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251A -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251A
KR20030001251A KR1020020031280A KR20020031280A KR20030001251A KR 20030001251 A KR20030001251 A KR 20030001251A KR 1020020031280 A KR1020020031280 A KR 1020020031280A KR 20020031280 A KR20020031280 A KR 20020031280A KR 20030001251 A KR20030001251 A KR 20030001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air conditioner
pump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쿠다아쓰시
아오야기오사무
나카쓰노에이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급수펌프의 공(空) 운전과, 사이폰(siphon)현상을 절단하여 수돗물의 수세탱크로의 쓸데없는 연속급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수냉식 응축기용 급수기구에 있어서의 급수펌프(22)및 급수관(23)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넣고 꺼낼 수 있는 통기구멍(2)을, 수세탱크(21)내를 오르내리는 물(20)의 고수위면(51)으로부터 위에 얼굴을 내밀고 있는 상태에 있는 급수관(23)의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급수펌프(22)의 아래로부터의 내부의 급수기능부로의 침수를 가능하게 하여, 급수관(23)으로 형성되는 사이폰(siphon)현상을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공기조화장치{WATER COOLE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장실용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와 같이, 공기냉각기구와 급수기구를 구비하며, 급수기구는, 물탱크 내에 배치되는 급수펌프와, 급수펌프로 퍼올린 냉각수를 공기냉각기구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갖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적합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실용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로서는, 공조장치 본체를 시스턴 (cistern) 상부에 설치하고, 시스턴(cistern)에서 퍼 올린 물을 응축기에 비산(飛散)함으로써 응축기의 방열(放熱)을 하고, 방열에 사용한 물을 변기로 배수하는 공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8-26941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구성에서는, 공조장치와 탱크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뒤에 부착한 경우에는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게 되어버려, 다종다양한 수세탱크(변기)에 적응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다른 종래의 화장실용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로서는, 응축기를 냉각하는 냉각수 저류(貯留)용 탱크를 공기조화장치본체에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시스턴 (cistern)의 예비의 급수구로부터 수돗물을 퍼내기 시작하여, 이 냉각수 저류(貯留)용 탱크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공개 평 4-103525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구성에서는, 시스턴 측부에 큰 급수설비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부터, 공기조화장치 본체의 설치장소가 낮은 위치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취출구(吹出口)도 낮은 위치가 되어 냉풍감(冷風感)을 얻기 어렵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의 본체를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자 하면, 시스턴 측부로의 설치가 곤란하게 되어, 좁은 화장실에서의 적절한 설치장소를 확보할 수 없다.
그래서, 수세탱크에 모인 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을 유용(流用)하여,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수냉식 응축기를 냉각하여, 냉각후의 물을 다시 수세탱크에 되돌림으로써, 별도의 냉각수 저류용 탱크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에 의한 설치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설치를 할 수 있는 구성과, 또한 형태가 다른 수세식 화장실이더라도 설치가 가능한 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래서, 수세탱크 내에 급수펌프를 투입하여, 이 급수펌프로 퍼 올린 냉각수를 공기냉각기구에 급수관으로 안내함으로써, 공기냉각기구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세탱크의 상부의 뚜껑을 열어 급수펌프를 투입하면 좋기 때문에, 전문가에 의한 설치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냉각수 저류용 탱크를 설치하는 필요도 없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또한 수세화장실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그러나, 수세탱크 내에 급수펌프를 투입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급수펌프 내에 공기가 잔류하지 않은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는 급수펌프는, 이물(異物)을 퍼 올리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통상 원심식(遠心式)이라고 하는 급수펌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종류의 급수펌프는, 용적식(容積式) 펌프와 달리, 공기가 내부에 잔류하고 있으면, 「공기 맞물림」현상이 되어, 「공(空) 운전」상태가 되어, 급수펌프로 물을 퍼 올릴 수 없다.
따라서, 초기의 설치시, 이동 설치시, 또는 보수시에 있어서 순환펌프를 수면 상에 들어올린 경우에는, 「공기 맞물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화장실용 수세탱크는, 사용시에 탱크 수위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급수펌프가 어딘가에 걸려 급수펌프가 떠오르고 있는 경우에는, 탱크내의 수위의 저하시에 「공기 맞물림」현상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공기가 부딪히는 현상에 의해서, 공(空) 운전이 되면, 응축기의 냉각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는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순환펌프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적합한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수펌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급수펌프 접속부위의 토출구와 급수관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수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5 : 상자체
11 : 압축기 12 : 수냉식 응축기
13 : 감압기구 14 : 증발기
15 : 냉매배관 16 : 송풍기
20 : 화장실의 흘려 버리는 물 21 : 수세탱크
22 : 급수펌프 23 : 급수관
23b, 34b : 볼록부 23c, 34c : 오목부
24 : 배수관 24a : 출구부
31 : 모터 32 : 원심밸브
33 : 밸브가이드 34 : 모터 케이스
34a : 토출구 35 : 안쪽 모터 케이스
36 : 흡입구 37 : 필터
38 : 모터전선 41 : 스페이서(spacer)
42 : 통기구멍 44 : 방출물
45 : 연통구멍 46 : 되돌림 물
51 : 고위수면 52 : 저수위면
60 : 누설구멍 62 : 커버
64 : 볼 65 : 통기구멍
66 : 아래쪽 스토퍼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 수냉식 응축기, 감압기구, 증발기 및 송풍기를 갖는 공기냉각기구와, 물탱크로부터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물탱크 내에 배치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 퍼 올린 상기 냉각수를 상기 수냉식 응축기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갖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급수펌프 또는 상기 급수관에 상기 급수펌프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하는 상기 급수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물탱크 내에 저류하는 상기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의 개구면적을 10㎟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이끌어진 상기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에 되돌리는 배수관을 갖고, 상기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상기 배수관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안내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로 되돌리는 배수관을 갖고, 상기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상기 배수관의 배출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시에는, 상기 통기구멍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분기배관을 설치하여, 상기 분기배관의 끝단부 개구를 상기 물탱크 내에 저류하는 상기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통기구멍으로 하고, 상기 통기구멍을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관과의 접속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관과의 접속부에 스페이서(spacer)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의 상기 급수관과의 접속부(接續部)인 토출구의 바깥둘레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와의 접속부가 되는 상기 급수관 끝단부의 안둘레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물탱크 내에 저류하는 상기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급수장치는, 물탱크 내에 배치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 퍼 올린 상기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 밖으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갖는 급수장치로서, 상기 급수펌프 또는 상기 급수관에 상기급수펌프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는, 급수펌프 또는급수관에 급수펌프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가령 급수펌프 내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저수(貯水) 안에 투입한 경우이더라도, 통기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 공(空) 운전을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어, 공기냉각기구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는,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기구멍을 물탱크 내에 위치하는 급수관에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시판되는 펌프를 유용하여 펌프의 교환보수가 행하여지더라도, 통기구멍이 반드시 확보되어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의 형태는, 제 2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기구멍을 물탱크 내에 저류(貯留)하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가령 수냉식 응축기 측에 파손이 생겨, 이 파손에 의해서 누수가 생긴 경우이더라도, 통기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빠지는 것에 의해, 급수관 자체가 형성하는 사이폰(siphon)현상을 절단할 수가 있어, 물탱크부터의 연속적인 누수를 회피할 수가 있다. 특히, 수세식 화장실의 물탱크에 있어서는, 물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低下)하면 물이 보충되기 때문에, 누수는 정지하지 않고 큰 수해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이폰(siphon)현상을 절단하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의 형태는,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기구멍의 개구면적을 10㎟ 이하로 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의하면, 통기구멍에 의한 공급펌프 본래의 급수기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소요시간 내에 공기가 다 빠져나와 급수펌프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의 형태는, 제 3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가이드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통기구멍부터의 방출물의 비산(飛散)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의 형태는, 제 3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수냉식 응축기에 안내된 냉각수를 물탱크에 되돌리는 배수관을 갖고,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배수관을 배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배출관에 의해서 통기구멍부터의 방출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의 형태는, 제 3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수냉식 응축기에 안내된 냉각수를 물탱크에 되돌리는 배수관을 갖고,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배수관의 배출구를 배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배수관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에 의해서 통기구멍으로부터의 방출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의 형태는,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는, 통기구멍을 폐쇄하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급수펌프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의 형태는, 제 8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급수관에 분기배관을 설치하고, 분기배관의 끝단부 개구를 물탱크 내에 저류하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기구멍으로 하고, 통기구멍을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밸브기구에 의해서 통기구멍의 폐쇄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의 형태는,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기구멍을 급수펌프와 급수관과의 접속부에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통기구멍을 구성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의 형태는, 제 10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급수펌프와 급수관과의 접속부에 스페이서(spacer)를 삽입함으로써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기존의 구성부재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통기구멍을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의 형태는, 제 10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급수펌프의 급수관과의 접속부인 토출구(吐出口)의 바깥둘레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확실히 통기구멍을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의 형태는, 제 10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급수펌프와의 접속부가 되는 급수관 끝단부의 안둘레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확실히 통기구멍을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의 형태는, 제 2 실시의 형태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기구멍을 물탱크 내에 저류하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통기구멍으로부터의 방출물 비산(飛散)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급수장치는, 급수펌프 또는 급수관에, 급수펌프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가령 급수펌프 내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저수(貯水) 안에 투입한 경우이더라도, 통기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 공(空) 운전을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어, 공기냉각기구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급수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장실용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1)는, 상자체(5)의 내부에, 압축기(11)와 수냉식 응축기(12)와 감압기구(13)와 증발기(14)와 송풍기(16)를 배치하여, 공기냉각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압축기(11)와 수냉식 응축기(12)와 감압기구(13)와 증발기(14)는 각각 냉매배관(15)으로 연결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수냉식 공기조화장치(1)는 바닥식 타입으로 되어 있고, 아래쪽에서 순차적으로 압축기(11), 수냉식 응축기(12), 증발기(14) 및 송풍기(16)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1)는, 송풍기(16)에 의해서 증발기(14)를 통과시켜 흡입한 공기를 내뿜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냉식 공기조화장치(1)는, 수세식 화장실의 수세탱크(물탱크)(21)내의 저류수(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20)를 수냉식 응축기(12)의 냉각수로서 이용한다. 수세식 화장실의 수세탱크(물탱크)(21)내의 저류수(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20)를 이용하기 위한 급수기구는, 수세탱크(21)내에 배치되는 급수펌프(22)와, 급수펌프 (22)로 퍼 올린 냉각수를 수냉식 응축기(12)에 안내하는 급수관(23)과, 수냉식 응축기(12)에 안내된 냉각수를 물탱크(21)에 되돌리는 배수관(24)으로 구성되다. 수세탱크(21)내의 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20)은, 급수펌프(22)로 퍼 올려지고, 수세탱크(21)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하고 있는 급수관(23)을 통해, 예를 들면 2중관식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수냉식 응축기(12)에 안내되어, 수냉식 응축기(12)를 냉각한다. 그리고, 수냉식 응축기(12)에 안내된 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20)은, 배수관(24)을 거쳐서 수세탱크(21)에 다시 되돌아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급수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급수펌프 접속부위의, 토출구와 급수관의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4는 도3의 A-A 선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세탱크(21)내에 놓여진 급수펌프(22)와 수냉식 응축기(12)를, 대략 역(逆) U자 형상으로써 수세 탱크(21)의 내부에서 외부에 구부러져 배치된 급수관(23)을 통해 접속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급수펌프(22)는, 원심식 펌프이고, 모터(31)와, 모터(31)로 회전되는 원심밸브(32)와, 원심밸브(32)와 끼워맞추어져 급수기능부를 형성하는 밸브가이드(33)와, 급수관(23)에 접속되어 급수펌프(22)가 급수하기 위한 토출구 (34a)를 갖는 모터케이스(34)와, 모터케이스(34)와 함께 모터(31)를 유지하는 안쪽 모터케이스(35)와, 물을 퍼 올리는 흡입구(36)와, 흡입구(36)에 설치한 필터(37)와, 모터(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전선(38)으로 구성되다. 또한, 급수펌프(22)에는, 스페이서(41)를 급수펌프(22)의 토출구(34a)와 급수관(23)의 끼워맞춤 부분에 삽입하여, 급수펌프(22)나 급수관(23)의 내부에 대하여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는 통로나 빈틈 등으로서의 통기구멍(42)을 설치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통기구멍(42)의 작용을 설명한다.
화장실을 사용하면, 수세탱크(21)내의 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20)이 줄어, 수면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고수위면(51)으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저수위면 (52)으로 내려간다. 이 때, 통기구멍(42)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서, 급수펌프(22)의 내부나 급수관(23) 중 펌프측의 배관내의 물은, 통기구멍(42)이나 급수펌프(22)의 아래로부터 빠져 없어진다. 한편, 급수관(23)중 수냉식 응축기(12)측의 배관내부와, 배수관(24)의 수냉식 응축기(23)측 배관내부에는, 물이 저류(貯留)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수위가 저수위면(52)까지 내려가더라도 급수펌프(22)의 급수기능부에는 물이 남아 충만하고 있기 때문에, 공(空) 운전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보수시에 있어서 급수펌프(22)를 수면 위로 들어 올린 경우, 어떠한 원인으로 급수펌프(22)가 떠오른 상태의 경우, 급수펌프(22)를 새롭게 부착한경우는, 급수펌프(22) 내부, 특히 원심밸브(32)와 밸브가이드(33)에 의한 급수기능부에 공기가 잔존한다. 이러한 상태일 때, 급수펌프(22)내의 공기는 통기구멍(42)으로부터 빠져나가, 급수펌프(22)의 내부, 특히 급수펌프(22)의 급수기능부에 물이 가득 찬다. 즉, 통기구멍(42)은 급수펌프(22)의 급수기능부에 물을 가득 채우기 때문에, 급수펌프(22)는 공(空) 운전을 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기구멍(42)의 작용에 의해서, 원심밸브(32)와 밸브가이드(33)에 의한 급수기능부가 물로 가득 차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급수펌프(22)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통기구멍의 치수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통기구멍(42)의 치수(즉, 개구면적)가 극단적으로 큰 경우는, 통기구멍(42)으로부터의 누설이 원인으로 수냉식 응축기(12)에 급수할 수 있는 정도의 펌프 양정(揚程)을 얻을 수 없고, 펌프 본래의 급수기능이 손상되게 된다. 따라서, 통기구멍(42)의 치수에는, 통기구멍(42)으로부터 조금의 누설이 있더라도 화장실의 흘려버리는 물(20){포함하는 급수관 (23)내부의 공기}을 수세탱크(21)의 높이를 넘어서 수냉식 응축기(12)에 보낼 수 있는 소정의 펌프 양정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검토에서는, 통기구멍(42)의 상한치수로서는, 직경 3.5mm 이하, 즉 면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직경 3.5mm 이하, 면적 10㎟ 이하에서 85%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직경 3.5mm를 넘고, 또 면적 10㎟를 넘으면, 누수량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통기구멍(42)의 정밀도를 엄격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통기구멍 치수가 극단적으로 작으면, 급수펌프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는데 긴 시간이 걸려, 그 사이에 급수펌프의 공(空)운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내에 공기가 다 빠져나가는 치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화장실을 사용한 후에 수면이 상승하는 소요시간(약 60∼120초)을 고려한 경우에는, 하한치수로서 면적 0.5㎟(직경 0.8mm 상당) 이상이 바람직하다. 단지, 공기가 빠지는 크기의 통기구라면, 공(空) 운전은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급수펌프 접속부위에 스페이서(41)를 삽입하여 통기구멍(42)을 설치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세탁물의 급배수 등에 사용되는 시판의 펌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면 펌프 보수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모터 케이스(34)의 토출구 (34a)의 바깥둘레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볼록부(34b)를 설치하고, 급수펌프 접속부위에 통기구멍(42)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이더라도, 급수펌프 (22)를 물에 담그면, 급수펌프(22)내의 공기가 통기구멍(42)으로부터 빠져나가, 급수펌프(22)의 급수기능부에 물이 충만하여, 급수펌프(22)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급수펌프의 공(空) 운전상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5(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개의 볼록부(34b)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여러 개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드시 토출구(34a)의 길이방향이 아니더라도 좋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볼록부(34b), 또는 토출구(34a)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으로 설치한 볼록부(34b)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3)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토출구(34a)의 바깥둘레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오목부(34c)를 설치하여, 급수펌프 접속부위에 통기구멍(42)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통기구멍(42)의 작용에 의해, 급수 펌프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개의 오목부(34c)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여러 개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드시 토출구(34a)의 길이방향이 아니더라도 좋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오목부(34c), 또는 토출구 (34a)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으로 설치한 오목부(34c)이더라도 좋다. 또한, 볼록부(34b)와 오목부(34c)를, 예를 들면 교대로 설치하는 경우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4)
도 6(a),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토출구(34a)에 삽입하는 급수관(23)의 끝단부 안둘레부에, 길이방향에 소정길이를 갖는 볼록부(23b)를 설치하고, 급수펌프 접속부위에 통기구멍(42)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이더라도, 급수펌프(22)를 물에 담그면, 급수펌프(22)내의 공기가 통기구멍(42)으로부터 빠져나가, 급수펌프(22)의 내부에 물이 가득 찬다. 따라서, 급수펌프(22)의 급수기능부에 물이 충만하여, 급수펌프(22)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즉, 급수펌프(22)의 공(空) 운전상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개의 볼록부(23b)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여러 개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드시 급수관(23)의 길이방향이 아니더라도 좋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볼록부(23b), 또는 급수관(23)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으로 설치한 볼록부(23b)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5)
도 6(b)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토출구(34a)에 삽입하는 급수관(23)의 끝단부 안둘레부에, 길이방향에 소정길이를 갖는 오목부(23c)를 설치하여, 급수펌프 접속부위에 통기구멍(42)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통기구멍(42)의 작용에 의해, 급수 펌프의 공(空) 운전상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이, 급수관(23)측만으로 통기구멍(42)을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해당 펌프의 토출구와 급수관의 끼워맞춤이 적절하게 행하여지는 시판의 펌프라면, 그 시판펌프를 유용할 수 있게 되어, 펌프보수성이 좋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개의 오목부(23c)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여러 개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드시 급수관(23)의 길이방향이 아니더라도 좋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오목부(23c), 또는 급수관(23)의 안둘레에 나선형상으로 설치한 오목부(23c)이더라도 좋다. 또한, 볼록부(23b)와 오목부(23c)를, 예를 들면 교대로 설치하는 경우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6)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고, 다른 구성과 부품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하며, 같은 구성과 부품에 관해서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급수펌프(22)의 접속부위 이외의 부위에 해당하는 급수관(23) 부위에, 통기구멍(42)을 설치한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의 통기구멍(42)은, 수세탱크(21)의 고수위면(51)의 아래쪽 위치로부터 급수펌프(22) 접속부위의 위쪽 위치까지의 사이의 급수관(23)에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통기구멍(42)의 작용에 의해, 급수펌프(22)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이더라도, 토출구(34a)와 급수관(23)의 끼워맞춤이 적절하게 행하여지는 시판의 펌프라면, 시판의 펌프를 이용할 수 있고, 보수성(펌프교환성)이 좋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기구멍(42)을 고수위면(51)보다 아래쪽으로 낮게 설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통기구멍(42)으로부터 방출이 있더라도 그 방출물의 주위로의 비산(飛散) 영향은 적다. 특히, 수위의 변화에 관계없이 통기구멍(23)이 항상 수면 밑에 존재하는 위치라면, 방출물의 주위로의 비산 영향은 전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7)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고, 다른 구성과 부품에 대하여는 아래에 설명하며, 같은 구성과 부품에 관해서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화장실 사용시에 수세탱크(21)내를 오르내리는 화장실 흘려버리는 물(20)의 고수위면(51)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급수관(23)에 통기구멍(42)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통기구멍(42)부터의 방출물(44)은 항상 주위에 비산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 비산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세탱크(21)의 내부위치에, 즉 그 비산물이 수세탱크(21)의 내부로 떨어지는 부위에 통기구멍(4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구멍(42)으로부터의 비산물이 수세탱크(21)의 밖으로 떨어지는 부위에 통기구멍(42)을 설치하는 구성이더라도, 예를 들면 이 비산물을 받는 그릇을 설치하여 수세탱크(21)에 되돌리는 구성을 추가하는 등에 의해서, 비산 영향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통기구멍(42)의 작용에 의해, 급수펌프(22)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어, 토출구(34a)와 급수관(23)의 끼워맞춤이 적절하게 행하여지는 시판의 펌프의 이용에 의해 보수성을향상할 수가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누설구멍(60)은, 본 실시예의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가령 발생하였다고 하는 가상의 구멍이다. 가령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누설구멍(60)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수냉식 응축기(12)측의 급수관(23)과 수냉식 응축기(12)와 배수관(24)의 각각의 내부에 저류(貯留)하고 있었던 물이, 누설구멍 (60)으로부터 새기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고수위면 (51)의 위쪽 위치에 통기구멍(42)이 존재하면, 이 통기구멍(42)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기 때문에, 통기구멍(42)의 부위로부터 급수관(23)과 수냉식 응축기(12)를 거쳐서 누설구멍(60)의 부위에 달하는 사이에 저류한 물만이 새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통기구멍(42)을 고수위면보다 높은 위치의 급수관(42)에 설치한 본 실시예의 구성이라면, 사이폰(siphon)현상이 회피되고, 화장실용의 수세탱크(21)에의 쓸데없는 급수와 연속적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통기구멍(42)을 고수위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 예상되는 통기구멍(42)으로부터의 비산 영향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과 부품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8)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비산방지수단은, 통기구멍 (42)의 바깥둘레 근방에 통기구멍(42)을 덮는 커버(62)를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 통기구멍(42)으로부터 방출하는 방출물(44)은 통기구멍(42)을 덮는 커버(62)에 부딪히고, 부딪힌 물은 커버(62)의 내벽에 따라 흘러 수세탱크(21)에 낙하하기 때문에, 통기구멍(42)으로부터 방출하는 물이 주위에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62)에 부딪힌 물을 낙하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부딪힌 물을 커버(62)의 위쪽으로부터 오버플로워(overflow)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9)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비산방지수단은, 출구부 (24a)에서 수세탱크(21)에 되돌리는 되돌림 물(46)이 통기구멍(42)으로부터 방출하는 방출물(44)을 덮도록, 배수관(24)의 출구부(24a)를 통기구멍(42)의 상부에 근접하여 배설하는 것이다. 이 구성이라면, 유출하는 되돌림 물(46)이 통기구멍(42)부터의 방출물(44)을 덮음으로써, 통기구멍(42)으로부터 방출하는 물이 주위에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1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비산방지수단은, 배수관 (24)에 연통구멍(45)을 설치하여, 이 연통구멍(45)과 통기구멍(42)을 대향시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기구멍(42)부터의 방출물(44)은, 배수관(24)내의 되돌림 물(46)에 합류하여, 동시에 수세탱크(21)에 낙하하기 때문에,통기구멍(42)으로부터 방출하는 물이 주위에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11)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또한,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밸브부착 3방향밸브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밸브부착 3방향밸브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내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의 급수장치는, 급수관(23)의 도중에 위쪽으로 연장되는 분기관을 설치하고, 이 분기관의 상단부를 통기구멍(65)으로서 하고 있다. 급수관(23)의 내부에는, 이동가능한 볼(64)과, 이 볼(64)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아래쪽 스토퍼(66)가 설치된다. 여기서 볼(64)은, 통기구멍(65)과 아래쪽 스토퍼(66)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통기구멍(65)은, 수세탱크(21)의 고수위면(51)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사이폰(siphon)현상 회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볼(64)의 자중에 의한 역지(逆止) 밸브작용을 하기 때문에, 볼(64)이 이동하는 범위에 있는 급수관(23)과 분기관은 볼(64)이 상하로 가동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부착 3방향밸브의 동작과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급수펌프(22)에 의한 송수가 행하여져, 볼(64)이 물의 힘으로 들어 올려지고 통기구멍(65)에 밀접하여, 통기구멍(65)으로부터의 물의 유출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급수펌프(22)를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볼(64)은 아래쪽 스토퍼(66)까지 낙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통기구멍(65)은 개방상태에 있고, 통기구멍(65)으로부터 공기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관(23)에 유입하기 때문에, 가령 수냉식 응축기(12)측에서 파손에 의한 누수를 발생하더라도, 사이폰현상에 의한 계속적인 누수를 도중에서 절단하여, 수세탱크(21)로의 연속급수를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2(c)는, 급수펌프(22)의 내부에 잔존한 공기가, 낙하하고 있는 볼(64)과 아래쪽 스토퍼(66)의 빈틈에서 새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볼(64)과 아래쪽 스토퍼(66)와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급수펌프(22)의 내부에 물을 가득 차게 하여, 급수펌프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밸브부착 3방향밸브에 의하면, 통기구멍(65)으로부터 방출물(44)이 나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펌프 양정이나 비산물에 대해 배려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12)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수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급수펌프(22)는, 그 모터 케이스(34)의 원심벨브(32)와, 밸브가이드(33)에 의한 급수기능부보다 위쪽 부위에, 통기구멍(42)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통기구멍(42)의 작용에 의해, 급수펌프(22)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수지제의 모터케이스(34)의 표면에 통기구멍(42)을 설치하는 구성이라면, 성형성(成形性)이 좋게 되기 때문에 보다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령 급수펌프 내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저수(貯水) 안에 투입한 경우이더라도, 통기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 공(空) 운전을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어, 공기냉각기구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판의 펌프를 유용하여 펌프교환보수가 행하여지더라도, 통기구멍이 반드시 확보되어,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령 수냉식 응축기측에 파손이 생겨, 이 파손에 의해서 누수가 생긴 경우이더라도, 통기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급수관자체가 형성하는 사이폰(siphon)현상을 절단할 수 있어, 물탱크부터의 연속적인 누수를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펌프 본래의 급수기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소요시간 내에 공기가 다 빠져나가 급수펌프의 공(空) 운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기구멍으로부터의 방출물의 비산(飛散)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는, 통기구멍을 폐쇄함으로써, 급수펌프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령 급수펌프 내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저수(貯水) 안에 투입한 경우이더라도, 통기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 공(空) 운전을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어, 공기냉각기구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급수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5)

  1. 압축기, 수냉식 응축기, 감압기구, 증발기, 및 송풍기를 갖는 공기냉각기구와, 물탱크로부터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물탱크 내에 배치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 퍼 올린 상기 냉각수를 상기 수냉식 응축기로 이끄는 급수관을 갖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급수펌프 또는 상기 급수관에, 상기 급수펌프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하는 상기 급수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물탱크 내에 저류(貯留)하는 상기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의 개구면적을 10㎟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안내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에 되돌리는 배수관을 갖고, 상기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상기 배수관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안내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에 되돌리는 배수관을 갖고, 상기 통기구멍의 바깥둘레에 상기 배수관의 배출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 시에는, 상기 통기구멍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분기배관을 설치하여, 상기 분기배관의 끝단부 개구를 상기 물탱크 내에 저류(貯留)하는 상기 냉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통기구멍으로 하고, 상기 통기구멍을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관과의 접속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관과의 접속부에 스페이서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의 상기 급수관과의 접속부인 토출구의 바깥둘레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와의 접속부가 되는 상기 급수관 끝단부의 안둘레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을, 상기 물탱크 내에 저류(貯留)하는 상기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15. 상기 물탱크 내에 배치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 퍼 올린 상기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 밖으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갖는 급수장치로서, 상기급수펌프 또는 상기 급수관에, 상기 급수펌프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KR1020020031280A 2001-06-27 2002-06-04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KR20030001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4173 2001-06-27
JP2001194173A JP2003014250A (ja) 2001-06-27 2001-06-27 水冷式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51A true KR20030001251A (ko) 2003-01-06

Family

ID=1903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280A KR20030001251A (ko) 2001-06-27 2002-06-04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14250A (ko)
KR (1) KR20030001251A (ko)
CN (1) CN120238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9189A (ja) * 2014-03-11 2015-09-28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吐出ケーシング及びこれを備えた立型水中ポンプ
DE102016200909A1 (de) * 2016-01-22 2017-07-27 Ksb Aktiengesellschaft Entlüftungseinrichtung
DE102016200910A1 (de) * 2016-01-22 2017-07-27 Ksb Aktiengesellschaft Anlage
CN106640678B (zh) * 2016-10-31 2023-11-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移动空调器及其抽水装置和泵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3667A (zh) 2003-01-29
CN1202388C (zh) 2005-05-18
JP2003014250A (ja)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9701B (zh) 横轴潜水泵及横轴潜水泵使用的吸入罩
JP6079610B2 (ja) 排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空調装置
JP2005144437A (ja) リザーバタンク
KR100604403B1 (ko) 볼형 체크밸브
KR20030001251A (ko) 수냉식 공기조화장치
JP5269759B2 (ja) 廃水ポンプ輸送装置
KR200430528Y1 (ko)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JP4630913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及びその飲料水用サーバーに用いる貯水タンク用の排気手段
JP2008240402A (ja) 洋風水洗式便器
JP2005350985A (ja) 給水装置の負圧破壊装置
JP2670475B2 (ja) ガス体連行管
KR20090132929A (ko) 차량 냉각시스템의 냉각수 리저버 탱크
FI102318B (fi) Menetelmä ja laite nesteen pitämiseksi työpaineessa oleellisesti sulje tussa nestekiertojärjestelmässä
JP2005173868A (ja) 自動販売機のドレーン水排水装置
KR100285211B1 (ko) 보일러의 보충수 공급장치
JP7224707B1 (ja) サイフォン解消型逆流防止給水器
CN217480346U (zh) 马桶
JP4996966B2 (ja) 排水ポンプ装置
JP2018109335A (ja) 洗浄水供給装置および水洗大便器
JP2005214046A (ja) 水中ポンプ及びマンホール装置
JPS5912993Y2 (ja) 脱臭装置
JP4547769B2 (ja) 氷蓄熱装置
CN118257333A (zh) 冲水大便器
JP2012017933A (ja) 冷気循環式ショーケース
KR20030001274A (ko) 공기 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