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528Y1 -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528Y1
KR200430528Y1 KR2020060022531U KR20060022531U KR200430528Y1 KR 200430528 Y1 KR200430528 Y1 KR 200430528Y1 KR 2020060022531 U KR2020060022531 U KR 2020060022531U KR 20060022531 U KR20060022531 U KR 20060022531U KR 200430528 Y1 KR200430528 Y1 KR 200430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water meter
dra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범준
Original Assignee
최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범준 filed Critical 최범준
Priority to KR2020060022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의 동파 위험이 전혀 없도록 구성시킨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에 장치되는 수도계량기에 배수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수도계량기 보호통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도계량기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일이 전혀 없도록 한 것이다.
즉, 합성수지제로 된 외통(1a)내에 스티로폼으로 된 일정두께의 보온제(1b)를 내장하여 보온부(1c)를 형성하고 보온부(1c)내에 수도계량기(2)를 장치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1)에 있어서,
수도계량기의 보온부에 수도계량기(2)를 장치하되 수도계량기는 상수도공급관(3)과 연결되는 입수구(201)에 배수밸브(40)가 구비된 개폐밸브(4)를 장치하고 상수도배수관(5)과 접속되는 배수구(202)에 통기밸브(7)와 역지밸브(6)를 차례로 장치하며 배수밸브(40)의 배수구(40a)에 배수관(8)을 연결하여 그 하단을 상수도 공급관(3)이 투입되는 통공부(1d)를 통해 외부로 돌출시키므로써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온재, 수도계량기, 배수구, 역지밸브

Description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A protecting box for a water gauge}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장치되는 수도 계량기 예시도이다.
도 3(가)(나)는 본 고안의 개폐밸브 작동레버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통기밸브와 역지밸브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보호통 1a : 외통
1b : 보온제 1c : 보온부
2 : 수도계량기 3 : 상수도공급관
4 : 개폐밸브 5 : 상수도배수관
6 : 역지밸브 7 : 통기밸브
8 : 배수관 40 : 배수밸브
40a : 배수구 41 : 통수로
42 : 개폐볼 42a : 관통공
43 : 작동축 43a : 작동돌기
60 : 역지밸브본체 61 : 입수관
62 : 볼안내관 63 : 개폐볼
64 : 코일스프링 70 : 통기밸브본체
71 : 연결관 72 : 공기통본체 73 : 통기공 74 : 패킹 75 : 부구 201 : 입수구 202 : 배수구 401 : 밸브본체
401a : 급수통로 402 : 개폐볼
403 : 관통공 404 : 측방통공부
405 : 작동레버 406 : 작동판
407 : 작동안내공 407a,407b : 작동면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의 동파 위험이 전혀 없도록 구성시킨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에 장치되는 수도계량기에 배수장치를 구비하고 수도계량기 내부에 담아 있는 물울 뽑아 수도계량기 보호통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도계량기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일이 전혀 없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겨울철에 수도계량기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계량기 보호통을 단열재로 구성하여 수도계량기를 그 내부에 설치하고 있으나 수도계량기 속에 물이 고여 있게 되면 기온이 급하강할 경우 계량기 보호통이 있다 해도 내부의 물이 얼어서 동파를 초래하게 되는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구성한 것인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제로 된 외통(1a)내에 스티로폼으로 된 일정두께의 보온제(1b)를 내장하여 보온부(1c)를 형성하고 보온부(1c)내에 수도계량기(2)를 장치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1)에 있어서,
수도계량기의 보온부에 수도계량기(2)를 장치하되 수도계량기는 상수도공급관(3)과 연결되는 입수구(201)에 배수밸브(40)가 구비된 개폐밸브(4)를 장치하고 상수도배수관(5)과 접속되는 배수구(202)에 통기밸브(7)와 역지밸브(6)를 차례로 장치하며 배수밸브(40)의 배수구(40a)에 배수관(8)을 연결하여 그 하단을 상수도 공급관(3)이 투입되는 통공부(1d)를 통해 외부로 돌출시킨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개폐밸브(4)는 밸브본체(401)의 급수통로(401a)에 개폐볼(402)을 장치하되 개폐볼에 형성된 관통공(403)에 관통공 중심에서 측방으로 관 통하게 측방통공부(404)를 더 형성하며, 측방통공부(304)가 수도계량기 입수구(201)쪽으로 향할 수 있게 장치하고,
개폐볼(402) 하측으로 배수밸브(40)를 구비하여 그 통수로(41)에 관통공(42a)이 형성된 개폐볼(42)을 내장하여 그 작동축(43) 외측단에 작동돌기(43a)를 형성하며 개폐밸브(4)의 개폐볼(402) 작동축(420a)에 작동레버(405)를 연결하고 작동레버 하측에 작동판(406)을 더 형성하여 작동판에 원호상의 작동면(407a)(407b)이 내외측으로 형성되게 원호상의 작동안내공(407)을 천공한 후 배수밸브(40)의 개폐볼작동축(43)에 형성된 작동돌기(43a)가 삽통되게 함으로써 개폐밸브(4)의 개폐볼(402)을 상수도공급관(3) 폐쇄쪽으로 향하게 작동축(402a) 작동레버(405)를 작동시키면(도 3가) 배수밸브(40)의 개폐볼(42)이 배수밸브의 배수통로(41)를 개방하고 상수도공급관(3) 개방쪽으로 작동레버(405)를 작동시키면(도3 나) 배수밸브(40)의 개폐볼이 배수통로(41)를 폐쇄하는 구성이며,
통기밸브(7)는 수도계량기의 배수구(202)에 통기밸브본체(70)를 연결하여 그 중앙부 연결관(71)에 공기통본체(72)의 연결관(72a)을 나사조립하고 공기통본체(72)의 덮개(73)중심에 통기공(73a)을 천공하여 내면에 패킹(74)을 장치하고 공기통본체(72) 내부에 하단부와 주벽에 통기로(75a)(75b)가 형성되고 상면이 평면으로 된 부구(75)를 개입하여 부구(75)가 수압을 받아 공기통 본체내에서 상승하면 통기공(73)이 폐쇄되고 부구가 하강하면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73)으로 유입되게 한 구성이고,
역지밸브(6)는 통기밸브외측과 상수도 배수관(5) 사이에 역지밸브본체(60)를 연결하여 그 입수관(61) 내측에 입수관쪽이 개방부(62a)로 되고 주벽에 통수공(62b)이 형성된 볼안내관(62)를 내장하여 볼안내관 속에 코일스프링(64)에 의하여 입수관쪽으로 탄발되는 개폐볼(63)을 장치하여 개폐볼(63)이 상수도배수관(5)에서 수도계량기(2)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2)와 상수도공급관(3)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4)에 의하여 상수도 공급관에서 수도계량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고 개폐밸브(4)의 개폐볼(402)을 수도급수관이 차단되는 쪽으로 작동레버(405)를 작동시키면 개폐밸브의 개폐볼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개폐볼(402)에 형성된 관통공(403)은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고 측방통공부(404)가 수도계량기쪽으로 위치하게 되며 작동레버(405)의 작동판(40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작동안내공(407)에 끼워진 배수밸브(40)의 개폐볼(42) 작동축(43)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기 때문에 개폐볼(42)에 형성된 통공(42a)이 상하방향으로 유지하여 수도계량기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계량기 내부의 수압이 하강하므로 통기밸브(7)의 밸브본체(70)에 장치된 공기통본체(72)의 내부에 장치된 부구(75)가 하강하여 통기공(73)을 개방하므로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73)에서 주벽통기로(75a)(75b)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고 수도계량기 내부의 급수압에 의하여 밸브본체(60)의 입수관(61) 내측에서 이완되어 있던 개폐볼(63)은 수압이 감소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64)의 압력으로 입수관(61)쪽에 밀착되게 되므로 상수도물이 배수관(5)으로 가지 못하게 되고 수도계량기속에 유입된 외부공기는 배수밸브(40)의 통수로(41)쪽으로 작용하여 수도계량기 내의 잔수가 모두 배수밸브(40)의 배수구(40a)로 배출되게 도와주고 이로인해 수도계량기 내부의 물은 배수관(8)을 따라 수도계량기보호통(1) 외부로 흘러 나오게 된다.
따라서 수도계량기의 수도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폐쇄시키면 배수밸브(40)와 통기밸브(7)가 열리게 되고 역지밸브(6)는 닫히는 작동이 일어나서 수도계량기속에 남아 있는 물이 깨끗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기온이 내려간다 해도 수도계량기가 잔류수에 의하여 동파될 위험이 없도록 되며 다시 물을 공급하기위해 상수도 공급관(2)을 개방하기 위해 개폐밸브(4)의 개폐볼(402)을 좌회전시키면 관통공(403)은 수평으로 열려 상수도공급관(3)과 수도계량기(2)사이에 통수로가 생기고 측방통공부(404)는 상향으로 유지되어 수도계량기와 배수밸브 사이의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배수밸브(40)의 개폐볼(42)은 그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유지되어 통수로(41)를 폐쇄하는 쪽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배수밸브(40)는 차단이 된다.
따라서 수도계량기에 물이 충만되어 배수관(5) 쪽으로 수압이 작동하면 통기밸브(7)의 부구(75)는 내부 수압에 의하여 상승하여 통기공(73a)을 막아주고 역지밸브(6)의 개폐볼(63)은 내부수압을 받아 코일스프링(64)을 밀고 외향하므로 입수관(61)에서 통수공(62b)으로 물길이 열려 배수관(5)으로 상수도물이 배출되어 상수도물을 사용하게 되고 수도계량기는 그 내부의 카운터장치(2a)가 작동하여 카운터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인해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를 보호통내에 장치하여 보호하면서 수도계량기에 남아 있는 물을 배출시켜 동파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배수관(8)을 통해 수도계량기 내부의 물이 수도계량기 보호통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호통 내부에 물이 고일 염려가 없어서 보호통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동파위험이 완전히 해소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얻을 수 있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합성수지제로 된 외통(1a)내에 스티로폼으로 된 일정두께의 보온제(1b)를 내장하여 보온부(1c)를 형성하고 보온부(1c)내에 수도계량기(2)를 장치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1)에 있어서,
    수도계량기의 보온부에 수도계량기(2)를 장치하되 수도계량기는 상수도공급관(3)과 연결되는 입수구(201)에 배수밸브(40)가 구비된 개폐밸브(4)를 장치하고 상수도배수관(5)과 접속되는 배수구(202)에 통기밸브(7)와 역지밸브(6)를 차례로 장치하며 개폐밸브(4)에 장치된 배수밸브(40)의 배수구(40a)에 배수관(8)을 연결하여 그 하단을 상수도 공급관(3)이 투입되는 통공부(1d)를 통해 외부로 돌출시킨 구성의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밸브(4)는 밸브본체(401)의 급수통로(401a)에 개폐볼(402)을 장치하되 개폐볼에 형성된 관통공(403)에 관통공 중심에서 측방으로 관통하게 측방통공부(404)를 더 형성하며, 측방통공부(304)가 수도계량기 입수구(201)쪽으로 향할 수 있게 장치하고,
    개폐볼(402) 하측으로 배수밸브(40)를 구비하여 그 통수로(41)에 관통공(42a)이 형성된 개폐볼(42)을 내장하여 그 작동축(43) 외측단에 작동돌기(43a)를 형성하며 개폐밸브(4)의 개폐볼(402) 작동축(420a)에 작동레버(405)를 연결하고 작동레버 하측에 작동판(406)을 더 형성하여 작동판에 원호상의 작동면(407a)(407b)이 내외측으로 형성되게 원호상의 작동안내공(407)을 천공한 후 배수밸브(40)의 개폐볼작동축(43)에 형성된 작동돌기(43a)가 삽통되게 함으로써 개폐밸브(4)의 개폐볼(402)을 상수도공급관(3) 폐쇄쪽으로 향하게 작동축(402a) 작동레버(405) 작동시키면 배수밸브(40)의 개폐볼(42)이 배수밸브의 배수통로(41)를 개방하고 작동레버(405)를 상수도공급관(3) 개방쪽으로 작동시키면 배수밸브(40)의 배수통로(41)가 폐쇄되게한 구성일 것을 포함하는 동파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3. 제1항에 있어서,
    통기밸브(7)는 수도계량기의 배수구(202)에 통기밸브본체(70)를 연결하여 그 중앙부 연결관(71)에 공기통본체(72)의 연결관(72a)을 나사조립하고 공기통본체(72)의 덮개(73)중심에 통기공(73a)을 천공하여 내면에 패킹(74)을 장치하고 공기통본체(72) 내부에 하단부와 주벽에 통기로(75a)(75b)가 형성되고 상면이 평면으로 된 부구(75)를 개입하여 부구(75)가 수압을 받아 공기통 본체내에서 상승하면 통기공(73)이 폐쇄되고 부구가 하강하면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73)으로 유입되게 한 구성일 것을 포함하는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4. 제1항에 있어서,
    역지밸브(6)는 통기밸브외측과 배수관(5) 사이에 역지밸브본체(60)를 연결하여 그 입수관(61) 내측에 입수관쪽이 개방부(62a)로 되고 주벽에 통수공(62b)이 형성된 볼안내관(62)를 내장하여 볼안내관 속에 코일스프링(64)에 의하여 입수관쪽으로 탄발되는 개폐볼(63)을 장치하여 개폐볼(63)이 배수관(5)에서 수도계량기(2)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구성일 것을 포함하는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20060022531U 2006-08-08 2006-08-23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430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31U KR200430528Y1 (ko) 2006-08-08 2006-08-23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97 2006-08-08
KR2020060022531U KR200430528Y1 (ko) 2006-08-08 2006-08-23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528Y1 true KR200430528Y1 (ko) 2006-11-10

Family

ID=4177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31U KR200430528Y1 (ko) 2006-08-08 2006-08-23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52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00B1 (ko) 2009-04-08 2009-12-24 최범준 수도계량기의 방수 보호통
KR200447583Y1 (ko) * 2009-07-15 2010-02-10 오세종 배관 일체형 수도계량기함
KR200450907Y1 (ko) 2010-05-26 2010-11-09 (주) 디케이금속 수도미터 동파방지 장치
KR101397315B1 (ko) * 2013-05-29 2014-05-22 방병민 지상형 보온 보호통
KR20210061588A (ko)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청호정밀 수돗물의 안전 음용을 위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00B1 (ko) 2009-04-08 2009-12-24 최범준 수도계량기의 방수 보호통
KR200447583Y1 (ko) * 2009-07-15 2010-02-10 오세종 배관 일체형 수도계량기함
KR200450907Y1 (ko) 2010-05-26 2010-11-09 (주) 디케이금속 수도미터 동파방지 장치
KR101397315B1 (ko) * 2013-05-29 2014-05-22 방병민 지상형 보온 보호통
KR20210061588A (ko)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청호정밀 수돗물의 안전 음용을 위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528Y1 (ko)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US10626582B2 (en) Sanitary hydrant
CA2165099C (en) Sanitary yard hydrant
US7249609B2 (en) Yard hydrant with closure valve check valve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CA2556588C (en)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air line
US7168109B1 (en) Self-priming siphon tube for use with a toilet tank and bowl for maintaining a steady trickle flow of water through a supplying and unheated service line associated with the tank and bowl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100700399B1 (ko) 동파방지 상수도관
KR200430463Y1 (ko) 동파방지용 배수장치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KR100658049B1 (ko) 부동전
JP4617919B2 (ja) 自吸式ポンプ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160001400U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0924755B1 (ko)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JP4916196B2 (ja) 水栓柱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JP4977330B2 (ja) サイホン式取水装置
KR200343793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81561Y1 (ko) 스팀을 이용한 하수관용 개로장치
KR102523554B1 (ko) 동파 방지 수도계량기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CN106088272A (zh) 无水箱马桶的防污水倒流装置
KR200333403Y1 (ko)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JPH1161947A (ja) 便器の凍結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