당되지 않은 5번, 7번, 9번, 0번, * 단추에 4성조 및 경성을 할당하여 모음이 입력된 후에 눌러질 경우 성조입력으로 받아들여지도록 하고, 모음이 입력된 직후나 성조가 입력된 직후에 입력되는 #단추에는 병음표시 우측에 나타난 중문을 선택하도록 한 중문코드발생장치로서, 적은 입력타수로 중문메시지 및 병음으로 된 메시지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장치{The Chinese code generator for mobile phone}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병음부호를 이용하여 중국어문자를 입력하는 방식 중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식의 화면구성의 예이다.
화면은 조합중인 병음표시구역과, 중문보기구역과, 메시지편집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에 대한 병음부호를 입력하면 상기 병음부호를 쓰는 중문들이 중문보기구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중문보기 중에서 원하는 중문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중문이 메시지편집구역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병음부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각 철자들이 마킹되어 있는 단추를 순서대로 한번씩 누르면 병음표시구역에는 눌러진 단추에 따라 조합가능한 모든 병음부호가 보기로써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원하는 병음부호를 화살표와 확인단추를 눌러 선택한다. 이렇게 병음부호가 확정되면 커서는 중문보기구역으로 옮겨지고 화살표와 확인단추를 이용하여 원하는 중문을 선택한다. 원하는 중문을 선택하면 해당 중문이 메시지편집구역에 입력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 중 병음부호를 입력한 다음에 나타나는 중문보기가 너무 많아 찾기가 힘들면 원하는 중문에 대한 성조를 입력할 수 있는데, 병음부호를 입력한 다음에 성조에 해당하는 수에 대한 단추를 추가로 누르면 된다. 그러면 해당 성조를 갖는 중문만 보기에 나타나게 된다.
병음부호를 입력하고 그 병음부호에 해당하는 중문을 찾아서 선택하고 확인단추를 누르는 노력과 시간은 휴대폰에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무선채팅을 하는 경우에는 부담이 많이 될 정도로 과다하다. 또한 해외에 있는 사람에게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고자 할 때, 그 해외에 있는 사람의 컴퓨터가 중문을 지원하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중문으로 작성된 메시지보다는 병음부호로 작성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더 낫다.
종래의 기술은 병음부호만으로 메시지를 만들어 보낼 수가 없어 메시지 작성 시간이 과다하고 중문을 잘 모르는 사람은 이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중문입력과 같이 중문으로된 메시지 작성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으면서도, 병음부호만을 이용한 메시지를 매우 빠른 속도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중국어의 표음문자화 정책으로 탄생한 병음부호의 활용성을 더욱 더 높이고자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의 화면구성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자판배열이다.
도 3은 도 2의 기본 배열원칙을 하나의 단추로 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에 마킹되어 있는 문자별로 나타낸 입력 규칙도이다.
도 5는 '文字'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이다.
도 6은 wen' zi`를 입력하는 예이다.
도 7은 安(an ̄)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구성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은 문자배열에 관한 설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자판배열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기본 배열원칙을 하나의 단추로 본 그림이다.
도 3의 그림에서처럼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배열하고, 마킹도 달리 하여 자음을 입력할 때는 자음부에서만 스캔하게 하고, 모음을 입력할 때는 모음부에서만 스캔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자음에서도 쓰이고 모음에서도 쓰이는 문자인 n, g, r은 자음부에도 배열되어 있고 모음부에도 배열되어 있는데, 자음의 n, g, r은 국제표준에 따른 배열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모음으로 쓰이는 모음의 일부로서의 n, g, r(이하에서는 -n, -g, -r이라고 표기함)은 각각 1번단추, 1번단추, 3번단추에 배열되어 있다. -n이 6번단추에 배열되지 않고 1번단추에 배열되는 것의 장점은, an과 ao 같은 복수의 부호로 된 모음을 누를 때 a다음에 6번단추를 누르면 an과 ao 두 가지가 다 가능하여 방향키 등으로 그 중 한 가지를 선택해 주어야 하였으나, -n이 자음부의 ch, sh, zh와 함께 1번단추에 있게 되면 병음의 오토마타상 모음 다음에는 ch, sh, zh와 같은 자음은 더 조합되지 않으므로 자동으로 -n을 조합해줄 수 있다는 점이다. -g이 1번단추에 같이 배열된 것은 -g가 -n의 뒤에서만 조합되기 때문에 같은 단추를 연속하여 누르도록 하여 편리성을 더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고, -r이 3번단추에 배열된 것도 -r이 3번단추의 e의 뒤에 조합되는 때문이다. ch, sh, zh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 b, c, d, f, g, h,j, k, l, m, n, p, q, r, s, t, w, x, y, z는 모두 국제표준에 따른 단추에 그대로 할당이 되는데, 자음의 선택은 해당단추를 누른 후 좌우쉬프트단추로 쉬프트하는 방법을 쓰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되도록 각 단추내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자음이 기본자음이 되고 나머지는 기본자음의 좌우에 적절히 배열된다.를 만드는 ^, ¨는 8번단추에 배열되었는데, 8번단추에 있는 모음인 u가 e와 u의 뒤에서는 조합되는 경우가 없어, 모든 자음 및 모음 i와 o의 뒤에 입력되는 8번단추는 모음인 u로 해석하고, 모음 e의 뒤에 입력되는 8번단추는 ^로 해석하고, u의 뒤에 입력되는 8번단추는 ¨로 오류없이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단자음에 속하지만 표기상 두 개의 문자로 표기되는 ch, sh, zh는 따로 1번단추의 자음부에 배열한 것이 본 발명의 배열상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ch, sh, zh와 -n, -g, -r을 각기 따로 배열한 것은 c, s, z 다음에 눌러지는 4번단추를 i로만 판단할 수 있게 하고, a, u 등 다음에 눌러지는 6번단추를 o로만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입력규칙대로만 입력하면, 원하지 않은 입력결과에 대한 염려 때문에 굳이 모니터를 확인하는 부담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음이 배열되지 않은 5번, 7번, 9번, 0번 버튼에 차례로 4성조표시를 배열하였다. 이밖에 0번단추에는 공란을 배열하였다.
그리고 제1좌문자가 비어있는 단추들에는 그 자리에 ., ,, !, ?, ~ 등과 같은 자주 쓰는 문장부호를 배열하여 메시지 작성의 편리성을 더 했다.
다음은 마킹에 관한 설명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마킹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특징인 자음부와 모음부의 구분이 필요하므로 자음부와 모음부가 확실히 구분되도록 마킹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자음부와 모음부를 층을 구분하여 마킹한 예이다. 성조는 모음부가 없는 버튼에만 할당되어 있으므로 모음부 마킹이 되는 자리에 마킹을 하되, 모음과는 다른 색을 써서 모음과는 구분되도록 하여 모음부와 성조가 각각 구분성이 좋게 한다.또한 방향단추를 추가로 누르지 않고 해당단추 한번만으로 곧바로 입력되는 각 단추의 기준문자와, 기준문자로부터 좌우측에 배열되어 기준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방향단추를 추가로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도 서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마킹한다.
다음은 입력규칙에 관한 설명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배열을 가진 자판을 누르는 규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에 마킹되어 있는 문자별로 나타낸 입력규칙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단추에 자음, 모음, 성조 등이 함께 배열되어 있지만 입력하는 사람은 그것을 따로 구분하는 조작이 필요없다. 장치가 자동으로 입력의도를 해석하여 자음, 모음, 성조를 구분하여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단, 새로운 자음이 시작되려면 그 전에 반드시 하나의 완전한 문자나 완전한 병음표기가 입력 완료되어져야 한다. 병음표기의 완료는 성조입력까지로 한다. 그러므로 성조입력단계까지 마쳐야 다음의 입력이 새로운 자음으로 받아들여 진다. 성조입력단계까지 마치지 않아도 새로운 단추입력이 새로운 자음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는, 성조입력이 안된 상태에서도 중문보기영역에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이 나타나서 바로 그 중문으로 변환한 경우이다. 중문으로 변환하여 입력한 경우도 완전한 문자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이므로 그 뒤의 새로운 단추입력을 새로운 자음의 시작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병음부호를 누르는 순서는 자음 입력, 모음 입력, 성조 입력의 순이다. 자음의 입력요령은 좌우문자와는 다르게 표시된 기준문자는 해당단추를 한번 누르는 것으로 입력이 되고, 기준문자의 오른쪽에 있는 문자는 기준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우쉬프트단추(#단추)를 그 떨어진 순서만큼 누르면 되고, 기준문자의 왼쪽에 있는 문자는 기준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좌쉬프트단추(*단추)를 그 떨어진 순서만큼 누르면 된다. 7번단추의 자음부를 예로 들면, 7번단추를 한번 누르면 7번단추의 기준문자인 q가 입력이 되고, 그 상태에서 우쉬프트단추를 누르면 그 회수에 따라 차례로 r, s가 번갈아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7번단추를 한번 누른 후 좌쉬프트단추를 한번 누르면 q의 제1좌문자인 p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음을 입력한 후에 모음이 있는 단추가 눌러지면 자동으로 그 단추의 모음이 입력된다. 복모음이나 비음과 같은 복수의 병음부호가 필요한 모음은 필요한 모음을 차례로 덧붙여 입력하면 된다. iang과 같은 모음을 입력하려면, 각각의 모음이 할당되어 있는 4번단추, 2번단추, 1번단추, 1번단추를 차례로 누르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성조입력요령이다. 성조단추는 모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단추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모음이 입력된 후에 눌러지는 성조가 할당된 단추는 자동으로 성조입력으로 해석이 된다. 즉, 모음 입력을 완료한 후에 누르고자 하는 성조표기가 있는 단추를 한번누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입력 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규칙에 따라 文字(wen´zi`)를 입력하는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도 5는 '文字'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이다.
모니터의 화면구성은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병음표시구역의 오른쪽으로 중문보기구역이 있게 되고, 아래에는 메시지편집구역이 마련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작은 박스는 누르는 단추를 나타낸다.
먼저, 文을 입력하기 위해 w가 있는 9번단추를 누르면 병음표시구역에는 9번단추에 할당된 9wxyz가 나타나고 그 중 기본문자인 x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있다. 그 다음, w는 x의 왼쪽에 있으므로 ◀단추를 눌러 w를 선택한다. 그 다음, e가 있는 3번단추를 누르면 3번단추에 할당된 문자 중에서, 직전에 입력된 w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는 e밖에 없으므로 자동으로 e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병음표시구역에는 we가 나타나고, 중문보기구역에 we로 시작하는 중문들이 나열된다. 그 다음, -n이 있는 1번단추를 누르면, 마찬가지로 1번단추에 할당된 문자 중에서 we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는 -n밖에 없으므로 자동으로 -n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병음표시구역에는 wen이 나타나고, 중문보기구역에는 wen으로 시작하는 중문들이 나열된다. 이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인 文이 오른쪽의 중문보기에 보이므로 ▶를 눌러 文를 선택한다. 이때 메시지편집구역에는 文이 입력되어 있다. 만약 이 단계에서 원하는 문자가 중문보기에 보이지 않으면 해당하는 성조를 입력하여 중문 검색을 좀 더 쉽게할 수도 있다. 그 다음, 字를 입력하기 위해 z이 있는 9번단추를 누른다. 이때 직전에 완성된 문자가 입력된 상태이므로 현재 눌러진 9번단추는 자동으로 새로운 문자입력의 시작이라고 판단하여 병음표시구역에는 9번단추에 있는 9wxyz가 모두 표시된다. 그 다음, i가 있는 4번단추를 누르면 4번단추에 할당된 문자 중 z과 조합이 가능한 i가 자동으로 선택입력되어 병음표시구역에는 zi가 나타나고, 중문보기구역에는 zi로 시작하는 중문들이 나타난다. 여기서 z와 조합이 가능한 문자는 h가 더 있어 z과 함께 zh를 만들지만 본 발명에서는 ch, sh, zh는 1번단추에 따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z과 4번단추에 있는 h와는 조합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 다음, ▶를 이용하여 오른쪽의 중문보기에 보이는 字를 선택하면 메시지편집구역에 字가 입력되어 나타난다.
다음은 병음부호로만 메시지를 작성하는 예를 들면,
도 6은 wen´zi`를 입력하는 예이다.
wen까지 입력한 상태에서 제2성에 대한 표기가 있는 7번단추를 누르면 7번단추에 할당된 문자 중 wen과 조합이 가능한 성조표기로 자동으로 판단되어 병음표시구역에 wen´이 나타나고 이는 더 이상 조합이 안되는 완성된 조합이므로 메시지편집구역에도 wen´이 입력되어 나타난다. 그 다음, z가 있는 9번단추를 누르면 완성된 문자가 입력된 상태이므로 현재 눌러진 9번단추는 자동으로 새로운 문자입력의 시작이라고 판단하여 병음표시구역에는 9번단추에 있는 9wxyz가 모두 표시된다. 그 다음, i가 있는 4번단추를 누르면 4번단추에 할당된 문자 중 z과 조합이 가능한 i가 자동으로 선택입력되어 병음표시구역에는 zi가 나타나고, 중문보기구역에는 zi로 시작하는 중문들이 나타난다. 그 다음, 제4성에 대한 표기가 있는 0번단추를 누르면 0번단추에 할당된 문자 중 zi와 조합이 가능한 성조표기로 자동으로 판단되어 병음표시구역에 zi`가 나타나고, 이는 완성된 조합이므로 메시지편집구역에도 zi`가 wen´에 더하여 표시된다.
상기 설명에서 메시지편집구역에 완성된 조합만 디스플레이하는 이유는 성조표시를 하지 않고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할 때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미완성된 병음조합을 메시지편집구역에 디스플레이하면 성조표시를 하지 않고 메시지를 작성하려 할 때 성조입력이 안된 상태에서 다음 병음 입력을 시작하려 할 것이므로 상기 다음 병음의 시작이 직전 병음의 연속으로 해석되어 처리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wenzi를 입력하는 예를 들면, wen 다음에 경성입력(*단추)을 해주어야 하는데 만일 빠뜨릴 경우, 즉, 9, ◀, 3, 1, 9, ▶, ▶, 4 의 순으로 차례로 누르면 상기 입력에 대한 결과는 wenzi가 아니라 wenˇg 가 될 것이다. wen의 뒤에 입력된 9번 단추는 모음입력의 뒤이므로 성조입력으로 받아들여져 성조가 입력된 것이며, 뒤이어 입력된 4번 단추는 새로운 병음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져 4번 단추의 기본자음이 입력된 것이다. 그러므로, 성조표시를 하지 않고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한 음절의 병음 완성을 누락시키지 않기 위하여 완성된 병음인 경우에만 메시지편집구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다음은 安(an ̄)과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도 7은 安(an ̄)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새로운 문자입력의 시작단계에서 A가 있는 2번단추를 누르면 자동으로 기본자음인 B가 입력된다. 그 다음, A가 B의 오른쪽 2번째에 보이므로 ▶를 두 번 연속 눌러 A를 선택한다. 이후의 입력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도면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장치설명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는 키패드5와, 입력처리부10와, 코드합성부20와, 오토마타부30와 출력부40와 LCD50와 문자코드할당테이블15 보기버퍼25와 편집버퍼35와 폰트롬45과 중문코드DB60와 모드프래그70로 구성된다.
키패드5는 3X4개의 숫자키와 기능키로 구성되며, 키입력을 받아 그 값을 입력처리부10로 전달한다.
입력처리부10는 키패드5로부터 킷값을 전달받는데, 이 킷값이 숫자키에 해당하면 킷값에 해당하는 코드를 문자코드할당테이블15에서 찾아 보기버퍼2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은 병음상의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과 성조를 하나의 키에 할당된 것에 대해 설명한 바 있는데, 상기 입력처리부10는 모드프래그70에 설정된 특정 모드값을 참조하여, 각 숫자키에 할당된 자음,모음,성조코드를 선택적으로 인출한다. 또한 상기 입력처리부10가 코드를 인출할 때는, 입력된 키에 할당되어진 모든 코드들을 인출하여 보기버퍼25에 저장한 뒤 기준번지를 코드합성부2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1번키에 할당된 자음코드를 인출할 때는, ch,sh,zh 모두 인출하는 것이며, 여기서 기준코드는sh이므로 sh에 해당하는 번지는 기준번지가 된다. 상기 킷값이 *,#일 때는, 코드할당테이블15로부터 코드를 인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출동작은 하지않고 해당 코드만 코드합성부20로 전달한다.
코드합성부20는, 입력처리부10로부터 제어가 전달되면 현재 모드를 파악한 다음 아래와 같은 동작을 한다.
1) 모드가 자음입력모드인 -1 일 때, 기준코드를 선택하고, 모드프래그70을 1로 설정하고 제어를 출력부40로 넘긴다. 만약 # 또는 *의 코드값이 들어오면 문자코드의 오프셋만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웃한 코드를 선택하고 제어를 출력부40로 넘긴다.
2) 모드가 모음입력모드인 1 일 때, 선행입력된 자음과 현재 입력된 모음의 합성여부를 오토마타부30에 의뢰하여 결과가 '합성가능'이면 자음과 모음을 합성하여 음절을 만들고 보기버퍼25에 저장된 자음코드를 삭제하고 현재 합성된 음절을 저장한 후, 모드프래그70을 1로 설정하고 제어를 출력부40로 넘긴다. 이 때 오토마타부30은 합성된 음절과 치환가능한 중문을 중문코드DB60에서 모두 인출하여 코드합성부20을 통해 사용빈도 순서대로 보기버퍼25에 저장한다.
만약 # 또는 *의 코드값이 들어오면 자음코드의 오프셋만큼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코드를 선택하고 제어를 출력부40로 넘긴다.
3) 모드가 성조입력모드인 2 일 때, 보기버퍼25에 있는, 기 합성된 음절의 모음을 성조표시모음으로 갱신하고 보기버퍼25에 성조가 붙은 완전한 음절을 저장(append)한다.( 키입력이 6,7,8,9 일 때만 ).
만약 *의 코드값이 들어오면 보기버퍼25에 저장된 중문코드중에 첫 번째코드를 선택하고, 모드프래그70을 0으로 설정한 뒤, 지정된 코드를 보기버퍼25에저장(append)한다.
만약 #의 코드값이 들어오면 성조처리없이 음절을 완성시키고 모드를 1을 설정한다. 이 때는 기 완성된 음절(성조가 없는)을 보기버퍼25에 저장(append)한다.
4) 모드가 자음입력모드인 0 일 때, 1)과 다른 점은 이미 완성된 음절에 해당하는 병음 또는 중문이 있다. 따라서 자음코드가 할당된 숫자키가 입력되면 1)과 똑같이 자음코드를 처리한다. 다만 2)에서 중문코드가 지정(선택)되었을 때, *키 또는 #키에 의해 현재 지정(선택)된 중문코드의 좌 또는 우측의 코드가 선택된다(쉬프트방식으로 지정이동).
출력부40은 코드조합부10로 부터 제어가 전달되면 보기버퍼25와 보기버퍼25에 있는 코드를 인출하여 해당하는 폰트를 폰트롬45으로부터 찾아 LCD50의 보기영역501과 편집영역502에 출력한다. 커서의 위치나 반전표시위치는 코드조합부10로부터 정보를 받아 LCD50에 표시한다.
오토마타부30는 병음음절의 조합여부를 판단하여, 조합되면 조합된 음절과 치환가능한 중문코드를 중문코드DB60에서 인출하여 사용빈도 순서대로, 코드합성부20을 통해 보기버퍼25에 저장한다.
보기버퍼25는 입력이 확정되지 않은 코드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곳으로서, 입력처리부10, 코드합성부20에 의해 문자코드가 저장 또는 갱신되고, 출력부40에 의해 참조된다.
보기버퍼25는 입력확정된 음절코드또는 한자코드들이 저장되는 곳이다.
문자코드할당테이블15은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된 문자코드가 정의된 메모리테이블이다.
폰트롬45은 각각의 병음코드에 해당하는 폰트와, 병음음절에 해당하는 한자폰트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다.
모드프래그70은 모드가 설정되는 곳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구성 예이다.
LCD50은 보기영역501과 편집영역502으로 나뉘며, 보기영역501은 병음음소의 선택 또는 한자의 선택을 위해, 병음 또는 한자의 나열식보기를 제공하는 영역이며, 편집영역502은, 확정된 병음 또는 한자를 표현하는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문자코드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100스텝은 본 발명의 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로서 각 버퍼와 LCD50이 비워지고 모드를 -1로 설정된다.
S200-S300스텝은 키패드5로부터 키입력이 되면 입력처리부10는 모드프래그70을 참조하여 이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이다.
S400-S410-S420스텝은 장치가 초기화 된 후 첫 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이다.
S400스텝에서 입력처리부10는 키입력이 숫자라면, S410스텝에서, 해당 키에 할당된 모든 코드를 문자코드할당테이블15에서 인출하여 보기버퍼25에 저장한 뒤, 기준코드의 메모리번지(기준번지)를 코드합성부20에 전달하면, 코드합성부20는 기준코드를 선택한 뒤, 제어를 출력부40로 넘긴다. 출력부40은 보기버퍼에 저장된 코드를 인출하여 해당 폰트를 폰트롬45으로부터 찾아 LCD50의 보기영역501에 나열식으로 출력하며, 코드합성부20에 의해 선택된 코드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상기 코드합성부20은 제어를 출력부40에 넘기면서 모드프래그70을 1로 설정한다. S400스텝에서 입력된 킷값이 *나 #라면 무의미한 입력이므로 아무런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S600-S610-S620스텝은 선행입력이 자음입력일 때 현재의 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이다.
S600스텝에서 입력처리부10는 키패드5로부터 모음이 할당된 1,2,3,4,6,8키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하는 모음코드를 문자코드할당테이블15에서 인출하여 보기버퍼25에 저장한 뒤, 기준코드의 메모리번지(기준번지)를 코드합성부20에 전달한다.
S610-S620스텝에서, 코드합성부20은 선행입력된 자음과 현재 입력된 모음의 합성여부를 오토마타부30에 의뢰한다. 이때 결과가 '합성가능'이면 보기버퍼에 저장된 코드들을 삭제하고 현재 합성된 음절을 저장한 후, 모드프래그70을 1로 설정하고 제어를 출력부40로 넘긴다. 이 때 오토마타부30은 합성된 음절과 치환가능한 중문을 중문코드DB60에서 모두 인출하여 코드합성부20을 통해 사용빈도 순서대로 보기버퍼에 저장한다. 출력부40은 보기버퍼의 내용을 LCD50의 보기영역501에 출력한다.
S600-S610-S620스텝에서, 입력된 키가 5,7,9,0이면 모음이 할당되지 않은 키이므로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S600-S615스텝은 선행입력이 자음이고 현재 *가 입력되면 코드합성부20은 기준코드의 좌측에 위치한 코드를 선택하면, 출력부40은 커서를 선택된 코드에 위치시킨다.(좌시프트에 의한 선택 단계)
S600-S625스텝은 우시프트에 의한 선택이 실행되는 단계이다.
S600스텝에서 키입력이 *나 #가 들어오면 코드합성부20은 기준코드와 이웃한 코드를 선택하면, 출력부40는 커서를 선택된 코드에 표시한다.
S700-S710스텝은 이중모음이 조합되는 단계이다.
S700스텝에서, 입력처리부10은 키입력이 1,2,3,4,6,8일때, 해당하는 모음코드를 보기버퍼25에 저장한 뒤, 인출된 코드의 기준번지를 코드합성부20에 전달하면, 코드합성부20는 기 합성된 음절과, 입력된 코드를 오토마타부30에 전달하고 오토마타부30는 입력된 코드와 상기 음절과 합성되는 지 판별하여 그 합성여부를 코드합성부20에 전달한다. 코드합성부20은 전달된 결과가 '조합가능'이면 코드합성부20은 상기 음절과 입력된 코드를 합성하여 새로운 음절을 만든다. 출력부40은 새로이 합성된 음절을 보기영역501출력한다. 만약 기준코드와 이 전의 음절이 '조합불가능'이면 동일키에 할당된 이웃코드들과 조합해 보고 그래도 조합이 불가능하면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만약 이웃코드와 합성되면 선행음절과 상기 이웃코드를 조합해 새로운 음절을 만든다. 또한 입력된 키가 5,7,9,0이면 성조가 할당된 키이므로 코드합성부20은 조합된 음절에 성조를 추가하여 완전한 음절을 만든 후 보기버퍼25에 저장한다(append). 출력부40은 상기 완전한 음절을 편집영역502에 출력한다.
키입력이 *일때, 코드합성부20은 S600-S610-S620스텝에의해 인출된 한자코드중에서 선두한자코드를 선택하고 출력부40는 커서를 상기 선두한자코드에 위치시킨다. 이후 모드플래그70을 0으로 설정한다..
만일 키패드5로부터 #이 입력되면 코드합성부20는, S600-S610-S620스텝에서 조합된 음절을 성조처리없이 완성된 음절로 확정하고, 이를 보기버퍼25에 저장한다. 출력부40은 상기 음절을 편집영역502에 출력한 다음 모드플래그70을 0으로 설정한다.
S500-S510-S520스텝은 이전입력이 병음한자를 완성한 뒤에 다시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로서 S400-S410-S410스텝과 동일하다. 다만 키입력이 *나 #일 경우 이전에 입력된 한자를 선택하기위한 쉬프트동작이 진행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음인 a, e, i, o, u가 알파벳순서에 따라 기본자음의 좌우에 할당이 되도록 한 것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중문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음으로 시작하는 중문의 경우에는 도 2의 실시예와 다를 바가 없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영문입력모드에서 영문자판이 알파벳순으로 마킹되어 있어 어색함이 없다는 것이다.
휴대폰에서 병음부호만으로 빠르게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와, 병음부호를 입력한 후 병음표시구역에 나타난 보기 중에서 원하는 병음부호를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없어 병음부호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키패드를 이용한 중문코드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화키패드의
    1번단추에 기본자음 sh, 제1좌문자 ch, 제1우문자 zh, 모음부에 -n 및 -g를 할당하고,
    2번단추에 기본자음 b, 제1우문자 c, 모음부에 a를 할당하고,
    3번단추에 기본자음에 d를 할당하고, 모음부에 e 및 -r를 할당하고, 제1우문자에 e를 할당할 경우에 f는 제2우문자, 그러하지 않을 경우에 f는 제1우문자로 할당하고,
    4번단추에 기본자음 g, 제1우문자 h, 모음부에 i를 할당하고,
    5번단추에 기본자음 k, 제1좌문자 j, 제1우문자 l를 할당하고,
    6번단추에 기본자음 m, 제1우문자 n, 모음부에 o를 할당하고,
    7번단추에 기본자음 q, 제1좌문자 p, 제1우문자 r, 제2우문자 s를 할당하고,
    8번단추에 기본자음 t, 모음부에 u 및 ^와 ˝를 할당하고,
    9번단추에 기본자음 x, 제1좌문자 w, 제1우문자 y, 제2우문자 z를 할당하고,
    모음부가 할당되지 않은 5번단추, 7번단추, 9번단추, 0번단추 및 *단추에 4성조 및 경성을 적당히 하나씩 할당하고,
    *단추에 좌측쉬프트단추, #단추에 우측쉬프트단추를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키패드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해당하는 키입력값을 발생하는 키입력발생수단과,
    상기 키패드의 단추입력 시 자음 또는 모음 또는 성조의 입력모드를 구분하는 모드구분수단과,
    문자코드할당테이블수단과,
    상기 키입력발생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값 및 상기 모드구분수단으로부터 참조한 현재 입력모드를 분석하여 상기 문자코드할당테이블수단에서 해당하는 문자나 성조에 대한 코드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문자코드인출수단과,
    병음오토마타수단과,
    병음코드에 대응하는 중문코드가 저장되어있는 중문코드저장수단과,
    상기 중문코드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병음오토마타수단에 의해 합성된 병음코드에 해당하는 중문보기를 출력하는 중문보기출력수단과,
    보기영역과 편집영역이 구분되어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중문코드와 병음코드의 폰트가 기록된 폰트롬과
    상기 발생된 코드에 해당하는 폰트를 폰트롬으로부터 찾아 디스플레이수단의 보기영역 및 편집영역에 알맞도록 출력하는 출력처리수단과,
    상기 보기영역에 출력된 보기로부터 특정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보기선택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중문코드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음부와 모음부를 각기 구분이 되도록 달리 마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중문코드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자음부와 모음부를 복층구조로 마킹하고, 성조는 모음과 같은 층에 마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중문코드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은, 보기영역이 병음영역과 중문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자음입력모드에서 병음영역에 기본문자가 미리 선택되어져 있고 상기 기본문자의 좌우로 각기 좌문자 및 우문자가 쉬프트단추로써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고, 모음입력모드에서 병음이 선택되어져 있을 때 중문영역과 같은 방향의 쉬프트단추를 눌러 중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중문코드발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은, 성조(경성 포함)까지 다 입력이 되었거나, 중문으로 변환이 된 다음에 편집영역으로 입력중인 병음이나 중문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중문코드발생장치.
KR10-2001-0039384A 2001-07-03 2001-07-03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KR10040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384A KR100400694B1 (ko) 2001-07-03 2001-07-03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384A KR100400694B1 (ko) 2001-07-03 2001-07-03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497A true KR20030003497A (ko) 2003-01-10
KR100400694B1 KR100400694B1 (ko) 2003-10-08

Family

ID=2771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384A KR100400694B1 (ko) 2001-07-03 2001-07-03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09B1 (ko) * 2001-10-31 2004-06-25 주식회사 언어과학 축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베트남어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72B1 (ko) * 2001-11-27 2003-12-31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444A (en) * 1997-02-24 1999-12-28 Motorola, Inc. Text input device and method
JPH11175240A (ja) * 1997-12-17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での漢字入力方法と漢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
US7165019B1 (en) * 1999-11-05 2007-01-16 Microsoft Corporation Language input architecture for converting one text form to another text form with modeless entry
JP2001166868A (ja) *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数字キーパッドによる中国語ピンイン入力方法及び装置
KR100450586B1 (ko) * 2001-06-29 2004-09-30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발음을 이용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09B1 (ko) * 2001-10-31 2004-06-25 주식회사 언어과학 축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베트남어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694B1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79186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2290510A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003315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947401B1 (ko)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JP4213570B2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JP4200874B2 (ja) 感性情報推定方法および文字アニメーション作成方法、これらの方法を用いたプログラム、記憶媒体、感性情報推定装置、文字アニメーション作成装置
KR100400694B1 (ko)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JP2697317B2 (ja)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20050007859A (ko)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JP2015165419A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1116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JP2002297577A (ja) 中国語入力変換処理装置、中国語入力変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JP2014063256A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92353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KR20060018565A (ko)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
JP2020154980A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6119314A (ja) 文書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