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790Y1 -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 Google Patents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790Y1
KR200180790Y1 KR2019990028009U KR19990028009U KR200180790Y1 KR 200180790 Y1 KR200180790 Y1 KR 200180790Y1 KR 2019990028009 U KR2019990028009 U KR 2019990028009U KR 19990028009 U KR19990028009 U KR 19990028009U KR 200180790 Y1 KR200180790 Y1 KR 20018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pipe
valv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호 filed Critical 최영호
Priority to KR2019990028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Abstract

본 고안은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하에 매설되는 공급밸브(A) 상하로 수도관(4)과 공급관(6)을 체결하여 수도관(4) 상단에는 회전식 개폐핸들(401)을 가진 토수부(4a)를 구성하고 개폐핸들(401)과 연결되어 나사식으로 승강하는 개폐봉(402)을 수도관(4) 내부에 장치하여 공급밸브(A)를 개폐케하며 수도관(4)을 은폐시키는 합성수지보호관(5)을 수도관(4) 외부에 종설하여서 된 공지의 부동전에 있어서, 공급밸브(A)의 밸브관(1) 내주면에는 경사부(101)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101)에서 밸브관(1)의 외부로 관통되는 퇴수공(102)을 형성하여 밸브관(1) 내부에 매입된 승강구(2)의 상부에 끼워진 고무재질의 퇴수공개폐구(201)가 퇴수공(102)을 개폐케하고 승강구(2) 하부에는 고무링(202)을 끼우고 공급관(6)과 공급밸브(A)의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관(1) 내주면의 걸림턱(103)에 고정되는 받침링(301)과 승강구(2)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을 삽입하여 개폐봉(402) 하단부의 개폐구(403)에 끼워진 고무재 개폐판(404)이 승강구(2)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승강구(2) 중앙부의 통수공(203)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되 공급밸브(A)와 수도관(4)은 배출공(501a)을 형성한 캡(501)을 하부에 결합한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하여 이 합성수지보호관(5)이 지상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하므로서 수도관 잔류수의 간편하고 원활한 퇴수가 가능하여 오염물이나 벌레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위생적일 뿐 만 아니라 시공 및 보수가 간편한 부동전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Leaving water equnpment of remaining water of nonfreezing g water pipe}
본 고안은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동전과 수도공급관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밸브의 측벽에 퇴수공을 형성하고 이 공급밸브를 보온재로 둘러싸여 있는 보호관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부동전 상단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에 따라 부동전 내부의 수도관에 남아있던 잔류수가 공급밸브의 퇴수공을 통해 퇴수되어 보호관 하부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함과 동시에 퇴수공으로의 오염원 유입을 방지하므로서 위생적이고 안전한 부동전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부동전은 잔류수 퇴수공을 밸브관에 형성한 공급밸브 상단에 체결된 수도관을 합성수지재 보호관의 내부에 투입하여 외부와 은폐시키고 공급밸브는 부동전의 설치를 위해 부동전의 하부와 함께 지하에 매설하였기때문에 공급밸브의 밸브관에 형성된 퇴수공이 흙과 직접 접촉하므로서 흙에 의한 퇴수공이 막힘 현상이 발생할 뿐 만 아니라 이로인한 잔류수의 완전한 퇴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서 잔류수에 의한 수도관의 동파현상이 매우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또한, 퇴수공으로 흙이나 흙탕물 또는 지렁이와 같은 벌레들이 유입되므로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을 뿐 만 아니라 공급밸브의 고정으로 인한 보수를 위해서는 배설된 부동전을 다시 파내야 하므로 보수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한 것으로 잔류수 퇴수공을 형성한 공급밸브를 부동전내부에 설치하여 공급밸브가 은폐되게함과 동시에 부동전 전체를 지상에 설치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이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도관이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퇴수공을 통한 잔류수의 퇴수방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공급밸브 1 : 밸브관
101 : 경사부 102 : 퇴수공
103 : 걸림턱 2 : 승강구
201 : 퇴수공개폐구 202 : 고무링
203 : 통수공 3 : 코일스프링
301 : 받침링 4 : 수도관
4a : 토수부 401 : 개폐핸들
402 : 개폐봉 403 : 개폐구
404 : 개폐판 5 : 합성수지보호관
501 : 캡 501a : 배출공
6 : 공급관
지하에 매설되는 공급밸브(A) 상하로 수도관(4)과 공급관(6)을 체결하여 수도관(4) 상단에는 회전식 개폐핸들(401)을 가진 토수부(4a)를 구성하고 개폐핸들(401)과 연결되어 나사식으로 승강하는 개폐봉(402)을 수도관(4) 내부에 장치하여 공급밸브(A)를 개폐케하며 수도관(4)을 은폐시키는 합성수지보호관(5)을 수도관(4) 외부에 종설하여서 된 공지의 부동전에 있어서, 공급밸브(A)의 밸브관(1) 내주면에는 경사부(101)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101)에서 밸브관(1)의 외부로 관통되는 퇴수공(102)을 형성하여 밸브관(1) 내부에 매입된 승강구(2)의 상부에 끼워진 고무재질의 퇴수공개폐구(201)가 퇴수공(102)을 개폐케 하고 승강구(2) 하부에는 고무링(202)을 끼우고 공급관(6)과 공급밸브(A)의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관(1) 내주면의 걸림턱(103)에 고정되는 받침링(301)과 승강구(2)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을 삽입하여 개폐봉(402) 하단부의 개폐구(403)에 끼워진 고무재 개폐판(404)이 승강구(2)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승강구(2) 중앙부의 통수공(203)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되 공급밸브(A)와 수도관(4)은 배출공(501a)을 형성한 캡(501)을 하부에 결합한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하여 이 합성수지보호관(5)이 지상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수도가 잠겨있을 때, 즉 상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공급관(6)과 공급밸브(A)의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관(1) 내주면의 걸림턱(103)에 고정되는 받침링(301)과 승강구(2)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3)의 탄성에 의해 승강구(2)는 위로 밀어올려져 승강구(2)에 끼워진 퇴수공개폐구(201)는 밸브관(1) 내주면의 경사부(101)와 밀착되어 퇴수공(102)을 차단하고 있으며 개폐봉(402) 하단부의 개폐구(403)에 끼워진 고무재 개폐판(404)이 승강구(2)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승강구(2) 중앙의 통수공(203)을 막아 상수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데, 토수부(4a)의 개폐핸들(401)을 회전 작동시켜 개폐봉(402)을 상승시키면 개폐봉(402) 하단부의 개폐구(403)에 끼워진 고무재 개폐판(404)이 승강구(2)의 상단면과 떨어지면서 승강구(2) 중앙의 통수공(203)이 개방되어 공급관(6)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통수공(203)을 통해 수도관(4)으로 공급되어 토수부(4a)에 연결된 수도꼭지등을 통해 상수가 토수되게 된다.
이렇게 상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위와 반대로 개폐핸들(401)을 역회전 작동시켜 개폐봉(402)을 하강시키면 개폐봉(402) 하단부의 개폐구(403)에 끼워진 고무재 개폐판(404)이 다시 승강구(2)의 상단면과 밀착되면서 승강구(2) 중앙의 통수공(203)을 막아 상수 공급은 중단되고 공급밸브(A)의 상부에 결합된 수도관(4) 내부에는 수도꼭지를 통해 미처 배출되지 못한 잔류수가 남게된다.
이때 상수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역회전 작동시켰던 개폐핸들(401)을 역회전 방향으로 계속 작동시키면 공급밸브(A) 내부의 승강구(2) 상단면에 밀착된 개폐구(403)의 개폐판(404)이 승강구(2)를 아래로 밀면서 하강므로서 승강구(2)도 개폐판(404)과 함께 하강하여 승강구(2)에 끼워진 상태로 밸브관(1)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부(101)와 밀착되어 있던 고무재질의 퇴수공개폐구(201)가 퇴수공(102)에서 떨어지면서 퇴수공(102)이 개방됨과 동시에 경사부(101)과 퇴수공개폐구(201)간에 퇴수를 위한 공간이 생겨나고 이 공간을 통해 흘러내른 수도관(4) 내부의 잔류수는 퇴수공(102)을 통해 공급밸브(A) 외부로 배출된 후 합성수지보호관(5) 아래로 흘러내려 합성수지보호관(5)의 하부에 끼워진 캡(501)에 형성된 배출공(501a)을 통해 최종 배출되므로서 수도관(4) 내부의 잔류수의 간편하고 원활한 퇴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급밸브(A)와 수도관(4)은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되고 합성수지보호관(5)은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지상으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흙이나 각종 이물질 또느 벌레등이 퇴수공(102)을 통해 수도관(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관(4) 내부 잔류수의 간편하고 원활한 퇴수가 가능하여 잔류수로 인한 수도관(4)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도관(4)과 공급밸브(A) 모두가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되며 합성수지보호관(5)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퇴수공(102)을 통한 오염물이나 벌레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부동전을 얻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부동전 설치나 보수를 위하여 땅을 파내는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및 보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지하에 매설되는 공급밸브(A) 상하로 수도관(4)과 공급관(6)을 체결하여 수도관(4) 상단에는 회전식 개폐핸들(401)을 가진 토수부(4a)를 구성하고 개폐핸들(401)과 연결되어 나사식으로 승강하는 개폐봉(402)을 수도관(4) 내부에 장치하여 공급밸브(A)를 개폐케하며 수도관(4)을 은폐시키는 합성수지보호관(5)을 수도관(4) 외부에 종설하여서 된 공지의 부동전에 있어서, 공급밸브(A)의 밸브관(1) 내주면에는 경사부(101)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101)에서 밸브관(1)의 외부로 관통되는 퇴수공(102)을 형성하여 밸브관(1) 내부에 매입된 승강구(2)의 상부에 끼워진 고무재질의 퇴수공개폐구(201)가 퇴수공(102)을 개폐케 하고 승강구(2) 하부에는 고무링(202)을 끼우고 공급관(6)과 공급밸브(A)의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관(1) 내주면의 걸림턱(103)에 고정되는 받침링(301)과 승강구(2)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을 삽입하여 개폐봉(402) 하단부의 개폐구(403)에 끼워진 고무재 개폐판(404)이 승강구(2)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승강구(2) 중앙부의 통수공(203)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되 공급밸브(A)와 수도관(4)은 배출공(501a)을 형성한 캡(501)을 하부에 결합한 합성수지보호관(5) 내부에 설치하여 이 합성수지보호관(5)이 지상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한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2019990028009U 1999-12-13 1999-12-13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20018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09U KR200180790Y1 (ko) 1999-12-13 1999-12-13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09U KR200180790Y1 (ko) 1999-12-13 1999-12-13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790Y1 true KR200180790Y1 (ko) 2000-05-15

Family

ID=1960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09U KR200180790Y1 (ko) 1999-12-13 1999-12-13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79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007B1 (ko) 2010-06-01 2012-05-11 정진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KR101194158B1 (ko) 2010-03-23 2012-10-23 이수환 상수도용 부동전
KR102393706B1 (ko) * 2022-02-09 2022-05-03 이해홍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EP4015718A1 (de) * 2020-12-18 2022-06-22 Heinrich Schulte & Sohn GmbH & Co. KG Frostsicheres aussenwand-zapfventil mit systemtrenner
EP4345220A1 (en) * 2022-09-27 2024-04-03 Frostline A/S A water fauc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158B1 (ko) 2010-03-23 2012-10-23 이수환 상수도용 부동전
KR101145007B1 (ko) 2010-06-01 2012-05-11 정진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EP4015718A1 (de) * 2020-12-18 2022-06-22 Heinrich Schulte & Sohn GmbH & Co. KG Frostsicheres aussenwand-zapfventil mit systemtrenner
KR102393706B1 (ko) * 2022-02-09 2022-05-03 이해홍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EP4345220A1 (en) * 2022-09-27 2024-04-03 Frostline A/S A water fauc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7060A1 (en) Control for a bathtub waste water drain
KR100614939B1 (ko) 도로의 맨홀 역류방지시설구조
US6561214B2 (en)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100658049B1 (ko) 부동전
KR0124148Y1 (ko) 보조출수관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전
KR100912107B1 (ko) 다기능 제수밸브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2318589B1 (ko) 싱크홀 방지부가 형성된 부동전 구조
KR100270843B1 (ko) 동파방지가 부설된 밭기반 전용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0332761Y1 (ko) 부동전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940007053Y1 (ko) 부동수도전
KR870000374Y1 (ko) 상수도의 부동장치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101806977B1 (ko) 부동전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100484056B1 (ko) 절수 부동전
KR200353925Y1 (ko) 절수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