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191Y1 -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191Y1
KR200242191Y1 KR2020010014795U KR20010014795U KR200242191Y1 KR 200242191 Y1 KR200242191 Y1 KR 200242191Y1 KR 2020010014795 U KR2020010014795 U KR 2020010014795U KR 20010014795 U KR20010014795 U KR 20010014795U KR 200242191 Y1 KR200242191 Y1 KR 200242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pipe
hatc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호 filed Critical 최영호
Priority to KR2020010014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191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인 것은, 퇴수밸브(A) 상하로 수도관(4)과 공급관(6)을 체결하여 수도관(4) 상단에는 배출부(4a)를 형성하고 수도관(4)과 퇴수밸브(A) 외측에 합성수지 보호관(5)을 피복하며 수도관 중심부로 상단에 핸들(401)을 가진 개폐봉(402)을 장치하여 하단에 가압부(403)를 형성하는 부동전에 있어서, 퇴수밸브(A)의 밸브관(1) 내주면에는 수도관(4)과 연결되는 내측에 수밀패킹(101)을 환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측 주벽에 일정거리를 띄워 퇴수공(102)을 형성한후 밸브관(1) 내부에 삽입된 승강구(2)의 걸림턱(201)이 수밀패킹(101)에 접촉되게 하고 승강구(2) 외주에는 상하측에 오링(202)(203)을 끼우고 중앙부에 중앙통공(204)을 형성하며 승강구(2) 밑에는 공지의 코일스프링(3)을 삽입하여 승강구(2)의 상단면이 가압부(403) 밑에 부착된 패킹(404)에 접촉되게한 것으로 퇴수밸브의 구조가 간편하여 작동이 정확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케 되는 이점을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Leaving water equnpment of remaining water of nonfreezing a water pipe}
본 고안은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동전과 수도공급관 사이에 설치되는 퇴수밸브의 측벽에 퇴수공을 형성하고 부동전 상단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에 따라 부동전 내부의 퇴수로를 개방하여 수도관에 남아있던 잔류수가 퇴수밸브의 퇴수공을 통해 퇴수되어 보호관 하부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동파를 예방할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부동전은 잔류수 퇴수공이 외부에 노출되어 지하에 매설하였기 때문에 공급밸브의 밸브관에 형성된 퇴수공이 흙과 직접 접촉하므로서 흙에 의한 퇴수공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뿐 만 아니라 이로인한 잔류수의 완전한 퇴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서 잔류수에 의한 수도관의 동파현상이 매우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또한, 퇴수공으로 흙이나 흙탕물 또는 지렁이와 같은 벌레들이 유입되므로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공급밸브의 고정으로 인한 보수를 위해서는 배설된 부동전을 다시 파내야 하므로 보수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잔류수퇴수공을 형성한 퇴수밸브를 부동전 내부에 설치하여 공급밸브가 은폐되게 함과 동시에 부동전 내의 잔류수 퇴수가 편리하도록 구성시킨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닫힌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열린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퇴수밸브 1 : 밸브관
101 : 수밀패킹 102 : 퇴수공
2 : 승강구 201 : 걸림턱
202,203 : 오링 204 : 중앙통공
3 : 코일스프링 4 : 수도관
401 : 핸들 402 : 개폐봉
403 : 가압부 404 : 패킹
5 : 합성수지보호관 501 : 배출공
6 : 공급관
퇴수밸브(A) 상하로 수도관(4)과 공급관(6)을 체결하여 수도관(4) 상단에는 배출부(4a)를 형성하고 수도관 중심부로 상단에 핸들(401)을 가진 개폐봉(402)을 장치하여 하단에 가압부(403)를 형성하는 부동전에 있어서, 퇴수밸브(A)의 밸브관(1) 내주면에는 수도관(4)과 연결되는 상단부 내측에 수밀패킹(101)을 환상으로 형성하고 주벽에 퇴수공(102)을 형성하여 밸브관(1) 내부에 삽입된 승강구(2)의 걸림턱(201)이 수밀패킹(101)과 접촉되게 하고 승강구(2) 외주에는 오링(202)(203)을 끼우고 승강구(2) 밑에는 코일스프링(3)을 삽입하여 승강구(2)의 상단면이 가압부(403) 밑에 부착된 패킹(404)에 접촉하여 중앙 통공(204)이 개폐되게 하고 퇴수밸브(A)와 수도관(4)은 외부에 합성수지보호관(5)을 피복하여 합성수지보호관(5)이 지상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하여 하단부에 배출공(501)을 뚫어서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수도가 잠겨있을때, 즉 상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승강구(2)가 코일스프링(3)의 탄성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져 승강구(2) 상단이 가압부(403)에 끼워진 고무재 패킹(404)에 밀착되어 승강구(2) 중앙의중앙통공(204)을 막아 상수 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개폐핸들(401)을 작동시켜 개폐봉(402)을 상승시키면 개폐봉(402) 하단부의 가압부(403)에 끼워진 고무재 패킹(404)이 승강구(2)의 상단에서 이간되면서 승강구(2) 중앙통공(204)이 개방되어 공급관(6)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중앙통공(204)을 통해 수도관(4)으로 공급되어 배출부(4a)에 연결된 수도꼭지 등을 통해 외부로 공급이 된다.
이때, 퇴수밸브관(1)의 퇴수공(102)은 오링(202)(203)에 의하여 차폐가 되므로 수도관의 물이 퇴수공으로 흘러 나오지 못한다.
이렇게 상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위와 반대로 개폐핸들(401)을 역회전 작동시켜 개폐봉(402)을 하강시키면 개폐봉(402) 하단부의 가압부(403)에 끼워진 고무패킹(404)이 다시 승강구(2)의 상단면과 밀착되면서 승강구(2) 중앙통공(204)을 막아 상수 공급은 중단되고 수도관 내에 잔류수가 남게된다.
이때, 상수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역회전 작동시켰던 개폐핸들(401)을 역회전 방향으로 계속 작동시키면 퇴수밸브(A) 내부의 승강구(2) 상단면에 밀착된 가압부(403)의 패킹(404)이 승강구(2)를 아래로 밀면서 하강하므로서 승강구(2)는 패킹(404)과 함께 하강하여 승강구(2)의 걸림턱(201)이 수밀패킹(101) 아래로 이동하고 오링(202)(203)도 승강구(2)와 같이 하향이동하여 퇴수공(102)이 개방되어 승강구(2) 둘레에 퇴수를 위한 공간이 생겨나고 이 공간을 통해 흘러내린 수도관(4) 내부의 잔류수는 퇴수공(102)을 통해 퇴수밸브(A) 외부로 배출된후 합성수지보호관(5) 아래로 흘러내려 합성수지보호관(5)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501)을 통해 최부로 배출되므로 수도관(4) 내부의 잔류수를 간편하게 퇴수시킬수 있다.
따라서, 퇴수밸브(A)와 수도관(4)은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되고 합성수지보호관(5)은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지상으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흙이나 각종 이물질 또는 벌레 등이 퇴수공(102)을 통해 수도관(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수도관(4) 내부 잔류수의 간편하고 원활한 퇴수가 가능하여 잔류수로 인한 수도관(4)의 동파를 방지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수도관(4)과 퇴수밸브(A) 모두가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되며 합성수지보호관(5)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퇴수공(102)을 통한 오염이나, 벌레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부동전을 얻을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동전 설치나 보수를 위하여 땅을 파내는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및 보수가 간편한 이점이 있고 퇴수밸브의 구조가 간편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게되는 등의 장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퇴수밸브(A) 상하로 수도관(4)과 공급관(6)을 체결하여 수도관(4) 상단에는 배출부(4a)를 형성하고 수도관(4)과 퇴수밸브(A) 외측에 합성수지 보호관(5)을 피복하며 수도관 중심부로 상단에 핸들(401)을 가진 개폐봉(402)을 장치하여 하단에 가압부(403)를 형성하는 부동전에 있어서, 퇴수밸브(A)의 밸브관(1) 내주면에는 수도관(4)과 연결되는 내측에 수밀패킹(101)을 환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측 주벽에 일정거리를 띄워 퇴수공(102)을 형성한후 밸브관(1) 내부에 삽입된 승강구(2)의 걸림턱(201)이 수밀패킹(101)에 접촉되게 하고 승강구(2) 외주에는 상하측에 오링(202)(203)을 끼우고 중앙부에 중앙통공(204)을 형성하며 승강구(2) 밑에는 공지의 코일스프링(3)을 삽입하여 승강구(2)의 상단면이 가압부(403) 밑에 부착된 패킹(404)에 접촉되게한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20010014795U 2001-05-21 2001-05-21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242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95U KR200242191Y1 (ko) 2001-05-21 2001-05-21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95U KR200242191Y1 (ko) 2001-05-21 2001-05-21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191Y1 true KR200242191Y1 (ko) 2001-10-15

Family

ID=7306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95U KR200242191Y1 (ko) 2001-05-21 2001-05-21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1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1B1 (ko) 2014-02-21 2014-07-22 영동금속(주) 앵글 밸브
KR20210001256U (ko) 2019-11-28 2021-06-07 최영호 수도 부동 급수전의 개폐장치
KR102393706B1 (ko) 2022-02-09 2022-05-03 이해홍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KR20240126253A (ko) 2023-02-13 2024-08-20 박남기 잔류수 퇴수가 용이한 부동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1B1 (ko) 2014-02-21 2014-07-22 영동금속(주) 앵글 밸브
KR20210001256U (ko) 2019-11-28 2021-06-07 최영호 수도 부동 급수전의 개폐장치
KR102393706B1 (ko) 2022-02-09 2022-05-03 이해홍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KR20240126253A (ko) 2023-02-13 2024-08-20 박남기 잔류수 퇴수가 용이한 부동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411B2 (en) Pipeline leak-testing method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151567Y1 (ko)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KR101806977B1 (ko) 부동전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332761Y1 (ko) 부동전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KR100270843B1 (ko) 동파방지가 부설된 밭기반 전용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145007B1 (ko)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JP3764571B2 (ja) 散水栓用箱
KR102169919B1 (ko) 동파방지를 위한 멀티 용수배출구용 부동급수전
JP2002227253A (ja) 弁座を有する非圧縮型水抜栓の弁構造
JP3019649B2 (ja) 不凍給水栓
KR200260320Y1 (ko) 체크밸브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370600B1 (ko) 부동전의퇴수장치
KR920000683Y1 (ko) 동파방지용 수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