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673A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Google Patents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673A
KR20100037673A KR1020080096882A KR20080096882A KR20100037673A KR 20100037673 A KR20100037673 A KR 20100037673A KR 1020080096882 A KR1020080096882 A KR 1020080096882A KR 20080096882 A KR20080096882 A KR 20080096882A KR 20100037673 A KR20100037673 A KR 2010003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oating
water supply
bin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176B1 (ko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김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용 filed Critical 김하용
Priority to KR102008009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며 수도관 배관단부의 연결관에는 결속관체를 체결하고, 부동급수전 외곽에는 중공지지관을, 부동급수전 하방의 육각부와 중공지지관에는 지지구로 결합하여 부동급수전을 결속관체에 체결하여 시공하는 작업과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동급수전 외곽에 중공지지관을 구성하고, 상기 중공지지관과 부동급수전간에는 지지구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부동급수전에 중공지지관을 끼우고 지지구로 조립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공지지관을 수도관 배관연부의 연결관에 연결 시공된 결속관체에 수납하고, 상기 중공지지관을 돌려서 체결하여 시공하면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고, 해제시에는 중공지지관을 풀림 방향으로 돌리면 결속관체에서 부동급수전이 해제되어 부동급수전의 교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중공지지관, 지지구, 부동급수전, 결속관체, 교체기능

Description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The nonfreezing a hydrant have change ability}
본 발명은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의 땅 속으로 배관된 수도관 배관단부의 연결관에 결속관체를 연결하고, 상기 결속관체에는 부동급수전을 수납하고, 상기 부동급수전 외곽에 구비한 중공지지관과 부동급수전 하부의 육각부를 지지구로 연결하고, 상기 중공지지관으로 부동급수전 하부의 수나사를 결속관체의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하여 부동급수전을 결속관체에 설치를 간편히하고 노후되었을 때 결속관체에서 부동급수전을 해제시켜서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택, 공원 기타 공중시설에서 시외의 땅 속으로 배관된 수도관에 급수전을 설치하게 되면 동절기에는 지상으로 노출되는 수도관의 물은 결빙되고, 결빙과정에서 부피가 팽창되어 수도관이나 급수전이 동파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땅 속의 수도관 배관 단부에 부동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부동밸브를 개폐시키는 핸들을 지상으로 노출시켜서 이를 잠그면 지상으로 노출된 관로의 물은 땅 속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여 동절기에 결빙을 방지하는 기능의 급수전을 부동급수전으로 지칭 하고 있다.
상기의 부동급수전은 지하에 매설되는 수도관의 배관단부에는 L(엘)형, T(티)형의 연결관을 연결하고, 부동급수전은 수도관에서 수직이 되도록 연결관에 체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부동급수전을 사용할 때에는 부동핸들을 잠그면 수도관을 통하여 부동밸브가 차단 되고, 부동밸브에서 상부 수도관의 배수공은 열려 노출지점의 수도관 물은 땅 속으로 배수된다.
또 부동핸들을 돌려서 열게되면 수도관로는 열리고 밸브의 배수공은 차단되고 부동급수전의 수도꼭지를 열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부동급수전은 하방 관체의 수나사를 수도관에 구비된 연결관의 암나사와 체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부동급수전은 부동핸들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변의 흙과 모래 등이 부동밸브내로 유입되어 부동급수전의 부동밸브와 접촉 또는 마찰로 마모가 발생 되고, 모래 입자가 밸브에 끼워져 개폐에 장애가 발생되고 누수가 발생된다.
위와 같이 밸브의 마모와 누수 등으로 부동급수전이 노후 되면 누후된 부동급수전을 교체하지 않으면 수돗물은 낭비가 발생 되므로 부동급수전을 교체하게 된다.
이때 부동급수전의 교체수단은 부동급수전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주변 시설물을 모두 파내어서 부동급수전을 수도관의 연결관과 분리시킨 후 새로운 부동급수전 으로 교체 시공한 다음 파낸 흙이나 모래를 다시 채우고 몰탈로 미장하여 마감하게 되므로 부동급수전이 교체시공된 지점에는 보수한 흔적이 남게 되어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결점이 있고, 또 교체시공에 많은 경비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 부동급수전의 용수관에는 다단으로 밸브몸통과 접속관이 체결되어 구성되므로 지지관이나 결속나사 없이 상기 결속관체 내측의 연결관과 부동급수전과 나선체결을 하게 되면 부동급수전이 노후되었을 때 부동급수전을 결속관체에서 분리시키면 부동급수전 하방의 나사부가 해제되지 못하고 부동급수전을 구성하는 용수관에 수도관에 연결된 밸브몸통, 접속관 등의 체결지점이 해제되면 부동급수전이 분리되지 못하여 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는 수단으로는 수도관 배관단부의 연결관에 경이 큰 결속관체를 설치하고, 상기 결속관체의 하방 내측에는 부동급수전 시이트를 구비하고, 부동급수전 하방의 접속구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부동급수전 하방의 받침판에는 지지관을 위치시키고, 결속나사를 결속관체에 체결하여 조이면 결속나사가 하강하면서 하방에 위치하는 지지관을 하강시키고 지지관은 부동급수전과 결속관체는 시이트에서 상호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결속나사를 풀면 결속나사가 결속관체에서 상승되면서 지지관은 하강 압력이 해소되어 부동급수전은 결속관체에서 분리되고, 주변시설물의 파손 없이 부동급수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국내 특허등록제831821호(등록일자 : 2008. 05. 16.)와, 국내 특허출원제2008-67957호(출원일자 : 2008. 07. 14.) 등이 본원에 의 해 발명된바 있다.
상기의 발명은 수도관 배관단부의 연결관에는 경이 큰 결속관체를 설치하고, 상기 결속관체의 내측에 부동급수전 안착시이트를 구비하고, 부동급수전 하방의 접속구가 안착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부동급수전을 결속관체의 부동급수전 시이트에 밀착되어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관체에 결속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결속 나사 하방의 지지관이 부동급수전을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제조에 정밀성이 요구되고 시공에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수도관 배관단부의 연결관에 구성한 결속관체 하방 접속관의 암나사에는 부동급수전 하방의 수나사를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부동급수전 외곽에 중공지지관을 지지구로 결합하고, 상기 부동급수전을 상기 결속관체에 수납시키고 중공지지관으로 체결하여 시공하거나 부동급수전을 결속관체에서 분리시켜 신속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보인 도1은 조립시공된 종단면도
도2는 분해 사시도
도3은 결속관체와 부동급수전을 캡으로 결합한 사시도
도4는 중공지지관의 돌편과 캡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는 실시 종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도1과 같이 수도관(1)의 배관단부에 연결관(2)을 체결하고, 상기 연결관(2)의 암나사(2a)에는 결속관체(3) 하방에 구성한 접속관(4)의 수나사(4a)와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의 하부에 구비한 접속관(4)의 암나사(4b)에는 부동급수전(5) 하부의 수나사(5a)와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 상부에는 캡(6)으로 부동급수전(5)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도2와 같이 부동급수전(5)의 외곽에는 중공지지관(10)을 구성하되 상부 외측에는 복수개의 돌편(10a)을, 하부에는 걸림홈(10b)을 구비한 중공지지관(10)을 구성하고, 상기 중 공지지관(10)과 상기 부동급수전(5) 하방에 구비된 수나사(5a) 상부의 육각부(5b)와 결합할 수 있도록 육각요홈(12a)과 외측으로는 돌편(12b)이 구비되는 지지구(12)를 구비하여서 상기 중공지지관(10) 하방의 걸림홈(10b)에는 상기 지지구(12)의 돌편(12b)이 끼워지게 하고, 내측의 육각요홈(12a)에는 상기 부동급수전(5)의 육각부(5b)가 끼워져 조립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에 상기 지지구(12)의 육각요홈(12a)으로 결합시킨 대각지점에 피스(20)로 결합하면 부동급수전(5)에 지지구(12)가 결합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30은 돌편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땅 속에 매설되는 수도관 배관단부의 연결관에는 결속관체를 결합하고, 상기 결속관체에는 부동급수전을 끼우고, 외곽의 중공지지관을 이용하여 부동급수전을 돌려서 결속관체 내측의 접속관에 구비된 암나사에 부동급수전 하방의 수나사를 체결하여 캡을 씌어서 시공하고, 해제시에는 캡을 벗기고 중공지지관을 풀림 방향으로 돌리면 결속관체에서 부동급수전이 해제되므로 부동급수전의 교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고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도1과 같이 수도관(1)의 배관단부에 연결관(2)을 체결하고, 상기 연결관(2)의 암나사(2a)에는 결속관체(3) 하방에 구성된 접속관(4)의 수나사(4a)와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의 하부 내측에 구비한 접속관(4) 상부의 암나사(4b)에 는 부동급수전(5) 하부의 수나사(5a)와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 상부에는 캡(6)으로 부동급수전(5)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교체기능을 구비하는 부동급수전에 서 도2와 같이 부동급수전(5)의 외곽에는 복수개의 돌편(10a)을 상부 외측에 구비하고, 하부에는 걸림홈(10b)을 구비한 중공지지관(10)을 구성하고, 상기 중공지지관(10)과 상기 부동급수전(5) 하방에 구비된 수나사(5a) 상부의 육각부(5b)와 결합할 수 있도록 육각요홈(12a)과 외측으로 돌편(12b)이 구비된 지지구(12)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지지관(10) 하방의 걸림홈(10b)에 상기 지지구(12)의 돌편(12b)이 끼워지게 하고, 내측의 육각요홈(12a)에는 상기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를 끼워서 조립하고, 상기 결속관체(3)에는 상기 부동급수전(5)에 결합된 중공지지관(10)을 함께 수납시켜서 부동급수전(5) 하방의 수나사(5a)를 결속관체(3) 하방의 암나사(4b)에 위치시켜서 중공지지관(10)을 돌려서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 상부에는 도3 및 도4와 같이 캡(6) 내측의 돌편(12b)에 중공지지관(10)의 돌편(10a)이 맞물리게 조립하게 되면 도1과 같이 조립시공된다.
상기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와 지지구(12)의 육각요홈(12b)간에는 피스(20)로 체결하면 부동급수전(5)에 지지구(12)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1과 같이 수도관(1) 배관단부에 구성된 연결관(2)의 암나사(2a)에 결속관체(3) 하방의 접속관(4)에 구비한 수나사(4a)를 체결하여 도5와 같이 결속관체(3)의 외곽에 흙을 모래 등을 채우고, 바닥을 몰탈 등으로 마감하고, 상기 결속관체(3)에는 부동급수전(5) 외곽으로 중공지지관(10)을 끼우고,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에는 지지구(12)의 육각요홈(12a)을 끼워 조립하거나, 피스(20)로 지지구(12)를 부동급수전(5)에 고정시키고 지지구(12)의 돌편(12b)에는 상기 중공지지관(10) 하방의 걸림홈(10b)에 끼워지게 조립하고, 상기 중공지지관(10)과 부동급수전(5)을 상기 결속관체(3)에 수납하고, 상기 결속관체(3)의 접속관(4) 상부 암나사(4b)에 상기 부동급수전(5) 하부의 수나사(5a)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의 중공지지관(10)을 잠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중공지지관(10)은 지지구(12)에 의해서 하부의 육각부(5b)와 한 몸통이 되어 잠김방향으로 회전되고 결속관체(3)의 암나사(4b)에 부동급수전(5)의 수나사(5a)가 한 몸통으로 체결시공된다.
이때 중공지지관(10)의 상부에는 돌편(10a)이 돌출로 구성되어 중공지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또 결속관체(3)에 부동급수전(5)의 체결이 완료되면 결속관체(3) 상부에 캡(6)을 부동급수전(5) 외곽에 위치시키고 하부 나선을 결속관체(3)의 암나사에 체결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에서 캡(6)의 하부에 나선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결속관체(3)의 내벽에 캡(6)의 하방을 끼우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부동급수전(5)은 노후되거나 누수발생으로 교체하게 될 때에는 캡(6)을 결속관체(3)에서 분리하고, 중공지지관(10) 상부의 돌편(10a)을 감고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공지지관(10) 하부의 걸림홈(10b)에 끼워진 지지구(12)의 돌편(12b)이 지지구(12)와 함께 부동급수전(5)을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접속관(4)의 암나사(4b)에서 해제되어 분리되므로 부동급수전(5)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에서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는 중공지지관(10)과 지지구(12) 에 의해서 결합되고 한 몸통이 되어 부동급수전(5)을 결속관체(3)에 결합과 해제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부동급수전(5)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립시공된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결속관체와 부동급수전을 캡으로 결합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중공지지관의 돌편과 캡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수도관 2 : 연결관
2a,4b : 암나사 3 : 결속관체
4 : 접속관 4a,5a : 수나사
5 : 부동급수전 5b : 육각부
6 : 캡 10 : 중공지지관
10a,12b : 돌편 10b : 걸림홈
12 : 지지구 12a : 육각요홈
20 : 피스

Claims (2)

  1. 수도관(1)의 배관단부에 연결관(2)을 체결하고, 상기 연결관(2)의 암나사(2a)에는 결속관체(3) 하방에 구성한 접속관(4)의 수나사(4a)와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 하부에 구비한 접속관(4)의 암나사(4b)에는 부동급수전(5) 하부의 수나사(5a)와 체결하고, 상기 결속관체(3) 상부에는 캡(6)으로 부동급수전(5)을 고정하여 구성하는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부동급수전(5)의 외곽에는 중공지지관(10)을 구성하되 상기 중공지지관(10)의 상부 외측에는 복수개의 돌편(10a)을, 하부에는 걸림홈(10b)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지지관(10)과 상기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는 지지구(12)로 결합하되 상기 지지구(12)의 중앙에는 육각요홈(12a)을, 외측에는 돌편(12b)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지지관(10) 하방의 걸림홈(10b)에는 상기 지지구(12)의 돌편(12b)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지지구(12)의 육각요홈(12a)에는 상기 부동급수전(5)의 육각부(5b)가 끼워서 결합구성하고 상기 중공관지지관(10)으로 부동급수전(5) 하부 수나사(5a)를 결속관체(3)의 암나사(4b)에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부동급수전(5) 하방의 육각부(5b)를 지지구(12)의 육각요홈(12a)에 끼우고, 피스(20)로 지지구(12)를 부동급수전(5)의 육각부(5b)에 고정하는 수단이 더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20080096882A 2008-10-02 2008-10-02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099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82A KR100998176B1 (ko) 2008-10-02 2008-10-02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82A KR100998176B1 (ko) 2008-10-02 2008-10-02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673A true KR20100037673A (ko) 2010-04-12
KR100998176B1 KR100998176B1 (ko) 2010-12-03

Family

ID=4221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882A KR100998176B1 (ko) 2008-10-02 2008-10-02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17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45Y1 (ko) * 2012-01-12 2013-12-06 이병무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471023Y1 (ko) * 2012-08-29 2014-02-11 이병무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150056957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미래산업 외피가 고정되는 부동급수전
KR20190140143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용 결속관체의 밀폐 결합구조
CN111877465A (zh) * 2020-07-09 2020-11-03 深圳市飞龙云商贸有限公司 一种具有解冻功能的消防设备
KR20220026981A (ko) 2020-08-26 2022-03-07 한수용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KR20230003877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102490290B1 (ko) * 2021-07-22 2023-01-19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20230015066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102561600B1 (ko) * 2022-07-11 2023-07-31 손상목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865B1 (ko) 2012-04-17 2012-09-13 이병무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200001822U (ko) 2019-02-07 2020-08-18 최영호 부동급수전 장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904B1 (ko) 2003-06-27 2006-03-13 부덕실업 주식회사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748850B1 (ko) 2004-11-13 2007-09-03 주식회사청원테크 지하 매설식 승하강 소화전의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0711896B1 (ko) 2005-04-13 2007-04-25 주식회사청원테크 지상형 옥외 소화전과 이의 제조, 시공 및 수리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45Y1 (ko) * 2012-01-12 2013-12-06 이병무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471023Y1 (ko) * 2012-08-29 2014-02-11 이병무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150056957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미래산업 외피가 고정되는 부동급수전
KR20190140143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용 결속관체의 밀폐 결합구조
CN111877465A (zh) * 2020-07-09 2020-11-03 深圳市飞龙云商贸有限公司 一种具有解冻功能的消防设备
KR20220026981A (ko) 2020-08-26 2022-03-07 한수용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KR20230003877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102490290B1 (ko) * 2021-07-22 2023-01-19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20230015066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KR102561600B1 (ko) * 2022-07-11 2023-07-31 손상목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176B1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176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102131865B1 (ko) 퇴수 역류에 따른 오염방지와 외부 냉기에 따른 동결방지용 부동급수전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101021261B1 (ko) 수도관의 결속관체에 부동급수전의 지지구조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101255036B1 (ko) 개량 부동급수전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20080081811A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CA2672364C (en) Flushing device with removable drain ring for potable water systems
KR200470145Y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0471023Y1 (ko)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0296539Y1 (ko) 소화전
KR20090045784A (ko) 볼 밸브를 일체형으로 내장한 유니언 및 유니언의 연결방법
KR101223965B1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KR200442311Y1 (ko) 분기용 밸브캡 조립체
KR101165182B1 (ko) 부동전 겸용 수도
KR100619591B1 (ko) 새들 분수전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KR200332761Y1 (ko) 부동전
KR20130006174U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102169919B1 (ko) 동파방지를 위한 멀티 용수배출구용 부동급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