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706B1 -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Google Patents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3706B1 KR102393706B1 KR1020220016608A KR20220016608A KR102393706B1 KR 102393706 B1 KR102393706 B1 KR 102393706B1 KR 1020220016608 A KR1020220016608 A KR 1020220016608A KR 20220016608 A KR20220016608 A KR 20220016608A KR 102393706 B1 KR102393706 B1 KR 102393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hole
- valve
- dr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2009/022—Hydrants with a tubular valv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종래 부동전의 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밸브를 잠그고 푸는 과정에서 오링이 결합된 승강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오링 파손이나 오링이 퇴수밸브체 내주연 면에 밀려 말림되는 현상 내지는 마찰로 인한 수밀력 저하로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승강체를 탄성시트블럭으로 대체하고, 탄성시트블럭의 웨지면이 탄성변형에 의해 퇴수공을 밀폐시키고, 급수단속밸브가 탄성시트블럭을 가압하여 탄성시트블럭의 하부팽창과 함께 상부 가압축소로 퇴수공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퇴수공의 개폐가 결정되고, 퇴수밸브의 잠금과정을 통해 개방되는 퇴수공을 통해 잔류수가 퇴수공으로 배출되어 동절기 동파방지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수명증대가 가능한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동전 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밸브를 잠그고 푸는 과정에서 오링이 결합된 승강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오링 파손이나 오링이 퇴수밸브체 내주연 면에 밀려 말림되는 현상으로 인한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시트블럭의 웨지면이 탄성변형에 의해 퇴수공을 밀폐시키고, 급수단속밸브가 탄성시트블럭을 가압하여 탄성시트블럭의 하부팽창과 함께 상부 가압축소로 퇴수공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퇴수공의 개폐가 결정되고, 퇴수밸브의 잠금과정을 통해 개방되는 퇴수공을 통해 잔류수가 퇴수공으로 배출되어 동절기 동파방지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수도 배관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수도 배관은 동절기에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동파될 우려가 있으며, 수도관이 동파되는 경우 기 설치된 수도관 전체를 교체해거나 수리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수도를 다시 사용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수도 배관이 동파되거나 이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수도 배관에는 부동전이 설치되며, 이러한 부동전은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 배관과 지상에 위치하는 급수전을 입상관으로 연결하여 수돗물을 급수전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면서 외부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입상관에 수돗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여 상수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부동전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1)에 결합되는 결합관체(2)와; 상기 결합관체(2) 내에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3)과; 상기 탄성 스프링(3)에 의해 탄지되는 퇴수밸브(승강체)(4)와; 상기 결합관체(2)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며 퇴수밸브(4)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퇴수구멍(5)과; 상기 퇴수밸브(4)의 통수구멍(4-1)을 개폐하는 급수차단밸브(6) 및 상기 급수차단밸브(6)를 조작하는 작동로드(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부동전은 작동로드(7)의 조작에 의해 급수차단밸브(6)가 하강되어 퇴수밸브(4)의 통수구멍(4-1)을 차단함으로서, 수도관(1) 내로 수돗물이 급수되는 것을 차단하고, 더 나아가 퇴수밸브(4)가 하강됨에 따라 퇴수구멍(5)이 개방되어 수도관(1) 내로 진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수도관(1)내에 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수도관(1) 내에 잔류된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부동전은 퇴수밸브(4)의 외주면에 오링이 구비되어 결합관체(2) 내주면과 밀착되며, 작동로드(7)와 탄성 스프링(3)에 의해 승하강되는데, 수돗물에 미세한 입자의 모래가 혼입되어 결합관체(2)와 퇴수밸브(4) 사이에 끼이면 퇴수밸브(4)의 승강이 원활하지 못하고, 더욱이 동절기에 고무재질의 오링과 금속 재질의 결합관체(2)가 서로 얼어붙어 부동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이렇게 부동전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는, 입상관을 굴착하여 지하에 매설된 부동전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퇴수밸브의 승하강에 따라 퇴수밸브 외주면에 상하로 구비된 오링이 결합관체 내주면과 밀착되면서 승하강하게 되고,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결합관체 내주면에 수밀되도록 밀착된 오링은 마찰력에 의해 퇴수밸브 외주연으로부터 어느 일측이 말려 올라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단순히 오링의 파손이나 말림현상이 아닌 급수차단밸브가 개방된 상태일 경우에도 퇴수밸브와 퇴수공이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퇴수공으로 계속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누수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퇴수 밸브의 하부에 오링이 파손되거나 말림 작용으로 위치를 이탈하게 될 경우에도 누수현상은 발생되고, 급수차단밸브에 의해 통수구멍을 차단하더라도 퇴수공과 연통되거나 결합관체 상부의 입상관과 연통되어 물이 누수되거나 입상관 내에 물이 배출되지 못하여 동절기 동파가 일어나는 문제로 연결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문제는 퇴수공의 형성에 따라 결합관체의 내주연 면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즉, 퇴수공이 형성된 위치의 결합관체 내주연 면은 퇴수밸브의 상측 외주연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퇴수공측 일부분이 수밀을 위한 탄성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었다가 다시 퇴수공과 결합관체 내주연이 만나는 부분의 단턱을 넘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앞서 상술한 오링 파손과 오링의 말림현상이 발생되어 퇴수공을 통한 누수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부동전의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종래 부동전의 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밸브를 잠그고 푸는 과정에서 오링이 결합된 승강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오링 파손이나 오링이 퇴수밸브체 내주연 면에 밀려 말림되는 현상 내지는 마찰로 인한 수밀력 저하로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시트블럭의 웨지면이 탄성변형에 의해 퇴수공을 밀폐시키고, 급수단속밸브가 탄성시트블럭을 가압하여 탄성시트블럭의 하부팽창과 함께 상부 가압축소로 퇴수공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퇴수공의 개폐가 결정되고, 퇴수밸브의 잠금과정을 통해 개방되는 퇴수공을 통해 잔류수가 퇴수공으로 배출되어 동절기 동파방지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은 티보우 형상이 직각선회하여 "ㅏ" 형상의 밸브하우징(10)과, 상기 밸브하우징(10) 하단에 결합되어 상수도로부터 수도물이 유입되는 입상관(20)과,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정역회전하는 조절레버(30)와,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어 조절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여 수돗물의 배출제어 및 동절기 입상관 내부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동파방지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단속밸브(40)와,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하단 중앙에 수도꼭지가 결합되는 수평배출관(12)과, 상기 입상관(20) 외주연에 결합되는 단열보호관(60)과, 상기 입상관(20) 하단에 결합되고, 입상관 내부의 잔류수가 상기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동파방지되도록 퇴수밸브(100)가 마련되며, 상기 퇴수밸브(100) 하단으로 수도배관과 연결되는 부동전에 있어서, 상기 부동전의 퇴수밸브(100)는 일측으로 퇴수공(114)이 형성된 관체(112)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12) 상측으로 입상관(20)이 관연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입상관 결합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관체(112) 하측으로 수도배관이 관연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수도관 결합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 결합부(116)-관체(112)-수도관 결합부(118) 순으로 내경이 축소되게 단차 형성된 결합관체(110)와; 상기 결합관체(110)의 관체(112)와 수도관 결합부(118)가 만나는 내경의 단차에 걸림결합되고, 중앙에 통수공(122)이 형성된 걸림와셔(120)와; 콘 형상으로 외경이 하향확대되게 경사진 웨지면(132)이 상기 관체(112) 상측에서 하측의 입상관 결합부(116)측까지 형성되고, 상기 웨지면(132) 하단에 단차지게 직경이 작게 하향돌출형성되어 걸림와셔(120) 상부면에 대응되는 가압변형부(134)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상기 걸림와셔(120)의 통수공(122)과 동일 수직선상에서 연통된 관수통공(136)이 마련되고, 상기 관체 내경에 밀착되어 퇴수공(114)이 수밀되도록 끼움결합되는 탄성시트블럭(130)과;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으로 상기 관수통공(136)과 연통되도록 유입통공(142)이 형성되며, 유입통공(142) 상부에서 하부로 프레스가압하여 유입통공(142) 둘레를 따라 고정스커트(144)가 관수통공(136) 상부면에 가압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탄성시트블럭(130) 상단에 끼움결합되고, 탄성시트블럭(130) 상단으로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관수통공(136)의 폐쇄과정에서 수직가압력이 축선상으로부터 뒤틀림없이 동일하게 작용되어 탄성시트블럭의 뒤틀림이 방지되면서 수직가압에 의해 수밀된 퇴수공(114)과 연통되도록 외주연에 수직관로 공간(146)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캡부재(140)와; 원형의 판상으로 상기 캡부재(140) 상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출공(152)이 관통형성되며, 배출공 내주연 둘레를 따라 프레스가압하여 상향돌출되는 가이드스커트(154)에 의해 수도배관의 수돗물이 입상관(20)으로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고정링(150)과; 상기 고정링(150)의 가이드스커트(154) 외주연 둘레를 따라 끼움결합하고, 고정링(150) 둘레를 따라 수돗물이나 잔류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마련됨에 따라 결합관체(110)와 입상관(20)이 수밀결합되도록 마련된 오링(160)과; 상기 캡부재(140)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대응되고, 상측면이 고정링(150)의 하단부에 대응되어 금속재로 형성된 캡부재(140)와 고정링(150)의 수밀력이 마련되도록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는 실링시트(1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140)의 유입통공(142)은 직경이 하향축소되게 안내경사면(148)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단속밸브(40)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면(148)에 대응되게 실링경사면(42)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경사면(148)을 따라 실링경사면(42)이 접촉함에 따라 유체 단속의 정밀성이 향상되고, 접촉면적확대를 통해 관수통공(136)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은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상부에 수직가압이 발생되면 하향 압축가압되되,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은 하향 압축과 함께 웨지면(132)의 하측이 배부름 현상에 의해 상기 걸림와셔(120)가 위치된 상측의 결합관체(110)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의 상측은 퇴수공(114)측으로 위치이동되어 퇴수공(114)이 입상관 내연과 연통되도록 탄성시트블럭 상측에 결합된 캡부재(140)에 의해 퇴수공(114)이 형성된 관체(112) 내주연과 퇴수공(114)과 이격된 수직관로 공간(146)이 입상관과 연통되어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급수단속밸브(40)는 관수통공(136)을 완전밀폐하여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입상관(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부동전의 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밸브를 잠그고 푸는 과정에서 오링이 결합된 승강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오링 파손이나 오링이 퇴수밸브체 내주연 면에 밀려 말림되는 현상 내지는 마찰로 인한 수밀력 저하로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하이동되는 승강체가 아닌 정위치 고정을 통한 마찰력 발생억제, 파손을 방지하고, 탄성변형 및 탄성복귀에 의해 퇴수공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탄성시트블럭의 웨지면과 캡부재에 의한 수직관로 공간의 형성, 급속단속밸브의 상하작동에 따른 수도배관의 수돗물 단속과 탄성시트블럭으로의 압력전달로 부동전의 동절기 동파방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른 사용방법의 동일성을 통한 용이성, 퇴수공을 통한 원할한 잔류수 배출로 동파방지의 효과적 작용, 오링파손이나 말림현상, 마찰에 의한 손상없이 사용수명증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상수도용 부동전의 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요부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수돗물 공급시의 요부 확대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동파방지를 위한 입상관 잔류수 배출시의 요부 확대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탄성시트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요부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수돗물 공급시의 요부 확대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동파방지를 위한 입상관 잔류수 배출시의 요부 확대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탄성시트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요부 확대 측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수돗물 공급시의 요부 확대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퇴수밸브측의 동파방지를 위한 입상관 잔류수 배출시의 요부 확대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의 탄성시트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은 종래 결합관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체를 통해 퇴수공이 입상관과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동절기 입상관 내부의 잔류수 배출을 통해 동파방지가 가능한 종래의 부동전의 문제점으로 승강체 상하 이동에 따라 퇴수공이 입상관과 연통되거나 폐쇄시 오링에 의해 수밀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오링의 결합관체 내주연과의 마찰 내지는 퇴수공의 요입된 부분과의 마찰 및 압력변화에 따른 오링의 파손이나 손상으로 인한 수밀성 저하로 인한 평상시 수돗물 사용간에 누수현상의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강체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오링이 승강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퇴수공과 입상관이 항상 연통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수돗물의 누수에 따른 손실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은 통상의 부동전의 구성으로 티보우 형상이 직각선회하여 "ㅏ" 형상의 밸브하우징(10)과, 상기 밸브하우징(10) 하단에 결합되어 상수도로부터 수도물이 유입되는 입상관(20)과,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정역회전하는 조절레버(30)와,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어 조절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여 수돗물의 배출제어 및 동절기 입상관 내부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동파방지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단속밸브(40)와,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하단 중앙에 수도꼭지가 결합되는 수평배출관(12)과, 상기 입상관(20) 외주연에 결합되는 단열보호관(60)과, 상기 입상관(20) 하단에 결합되고, 입상관 내부의 잔류수가 상기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동파방지되도록 퇴수밸브(100)가 마련되며, 상기 퇴수밸브(100) 하단으로 수도배관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부동전은 통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서 퇴수밸브(100)를 본 발명에 따른 구성으로 대체하여 앞서 종래 오링의 이탈이나 파손, 손상에 따른 누수되는 부동전을 파손이나 누수방지되면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부동전으로 형성하되, 상기 퇴수밸브(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관체(110), 걸림와셔(120), 탄성시트블럭(130), 캡부재(140), 고정링(150), 오링(160), 실링시트(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체(110)는 통상의 일반적인 결합관체와 크게 다르지 않게 구성된 것으로, 입상관 내부의 잔류수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퇴수공이 최대한 입상관이 결합되는 부위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관체(110)는 상기 부동전의 퇴수밸브(100)는 일측으로 퇴수공(114)이 형성된 관체(112)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12) 상측으로 입상관(20)이 관연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입상관 결합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관체(112) 하측으로 수도배관이 관연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수도관 결합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 결합부(116)-관체(112)-수도관 결합부(118) 순으로 내경이 축소되게 단차 형성된다.
상기 걸림와셔(120)는 후술되는 탄성시트블럭(130)이 퇴수공(114)이 막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결합관체(110)의 관체(112)와 수도관 결합부(118)가 만나는 내경의 단차에 걸림결합되고, 중앙에 수도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통수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와셔(120)는 후술되는 탄성시트블럭(130)의 하단이 가압변형에 따라 하향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측면 배불림형상으로 팽창하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한다. 즉, 걸림와셔(120)에 의해 탄성시트블럭(130)은 상부에서 가압에 따라 하향압착 변형과 더불어, 탄성시트블럭 둘레 외주연을 따라 변형되어 결합관체의 관체 내주연에 밀착됨에 따라 결합관체의 내주연과 탄성시트블럭의 외주연 사이가 완전 수밀되고, 이에 다라 탄성시트블럭(130)의 관수통공(136)이 수직선상으로 가압될 뿐 내부에 곡선진 굴곡 변화가 없게 되고, 이를 통한 수돗물의 공급유량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원할한 수돗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탄성변형이 관수통공(136) 내측으로 변형되거나 하향으로 제한없이 탄성변형되게 되면 관수통공(136)의 내경이 변화(내경이 축소)되고, 이로 인한 수돗물 유량이나 유속의 변화가 발생되고, 압력또한 변화되어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내부 환경이 급속히 변화시, 유량, 유속, 압력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수충격으로 탄성시트블럭의 일부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은 퇴수공(114)의 입상관과의 연통이나 폐쇄를 종래 상하이동하여 퇴수공을 단속하는 승강체 방식과 달리 탄성변형에 따른 팽창 및 탄성복원에 따른 원상복귀에 따라 퇴수공이 단속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콘 형상으로 외경이 하향확대되게 경사진 웨지면(132)이 상기 관체(112) 상측에서 하측의 입상관 결합부(116)측까지 형성되고, 상기 웨지면(132) 하단에 단차지게 직경이 작게 하향돌출형성되어 걸림와셔(120) 상부면에 대응되는 가압변형부(134)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상기 걸림와셔(120)의 통수공(122)과 동일 수직선상에서 연통된 관수통공(136)이 마련되고, 상기 관체 내경에 밀착되어 퇴수공(114)이 수밀되도록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시트블럭의 외경을 이루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웨지면(132)으로 형성된다. 이는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탄성시트블럭이 상향가압되어 압축변형되는 가운데 퇴수공(114)의 일부라도 빠르게 노출되도록 하여 입상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이지만 웨지면(132)이 아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즉, 단차형성시에는 탄성시트블럭의 상부를 반복적으로 가압하였을 때, 압축정도와 다시 복귀되는 위치를 확인하고, 압축시에는 퇴수공(114)이 단차형성된 탄성시트블럭의 축소된 외경이 형성된 상부가 위치되어 입상관과 연통되도록 하고, 다시 복귀시에는 퇴수공(114)이 일부라도 노출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위치에 놓은 상태인 탄성시트블럭의 외경이 결합관체의 관체(112) 내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 대응되도록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가압변형부(134)는 하부면은 걸림와셔(120)의 상부면에 대응되고, 걸림와셔(120)의 통수공(122)과 탄성시트블럭(130)의 관수통공(136)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부에서 가압되어 탄성시트블럭(130)이 압축변형되더라도 관수통공(136)측으로 탄성변형보다 결합관체의 관체 내경측으로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단차형성하여 단차형성된 높이만큼의 탄성변형에 따른 변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압력 분산에 따른 가압변형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즉, 단차형성된 가압변형부(134)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탄성시트블럭(130)의 하단은 결합관체 내경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가압시, 탄성시트블럭(130)은 가압변형부(134)의 단차 형성에 따른 빈 공간부분 만큼 외경이 쉽게 하향이동될 수 있고, 이는 퇴수공의 개폐와도 상관관계가 발생되어 퇴수공(114)의 개폐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40)는 가압력 발생으로 인해 탄성시트블럭이 하향 압축되는 과정에서 퇴수공과의 일정간격이 탄성시트블럭 상부 외경이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탄성시트블럭의 관수통공(136)의 비틀림 없이 압축되도록 하여 걸림와셔(120)의 통수공(122)과 관수통공(136)이 동일수직선상에서 연통되어 수돗물의 공급 및 단속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으로 상기 관수통공(136)과 연통되도록 유입통공(142)이 형성되며, 유입통공(142) 상부에서 하부로 프레스가압하여 유입통공(142) 둘레를 따라 고정스커트(144)가 관수통공(136) 상부면에 가압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탄성시트블럭(130) 상단에 끼움결합되고, 탄성시트블럭(130) 상단으로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관수통공(136)의 폐쇄과정에서 수직가압력이 축선상으로부터 뒤틀림없이 동일하게 작용되어 탄성시트블럭의 뒤틀림이 방지되면서 수직가압에 의해 수밀된 퇴수공(114)과 연통되도록 외주연에 수직관로 공간(146)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캡부재(140)의 유입통공(142)에 형성된 고정스커트(144)는 탄성시트블럭(130)의 관수통공(136) 상부 둘레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형상을 유지하여 수돗물의 유입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함과 함께 탄성시트블럭(130)의 탄성변형시, 관수통공(136)측으로 탄성변형력이 인가되어 관수통공(136)이 원형을 유지하지 않고 비틀어지 형상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부재(140)에 의한 수직관로 공간(146)의 형성은 실질적으로 캡부재(140)가 탄성시트블럭(130) 상측에 끼움결합되는 과정에서 외경이 탄성시트블럭(130) 외경에 억지끼움되면서 결합관체(110)의 관체(112)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에 따라 수직관로상의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는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에 의해 유입통공(142)을 폐쇄하여 수돗물의 유이을 차단하고, 수직가압력에 의해 탄성시트블럭(130)이 가압되면서 하향압축과정에서 하향 압축거리에 따른 퇴수공(114)의 노출로 인한 공간이 수직관로 공간(146) 상에 위치됨에 따라 입상관과의 연통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앞서 언급한 탄성시트블럭(130)의 퇴수공(114)이 위치되는 상측의 상부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단차형성된 탄성시트블럭의 예시와 같이, 단차형성된 부분이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에 의해 관체(112) 내연측으로 탄성변형되어 퇴수공(114)을 밀폐시키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수직가압력이 단차형성된 하부측으로 인가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캡부재(140)의 유입통공(142)은 직경이 하향축소되게 안내경사면(148)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단속밸브(40)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면(148)에 대응되게 실링경사면(42)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경사면(148)을 따라 실링경사면(42)이 접촉함에 따라 유체 단속의 정밀성이 향상되고, 접촉면적확대를 통해 관수통공(136)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안내경상면을 형성하게 되면 급수단속밸브(40)의 축선이 유입통공(142)의 축선과 약간 벗어나더라도 동일한 축선으로 위치가 유도되어 유체 단속이 가능하다. 또한, 유체단속의 성능은 접촉면적 확대에 의해 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접촉면적이 넓으면 누수현상이 보다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이 탄성변형되어 결합관체의 관체(112) 내에 끼움결합된 후,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에 의한 탄성시트블럭의 탄성변형에 따라 퇴수공(114)의 개폐가 결정되는 구성에서 상기 웨지면(132)의 형상을 대신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시트블럭(130)을 다단으로 단차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퇴수공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웨지면 이외의 다른 실시예로서 살펴보면 퇴수공(114)의 개폐를 결정짖는 부분의 탄성시트블럭의 구성을 개폐단속부(138)로 구성하고, 캡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을 캡결합부(139)로 구성하여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단차형성한다. 다만, 개폐단속부(138)의 직경은 관체의 내경과 동일 또는 확대형성하여 퇴수공(114)에 밀착되어 수밀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단속부(138)는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은 결합관체(110)에 결합되는 걸림와셔(120) 상부에 대응되는 가압변형부(134) 상측으로부터 퇴수공(114) 까지 형성된 관체(112) 내경의 형상에 대응되어 퇴수공(114)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에 의해 압축탄성변형에 따라 퇴수공(114)의 개폐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캡결합부(139)는 상기 개폐단속부 직경보다 축소되어 단차형성되고, 상부로부터 캡부재(140)가 끼움결합되고,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을 직접전달받아 상기 개폐단속부로 인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캡결합부(139)의 직경과 관체 내경의 차이로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수직관로 공간(146)을 형성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150)은 원형의 판상으로 상기 캡부재(140) 상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출공(152)이 관통형성되며, 배출공 내주연 둘레를 따라 프레스가압하여 상향돌출되는 가이드스커트(154)에 의해 수도배관의 수돗물이 입상관(20)으로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링(150)의 가이드스커트(154)는 수밀력을 높이기 위한 고정링(150)이 입상관과 연통되는 배출공(152)측으로 위치되어 입상관 내의 잔류수 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과 입상관 내부 잔류수가 퇴수공(114)측으로 안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링(160) 및 실링시트(170)은 결합관체(110)와 입상관(20)이 누수 없이 수밀을 유지하여 결합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오링(160)은 고정링(150)의 가이드스커트(154) 외주연 둘레를 따라 끼움결합하고, 고정링(150) 둘레를 따라 수돗물이나 잔류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에 상기 실링시트(170)는 오링(160)이 결합된 고정링(150)의 하부면에 실링시트의 상면이 대응되고, 하부면은 캡부재(140)의 상부면에 대응되어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링과 캡부재의 접촉으로 인한 실링력 저하를 방지하여 결합관체(110)와 입상관(20)이 수밀결합력이 향상되도록 마련된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된다. 즉, 오링과 같은 점 접촉에 따른 실링이 아닌 면상 접촉에 따른 실링을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실링면적이 확대되고 이는 곧 수밀력을 향상시켜 경합관체와 입상관의 수밀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절기 동파방지를 위한 작동으로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은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상부에 수직가압이 발생되면 하향 압축가압되되,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은 하향 압축과 함께 웨지면(132)의 하측이 배부름 현상에 의해 상기 걸림와셔(120)가 위치된 상측의 결합관체(110)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의 상측은 퇴수공(114)측으로 위치이동되어 퇴수공(114)이 입상관 내연과 연통되도록 탄성시트블럭 상측에 결합된 캡부재(140)에 의해 퇴수공(114)이 형성된 관체(112) 내주연과 퇴수공(114)과 이격된 수직관로 공간(146)이 입상관과 연통되어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급수단속밸브(40)는 관수통공(136)을 완전밀폐하여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입상관(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수돗물을 사용할 때에는 급수단속밸브(40)는 캡부재(140)의 유입통공(142) 상측으로 위치되어 유입통공(142)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유입통공(142)의 개방은 캡부재(142)가 결합되는 탄성시트블럭의 관수통공(136)과 걸림와셔(120)의 통수공(122)이 수도배관과 관연결된 상태에서 입상관측으로 개방된 것으로, 수돗물이 계속해서 유입되고, 밸브하우징(10)의 수도꼭지의 제어에 따라 수돗물을 단속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동절기 동파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수돗물을 수도꼭지의 단속제어에 따라 언제든지 사용가능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 내부의 수돗물이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절레버(30)를 잠금회전하고 급수단속밸브(40)가 캡부재(140)의 유입통공(142)을 폐쇄하도록 하여 수돗물의 유입경로인 수도배관-수도관 결합부(118)-통수공(122)-관수통공(136)-유입통공(142)의 흐름을 단속하고, 단속함과 동시에 급수단속밸브(40)는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탄성시트블럭(130)의 상부에 결합된 캡부재(140)를 상부에서 하측으로 가압한다.
다음으로, 급수단속밸브(40)의 가압력에 의해 캡부재(140)가 가압되면서 캡부재(140)가 결합된 탄성시트블럭(130)의 상부측은 외경 둘레측으로 탄성변형되지 않고 수직으로 그대로 하향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탄성시트블럭의 퇴수공(114)을 밀폐하고 있는 캡부재가 결합된 하측 탄성시트블럭은 가압되면서 관체(112) 내경에 밀착된 상태로 하향 탄성변형 즉, 하향 압축되면서 캡부재(140)의 수직외경측과 관체 내경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수직관로 공간(146)이 형성되면서 퇴수공(114) 역시 탄성시트블럭의 하부가 하향 압축되면서 수직관로 공간(146)과 연통되며 노출된다.
여기서, 하향 압축은 가압변형부(134)의 단차형성된 축소된 직경으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압축변형되면서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이 하향이동되면서 하향압축되고, 이에 따라 퇴수공(114)이 노출되어 수직관로 공간(146)과 연통된다.
다음으로, 입상관에 있는 잔류수는 고정링의 배출공을 통해 하향 배출되면서 가이드 스커트(154)에 의해 수직관로 공간(146)으로 안내되면서 수직관로공간(146)을 거쳐 퇴수공(114)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입상관(20) 내부 잔류수가 퇴수공(114)을 통해 배출되면 입상관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절기 얼어버리는 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파될 염려가 없어 동절기 동파방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외부로 잔류수가 배출되면서 내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퇴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은 극히 미비하며, 설사 이물질이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다시 수돗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퇴수공(114)이 밀폐됨과 동시에 입상관 내부가 수돗물 배출과 함께 세척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상하 이동하는 승강체가 아닌 수직가압력을 발생하는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탄성변형 및 탄성복귀되는 고정된 탄성시트블럭에 의해 퇴수공의 개폐를 결정함에 따라 부속품의 최소화가 가능하고, 내구성 향상 및 사용수명 증대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며, 수압에 의한 수충격으로부터 안정적 사용이 가능하고, 퇴수공을 통한 잔류수 배출의 원할한 배출을 통해 내부 잔류수가 일부 잔류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승강체의 구조적 작동불량과 같은 문제점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 : 밸브하우징 20 : 입상관
30 : 조절레버 40 : 급수단속밸브
42 : 실링경사면
60 : 단열보호관 100 : 퇴수밸브
110 : 결합관체 112 : 관체
114 : 퇴수공 116 : 입상관 결합부
118 : 수도관 결합부 120 : 걸림와셔
122 : 통수공 130 : 탄성시트블럭
132 : 웨지면 134 : 가압변형부
136 : 관수통공 138 : 개폐단속부
139 : 캡결합부 140 : 캡부재
142 : 유입통공 144 : 고정스커트
146 : 수직관로 공간 148 : 안내경사면
150 : 고정링 152 : 배출공
154 : 가이드스커트 160 : 오링
170 : 실링시트
30 : 조절레버 40 : 급수단속밸브
42 : 실링경사면
60 : 단열보호관 100 : 퇴수밸브
110 : 결합관체 112 : 관체
114 : 퇴수공 116 : 입상관 결합부
118 : 수도관 결합부 120 : 걸림와셔
122 : 통수공 130 : 탄성시트블럭
132 : 웨지면 134 : 가압변형부
136 : 관수통공 138 : 개폐단속부
139 : 캡결합부 140 : 캡부재
142 : 유입통공 144 : 고정스커트
146 : 수직관로 공간 148 : 안내경사면
150 : 고정링 152 : 배출공
154 : 가이드스커트 160 : 오링
170 : 실링시트
Claims (4)
- 티보우 형상이 직각선회하여 "ㅏ" 형상의 밸브하우징(10)과, 상기 밸브하우징(10) 하단에 결합되어 상수도로부터 수도물이 유입되는 입상관(20)과,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정역회전하는 조절레버(30)와,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어 조절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여 수돗물의 배출제어 및 동절기 입상관 내부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동파방지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단속밸브(40)와,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하단 중앙에 수도꼭지가 결합되는 수평배출관(12)과, 상기 입상관(20) 외주연에 결합되는 단열보호관(60)과, 상기 입상관(20) 하단에 결합되고, 입상관 내부의 잔류수가 상기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퇴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동파방지되도록 퇴수밸브(100)가 마련되며, 상기 퇴수밸브(100) 하단으로 수도배관과 연결되는 부동전에 있어서,
상기 부동전의 퇴수밸브(100)는 일측으로 퇴수공(114)이 형성된 관체(112)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12) 상측으로 입상관(20)이 관연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입상관 결합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관체(112) 하측으로 수도배관이 관연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수도관 결합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 결합부(116)-관체(112)-수도관 결합부(118) 순으로 내경이 축소되게 단차 형성된 결합관체(110)와;
상기 결합관체(110)의 관체(112)와 수도관 결합부(118)가 만나는 내경의 단차에 걸림결합되고, 중앙에 통수공(122)이 형성된 걸림와셔(120)와;
콘 형상으로 외경이 하향확대되게 경사진 웨지면(132)이 상기 관체(112) 상측에서 하측의 입상관 결합부(116)측까지 형성되고, 상기 웨지면(132) 하단에 단차지게 직경이 작게 하향돌출형성되어 걸림와셔(120) 상부면에 대응되는 가압변형부(134)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상기 걸림와셔(120)의 통수공(122)과 동일 수직선상에서 연통된 관수통공(136)이 마련되고, 상기 관체 내경에 밀착되어 퇴수공(114)이 수밀되도록 끼움결합되는 탄성시트블럭(130)과;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으로 상기 관수통공(136)과 연통되도록 유입통공(142)이 형성되며, 유입통공(142) 상부에서 하부로 프레스가압하여 유입통공(142) 둘레를 따라 고정스커트(144)가 관수통공(136) 상부면에 가압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탄성시트블럭(130) 상단에 끼움결합되고, 탄성시트블럭(130) 상단으로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관수통공(136)의 폐쇄과정에서 수직가압력이 축선상으로부터 뒤틀림없이 동일하게 작용되어 탄성시트블럭의 뒤틀림이 방지되면서 수직가압에 의해 수밀된 퇴수공(114)과 연통되도록 외주연에 수직관로 공간(146)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캡부재(140)와;
원형의 판상으로 상기 캡부재(140) 상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출공(152)이 관통형성되며, 배출공 내주연 둘레를 따라 프레스가압하여 상향돌출되는 가이드스커트(154)에 의해 수도배관의 수돗물이 입상관(20)으로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고정링(150)과;
상기 고정링(150)의 가이드스커트(154) 외주연 둘레를 따라 끼움결합하고, 고정링(150) 둘레를 따라 수돗물이나 잔류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마련됨에 따라 결합관체(110)와 입상관(20)이 수밀결합되도록 마련된 오링(160)과;
상기 캡부재(140)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대응되고, 상측면이 고정링(150)의 하단부에 대응되어 금속재로 형성된 캡부재(140)와 고정링(150)의 수밀력이 마련되도록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는 실링시트(1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140)의 유입통공(142)은 직경이 하향축소되게 안내경사면(148)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단속밸브(40)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면(148)에 대응되게 실링경사면(42)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경사면(148)을 따라 실링경사면(42)이 접촉함에 따라 유체 단속의 정밀성이 향상되고, 접촉면적확대를 통해 관수통공(136)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은 급수단속밸브(40)에 의해 상부에 수직가압이 발생되면 하향 압축가압되되,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은 하향 압축과 함께 웨지면(132)의 하측이 배부름 현상에 의해 상기 걸림와셔(120)가 위치된 상측의 결합관체(110)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의 웨지면(132)의 상측은 퇴수공(114)측으로 위치이동되어 퇴수공(114)이 입상관 내연과 연통되도록 탄성시트블럭 상측에 결합된 캡부재(140)에 의해 퇴수공(114)이 형성된 관체(112) 내주연과 퇴수공(114)과 이격된 수직관로 공간(146)이 입상관과 연통되어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급수단속밸브(40)는 관수통공(136)을 완전밀폐하여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입상관(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블럭(130)은 결합관체(110)에 결합되는 걸림와셔(120) 상부에 대응되는 가압변형부(134) 상측으로부터 퇴수공(114) 까지 형성된 관체(112) 내경의 형상에 대응되어 퇴수공(114)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에 의해 압축탄성변형에 따라 퇴수공(114)의 개폐가 결정되는 개폐단속부(138)와;
상기 개폐단속부 직경보다 축소되어 단차형성되고, 상부로부터 캡부재(140)가 끼움결합되고, 급수단속밸브(40)의 수직가압력을 직접전달받아 상기 개폐단속부로 인가하도록 마련된 캡결합부(139);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6608A KR102393706B1 (ko) | 2022-02-09 | 2022-02-09 |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6608A KR102393706B1 (ko) | 2022-02-09 | 2022-02-09 |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3706B1 true KR102393706B1 (ko) | 2022-05-03 |
Family
ID=8159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6608A KR102393706B1 (ko) | 2022-02-09 | 2022-02-09 |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370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2480A (ko) | 2022-12-26 | 2024-07-03 | 유상필 |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4523Y1 (ko) * | 1995-07-06 | 1998-10-15 | 채석대 | 부동전 |
KR200147603Y1 (ko) * | 1997-02-06 | 1999-06-15 | 이병무 | 부동전의 개량구조 |
KR200180790Y1 (ko) * | 1999-12-13 | 2000-05-15 | 최영호 |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
KR200242191Y1 (ko) | 2001-05-21 | 2001-10-15 | 최영호 |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
KR200310438Y1 (ko) * | 2003-01-24 | 2003-04-14 | 최구환 | 상수도용 부동전 |
KR20100138590A (ko) | 2009-06-25 | 2010-12-31 | 주식회사 에스원 | 핸디형 인터넷 전화기〔voip〕를 이용한 전자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10106481A (ko) * | 2010-03-23 | 2011-09-29 | 이수환 | 상수도용 부동전 |
-
2022
- 2022-02-09 KR KR1020220016608A patent/KR102393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4523Y1 (ko) * | 1995-07-06 | 1998-10-15 | 채석대 | 부동전 |
KR200147603Y1 (ko) * | 1997-02-06 | 1999-06-15 | 이병무 | 부동전의 개량구조 |
KR200180790Y1 (ko) * | 1999-12-13 | 2000-05-15 | 최영호 |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
KR200242191Y1 (ko) | 2001-05-21 | 2001-10-15 | 최영호 |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
KR200310438Y1 (ko) * | 2003-01-24 | 2003-04-14 | 최구환 | 상수도용 부동전 |
KR20100138590A (ko) | 2009-06-25 | 2010-12-31 | 주식회사 에스원 | 핸디형 인터넷 전화기〔voip〕를 이용한 전자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10106481A (ko) * | 2010-03-23 | 2011-09-29 | 이수환 | 상수도용 부동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2480A (ko) | 2022-12-26 | 2024-07-03 | 유상필 |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1584B2 (en) | Pipe disconnector | |
US4976279A (en) | Self-draining backflow prevention valve | |
KR102393706B1 (ko) |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
US6123095A (en) | Vacuum breaker with buoyant float cup | |
KR101282303B1 (ko) | 교체 및 수리 용이한 상수도용 부동전 | |
KR101909388B1 (ko) |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 |
KR102027783B1 (ko) | 액화석유가스의 일정량 공급 및 과류시 자동 차단밸브 | |
KR101799555B1 (ko) | 수도용 앵글밸브 | |
US20140251441A1 (en) | Flow isolation system | |
US9894853B1 (en) | Anti-siphon valve with freeze protection | |
CN103899807A (zh) | 弹簧外置的低维护式泄压/持压阀 | |
KR200462905Y1 (ko) |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 |
US3785394A (en) | Water control valve structure | |
KR200296539Y1 (ko) | 소화전 | |
CN218094471U (zh) | 一种自动泄水阀 | |
KR101634486B1 (ko) | 자동 퇴수밸브가 구비된 승강식 소화전 | |
KR20010083841A (ko) | 수도관 동파 방지기 | |
CN218911617U (zh) | 一种防冻消火栓阀装置 | |
KR102440380B1 (ko) |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 |
CN212131424U (zh) | 一种过量自动断路的安全阀 | |
JPH0123609B2 (ko) | ||
RU2110004C1 (ru) |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CN215059498U (zh) | 一种基于人工智能的多功能阀门 | |
KR102169919B1 (ko) | 동파방지를 위한 멀티 용수배출구용 부동급수전 | |
CN117469509A (zh) | 自动排气装置及其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