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072Y1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Google Patents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072Y1
KR200327072Y1 KR20-2003-0020510U KR20030020510U KR200327072Y1 KR 200327072 Y1 KR200327072 Y1 KR 200327072Y1 KR 20030020510 U KR20030020510 U KR 20030020510U KR 200327072 Y1 KR200327072 Y1 KR 200327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ating
water
water supply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0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으로서, 겨울철에 상수의 공급을 중단시킨 경우 급수주내에 남아있던 잔류수 수위가 급속히 낮아질 수 있도록 하여 혹한기의 동파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누수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코자 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동 급수주는, 지하 상수관(8)과 급수주(2) 연결부위에 설치되어진 부동밸브 하우징(1), 부동밸브 하우징(1) 내의 밸브체(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핸들(4)이 설치되어진 부동 급수주에 있어서,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에는 캡너트(11)에 나합되어진 밸브대(12)의 승강 동작에 의해 급수주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체(10)가 밸브대(12)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체(10)의 하강시 부동밸브 하우징(1)의 배수실(1a)내에 저장된 잔류수를 외부로 환수시키기 위한 환수유로(12a)가 밸브대(12)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환수유로(12a) 출구측의 배수홀(13b)을 통해 환수된 물이 임시 보관되어지는 임시 저장공간(6a)을 형성하기 위해 부동밸브 하우징(1)의 상부에는 부동밸브키(5)를 감싸며 내부공간을 이루는 키보호관(6)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NONFREEZING WATER SUPPLY PIPE FOR PREVENT WINTER SOWING}
본 고안은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와 파이프를 별도로 보온하지 않고도 겨울철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급수주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급수주는 동절기의 한파에 의해 결빙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도전으로서, 이러한 부동전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밸브 및 파이프에 보온수단을 사용한 부동전과 부동전 자체의 내부 구조를 개량한 부동전으로 대별될 수 있으나, 겨울철 혹한기에 효과적인 동파방지를 위해서는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후자에 따른 종래기술의 부동 급수주는 지상으로 노출된 급수주가 동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급수주의 하단에 배수실을 형성하여 사용후 급수주에 남아 있는 잔류수를 하부로 유도하여 급수주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 동파를 방지하도록한 것으로, 상기 배수실에는 잔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실과 배수공을 형성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부동 급수주구조에서는 밸브실내의 개폐밸브가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수지재질의 탄성고무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후 장기간 시간이 흐르면서 변형등이 발생하여 개폐효율이 취약하고, 이는 지상에 노출되어진 수도꼭지와 달리 지하에 매설된 구조체이므로 쉽게 부품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수실로 유도된 잔류수가 배수공을 통해 직접 땅속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설계되어져 있어 지층을 통해 배수되는 속도가 느릴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배수가 채 완료되기 전에 잔류수가 급수주내에서 얼게 되어 동파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동절기 급수 후 급수주내에 남아있는 잔류수가 신속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는 개선된 배수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겨울철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밸브체의 재질변경을 통해 밸브의 개폐동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토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설치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급수유로 개방시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급수유로 1차 폐쇄시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환수유로 개방시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동밸브 하우징 2 : 급수주
3 : 수도꼭지 4 : 부동밸브핸들
5 : 밸브키 6 : 키보호관
6a: 임시 저장공간 6b: 배출공
7 : 고정밴드 8 : 상수도관
10 : 밸브체 11 : 캡너트
12 : 밸브대 12a: 환수유로
13a: 입수홀 13b: 배수홀
14 : 밸브시트 15 : 밸브커버
16 : 스프링가이드 17 : 탄성스프링
상기 목적은, 지하 상수관과 일단이 연결되어진 가운데 소정 높이로 지면상에 노출되어 세워지는 급수주, 상기 지하 상수관과 급수주 연결부위에 설치되어져 급수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부동밸브 하우징,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 내의 밸브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핸들이 부동밸브키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진 통상의 부동 급수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에는 캡너트에 나합되어진 밸브대의 승강 동작에 의해 급수주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체가 밸브대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체의 하강시 부동밸브 하우징의 배수실내에 저장된 잔류수를외부로 환수시키기 위한 환수유로가 밸브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환수유로 출구측의 배수홀을 통해 환수된 물이 임시 보관되어지는 임시 저장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부동밸브 하우징의 상부에는 부동밸브키를 감싸며 내부공간을 이루는 키보호관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부동급수주의 설치상태 외관도이고, 도 2는 부동밸브 하우징의 내부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부동밸브 하우징내에서의 유로변환에 따른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주의 전체적인 외관구성을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일정 높이로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급수주(2)의 상단에는 수도꼭지(3)가 달려짐과 함께 하단은 지하 상수도관(8)과 연결되어 지고, 상기 연결부위에는 급수유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부동밸브 하우징(1)이 장착되어지며,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 내의 밸브체(10)를 승강유동시키기 위한 부동밸브키(5)가 연결되어져 밸브핸들(4)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부동밸브키(5)는 키보호관(6)에 감싸져 그 내부에 보호되어지며, 상기 키보호관(6)은 복수의 개소에서 고정밴드(7)에 의해 급수주(2)와 함께 지지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 내부 구성에 있어서는 도 2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 상부에 캡너트(11)가 장착되어져 내부에 배수실(1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캡너트(11)의 중앙통공에는 밸브대(12)가 나합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밸브대(12)의 선단에는 하부의 급수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체(10)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밸브체(10)는 하부구조체를 이루는 밸브시트(14)와 상부구조체를 이루는 밸브커버(15)가 메탈재질로 재작되어진 상태에서 결합된 결합체로서 그 내부에는 스프링가이드(16)가 탄성스프링(17)에 의해 지지되어지며, 상기 스프링가이드(16)를 가압시키는 밸브대(12)의 선단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턱(15')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밸브대(12) 내부에는 입수홀(13a)과 배수홀(13b)이 환수유로(12a)를 통해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홀(13b)과 연통되어진 키보호관(6) 내부에는 환수된 물이 임시 보관되어지는 임시 저장공간(6a)을 형성함과 환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6b)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키보호관(6)의 내경은 급수주(2)의 내경보다 크도록 함으로서 단시간에 많은량의 잔류수가 급수주(2)에서 키보호관(6)내의 임시 저장공간(6a)에 환수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기밀용 오링, 19는 U패킹, 20은 와샤, 21은 키홀 체결구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겨울철 급수주의 사용시에는 수도꼭지(3)를 개방시켜놓은 상태에서 밸브핸들(4)을 조작하여 급수제어를 실시하게 되는데, 먼저 밸브핸들(4)을 일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부동밸브키(5)로 연결되어져 있는 밸브대(12)가 회전되어지면서 캡너트(11)와의 나사작용에 의해 점차 상승하게 되고, 이에따라 급수유로를 막고있던 밸브체(10)가 상승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주(2)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가이드(16)를 누르고 있던 밸브대(12)가 최초 상승시에는 밸브체(10)가 유동되지 않게 되고, 계속 상승하여 밸브대(12)의 선단에 형성되어져 있는 걸림턱(15')에 걸려진 후부터 밸브체(10)의 소정높이(d)로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같이 하여 급수유로가 개방되어짐에 따라 급수주(2) 상단에 설치된 수도꼭지(3)를 통해 상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된다.
한편, 급수를 중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밸브핸들(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급수유로를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반대로 밸브대(12)가 서서히 하강되어짐에 따라 밸브체(10)가 하강되어지면서 도 4에서와 같이 급수유로를 폐쇄시킨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급수유로가 폐쇄되어짐에 따라 수도꼭지(3)를 통한 더이상의 상수공급은 이루어지지 않게되나, 급수주(2) 내에는 잔류수가 남아있게 되고 이중 일부는 부동밸브 하우징(1) 내의 배수실(1a)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핸들(4)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밸브대(12)가 탄성스프링(17)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스프링가이드(16)를 누르면서 소정 깊이(H)로 더욱 하강하게 되고, 이에따라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밸브대(12)의 입수홀(13a)이 배수실(1a)과 연통되게 됨으로서 배수실(1a) 및 급수주(2) 내에 남아있던 잔류수는 수압차에 의해 입수홀(13a)의 환수유로(12a)를 거쳐 배수홀(13b)을 통해 키보호관(6) 내의 임시 저장공간(1a)으로 빠르게 이동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잔류수가 임시 저장공간(1a)으로 이동함에 따라 급수주(2)내의 잔류수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지상 노출부위에는 잔류수가 남아있지 않게 되며, 이때 관경의 차이에 따라 급수주(2)의 수위는 급격히 낮아지게 됨에 반면 키보호관(6) 내의 수위는 서서히 증가되어지게 된다.
한편, 키보호관(6) 내의 임시 저장공간(1a)으로 이동되어 모여진 잔류수는 키보호관(6)의 일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배출공(6b)을 통해 빠져나가 땅속으로 서서히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혹한기에 잔류수가 급수주(2) 내에서 천천히 빠져나감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급수주 동파의 위험이 본 고안의 구조를 통해 해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수유로가 완전히 폐쇄되어진 상태에서 다시 급수주(2)를 통한 상수의 공급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 밸브핸들(4)을 최초 회전시켰을 때에는 밸브대(12)만이 상승하고 내부 탄성스프링(17)의 탄성작용에 의해 밸브체(10)는 급수유로를 폐쇄시킨 상태가 유지되어지며 밸브핸들(4)을 더욱 회전시켜 밸브대(12)내의 환수유로(12a)가 완전히 폐쇄되어진 후에 급수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공급되는 상수가 배출공(6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급수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체(10)는 기존 고무시트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매탈재질로 제작함으로서, 설치후 장기간이 경과한 후 재료의 변형이 발생하여 급수유로가 폐쇄되어진 상태에서 누수가 발생되어지는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된다.
즉, 본 고안의 부동 급수주의 조작방법을 다시한번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밸브핸들(4)은 열어놓아 급수유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도꼭지(3)를 조작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되며, 동절기에는 급수주(2)의 수도꼭지(3)는 항상 열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밸브핸들(4)을 이용하여 급수유로를 개폐시킴으로서 동결이 방지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부동 급수주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부동 급수주는, 겨울철에 상수의 공급을 중단시킨 경우 급수주내에 남아있던 잔류수 수위가 급속히 낮아질 수 있게되어 혹한기의 동파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의 재질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메탈재로 변경하여 설치함으로서 누수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4)

  1. 지하 상수관(8)과 일단이 연결되어진 가운데 소정 높이로 지면상에 노출되어 세워지는 급수주(2), 상기 지하 상수관(8)과 급수주(2) 연결부위에 설치되어져 급수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부동밸브 하우징(1),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 내의 밸브체(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핸들(4)이 부동밸브키(5)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진 통상의 부동 급수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에는 캡너트(11)에 나합되어진 밸브대(12)의 승강 동작에 의해 급수주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체(10)가 밸브대(12)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체(10)의 하강시 부동밸브 하우징(1)의 배수실(1a)내에 저장된 잔류수를 외부로 환수시키기 위한 환수유로(12a)가 밸브대(12)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환수유로(12a) 출구측의 배수홀(13b)을 통해 환수된 물이 임시 보관되어지는 임시 저장공간(6a)을 형성하기 위해 부동밸브 하우징(1)의 상부에는 부동밸브키(5)를 감싸며 내부공간을 이루는 키보호관(6)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10)는 하부구조체인 밸브시트(14)와 상부구조체인 밸브커버(15)가 결합된 결합체로서 그 내부에는 스프링가이드(16)가 탄성스프링(17)에 의해 지지되어지며, 상기 스프링가이드(16)를 가압시키는 밸브대(12)의 선단은 이탈방지용 걸림턱(15')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10는 메탈재질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호관(6)의 내경은 급수주(2)의 내경보다 크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2003-0020510U 2003-06-27 2003-06-27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327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10U KR200327072Y1 (ko) 2003-06-27 2003-06-27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10U KR200327072Y1 (ko) 2003-06-27 2003-06-27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549A Division KR100557904B1 (ko) 2003-06-27 2003-06-27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072Y1 true KR200327072Y1 (ko) 2003-09-19

Family

ID=4933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510U KR200327072Y1 (ko) 2003-06-27 2003-06-27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0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37Y1 (ko) 2011-05-25 2013-04-29 장성규 피스톤 조립 구조 개선형 부동전
KR20230151402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가산냉동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37Y1 (ko) 2011-05-25 2013-04-29 장성규 피스톤 조립 구조 개선형 부동전
KR20230151402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가산냉동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138Y1 (ko) 동파방지용 수도전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712707B1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US6899120B1 (en) Yard hydrant
KR102318589B1 (ko) 싱크홀 방지부가 형성된 부동전 구조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100700399B1 (ko) 동파방지 상수도관
KR102147767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KR100658049B1 (ko) 부동전
KR200310493Y1 (ko) 부력식 역지밸브
KR200353925Y1 (ko) 절수 부동전
KR100484056B1 (ko) 절수 부동전
KR900003370Y1 (ko) 수도관의 동결방지 장치
KR200252000Y1 (ko) 동파방지용 수도전
JPH04117666U (ja) 寒冷地用消火装置
KR100403447B1 (ko) 무퇴수 부동전
KR101806977B1 (ko) 부동전
KR200353924Y1 (ko) 절수 부동전
KR200219378Y1 (ko) 부동전
JPH03203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