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45Y1 -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 Google Patents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45Y1
KR200470145Y1 KR2020120000296U KR20120000296U KR200470145Y1 KR 200470145 Y1 KR200470145 Y1 KR 200470145Y1 KR 2020120000296 U KR2020120000296 U KR 2020120000296U KR 20120000296 U KR20120000296 U KR 20120000296U KR 200470145 Y1 KR200470145 Y1 KR 200470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ipe
fastened
fastening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503U (ko
Inventor
이병무
Original Assignee
이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무 filed Critical 이병무
Priority to KR2020120000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4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밸브하우징(1)은 체결부(11)에 오링(14)을 장착할 수 있는 다수의 오링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1)가 체결 결합되도록 안착구(2)를 구비하되, 상기 안착구(2)는 중앙부에 오링(14)이 삽입되도록 밀폐부(22)를 가진 안착관(2a)을 구비하고, 안착관(2a) 외주면에는 매설되는 수도배관(6)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4)를 형성함과 동시에 보호관(3)의 조립을 위한 안착부(2b)를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2b) 외주면에는 보호관(3)이 끼워져 나사 조립 또는 용접되도록 안착턱(25) 및 삽입관(26)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관(2a)과 삽입관(26) 사이의 홈에 제2의 퇴수공(28)을 다수 형성하며, 지지하우징(5)과 지주관(4) 사이에 보호관(3) 상단의 수나사부(33)에 체결 되도록 암나사부(31')를 가진 고정캡(31)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N)을 교체하고자 할 때 지면을 파헤치고 메꾸는 등의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가 완전히 일소되게 되며, 따라서 부동급수전(N)의 교체시 인력과 시간, 비용 등의 절감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The nonfreezing a hydrant have change ability}
본 고안은 설치 사용하는 과정에서 밸브의 고장, 부품불량이나 조립불량, 또는 노후화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부동급수전 주위를 파 해치지 않고도 신속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한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동급수전은 주택 등의 건물 마당이나 정원, 공원 등 실외에 설치되며, 수도 사용 후 밸브를 잠그면 관 속에 잔류되어 있던 물이 퇴수공을 통해 땅속으로 자동 배출됨으로서 동파가 예방되는 수도밸브를 말한다.
부동급수전을 수도배관에 연결 시공할 때는 통상 시공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1m∼1.5m 내외의 깊이로 땅을 판 뒤 연결시공하게 되며 이때 부동급수전의 퇴수공 주위에 모래나 자갈 등을 깔아 배수층을 형성하여야 하고, 상기 배수층 위에 복토한 뒤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몰탈로서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정확하게 시공하더라도 종래 부동급수전들은 퇴수공이 외부로 노출되어 흙속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사용과정에서 퇴수가 반복되다 보면 퇴수공 주위의 모래나 흙이 붕괴 유입되어 퇴수공이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부동 급수전 내부에 잔류된 물이 퇴수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동절기 동파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 위와 같은 경우 외에도 미세한 모래나 이물질이 퇴수공을 통해 밸브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공급되는 상수도물과 함께 모래 등의 미세한 이물질 등이 유입되다보면 오래가지 않아 밸브나 패킹 등이 쉬 마모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다 보면 필연적으로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부동전이 동파되거나 밸브 마모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노후화 되면 부동급수전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 사용 중이던 부동급수전은 주위를 굴토하여 분해한 뒤 새로운 부동급수전으로 교체 시공해야 하며, 이때 앞에서 설명했던 시공순서대로 재시공해야 함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했음은 물론 인력과 시간의 과다소요로 교체비용이 처음 시공할 때보다도 더 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사용하던 부동급수전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 부동급수전 주위의 땅을 파내지 않고도 신속 간편하게 교체가 이루어지고, 퇴수 또한 지극히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퇴수공을 통한 이물질 유입이 예방되게 한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를 제공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지주관(4)의 하단에 밸브하우징(1)이 구비되고, 지주관(4) 상단에는 핸들(51)이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일 측에 수도밸브(52)를 설치한 지지하우징(5)이 구비된 부동급수전(N)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1)의 하부 체결부(11) 외주면에 오링(14)이 장착되는 다수의 오링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1)가 체결 결합되는 안착구(2)를 구비하되, 상기 안착구(2)는 중앙 내부에 밀폐부(22)를 가진 단차진 통수공(23)을 가지고 외주면 하부에는 수도배관(6)에 체결되는 수나사부(24)를 가진 안착관(2a)과, 보호관(3)의 조립을 위한 안착턱(25) 및 삽입관(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관(2a)과 삽입관(26) 사이의 홈 바닥면에 제2의 퇴수공(28)을 다수 형성하여서 된 안착부(2b)로 이루어지며,
지지하우징(5)과 지주관(4)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캡(31)을 회전가능하게 조립하되 고정캡(31) 내경에는 암나사부(31')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손으로도 잡아 돌려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돌부(31")를 형성하며, 보호관(3)의 상단 외주면에 고정캡(31)의 암나사부(31')가 체결 조립되도록 수나사부(33)를 형성함으로서 부동급수전(N)을 조립할 때 안착구(2)에 형성된 밀폐부(22) 상단에 부동급수전(N) 하단의 체결부(11)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캡(31)을 수나사부(33)에 체결하게 되면 고정캡(31)의 체결 길이만큼 체결부(11)가 밀폐부(22) 내부로 강제 삽입되면서 조립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N)이 보호관(3)과 안착구(2)에 분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다가 상기 안착구(2)와 보호관(3)이 결합 구성되어 이들이 지중에 매설 고정됨으로서 부동급수전을 교체하고자 할 때 지면을 파헤치고 메꾸는 등의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가 완전히 일소되게 되며, 따라서 부동급수전(N)의 교체시 인력과 시간, 비용 등의 절감이 극대화되게 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요부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착구에 대한 저면예시도.
일반적으로 부동급수전은 지주관(4)의 하단에 통수공(23) 및 퇴수공(15)이 서로 반대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가 내장 설치된 밸브하우징(1)이 구비되고, 지주관(4) 상단에는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핸들(51)이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일 측에 수도밸브(52)가 연결 설치된 지지하우징(5)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부동급수전의 지주관(4) 외부에는 보호관(3)이 설치되어 지중에 매립할 때는 상기 보호관(3) 외부가 흙속에 묻혀있게 된다.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N)을 시공 설치한 뒤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장이나 결함에 의해 부동급수전(N)을 교체하여야만 할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부동급수전(N)의 지주관(4)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하우징(1)은 체결부(11) 외주면에 다수의 오링(14)을 장착 구성함으로서 안착구(2)의 밀폐부(22)에 와 분해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오링(14)에 의해 완전하게 누수예방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11)를 안착구(2) 중앙부에 형성된 밀폐부(22)에 삽입시키면서 고정캡(31)을 보호관(3) 상단에 체결하게 되면, 체결되는 과정에서 체결부(11)가 밀폐부(22)에 삽입되게 됨으로서 밀폐효과가 극대화 되는 것이며, 따라서 누수가 예방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 상기 안착구(2)는 안착관(2a)의 하단 수나사부(24)를 지중에 매설된 수도배관(6)에 체결 조립하고, 안착관(2a)에는 보호관(3)의 하단을 끼워 나사고정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 고정시키는데 상기 보호관(3)은 통상 부동급수전(N)에 설치되는 보호관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형성하며, 그 이유는 부동 급수전(N)을 교환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치로폼 등의 보온재를 성형하여 부동급수전과 함께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지주관(4) 내부에 잔류수가 있는 상태에서도 쉽게 동파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보호관(3)의 상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3)를 형성하고 고정캡(31)은 회전이 가능하면서 내경에 암나사부(31')를 형성한 상태이기에 부동급수전(N)을 교환 장착할 때 보호관(3) 상단의 수나사부(33)에 고정캡(31)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밀폐부(22) 내부로 체결부(11)가 강제 삽입되면서 조립되게 되며, 이때 다수의 오링에 의해 누수가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부(11)가 밀폐부(2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도 가능하기 때문에 수도밸브(52)의 방향전환도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고정캡(31)의 체결양에 따라 밀폐부(22)에 삽입되는 체결부(11)의 삽입양도 정해지지만 상기 체결부(11)에는 다수의 오링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부(11) 일부만 밀폐부(22)에 삽입되더라도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다시 말하면,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부(33)가 형성된 보호관(3)은 직경이 다소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안착구(2)의 삽입관(26)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조립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키고, 상기 안착구(2) 중앙 하부의 수나사부(24)를 수도배관(6)에 조립한 상태에서 보호관(3) 내부로 부동급수전(N)을 넣어 조립하되, 이때 상기 부동급수전(N)의 체결부(11)를 밀폐부(2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캡(31)을 보호관(3) 상단에 체결하게 되면 체결과정에서 체결부(11)가 밀폐부(22) 내부로 점차 삽입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부동급수전(N)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주위를 다시 파헤치는 등의 번거로움과 인력 및 시간낭비가 전혀 없으며, 더불어 교체가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시공 설치할 때는, 먼저 부동급수전(N)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면을 1m∼1.5m 깊이로 굴토한 뒤 지중에 매설된 수도배관(6)에 안착구(2) 하부의 수나사부(24)를 체결하되, 이때 상기 안착구(2)의 안착부(2b)에는 보호관(3)의 하단을 끼워 나사 등의 체결부재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조립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보호관(3)을 통해 부동에 급수전(N)의 하부에 위치한 밸브하우징(1)의 체결부(11)를 안착관(2a) 내부에 형성된 밀폐부(2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캡(31)을 보호관(3) 상단 외주면의 수나사부(33)에 체결하게 되면 고정캡(31)이 지지하우징(5)과 지주관(4)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부동급수전(N)을 가압하면서 체결되게 되며 이때 고정캡(31)의 체결량에 비례하여 체결부(11)도 안착구(2)의 밀폐부(22)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부(11)에는 다수의 오링(14)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이기에 밀폐부(22)에 일부만 삽입되더라도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위 상태에서 파해친 지면을 복토한 다음 지면을 마감미장 하면 시공이 완료되게 된다.
위와 같이 시공 완료된 본 고안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품불량, 이물질로 인해 패킹이나 밸브가 마모되어 누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교체하여야 할 때 지면을 파헤치지 않아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즉, 부동급수전(N)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먼저 보호관(3) 상단의 체결된 고정캡(31)을 풀면 상기 고정캡(31)이 지주관(4)의 상단 수나사부(33)로부터 풀리는 과정에서 부동급수전(N)의 체결부(11)도 밀폐부(22)로부터 강제 인출되게 되어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부동급수전(N)을 보호관(3) 밖으로 잡아 빼고 새로운 부동급수전(N)을 분해할 때와 역순을 조립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동급수전(N)을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부동급수전(N)을 사용한 후 핸들(51)을 잠그면 밸브하우징(1)에 형성된 퇴수공(15)을 통해 지주관(4) 내부에 잔류되어 있던 물이 모두 퇴수되게 되는데, 이 때 퇴수된 물은 안착관(2a)과 삽입관(26) 사이의 홈으로 유입되어 제2퇴수공(28)을 통해 땅 속으로 배출 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안착관(2a)과 삽입관(26) 사이의 홈 바닥에 형성된 제2퇴수공(28)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서 사용과정 중 어느 한 두 개의 제2퇴수공이 막히더라도 나머지 퇴수공에 의해 원활하게 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지주관(4) 내부의 잔류수가 직접적으로 퇴수되게 하는 퇴수공(15)이 보호관(3) 내부에 위치해 있게 되고, 따라서 퇴수 역시 땅속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안착부(2b)에 형성된 제2퇴수공(28)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퇴수공(28)이나 퇴수공(15)을 통해 밸브하우징(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며, 따라서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N : 부동급수전 1 : 밸브하우징 2: 안착구
2a:안착관 2b:안착부 3: 보호관
4 : 지주관 5 : 지지하우징 6: 수도배관
11: 체결부 13 : 오링홈 14: 오링
15 : 퇴수공 22: 밀폐부 23:통수공
24:수나사부 25:안착턱
26:삽입관 28: 제2퇴수공 31:고정캡
31': 암나사부 31": 미끄럼방지돌부 32:체결부재
33: 수나사부 51:핸들 52:수도밸브
53:중공볼트

Claims (1)

  1. 지주관(4)의 하단에 밸브하우징(1)이 구비되고, 지주관(4) 상단에는 핸들(51)이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일 측에 수도밸브(52)를 설치한 지지하우징(5)이 구비된 부동급수전(N)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1)의 하부 체결부(11) 외주면에 오링(14)이 장착되는 다수의 오링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1)가 체결 결합되는 안착구(2)를 구비하되, 상기 안착구(2)는 중앙 내부에 밀폐부(22)를 가진 단차진 통수공(23)을 가지고 외주면 하부에는 수도배관(7)에 체결되는 수나사부(24)를 가진 안착관(2a)과, 보호관(3)의 조립을 위한 안착턱(25) 및 삽입관(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관(2a)과 삽입관(26) 사이의 홈에 제2의 퇴수공(28)을 다수 형성하여서 된 안착부(2b)로 이루어지며,
    지지하우징(5)과 지주관(4)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캡(31)을 회전가능하게 조립하되 고정캡(31) 내경에는 암나사부(31')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손으로도 잡아 돌려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돌부(31")를 형성하며, 보호관(3)의 상단 외주면에 고정캡(31)의 암나사부(31')가 체결 조립되도록 수나사부(33)를 형성함으로서 부동급수전(N)을 조립할 때 안착구(2)에 형성된 밀폐부(22) 상단에 부동급수전(N) 하단의 체결부(11)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캡(31)을 수나사부(33)에 체결하게 되면 고정캡(31)의 체결 길이만큼 체결부(11)가 밀폐부(22) 내부로 강제 삽입되면서 조립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20120000296U 2012-01-12 2012-01-12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470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96U KR200470145Y1 (ko) 2012-01-12 2012-01-12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96U KR200470145Y1 (ko) 2012-01-12 2012-01-12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03U KR20130004503U (ko) 2013-07-22
KR200470145Y1 true KR200470145Y1 (ko) 2013-12-06

Family

ID=5075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96U KR200470145Y1 (ko) 2012-01-12 2012-01-12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4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982A (ko) * 2007-03-05 2007-03-23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80081811A (ko) * 2008-01-10 2008-09-10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100037673A (ko) * 2008-10-02 2010-04-12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982A (ko) * 2007-03-05 2007-03-23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80081811A (ko) * 2008-01-10 2008-09-10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100037673A (ko) * 2008-10-02 2010-04-12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03U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176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200470145Y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101255036B1 (ko) 개량 부동급수전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71023Y1 (ko)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101396514B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KR20130006174U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140008931A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200073187A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KR100758675B1 (ko) 콘크리트 맨홀
KR100596477B1 (ko) 건축단지의 배수관 보강구조
KR100624009B1 (ko) 맨홀의 관연결장치
KR101729734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
KR101165182B1 (ko) 부동전 겸용 수도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KR100619591B1 (ko) 새들 분수전
FR2967708A1 (fr) Dispositif de reparation et d'amenagement d'une piscine a paroi en beton, installation et procede afferents
KR20100086977A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KR20160090774A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