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23Y1 -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23Y1
KR200471023Y1 KR2020120007661U KR20120007661U KR200471023Y1 KR 200471023 Y1 KR200471023 Y1 KR 200471023Y1 KR 2020120007661 U KR2020120007661 U KR 2020120007661U KR 20120007661 U KR20120007661 U KR 20120007661U KR 200471023 Y1 KR200471023 Y1 KR 200471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floating
protective tub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무
Original Assignee
이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무 filed Critical 이병무
Priority to KR2020120007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보호관(3) 상단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캡(6)은 가장자리에 삽입홈(61)을 중심으로 외삽부(62)와 내삽부(63)를 형성하되 내삽부(63)가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내삽부(63)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4∼16개의 ∩형의 체결홈(64)을 형성하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체결홈(64) 주위를 두껍게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고정관(4a)의 육각면(43)에 끼워지도록 육각구멍(65)을 형성하며, 외삽부(62) 표면에는 체결홈(64)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터라인(6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호관(3) 상단을 3중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매우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체결홈(64)을 ∩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사출금형 제작시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금형비용 등이 저렴하게 드는 등의 효과가 있음은 물론 센터라인(66)에 의해 보호관(3)에 고정캡(6)을 신속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The nonfreezing a hydrant have change ability}
본 고안은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보호관의 상단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캡을 개량하여 보호관과 부동급수전의 분해 조립을 더욱 신속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부동급수전의 교체작업이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끔 유도하고 교체작업을 위해 부동급수전을 보호관 내부로 삽입시킬 때 센터가이드에 의해 자연적으로 중심이 일치되어 신속정확한 조립을 유도할 수 있게 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부동급수전은 주택 등의 건물 마당이나 정원, 공원 등 실외에 설치되며, 수도 사용 후 밸브를 잠그면 관 속에 잔류되어 있던 물이 퇴수공을 통해 땅속으로 자동 배출됨으로서 동절기에 동파가 예방되게 한 수도밸브를 말한다.
위와 같은 부동급수전을 수도배관에 연결 시공할 때는, 통상 시공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를 1m∼1.5m 내외의 깊이로 굴토한 뒤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부동급수전의 퇴수공 주위에는 모래나 자갈 등을 깔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 위에 복토한 뒤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몰탈로서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위와 같이 시공 설치된 종래 부동급수전들은 한 개로 구성된 퇴수공이 노출 구성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퇴수공 주위에 모래 등으로서 배수층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퇴수가 반복되다 보면 퇴수공 주위의 모래나 흙이 붕괴 유입되어 퇴수공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부동 급수전 내부에 잔류된 물이 퇴수될 수 없게 됨에 따라 동절기 동파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 위와 같은 경우 외에도 미세한 모래나 이물질이 퇴수공을 통해 밸브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공급되는 상수도물 속에 함유된 모래 등의 미세한 이물질 등이 유입되다보면 오래가지 않아 밸브나 패킹 등이 쉬 마모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과정에서도 필연적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부동전이 동파되거나 밸브 마모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노후화 되게 되면 부동급수전을 교체해 줄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 경우 매립 사용 중이던 부동급수전은 시멘트 몰탈로 미장된 부분을 깨어낸 뒤 굴토한 다음 기 설치되어 있던 부동급수전을 분해한 뒤 새로운 부동급수전으로 교체 시공해야 하며, 이때 앞에서 설명했던 시공순서대로 재시공 설치해야 함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했음은 물론 인력과 시간의 과다소요로 교체비용이 처음 시공할 때보다도 훨씬 더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면 시멘몰탈 미장층을 깨지 않고 간편하게 부동급수전을 교체할 수 있게 한 부동급수전이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 출원되었다.
상기한 선출원은 하단 체결나사관(11)이 원수관과 연결된 엘보우(19)에 결합됨과 동시에 체결나사관(11)의 상부에는 부동전의 밸브하우징(2)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나사관(21)과 2열 이상의 오링(23)이 장착된 밀폐관부(22)가 체결 및 삽입되도록 암나사관(13)과 안착관(14)을 가진 안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2)를 중심으로 외곽부분에는 보호관(3)이 조립 고정되는 지지부(15)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닥에는 일정간격으로 제2퇴수공(16)을 다수 가진 형태의 안착구(1)를 형성하였다.
또, 상기 밸브하우징(2)에 연결 구성된 지주관(4) 상단에는 다수의 볼(41)이 끼워진 수나사관부(42)와 육각면(43) 및 육각너트부(44)가 일체로 구비된 고정관(4a)을 끼운 상태에서 밸브 동체(5)하부의 암나사관(51)에 체결 고정하되, 체결에 앞서 상기 육각면(43)에 고정캡(6)을 먼저 끼운 상태에서 체결 고정함으로서 고정캡(6)이 지주관(4)과 밸브 동체(5) 사이에서 회전하거나 유동하지 않게끔 견고하게 조립되게 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선출원은 안착구(1)에 보호관(3)이 일체로 조립 고정된 상태에서 지면에 매립 설치되게 되고 상기 보호관(3)을 통해 부동전(100) 하부의 밸브하우징(2)에 구비된 수나사관(21)과 밀폐관부(22)를 암나사관(13)과 안착관(14)에 체결고정하면서 고정캡(6)을 보호관(3) 상단에 끼운 뒤 나사고정하면 부동전(100)이 조립 설치되게 되며, 부동전(100)을 교환하기 위해 분해할 때는 고정캡(6)에 체결된 나사를 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빼낸 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장착하면 되므로 지면을 굴토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고장 또는 파손된 부동전을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고안은 보호관(3)에 고정캡을 조립할 때 보호관(3)에 형성된 구멍과 고정캡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시키기가 어려워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과 시간의 과다소요가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고, 또, 고정캡을 제조함에 있어서도 금형비 등이 과다하게 들 수밖에 없어 생산원가가 상당히 많이 드는 등의 폐단도 따랐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동급수전 주위의 땅을 굴토하지 않고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급수전에 있어서, 보호관 상단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캡의 가장자리에 삽입홈을 중심으로 외삽부와 내삽부로 구비하고, 상기 내삽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 체결홈을, 그리고 외삽부 외주면에는 상기 ∩형 체결홈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센터라인을 형성함으로서 체결홈과 센터라인에 의해 보호관과의 조립이 매우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부동전의 체결과정에서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무리없이 원활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형 체결홈으로 인해 고정캡의 사출성형시 금형비 절감과 생산성 증대를 유도하여 생산원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고정캡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지주관(4)에는 센터가이드(8)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보호관(3)을 통해 부동전(100)을 삽입 체결할 때 정확하게 중앙센터를 찾아 신속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
또, 밀폐관부(22) 상부에 쿠션용 오링(25)을 더 설치하여 부동전 체결시 과압이 작용하더라도 완충작용이 발휘되어 무리가 없게 함은 물론 풀 때도 원활하게 풀릴 수 있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
지주관(4) 하단에 핸들(52)에 의해 승강되면서 통수구와 퇴수공(24)을 반대로 개폐시키는 밸브가 내장 설치된 밸브하우징(2)이 구비되고, 지주관(4) 상단에는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핸들(52)이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일 측에 수도밸브(53)가 장착된 밸브동체(5)가 구비된 부동급수전(100)과,
상기 밸브하우징(2) 하부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오링이 장착된 밀폐관부(22)와 수나사관(21),
상기 밀폐관부(22)와 수나사관(21)이 체결 결합되는 안착부(12)와 원수관과 연결된 엘보우(19)에 결합되는 체결나사관(11), 그리고 보호관(3)을 결합 고정하는 지지부(15)와 제2퇴수공(16)으로 이루어진 안착구(1)와,
그리고 밸브동체(5)와 지주관(4)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관(3)의 상단에 결합되게 한 고정캡과,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2∼4개의 체결구멍을 천공하여서 된 보호관(3)으로 이루어진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밀폐관부(22) 상부에 쿠션용 오링(25)을 장착하고,
고정캡(6)은 가장자리에 삽입홈(61)을 중심으로 외삽부(62)와 내삽부(63)를 형성하되 내삽부(63)를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내삽부(6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4∼16개의 ∩형의 체결홈(64)을 형성하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체결홈(64) 주위를 두껍게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고정관(4a)의 육각면(43)에 끼워지도록 육각구멍(6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동전(100)의 지주관(4)에 센터가이드(8)를 더 설치하여 보호관(3)을 통해 안착구(1)에 조립할 때 신속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호관(3)과 안착구(1)이 조립 매설된 상태에서 부동급수전(100) 만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기에 고장이나 파손을 비롯하여 누수발생으로 부동급수전(100)을 교체하고자 할 때 지면을 파헤치고 메꾸어야 하는 등의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가 완전히 일소되게 되며, 따라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시 인력과 시간, 비용 등의 절감효과가 극대화 되는 등의 큰 효과가 따른다.
특히, 고정캡(6)은 가장자리에 삽입홈(61)을 기준으로 내삽부(63)와 외삽부(62)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호관(3) 상단을 3중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매우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내삽부(63)에 형성된 ∩형 체결홈(64)은 사출금형 제작시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금형비용 등이 저렴하게 드는 등의 효과와 더불어 체결홈(64)의 하단이 개방되어 있어도 보호관(3)을 통해 체결홈(64)에 나사(7) 체결을 하면 수나사관(21)이 암나사관(13)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사(7)를 풀기 전에는 전혀 회전시킬 수 없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된다.
또한, 외삽부(62) 표면에는 상기 체결홈(64)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센터라인(6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관(3)의 상부 구멍(31)과 체결홈(64)의 위치를 보다 신속원활하게 일치시켜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르며, 더불어 체결홈(6)이 하단이 개방된 ∩형으로 되어 있어 부동전(100) 체결 고정시 높이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무리 없이 체결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분해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캡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캡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캡에 대한 종단면예시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예시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일반적으로 부동급수전(100)은 지주관(4)의 하단에 통수구 및 퇴수공(24)이 서로 반대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가 내장 설치된 밸브하우징(2)이 구비되고, 지주관(4) 상단에는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핸들(52)과 수도밸브(53)가 연결 설치된 밸브동체(5)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지주관(4) 외부에는 보호관(3)이 설치되어 지중에 매립할 때는 상기 보호관(3)의 하부가 흙속에 묻혀있게 된다.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100)을 시공 설치한 뒤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장이나 결함에 의해 부동급수전(100)을 교체하여야만 할 때 이미 매립 시공된 부동급수전을 매립부위를 다시 파 해치지 않고도 매우 신속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먼저 부동급수전(100)의 지주관(4) 하단에 구비된 밸브하우징(2)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오링(23)이 형성된 밀폐관부(22)와 수나사관(21)이 형성되고, 원수관의 엘보우(19)에 연결 구성된 안착구(1)에는 안착관(14)과 암나사관(13)이 구비됨과 동시에 보호관(3)이 연결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나사관(21)을 암나사관(13)에 체결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밀폐관부(22)도 안착관(14)에 삽입되어 오링(14)에 의해 밀폐효과도 극대화되어 신속 간편한 분해조립과 누수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밀폐관부(22) 상부에 쿠션용 오링(25)을 장착함으로서 암나사관(13)에 수나사관(21)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과압이 작용하더라도 부동전을 풀거나 체결할 때 더욱 더 원활하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3)은 통상 부동급수전(100)에 설치되는 보호관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그 이유는 부동 급수전(100)을 교환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보온재(도시하지 않음)를 부동급수전(100)과 함께 삽입 설치할 수도 있게 함으로서 지주관(4) 내부에 잔류수가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쉽게 동파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부동급수전(100)에는 밸브동체(5)의 암나사관(51)에 지주관(4) 상단에 고정관(4a)을 끼운 상태에서 육각면(43)에 고정캡(6)의 육각구멍(65)을 끼운 뒤 암나사관(51)에 수나사관부(42)를 체결하면 밸브동체(5)와 고정관(4a) 고정캡(6)이 지지된다. 상기 고정캡(6)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는데 중앙부에는 육각구멍(65)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삽입홈(61)을 중심으로 외삽부(62)와 내삽부(63)가 형성되어 있어 보호관(3)을 3중 지지하게 됨으로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내삽부(63)에 형성된 4∼16개의 ∩형 체결홈(64)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기에 성형시 사출금형으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체결홈(64)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도 부동전(100) 하부에 구비된 수나사관(21)이 암나사관(13)에 체결되고 수도밸브(53)도 조절한 다음 보호관(3)의 구멍(31)과 체결홈(64)을 일치시켜 나사(7)체결을 할 때는 외삽부(62) 표면에 형성된 센터라인(66)을 구멍(31)과 맞춰 나사(7) 체결을 하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부동전(100)을 잡아 빼거나 돌리더라도 빠지거나 돌아가지 않아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또, 이 과정에서 부동전(100)의 체결상황에 따라 높이가 다소 높거나 낮더라도 체결홈(64)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가 개방된 ∩형 구성으로 되어 있기에 나사(7) 체결에는 전혀 무리가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부동급수전을 시공 설치하고자 할 때는 먼저 안착구(1)의 지지부(15)에 보호관(3)의 하단을 끼워 나사조립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를 부동급수전을 설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면을 굴토한 뒤 원수관의 엘보우(19)에 체결나사관(11)을 체결시킨 다음 안착구(1) 하부와 주위에 모래나 작은 자갈로서 배수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배수층 위에 복토를 한 다음 시멘트 몰탈로서 지표면을 미장 처리하여 깔끔하게 한 다음 보호관(3) 내부로 부동전(100)을 삽입하되, 상기 부동전(100)의 밸브하우징(2) 하부의 수나사관(21)을 안착구(1)의 암나사관(13)에 체결하게 되면, 체결과 동시에 밀폐관부(22)가 안착관(14) 내부에 삽입되게 됨으로서 오링(23)에 의해 밀폐효과가 극대화되면서 누수가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위와 같이 수나사관(21)이 암나사관(13)에 체결되고 밀폐관부(22)가 안착관(14)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고정캡(6)도 보호관(3) 상단에 자연적으로 안착되게 되며, 이때 보호관(3) 상단에 형성된 구멍과 고정캡(6)의 내삽부(63)에 형성된 체결홈(64)을 일치시켜 나사(7)로 체결하게 되면 ∩형 체결홈(64)에 의해 부동전(100)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수나사관(21)이 암나사관(13)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잡아 빼더라도 빠지지 않아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폐관부(22)에 장착된 오링(23)이 안착관(14)과의 밀폐효과를 극대화시켜주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될 염려는 전혀 없으며, 따라서 수나사관(21)이 암나사관(13)에 덜 체결되더라도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어 수도밸브(53)의 방향 전환 과정에서 덜 체결되더라도 신뢰성에는 전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부동전(100)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보호관(3) 상단에 체결된 나사(7)를 푼 상태에서 부동전(100)을 돌려 풀면 부동전(100)과 함께 고정캡(6)도 회전되어 암나사관(13)에서 수나사관(21)이 풀리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밀폐관부(22)가 안착관(14)으로부터 상승 이탈되게 되어 분해되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부동전(100)을 보호관(3) 속에 삽입시켜 장착 고정시킨 뒤 나사(7)로 조립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부동전 주위를 전부 굴토한다거나 전체를 통째로 교환 시공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일소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경비절감효과가 극대화되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품불량, 이물질로 인해 패킹이나 밸브가 마모되어 누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교체하여야 할 때 지면을 파헤치지 않아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100)을 사용한 후 핸들(52)을 잠그면 밸브하우징(2)에 형성된 퇴수공(24)을 통해 지주관(4) 내부에 잔류되어 있던 물이 모두 퇴수되게 되는데, 이 때 퇴수된 물은 안착구(1)에 형성된 제2퇴수공(28)을 통해 땅속 배수층으로 배출 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2퇴수공(28)은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으로서 사용과정 중 어느 한 두 개가 막히더라도 무리 없이 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지주관(4) 내부의 잔류수가 직접적으로 퇴수되는 퇴수공(24)이 보호관(3) 내부에 위치해 있어 안착구(1)로 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2퇴수공(28)이나 퇴수공(15)을 통해 밸브하우징(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며, 따라서 사용이 매우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동전(100)의 지주관(4)에 센터가이드(8)를 더 설치하면, 부동전(100)을 보호관(3)을 통해 안착구(1)에 조립할 때 보다 더 신속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센터가이드(8)는 합성수지나 스치로폼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동전(100)에 센터가이드(8)를 설치한 상태에서 부동전(100)을 보호관(3) 내부로 삽입시키면 센터가이드(8)가 보호관(3)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부동전(100)이 정확하게 중심을 유지하게 됨으로서 조립이 신속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1: 안착구 2: 밸브하우징 3: 보호관
4: 지주관 5: 밸브동체 6: 고정캡
7: 나사 11: 체결나사관 12: 안착부
13: 암나사관 14: 안착관 15: 지지부
16: 제2 퇴수공 21: 수나사관 22: 밀폐관부
23:오링 24:퇴수공 31, 31':체결공
41:볼 42:수나사관부 43:육각면
44:육각너트부 51:암나사관 52:핸들
53: 수도밸브 61:삽입홈 62:외삽부
63:내삽부 64: 체결홈 65:육각구멍
100: 부동급수전

Claims (2)

  1. 지주관(4) 하단에 핸들(52)에 의해 승강되면서 통수구와 퇴수공(24)을 반대로 개폐시키는 밸브가 내장 설치된 밸브하우징(2)이 구비되고, 지주관(4) 상단에는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핸들(52)이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일 측에 수도밸브(53)가 장착된 밸브동체(5)가 구비된 부동급수전(100)과,
    상기 밸브하우징(2) 하부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오링이 장착된 밀폐관부(22)와 수나사관(21),
    상기 밀폐관부(22)와 수나사관(21)이 체결 결합되는 안착부(12)와 원수관과 연결된 엘보우(19)에 결합되는 체결나사관(11), 그리고 보호관(3)을 결합 고정하는 지지부(15)와 제2퇴수공(16)으로 이루어진 안착구(1)와,
    그리고 밸브동체(5)와 지주관(4)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관(3)의 상단에 결합되게 한 고정캡과,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2∼4개의 체결구멍을 천공하여서 된 보호관(3)으로 이루어진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밀폐관부(22) 상부에 쿠션용 오링(25)을 장착하여 부동급수전(100)의 수나사관(21)이 암나사관(13)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과압에 의해 지나치게 체결하더라도 그 체결압력을 흡수하여 추후에 풀기 쉽게 하고,
    고정캡(6)은 가장자리에 삽입홈(61)을 중심으로 외삽부(62)와 내삽부(63)를 형성하되 내삽부(63)가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내삽부(63)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4∼16개의 ∩형의 체결홈(64)을 형성하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체결홈(64) 주위를 두껍게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고정관(4a)의 육각면(43)에 끼워지도록 육각구멍(65)을 형성하며, 외삽부(62)에는 체결홈(64)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터라인(6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부동전(100)의 지주관(4)에 센터가이드(8)를 더 설치하여 보호관(3)을 통해 안착구(1)에 조립할 때 신속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20120007661U 2012-08-29 2012-08-29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0471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61U KR200471023Y1 (ko) 2012-08-29 2012-08-29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61U KR200471023Y1 (ko) 2012-08-29 2012-08-29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23Y1 true KR200471023Y1 (ko) 2014-02-11

Family

ID=5141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61U KR200471023Y1 (ko) 2012-08-29 2012-08-29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600B1 (ko) 2022-07-11 2023-07-31 손상목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502A (ja) 1999-03-17 2000-09-26 Nippo Valve Co Ltd 不凍水栓柱
KR20070032982A (ko) * 2007-03-05 2007-03-23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80081811A (ko) * 2008-01-10 2008-09-10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100037673A (ko) * 2008-10-02 2010-04-12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502A (ja) 1999-03-17 2000-09-26 Nippo Valve Co Ltd 不凍水栓柱
KR20070032982A (ko) * 2007-03-05 2007-03-23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80081811A (ko) * 2008-01-10 2008-09-10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100037673A (ko) * 2008-10-02 2010-04-12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600B1 (ko) 2022-07-11 2023-07-31 손상목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176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US7117883B1 (en) Valve key alignment assembly for curb stop box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US6684900B1 (en)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KR200471023Y1 (ko)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0448096Y1 (ko) 높이조절식 조립맨홀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200462284Y1 (ko) 부동전용 지상 통수관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1021261B1 (ko) 수도관의 결속관체에 부동급수전의 지지구조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200470145Y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90011082U (ko) 맨홀용 방수덮개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130006174U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100831834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KR20150057276A (ko) 부동전
KR200427815Y1 (ko) 지하 추진관 약제주입구 막음변
KR200315052Y1 (ko) 부동전 매립 설치용 연결 브라켓
KR200332761Y1 (ko) 부동전
KR101575600B1 (ko) 제수밸브 일체형 보호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