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00B1 -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 Google Patents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00B1
KR102561600B1 KR1020220085048A KR20220085048A KR102561600B1 KR 102561600 B1 KR102561600 B1 KR 102561600B1 KR 1020220085048 A KR1020220085048 A KR 1020220085048A KR 20220085048 A KR20220085048 A KR 20220085048A KR 102561600 B1 KR102561600 B1 KR 10256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screw thread
circumferential surface
housing
intermedi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손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목 filed Critical 손상목
Priority to KR102022008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2Switches actuated by changing weight, level or centre of gr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히팅 부동급수전으로서, 급수관(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하우징(120);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파이프(150);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 상단부를 덮는 상단결합부재(130); 상기 급수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15); 상단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162a)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하단결합돌기(165)가 복수개 형성된 하부몸체(160); 상기 하부몸체의 제3나사산(163)에 체결되면서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단결합부재(140);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배치되는 전열선; 상기 상단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전열선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열제어부(180); 상기 전열제어부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선 동작 여부를 알리는 제1 및 제2라이트(182,184);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파이프(150)의 상단은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하부몸체(160)와 일체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자동히팅 부동급수전{ANTIFREEZING WATERWORKS WITH AUTOMATIC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하며 자동히팅 기능을 가진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며, 스테인레스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중간원통부재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부동급수전의 분해 조립을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부동급수전의 교체작업이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며, 또한 부동급수전의 스테인레스 하우징 내주면에 열선을 배치하여 겨울철 외기의 찬기운에도 불구하고 급수전이 냉기로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동급수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전은 주택이나 기타 건물의 마당이나 정원, 공원 등 실외에 설치되는 수도를 말한다. 이러한 급수전은 주로 실외에 설치되고, 급수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 깊이로 땅을 판 다음 하우징과 급수관을 매설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급수관의 내부에서 고장이 나거나 이물질이 내부에 쌓이는 경우, 급수전을 수리하여야 하는데, 이때 매설된 깊이 만큼 땅을 파서 급수관과 하우징을 땅속에서 꺼내야만 하였고, 이러한 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었다.
급수전에 관한 기존 기술로는 국내특허 제10-1687936호에서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부동급수전은 하우징의 내측에 실외의 온도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열선이 구비되며, 야외의 기온에 따라 열선의 온도가 조절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수도배관의 동파 및 결빙을 방지하거나,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차단밸브 작동에 따라 물의 차단 및 거름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었다.
또한, 급수전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71023에서와 같이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급수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큰 두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땅 속에 매설된 급수전이 고장나거나 급수전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땅을 파고서 급수전을 밖으로 노출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들로, 등록실용신안 20-0471023가 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기술을 보면, 급수관 교체를 위해 도 1에서 표시된 화살표 지점의 나사를 분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화살표 지점의 나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급수관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단부를 돌려서 나사를 분리하여야 하고, 이때 비틀리는 힘이 비교적 직경이 작은 급수관을 통해 최하단의 나사(도 1의 21, 화살표 참조)로 전달되어야 한다. 그런데, 급수관은 직경이 작으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형상이므로 이러한 비틀림 힘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또한 비틀림을 가하는 힘이 과도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틀림 동작에서 의해 체결부의 나사산(도 1의 21)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어서 유지 보수시에 오히려 고장이 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둘째, 겨울철 혹한기에 냉기가 급수전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에 위치하는 급수전이 얼어서 급수전이 동파할 위험성이 있었고, 열선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열선을 작동시키기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71023 :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본 발명은 매설된 지하 내부에서 급수전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난 경우 땅을 파고 매설된 급수전을 꺼내서 수리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급수전의 내부에서 교체 수리를 위해 필요한 부품을 간편하게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급수전 하부에서 체결된 나사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유지보수가 간편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또한, 본 발명은 급수전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열을 공급하는 열선을 급수전 하우징 내부에 구비하여 급수전 내부를 보온함으로써 겨울철 급수전을 동파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자동히팅 부동급수전으로서, 급수관(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하우징(120);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파이프(150);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 상단부를 덮는 상단결합부재(130); 상기 급수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15); 상단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162a)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하단결합돌기(165)가 복수개 형성된 하부몸체(160); 상기 하부몸체의 제3나사산(163)에 체결되면서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단결합부재(140);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배치되는 전열선; 상기 상단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전열선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열제어부(180); 상기 전열제어부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선 동작 여부를 알리는 제1 및 제2라이트(182,184);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파이프(150)의 상단은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하부몸체(160)와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163)과 하단결합부재(140)가 서로 분리되어서, 상단결합부재와 중간파이프와 급수관과 하부몸체는 일체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부몸체(160)는, 제2나사산(162a)과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는 금속 소재의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결합돌기(165)는 상기 외부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형성된 하단체결홈(152)이 구비되고, 상기 하단결합돌기(165)가 상기 하단체결홈(152)에 체결되어서 중간파이프와 하부몸체는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상단결합돌기(135)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에는 하측으로 형성된 상단체결홈(156)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결합돌기(135)가 상기 상단체결홈(156)에 체결되어서 중간파이프와 상단결합부재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는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와 상기 상단결합부재는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과 하단결합부재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급수전은 상기 전열제어부 표면에 전열선 동작 여부를 알리는 제1 및 제2라이트(182,184)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1라이트는 초록색으로서 전열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제2라이트는 붉은색으로서 전열선이 동작하여 급수전의 내부에 열을 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지하 내부에 매설된 급수전의 고장 상황에서 급수전 전체를 파낼 필요가 없으며, 고장 수리를 위해 급수전 하부에 체결된 나사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함으로써 급수전의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게 된다.
또한 급수전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열을 공급하는 열선을 급수전 하우징 내부에 구비하여 급수전 내부를 보온함으로써 겨울철 급수전을 동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교체 과정의 한 모습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히팅 부동급수전의 모습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히팅 부동급수전의 동작원리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열선을 이용한 내부 히팅 구성품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일부 구성인 중간파이프의 하단의 결합구조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일부 구성인 중간파이프의 상단의 결합구조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모습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동작원리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열선을 이용한 내부 히팅 구성품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일부 구성인 중간파이프의 하단의 결합구조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일부 구성인 중간파이프의 상단의 결합구조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히팅 부동급수전(간단히 '부동급수전'이라고도 함)으로서, 내부에서 외부 상수도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급수관(110)과 급수관(110)을 내부에 수용하여 감싸면서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관의 상단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되고 급수관의 상단에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 등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폐하는 수단들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급수관과 하우징 사이에 중간파이프(150)를 배치하였다. 그리고, 중간파이프와 급수관 사이 또는 중간파이프와 하우징 사이 공간에는 단열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상단결합부재(13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하에서 '일체로 결합된다'는 의미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동시에 회전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급수관(110)의 하단에는 하부몸체(160)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몸체(160)는, 상단(162)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162a)이 형성되고, 아래쪽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는 금속 소재의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를 감싸면서 외부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몸체로 이루어진다. 외부몸체의 외주면에는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단결합돌기(165)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제2나사산(162a)이 결합되어서 급수관과 하부몸체가 서로 결합된다. 즉, 하부몸체(160)의 상단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162a)이, 하단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의 아래쪽에는 하단결합부재(140)가 위치하는데, 하부몸체의 제3나사산(163)이 하단결합부재의 위쪽으로 체결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와 하단결합부재(140)가 결합된다. 그리고, 하단결합부재(140)의 하부는 지하에 매립된 원수관(상수도관)과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자동히팅 부동급수전에서 설명을 돕기 위해 외부 하우징(120)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겨울철 한파 시기에 급수전 동파를 막기 위해 하우징 내부에 전열선을 배치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배치되는 전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결합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전열선에 외부 전원을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전열제어부(180)가 위치한다. 상기 전열제어부 표면에는 상기 전열선 동작 여부를 알리는 제1 및 제2라이트(182,18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전열제어부가 하우징 내부의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 값에 기초하여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세팅된 특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전열제어부는 그 표면에 전열선 동작 여부를 알리는 제1 및 제2라이트(182,184)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1라이트는 초록색으로서 전열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열선 회로의 고장이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라이트는 붉은색으로서 전열선이 동작하는 경우에 빛이 나오게 되는데 급수전의 내부에 열을 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도 6).
본 발명의 부동급수전은, 상기 중간파이프(150)를 통해 하부몸체(160)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중간파이프의 상단을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와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을 상기 하부몸체(160)와 일체로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163)과 하단결합부재(140)가 서로 분리되어서, 상단결합부재와 중간파이프와 급수관과 하부몸체는 일체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부몸체(160)는, 제2나사산(162a)과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는 금속 소재의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결합돌기(165)는 상기 외부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형성된 하단체결홈(152)이 구비되고, 상기 하단결합돌기(165)가 상기 하단체결홈(152)에 체결되어서 중간파이프와 하부몸체는 일체로 결합된다(도 7).
그리고, 도 8 내지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상단결합돌기(135)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에는 하측으로 형성된 상단체결홈(156)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결합돌기(135)가 상기 상단체결홈(156)에 체결되어서 중간파이프와 상단결합부재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163)과 하단결합부재(140)가 서로 분리되어서, 상단결합부재와 중간파이프와 급수관과 하부몸체는 일체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부동급수전 수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파이프의 하단과 상단을 일체로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나사결합을 활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는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와 상기 상단결합부재는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과 하단결합부재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지하 내부에 매설된 급수전의 고장 상황에서 급수전 전체를 파낼 필요가 없으며, 고장 수리를 위해 급수전 하부에 체결된 나사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함으로써 급수전의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급수관(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하우징(120);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파이프(150);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 상단부를 덮는 상단결합부재(130); 상기 급수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15); 상단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162a)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하단결합돌기(165)가 복수개 형성된 하부몸체(160); 상기 하부몸체의 제3나사산(163)에 체결되면서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단결합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파이프(150)의 상단은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하부몸체(160)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163)과 하단결합부재(140)가 서로 분리되어서, 상단결합부재와 중간파이프와 급수관과 하부몸체는 일체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60)는, 제2나사산(162a)과 제3나사산(163)이 형성되는 금속 소재의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결합돌기(165)는 상기 외부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형성된 하단체결홈(152)이 구비되고, 상기 하단결합돌기(165)가 상기 하단체결홈(152)에 체결되어서 중간파이프와 하부몸체는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상단결합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상단결합돌기(135)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의 상단에는 하측으로 형성된 상단체결홈(156)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결합돌기(135)가 상기 상단체결홈(156)에 체결되어서 중간파이프와 상단결합부재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파이프의 하단과 상기 하부몸체는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파이프와 상기 상단결합부재는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결합부재의 회전력이 중간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하부몸체로 전달되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외주면의 제3나사산과 하단결합부재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배치되는 전열선; 상기 상단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전열선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열제어부(180); 상기 전열제어부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선 동작 여부를 알리는 제1 및 제2라이트(182,1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KR1020220085048A 2022-07-11 2022-07-11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KR10256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48A KR102561600B1 (ko) 2022-07-11 2022-07-11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48A KR102561600B1 (ko) 2022-07-11 2022-07-11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00B1 true KR102561600B1 (ko) 2023-07-31

Family

ID=8745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48A KR102561600B1 (ko) 2022-07-11 2022-07-11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022A (ko) * 2003-11-24 2005-05-27 최광수 동파 방지용 수도전 세트
KR20100037673A (ko) * 2008-10-02 2010-04-12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471023Y1 (ko) 2012-08-29 2014-02-11 이병무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140060048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미래산업 개량 부동급수전
KR102167374B1 (ko) * 2020-04-09 2020-10-19 손상목 지열흡수수단을 가진 부동급수전
KR20210000431U (ko) * 2019-08-14 2021-02-24 손상목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022A (ko) * 2003-11-24 2005-05-27 최광수 동파 방지용 수도전 세트
KR20100037673A (ko) * 2008-10-02 2010-04-12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471023Y1 (ko) 2012-08-29 2014-02-11 이병무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KR20140060048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미래산업 개량 부동급수전
KR20210000431U (ko) * 2019-08-14 2021-02-24 손상목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102167374B1 (ko) * 2020-04-09 2020-10-19 손상목 지열흡수수단을 가진 부동급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2561600B1 (ko) 자동히팅 부동급수전
KR101756375B1 (ko) 동파방지장치
US6684900B1 (en)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CN104235487B (zh) 一种防盗防冻阀门
KR200462284Y1 (ko) 부동전용 지상 통수관
KR102167374B1 (ko) 지열흡수수단을 가진 부동급수전
KR101255036B1 (ko) 개량 부동급수전
KR101159544B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순환펌프장치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20150057276A (ko) 부동전
US7650900B1 (en) System to support and service yard hydrants
KR100658049B1 (ko) 부동전
KR200238308Y1 (ko) 동파방지용 센서부착 및 검침이 용이한 공동주택용수도계량기함
KR200328686Y1 (ko) 다수 급수전의 동결 방지 장치
JPS5841248Y2 (ja) 不凍給水栓
KR200327504Y1 (ko) 부동전
KR20210001815U (ko) 상수도 및 양변기 자동 동결 방지 장치
JPS5914546Y2 (ja) 通水管凍結防止装置における連結管
KR200239653Y1 (ko) 수도꼭지용 동파 방지 소켓
KR200315052Y1 (ko) 부동전 매립 설치용 연결 브라켓
KR20200001822U (ko) 부동급수전 장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