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977B1 - 부동전 - Google Patents
부동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6977B1 KR101806977B1 KR1020160093058A KR20160093058A KR101806977B1 KR 101806977 B1 KR101806977 B1 KR 101806977B1 KR 1020160093058 A KR1020160093058 A KR 1020160093058A KR 20160093058 A KR20160093058 A KR 20160093058A KR 101806977 B1 KR101806977 B1 KR 101806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valve
- pipe
- faucet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가 연결된 로드를 회전에 의해 개방시켜 상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도꼭지를 통해 배출시키는 부동전에 있어서, 하단에 외측 퇴수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양단에 상기 상수관과 상기 수도꼭지가 설치되고 분기된 단부는 실내의 수도 밸브와 연결되며, 외주면 하단에 퇴수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의 하강시 연동되면서 상기 상수관 폐쇄와 함께 상기 퇴수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의 상승시 상기 상수관 개방과 함께 상기 퇴수구멍을 폐쇄하는 개폐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관과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관에 주택 내의 실내 수도꼭지와 연결되도록 분기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 실내 수도꼭지를 열어 놓으면 주택 내부의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가 동파를 예방할 수 있고, 분기관에 퇴수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땅속에 매립되는 본체에 외측 퇴수구멍을 형성하여 퇴수시 모래나 흙에 의한 막힘을 방지 가능하고 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관과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관에 주택 내의 실내 수도꼭지와 연결되도록 분기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 실내 수도꼭지를 열어 놓으면 주택 내부의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가 동파를 예방할 수 있고, 분기관에 퇴수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땅속에 매립되는 본체에 외측 퇴수구멍을 형성하여 퇴수시 모래나 흙에 의한 막힘을 방지 가능하고 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잠그면 내부의 물이 배출되면서 동절기 동파를 예방 가능한 스마트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용가에서 상수(上水)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수도관을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겨울철에 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도관 내에 잔존된 물이 동결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중의 상수관과 연결되어 지상으로 연결되는 수직 설치 부위에 부동전을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동파 방지를 위한 종래기술 1의 부동전은 수도가 공급되는 공급공 및 퇴수공을 형성한 하우징에 수도관을 연결한 부동전 구조에 있어서, 관 형태에 외측으로는 고무재질의 수밀체를 끼움한 지지체를 하우징 내부로 고정하고; 상기 지지체 내부를 관통해 하우징 하부까지 위치한 개폐봉의 하부로는 상하로 관통된 유입공을 가지는 유입체를 형성하고, 그 하단부로 공급공을 막는 개폐구를 구비하여; 개폐봉이 상부로 이동하면 개폐구가 공급공을 여는 동시에 유입체가 지지체 내로 삽입되면서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벌려 수밀체가 퇴수공을 막아 수도가 유입공을 거쳐 수도관으로 공급되고, 개폐봉이 하부로 이동하면 개폐구가 공급공을 막는 동시에 유입체가 지지체 하부로 이동하여 복귀한 유입체 및 수밀체가 퇴수공을 열어 잔류수도를 배수하는 부동전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고정된 수밀체가 퇴수공의 개폐작업을 정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부동전은 야외 수도에만 적용 가능하고, 하우징의 표면에 퇴수공이 형성되어 땅에 매립시킨 경우 모래나 흙 등이 막혀 퇴수가 안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의 부동전은 퇴수공을 가짐과 동시에 사다리꼴 압축스프링에 의해 밸브가 항상 수공을 막도록 구성한 밸브하우징 내부에 통수공을 가진 피스톤을 손잡이와 연결설치된 로드로 개폐시킬수 있도록 구성한 부동전에 있어서, 밸브하우징 일측에 볼플런저를 설치하고, 피스톤 외주면, 즉. 상,하부 패킹의 사이의 상,하부에 볼플런저의 볼이 작용할수 있도록 요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의 부동전 역시 인용발명 1과 마찬가지로 야외 수도에만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하고, 밸브하우징의 표면에 퇴수공이 형성되어 땅에 매립시킨 경우 모래나 흙 등이 막혀 퇴수에 간섭이 생기는 문저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수관과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관에 주택 내의 실내 수도꼭지와 연결되도록 분기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 실내 수도꼭지를 열어 놓으면 주택 내부의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가 동파를 예방할 수 있고, 분기관에 퇴수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땅속에 매립되는 본체에 외측 퇴수구멍을 형성하여 퇴수시 모래나 흙에 의한 막힘을 방지 가능하고 퇴수가 용이한 스마트형 부동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가 연결된 로드를 회전에 의해 개방시켜 상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도꼭지를 통해 배출시키는 부동전에 있어서, 하단에 외측 퇴수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양단에 상기 상수관과 상기 수도꼭지가 설치되고 분기된 단부는 실내의 수도 밸브와 연결되며, 외주면 하단에 퇴수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의 하강시 연동되면서 상기 상수관 폐쇄와 함께 상기 퇴수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의 상승시 상기 상수관 개방과 함께 상기 퇴수구멍을 폐쇄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부동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며, 중심에 물 공급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외측 퇴수구멍은 매립된 모래 및 자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관과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관에 주택 내의 실내 수도꼭지와 연결되도록 분기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 실내 수도꼭지를 열어 놓으면 주택 내부의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가 동파를 예방할 수 있고, 분기관에 퇴수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땅속에 매립되는 본체에 외측 퇴수구멍을 형성하여 퇴수시 모래나 흙에 의한 막힘을 방지 가능하고 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동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입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퇴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동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입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퇴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동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입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동전의 퇴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동전(100)은 본체(110), 분기관(120), 손잡이(130), 수도꼭지(140), 개폐구(150) 및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직립되면서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상단에 마감캡(114)을 통해 밀폐되며, 매립된 하단 외주면에 외측 퇴수구멍(112)이 다수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매립시 외측 퇴수구멍(112)이 지하의 모래/자갈 지점 내에 위치되게 하여 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더욱이, 외측 퇴수구멍(112)은 모래/자갈의 입자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게 하는 경우 망 등과 같은 부재로 마감 처리되어 모래/자갈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분기관(120)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에서 수직 배치된 일단부(122)와, 상단에서 수직 배치된 타단부(124) 및 상기 일단부(122)와 상기 타단부(124)의 사이에서 수평한 분기 단부(126)로 분기 형성된다.
이때, 일단부(122)에는 물을 공급받는 상수관(16)과 엘보우관(18)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124)는 후술할 손잡이(130) 및 수도꼭지(140)와 연결되며, 분기 단부(126)는 주택(10)의 실내에 실내 수도꼭지(12)가 구비되도록 연결관(14)을 통해 연결된다.
더욱이, 일단부(122)는 외주면에 퇴수구멍(122a)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기존 부동전은 퇴수구멍이 작고 하나로 이루어져 땅에 묻었을 경우 모래나 흙으로 막혀 퇴수가 안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퇴수구멍(122a)의 수를 늘리고 상기 퇴수구멍(122a)에 직접 흙/모래에 닿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퇴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결국, 분기관(120)의 일단부(122)에 형성된 퇴수구멍(122a)이 아닌 상기 분기관(120)을 감싼 본체(110)의 외측 퇴수구멍(112)에 흙/모래가 닿도록 하여 퇴수가 원활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더욱이, 분기 단부(126)의 끝단에는 연결관(14)의 선단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4)의 후단에 주택(10) 내에 설치된 실내 수도꼭지(12)가 연결된다.
손잡이(130)는 부동전(100) 자체에 구비된 수도를 사용하는 경우 회전시켜 밸브(134)가 개폐구(150)의 물 공급홀(152)에서 분리되게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134)가 상기 물 공급홀(152)을 폐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30)는 로드(132), 밸브(134) 및 마감구(136)를 포함한다.
로드(132)는 손잡이(130)에 직립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13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된다.
한편, 상기 로드(132)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132)는 상하로 분할되고 이웃한 외주면에 나사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선과 대응되도록 내주면 양단에 나사선이 반대로 형성된 회전부재를 체결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길어지고, 반대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줄어들게 한다. 이렇게, 상기 로드(132)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잦은 사용으로 인해 탄성부재(160)의 높이가 낮아지는 등 변형되거나 후술할 밸브(134)의 저면과 개폐구(150)와의 틈이 발생될 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밸브(134)는 로드(132)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강 과정에서 후술할 개폐구(150)의 물 공급홀(152)을 폐쇄시키고, 상승 과정에서 상기 물 공급홀(152)을 개방시킨다.
여기서, 상기 밸브(134)는 물 공급홀(152)의 완전 폐쇄를 위해 연질 재질로 형성되면서 저면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구(136)는 상단에 손잡이(130)가 고정된 로드(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하단 외주면에 마감캡(114)의 홀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수도꼭지(140)는 마감구(136)의 외주면에 연장된 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 틀 수 있도록 구비된다.
개폐구(150)는 분기관(120)의 일단부(122)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승강하며, 중심에 물 공급홀(15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150)는 로드(132)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134)의 하강시 연동되면서 상수관(16)에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와 함께 퇴수구멍(122a)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134)의 상승시 후술할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수관(16)에서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과 함께 상기 퇴수구멍(122a)을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구(150)는 실외에 설치된 수도꼭지(140)를 틀어 물을 사용할 경우 손잡이(130)를 돌려 밸브(134)를 물 공급홀(152)에서 분리시킨 후 사용하게 되며, 동파 방지를 위해 물을 퇴수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130)를 반대로 돌려 상기 밸브(134)를 물 공급홀(152)에 폐쇄시킨 다음 주택(10) 실내의 실내 수도꼭지(12)를 열어 놓으면 상기 물 공급홀(152)이 폐쇄되면서 분기관(120)의 일단부(122)에 형성된 퇴수구멍(122a)을 통해 연결관(14) 내부의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탄성부재(160)는 개폐구(150)의 저면과 분기관(120)의 일단부(122)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134)의 상승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구(150)를 상승시켜 퇴수구멍(122a)을 폐쇄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동전(100)의 사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에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부동전(100)의 손잡이(130)를 회전시키면 로드(132)의 하단에 연결된 밸브(134)가 상승하면서 상수관(16)을 통해 유입된 물이 개폐구(150)의 물 공급홀(152)을 거쳐 분기관(120)의 타단부(124)에서 수도꼭지(140)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구(150)가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분기관(120)의 일단부(122)에 형성된 퇴수구멍(122a)은 개폐구(150)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동절기 때 부동전(100)의 내부 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밸브(134)로 개폐구(150)의 물 공급홀(152)이 폐쇄되도록 잠근 상태에서 주택(10) 내부의 내부 수도꼭지(12)를 열어놓으면 분기관(120)과 내부 수도꼭지(12)를 연결한 연결관(14) 내부의 물이 일단부(122)의 퇴수구멍(122a)을 거쳐 땅속에 매립된 외측 퇴수구멍(112)으로 흘러들어간다.
즉, 부동전(100)에 설치된 손잡이(130)를 반대로 돌려 로드(132)의 하단에 연결된 밸브(134)를 하강시키면 퇴수구멍(122a)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구(150) 역시 하강하면서 상기 밸브(134)의 저면이 상기 개폐구(150)의 물 공급홀(152)을 폐쇄시키고 퇴수구멍(122a)은 개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주택 12: 실내 수도꼭지
14: 연결관 100: 부동전
110: 본체 112: 외측 퇴수구멍
120: 분기관 122: 일단부
124: 타단부 126: 분기 단부
130: 손잡이 132: 로드
134: 밸브 136: 마감구
140: 수도꼭지 150: 개폐구
160: 탄성부재
14: 연결관 100: 부동전
110: 본체 112: 외측 퇴수구멍
120: 분기관 122: 일단부
124: 타단부 126: 분기 단부
130: 손잡이 132: 로드
134: 밸브 136: 마감구
140: 수도꼭지 150: 개폐구
160: 탄성부재
Claims (3)
- 손잡이가 연결된 로드를 회전에 의해 개방시켜 상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도꼭지를 통해 배출시키는 부동전에 있어서,
내부가 빈 형상으로 하단에 외측 퇴수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본체;
양단에 상기 상수관과 상기 수도꼭지가 설치되고, 분기된 단부는 실내의 수도 밸브와 연결되며, 외주면 하단부에 퇴수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흙/모래와 닿지 않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의 하강시 연동되면서 상기 상수관 폐쇄와 함께 상기 퇴수구멍을 개방하여 연결관 내부의 물이 분기관의 퇴수구멍을 통해 배출되면서 동파를 방지하고, 상기 밸브의 상승시 상기 상수관 개방과 함께 상기 퇴수구멍을 폐쇄하여 수도꼭지를 통해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구;
상기 개폐구의 저면과 분기관의 일단부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의 상승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구를 상승시켜 퇴수구멍을 폐쇄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중심에 물 공급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 퇴수구멍은 매립된 모래 및 자갈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3058A KR101806977B1 (ko) | 2016-07-22 | 2016-07-22 | 부동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3058A KR101806977B1 (ko) | 2016-07-22 | 2016-07-22 | 부동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6977B1 true KR101806977B1 (ko) | 2017-12-11 |
Family
ID=609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3058A KR101806977B1 (ko) | 2016-07-22 | 2016-07-22 | 부동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69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2480A (ko) | 2022-12-26 | 2024-07-03 | 유상필 |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2857B2 (ja) * | 1989-05-11 | 2000-05-22 |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 ケイ素集積回路に高導電率領域を形成する方法 |
-
2016
- 2016-07-22 KR KR1020160093058A patent/KR101806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2857B2 (ja) * | 1989-05-11 | 2000-05-22 |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 ケイ素集積回路に高導電率領域を形成する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2480A (ko) | 2022-12-26 | 2024-07-03 | 유상필 |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61214B2 (en) |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 |
KR101806977B1 (ko) | 부동전 | |
KR20180112397A (ko) | 우수토실의 유량제어용 게이트밸브 | |
KR101570379B1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CN108168643A (zh) | 一体式全封闭水表箱 | |
KR200180790Y1 (ko) |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 |
KR200242191Y1 (ko) |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 |
KR100557904B1 (ko)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
KR20070037275A (ko) |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 |
KR200151567Y1 (ko) |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 |
US5080527A (en) | Drain apparatus | |
CN205859585U (zh) | 双向疏水蒸汽蝶阀 | |
US5163779A (en) | Drain apparatus | |
JP3764571B2 (ja) | 散水栓用箱 | |
KR200327072Y1 (ko)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
CN218540891U (zh) | 一种农村池塘用简易排水装置 | |
KR100562522B1 (ko)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
KR200335081Y1 (ko)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
KR101097385B1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CN216810136U (zh) |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 | |
CN209339285U (zh) | 一种塑胶锤形地漏 | |
KR200339326Y1 (ko) |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 |
JP3292127B2 (ja) | 給水栓および消火・給水栓 | |
KR200422006Y1 (ko) |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 |
JP3009300U (ja) | 暗渠排水用水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