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481A - 상수도용 부동전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481A
KR20110106481A KR1020100025509A KR20100025509A KR20110106481A KR 20110106481 A KR20110106481 A KR 20110106481A KR 1020100025509 A KR1020100025509 A KR 1020100025509A KR 20100025509 A KR20100025509 A KR 20100025509A KR 20110106481 A KR20110106481 A KR 2011010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ter supply
seating surface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158B1 (ko
Inventor
이수환
Original Assignee
이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환 filed Critical 이수환
Priority to KR102010002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15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 F16K41/006Spindle sealings by establishing an under-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아래 매설된 급수관에 연결되어 수도관 상부 개폐핸들의 작동으로 인한 개폐구의 개방을 통해 수도꼭지로 물이 배출되도록 지면 위로 돌출 설치되는 상수도용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급수관에 하부측이 결합 설치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안착면이 형성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어 안착면에 안착되며 내부 통공이 형성되는 연질의 탄성구와, 상기 탄성구의 상부에 안착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내부 통공이 형성되는 가압구와, 상기 가압구의 외측 안착면에 안착되는 밀폐실링과, 상기 가압구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부에 구비된 수도관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에 구비된 지지관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평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실링의 상부에 밀착되고 하부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 배수공이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면에 상부측 걸림부가 걸림 고정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 내에 상기 연결관의 배수공이 위치되고 하부측 단부가 배수공의 아래측에 위치되는 연결관 또는 지지관의 외측벽에 이격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수도용 부동전{Nonfreezing for waterworks}
본 발명은 상수도용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핸들의 잠금시 수도관 내의 잔류수가 지면으로 배출되는 배수공의 막힘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부동전 내의 결빙 및 동파 방지가 되도록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용 부동전은 지면에 설치되는 급수관에 연결 설치되어 지상에서 개폐핸들 및 수도꼭지를 통해 물을 빼 쓸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통상 급수관은 지면 아래 매립되므로 동절기에도 결빙이나 동파가 발생될 우려가 적으나, 지상에 위치되어 설치되는 수도관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수도꼭지나 개폐핸들의 잠금상태시 수도관 내에 잔류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동절기에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수도관 내에 잔류수가 결빙되거나 이로 인해 동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부동전 내의 잔류수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부동전 내의 결빙 및 동파 방지를 하도록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 아래 매설된 급수관에 연결되어 수도관 상부 개폐핸들의 작동으로 인한 개폐구의 개방을 통해 수도꼭지로 물이 배출되도록 지면 위로 돌출 설치되는 상수도용 부동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하부측이 결합 설치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안착면이 형성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어 안착면에 안착되며 내부 통공이 형성되는 연질의 탄성구와, 상기 탄성구의 상부에 안착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내부 통공이 형성되는 가압구와, 상기 가압구의 외측 안착면에 안착되는 밀폐실링과, 상기 가압구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부에 구비된 수도관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에 구비된 지지관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평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실링의 상부에 밀착되고 하부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 배수공이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면에 상부측 걸림부가 걸림 고정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 내에 상기 연결관의 배수공이 위치되고 하부측 단부가 배수공의 아래측에 위치되는 연결관 또는 지지관의 외측벽에 이격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수도용 부동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은 개폐핸들의 잠김상태시 수도관 내에 잔류해 있던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공의 외부 주위를 보호커버가 공간부를 두고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잔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동전 내의 결빙이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를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분리 형성하여 상호 결합 또는 접합되게 구성함으로써 결합 및 해체가 간편하고, 투명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보수시나 교체시 외부에서 보호커버 내부로의 토사나 이물질 등의 침투 상태를 식별할 수 있어 교체하거나 이물질 등의 청소시기를 한눈에 파악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의 급수 개방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의 급수 닫힘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커버의 사시 및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의 다른 실시예들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은, 지면 아래 매설된 급수관(2)에 연결되어 수도관(3) 상부 개폐핸들(6)의 개방을 통해 수도꼭지(4)로 물이 배출되도록 지면 위로 돌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은 상기 급수관(2)에 연결되는 지지관(10)과, 지지관(10)에 삽입 안착되는 탄성구(20)와, 탄성구(20)에 안착되는 가압구(30)와, 가압구(30)의 외측에 안착되는 밀폐실링(40)과, 가압구(3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연결관(50)과, 연결관(50)의 상부면에 걸림되어 지지관(10)에 이르도록 연장 형성되는 보호커버(60)로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된 상수도용 부동전의 급수관(2)과 수도관(3)의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가 보호커버(60)에 감싸져 구성된다.
도 2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의 주요부를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지관(10)은 상단측이 굵은 2단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안착면(11)이 형성된다. 아울러 단턱진 하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면 아래 매설된 급수관(2)에 결합 설치되고, 단턱진 상부 외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되는 연결관(50)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지지관(10)의 내측 안착면(11)에 안착되는 탄성구(20)는 내부에 통공(23)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연질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탄성구(20)의 상부 내측에 안착면(21)을 형성하여 가압구(30)의 삽입 안착이 유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구(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압구(30)는 하단측이 굵은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안착면(3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통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구(30)의 하부측에는 탄성구(20)의 상부측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4)을 형성하여 탄성구(20)가 가압구(30)의 가압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구(3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하여도 되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구(7)의 하강작동에 작동되기 유리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구(30)의 외측 안착면(31)에는 밀폐실링(40)이 안착 구비된다. 밀폐실링(40)은 부동전의 결합 후 하부측에서 급수되는 물이 가압구(30)와 상부 연결관(50) 사이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실링(40)이 안착된 가압구(30)의 상부측에는 연결관(50)이 구비된다. 연결관(50)은 하단측이 굵은 2단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수평지지면(51)이 형성되어 밀폐실링(40)의 상부에 밀착되며, 연결관(50)의 상단측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수도관(3)에 결합 설치되고, 하단측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에 구비된 지지관(10)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50)과 지지관(10)이 나사 결합되며, 그 내부에 탄성구(20), 가압구(30) 및 밀폐실링(40)이 구비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관(50)의 하부측벽에는 배수공(52)이 형성된다. 배수공(52)은 물이 흘러 새어나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52)은 개폐핸들(6)의 작동으로 개폐구(7)가 하강되어 아래 급수관(2)으로부터의 급수가 차단되면 개폐구(7)의 상부에 잔류하던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연결관(50)의 상부측에 걸림되어 하방측으로 상기 배수공(52)이 충분히 덮혀질 정도의 길이로 보호커버(60)가 연장 형성된다.
보호커버(60)는 상부측에 걸림부(61)가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부(63)가 형성되도록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고, 특히 내부에 충분한 공간부(63)가 형성되어 충분한 내부공간이 확보되도록 세로방향 중앙부측을 볼록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60)의 걸림부(61)는 연결관(50)의 상부면에 걸림 고정된다. 이때 걸림부(61)의 상부측은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되기도 하나, 도 7에서와 같이 단부에 걸림이 유리하도록 훅(65)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60)의 걸림부(61)가 걸림되는 연결관(50)의 상부면의 폭이 좁아 걸림이 불안정 할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연결관(50)의 상부에 연결관(50)의 상부측 외경보다 큰 와셔(70)를 구비하여 걸림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호커버(60)의 걸림부(61)를 평평하게 형성하여 걸림부(61)가 와셔(70)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61)에 단부에 훅(65)을 형성할 경우 훅(65)에 대응되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연결관(50)의 상부에 걸림턱(81)이 돌출 형성된 걸림지지구(80)를 고정 구비하여 훅(65)이 상기 걸림턱(81)에 걸림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림턱(81)은 별도의 걸림지지구(80)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나, 연결관(50)의 상부측에 다른 형태의 걸림 가능한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될 수도 있고, 특히 걸림홈(미도시됨)이 형성되어 걸림홈에 훅(65)이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수도용 부동전의 수도관(3)에서 외부측으로 배출되는 잔류수는 상기 배수공(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배수공(52)의 외부에 토사가 직접 닿인 상태가 되면 그 토사나 토사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배수공(52)에 끼이거나 그 주위에 압력을 가하며 존재하므로 잔류수가 자연스레 새어나가지 못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 배수공(52)이 완전히 막혀 잔류수가 아예 흘러나가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보호커버(60)의 하부측을 하방측으로 최소한 연결관(50)에 형성된 배수공(52)을 지나가도록 형성하여 보호커버(60)의 공간부(63) 내에 배수공(52)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수공(52) 주위의 토사나 이물질이 배수공(52)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써 잔류수가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호커버(60)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오므라지게 형성하여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호커버(60)의 하단부는 잔류수가 새어나갈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관(50) 또는 지지관(10)에 근접 위치되어지도록 함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60) 하단부의 가장 바람직한 위치는 하부면을 갖는 연결관(50)의 하단측이나 지지관(10)의 외측 단턱진 부근이긴 하지만, 상기 배수공(52)의 하부측 연결관(50) 또는 지지관(10)의 외측벽 부근이어도 충분히 만족한다.
상기 보호커버(60)는 보수시나 교체시에 외부에서 토사나 이물질 등의 침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의 (a)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하여 끼움결합하여도 되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분리 형성시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호 결합의 일예로 도 5의 (b)에서와 같이 분리 형성된 일측에 돌기부(67)를 형성하고 타측에 홈부(68)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고, 접합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수도용 부동전의 사용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구성요소들이 구비된 상태에서 지지관(10), 탄성구(20), 가압구(30), 밀폐실링(40) 및 연결관(50)의 순서대로 상부측으로 결합되고, 연결관(50)의 상부측에서 하방측으로 보호커버(60)가 걸림 설치되면 본 발명이 완성된다.
완성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수도관(3)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핸들(6)에 축 연결된 개폐구(7)가 개폐핸들(6)의 열림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연결관(50) 내에 구비된 가압구(30)의 상부측과 이격되면 하부 급수관(2)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도꼭지(4)를 돌려 개방하게 되면 물이 수도꼭지(4)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물이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개폐핸들(6)을 잠그게 되면 개폐핸들(6)에 축 연결된 개폐구(7)가 하강되어 가압구(30)의 상부측을 누르게 되면서 급수관(2)에서의 물의 공급은 차단되고, 개폐구(7)의 상부측 수도관(3) 내에는 잔류수가 남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핸들(6)에 힘을 가하여 더 세게 잠금 작동을 하면 개폐구(7)가 가압구(30)를 하부 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그 힘에 의해 가압구(30)가 탄성을 갖는 탄성구(20)를 가압하면 탄성구(20)가 압축되면서 개폐구(7)가 소폭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가압구(30)의 외측 안착면(31)에 구비되어 연결관(50)의 수평지지면(51)에 밀착되어 있던 밀폐실링(40)도 가압구(30)와 함께 하강되면서 연결관(50)의 내면, 가압구(30)의 외면 및 밀폐실링(40)의 외면 사이로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그 이격공간은 연결관(50)의 하부측벽에 형성된 배수공(52)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수도관(3) 내에 남아 있던 잔류수는 연결관(50)의 내면, 가압구(30)의 외면 및 밀폐실링(40)의 외면 사이로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이동되어 배수공(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상기 잔류수는 도 4에서와 같이 보호커버(60)의 하부측 이격공간(틈새)를 통해 토사로 흘러들어가게 되면서 수도관(3) 내의 잔류수가 모두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부동전은 개폐핸들(6)의 잠김 작동시 잔류수가 배출되는 배수공(52)의 외부 주위를 보호커버(60)가 충분한 공간부(63)를 두고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도관(3) 내 잔류수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여 부동전의 결빙이나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2 : 급수관 3 : 수도관
4 : 수도꼭지 5 : 개폐축
6 : 개폐핸들 7 : 개폐구
10 : 지지관 11,21 : 안착면
20 : 탄성구 23,33 : 통공
30 : 가압구 31 : 안착면
40 : 밀폐실링 50 : 연결관
51 : 수평지지면 52 : 배수공
60 : 보호커버 61 : 걸림부
63 : 공간부 70 : 와셔
80 : 걸림지지구 81 : 걸림턱

Claims (4)

  1. 지면 아래 매설된 급수관에 연결되어 수도관 상부 개폐핸들의 작동으로 인한 개폐구의 개방을 통해 수도꼭지로 물이 배출되도록 지면 위로 돌출 설치되는 상수도용 부동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2)에 하부측이 결합 설치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안착면(11)이 형성되는 지지관(10)과;
    상기 지지관(10)에 삽입되어 안착면(11)에 안착되며, 내부 통공(23)이 형성되는 연질의 탄성구(20)와;
    상기 탄성구(20)의 상부에 안착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안착면(31)이 형성되고, 내부 통공(33)이 형성되는 가압구(30)와;
    상기 가압구(30)의 외측 안착면(31)에 안착되는 밀폐실링(40)과;
    상기 가압구(30)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2단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부에 구비된 수도관(2)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에 구비된 지지관(10)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평지지면(51)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실링(40)의 상부에 밀착되고, 하부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 배수공(52)이 형성되는 연결관(50)과;
    상기 연결관(50)의 상부면에 상부측 걸림부(61)가 걸림 고정되며, 내측에 공간부(63)가 형성되도록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63) 내에 상기 연결관(50)의 배수공(52)이 위치되고, 하부측 단부가 배수공(52)의 아래측에 위치되는 연결관(50) 또는 지지관(10)의 외측벽에 이격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보호커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수도용 부동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50)의 상부에 연결관(50)의 상부측 외경보다 큰 와셔(7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커버(60)의 걸림부(61)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걸림부(61)가 상기 와셔(70)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50)의 상부에 걸림턱(81)이 돌출 형성된 걸림지지구(80)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60)의 걸림부(61) 단부에 훅(65)이 형성되어 훅(65)이 상기 걸림턱(81)에 걸림고정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60)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보호커버(60)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오므라지게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
KR1020100025509A 2010-03-23 2010-03-23 상수도용 부동전 KR10119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509A KR101194158B1 (ko) 2010-03-23 2010-03-23 상수도용 부동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509A KR101194158B1 (ko) 2010-03-23 2010-03-23 상수도용 부동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481A true KR20110106481A (ko) 2011-09-29
KR101194158B1 KR101194158B1 (ko) 2012-10-23

Family

ID=4549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509A KR101194158B1 (ko) 2010-03-23 2010-03-23 상수도용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706B1 (ko) * 2022-02-09 2022-05-03 이해홍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91B1 (ko) 2018-06-11 2020-04-07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용 결속관체의 밀폐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790Y1 (ko) 1999-12-13 2000-05-15 최영호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706B1 (ko) * 2022-02-09 2022-05-03 이해홍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158B1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829B1 (ko)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US6561214B2 (en)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360573Y1 (ko)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KR20100104443A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KR10209799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용 결속관체의 밀폐 결합구조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US9260841B2 (en) Biased drain valve for dry barrel fire hydrant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US20150376876A1 (en) Main Valve For Dry Barrel Fire Hydrant
KR20130118654A (ko) 맨홀용 방수 장치
KR100924755B1 (ko)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101223965B1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KR102488370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102318589B1 (ko) 싱크홀 방지부가 형성된 부동전 구조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101145007B1 (ko)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KR101464374B1 (ko) 침하방지용 맨홀
KR200471023Y1 (ko)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150057276A (ko) 부동전
KR101175141B1 (ko)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KR200332761Y1 (ko)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