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380B1 -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 Google Patents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380B1
KR102440380B1 KR1020210008862A KR20210008862A KR102440380B1 KR 102440380 B1 KR102440380 B1 KR 102440380B1 KR 1020210008862 A KR1020210008862 A KR 1020210008862A KR 20210008862 A KR20210008862 A KR 20210008862A KR 102440380 B1 KR102440380 B1 KR 10244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p water
valve
main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15A (ko
Inventor
이용운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이용운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운, 이성규 filed Critical 이용운
Priority to KR102021000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3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Leakage reduction or detection in water storage or distrib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수(斷水)와 퇴수(退水)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수돗물(1)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구(11)와 배출이 가능하게 배출구(12)와 사용이 가능하게 수도사용구(14)가 서로 연통되게 수용공간(13)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3)에 장착되어 수돗물(1)의 유입과 차단을 회전되는 손잡이(21)에 의해 제한하게 유입구(11)를 막아주는 차단막(22)을 구비하는 조절수단(20);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 상에 수돗물(1)의 유입과 제한을 시행하여 본체(10)의 교체가 용이하게 구비하는 차단수단(30); 및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2) 상에 겨울철 동파(凍破)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1)의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파방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도 요금을 체납하였을 경우 손쉽게 단수가 가능해 작업의 원활함을 가져오고, 단수 시 겨울철 동파를 예방하도록 소량의 수돗물이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밸브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시행할 때 메인밸브를 잠그지 않아도 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막아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Valve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both water and discharge}
본 발명은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도 요금을 체납하였을 경우 손쉽게 단수가 가능해 작업의 원활함을 가져오고, 단수 시 겨울철 동파를 예방하도록 소량의 수돗물이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밸브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시행할 때 메인밸브를 잠그지 않아도 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막아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밸브(valve)는 다양한 액체 및 기체 등이 배관을 유동 시에 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밸브는 특히 수도 배관을 통해 수돗물의 공급을 시행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수도 요금이 미납되어 버리면 단수를 시행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단수의 시행 시 많은 가구들이 포함되어 있는 밸브를 잠글 수 없기에 미납 가구 하나의 가구를 지정하여 단수를 시행하기 어려워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단수를 시행할 때, 추운 겨울 영하권에 물이 얼어 밸브와 배관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일정 양의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 또한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일예로, 한국 공개 특허 제2020-0032810호에 따르면, '유체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작동기체의 압력이 작용하여 다이어프램(12)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배출공(11)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유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부재(10); 및 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기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상기 밸브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부재(10) 내부로 압력을 전달하는 내압전달부재(20); 상기 내압전달부재(20)의 타측에 연결되어 내부로 상기 작동기체가 유통되며,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의 유체와 상기 작동기체 사이의 열전달에 의하여 작동기체의 압력변동을 내압전달부재(20)에 제공하는 감온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기체는 상기 유체의 온도가 소정의 수준으로 낮아지는 경우에 상기 밸브부재(10)의 개방 동작이 일어나서 상기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식 자동밸브를 구비한 동파방지 모듈.'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온도식 자동밸브를 구비한 동파방지 모듈에 경우 온도를 측정하여 열전달을 통해 동파를 방지하지만 영하권의 날씨에 모듈이 장시간 노출될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468855호에 따르면, '상수 공급관(1)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유로(11)가 형성되면서 상기 유로에는 연결공(14)을 갖는 격벽(13)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후방에 연결포트(15)가 연장 형성된 밸브 몸체(10)와; 상기 밸브 몸체에 형성된 상기 격벽의 앞쪽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공의 개도를 조정하여 상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 개폐기(20)와; 상기 출수 개폐기를 조작하는 출수 레버(30)와;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포트(15)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밸브 몸체에 공급되는 상수가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관(40)과; 상기 연결포트를 개폐하는 동파방지 개폐기(50)와; 상기 연결포트에 장착되어 상기 동파방지 개폐기를 조작하는 동파방지 레버(60)와;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포트와 상기 동파방지관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수의 출수를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진 소켓(70)을 포함하여, 상기 동파방지관이 상기 밸브 몸체의 연결공 후방에 형성된 연결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몸체의 출수구(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수가 상기 동파방지관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는 밸브 자체에 별도의 레버를 잠구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배관 자체에는 물이 유입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영하의 날씨에 배관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막을 수 어려워 보인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20-0032810호 "온도식 자동밸브를 구비한 동파방지 모듈"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468855호 "동파방지관이 구비된 수도밸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 요금을 체납하였을 경우 손쉽게 단수가 가능해 작업의 원활함을 가져오고, 단수 시 겨울철 동파를 예방하도록 소량의 수돗물이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밸브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시행할 때 메인밸브를 잠그지 않아도 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막아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수돗물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구와 배출이 가능하게 배출구와 사용이 가능하게 수도사용구가 서로 연통되게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수돗물의 유입과 차단을 회전되는 손잡이에 의해 제한하게 유입구를 막아주는 차단막을 구비하는 조절수단; 상기 본체의 유입구 상에 수돗물의 유입과 제한을 시행하여 본체의 교체가 용이하게 구비하는 차단수단; 및 상기 본체의 배출구 상에 겨울철 동파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의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파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차단수단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유동 가능하게 절개부를 갖는 관형태의 유동관과, 조절수단의 수리 및 교체 시 유동관과 유동통로를 막아 수돗물을 차단하게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조절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파방지수단은 배출구의 내부로 삽설 체결 고정되어 중앙에 겨울철 동파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의 퇴수가 가능하게 퇴수공을 갖는 내부관과, 내부관 상에 수돗물의 유출을 방지하게 제1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파방지수단은 내부관의 퇴수공 상에 체결 고정되어 요금체납 등에 의해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패킹을 갖는 단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파방지수단의 단수부는 공구를 통한 체결과 해체가 가능하게 삼각, 사각, 육각, 팔각으로 형성되는 결속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 요금을 체납하였을 경우 손쉽게 단수가 가능해 작업의 원활함을 가져오고, 단수 시 겨울철 동파를 예방하도록 소량의 수돗물이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밸브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시행할 때 메인밸브를 잠그지 않아도 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막아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상에 수돗물이 흘러가는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의 단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의 퇴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수(斷水)와 퇴수(退水)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에 관련되며 본체(10), 조절수단(20), 차단수단(30), 동파방지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수돗물(1)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구(11)와 배출이 가능하게 배출구(12)와 사용이 가능하게 수도사용구(14)가 서로 연통되게 수용공간(13)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수돗물(1)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구(11)와 배출이 가능하게 후술하는 동파방지수단(40)과 연동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고 계량기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수돗물(1)을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도사용구(14)가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와 배출구(12)와 수도사용구(14)를 수용공간(13)으로 서로 연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0)는 수돗물(1)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기체나 유체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3)에 장착되어 수돗물(1)의 유입과 차단을 회전되는 손잡이(21)에 의해 제한하게 유입구(11)를 막아주는 차단막(22)을 구비한다. 조절수단(20)은 본체(10)의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1)의 유입과 차단을 시행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손잡이(21)의 회전을 통해 차단막(22)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함을 조절하여 유입구(11)를 개폐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수돗물(1)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0)의 상측 외부에 형성되는 손잡이(21)를 회전함에 따라 차단막(22)은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를 막거나 개방하여 수돗물(1)의 유동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단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 상에 수돗물(1)의 유입과 제한을 시행하여 본체(10)의 교체가 용이하게 구비한다. 차단수단(30)은 본체(10)를 수리 또는 교체를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 본체(10)를 개방하여 작업하여야 하는데 유입구(11)를 막을 수 없어 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전체적인 배관을 차단하여야만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함과 동시에 작업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었다. 그럼으로, 이러한 차단수단(30)을 통해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1)의 자동 차단이 가능함으로 본체(10)의 교체 및 수리 등이 가능하도록 작업의 원활함을 가져오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수단(30)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1)이 유동 가능하게 절개부(32)를 갖는 관형태의 유동관(31)과, 조절수단(20)의 수리 및 교체 시 유동관(31)과 유동통로(33)를 막아 수돗물(1)을 차단하게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조절볼(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단수단(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1)을 차단하여 작업자가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차단수단(30)은 본체(10)의 수용공간(13)에 절개부(32)를 갖는 관형태의 유동관(31)이 수직 방향으로 삽설된다. 이렇게 삽설된 유동관(31)의 하부에는 조절볼(34)이 위치하여 유입구(11)로부터 수돗물(1)이 유입되면 상부로 이동하는 조절볼(34)이 유동관(31)을 막는다고 하여도 유동관(31)에 형성된 절개부(32)를 통해 수돗물(1)의 유동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작업을 실행하여야 할 경우 조절볼(34)은 수돗물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조절볼(34)은 유동관(31)과 유동통로(33)를 막아 수돗물(1)의 유동을 제한하여 수돗물(1)이 수용공간(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동파방지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2) 상에 겨울철 동파(凍破)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1)의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한다. 동파방지수단(40)은 본체(10)의 배출구(12)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돗물(1)의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겨울에 영하권으로 온도가 떨어지면 밸브 또는 배관 등에 동파로 인한 파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일정 양 즉, 본체(10)의 내부와 수도사용구(14)를 통한 계량기 방향의 미세한 양의 수돗물(1)이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파방지수단(40)은 배출구(12)의 내부로 삽설 체결 고정되어 중앙에 겨울철 동파(凍破)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1)의 퇴수가 가능하게 퇴수공(42)을 갖는 내부관(41)과, 내부관(41) 상에 수돗물(1)의 유출을 방지하게 제1패킹(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파방지수단(40)은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인데 본체(10)의 배출구(12) 내부로 내부관(41)이 삽설되어 체결 고정되어 내부관(41)의 퇴수공(42)으로부터 수돗물(1)의 일정 양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체결 고정된 내부관(41)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수돗물(1)의 누출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는 제1패킹(43)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동파방지수단(40)은 내부관(41)의 퇴수공(42) 상에 체결 고정되어 요금체납 등에 의해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패킹(45)을 갖는 단수부(4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파방지수단(40)은 퇴수가 가능하도록 내부관(41)이 본체(10)의 배출구(12) 상에 삽설하여 체결되고, 단수가 가능하도록 단수부(44)를 구비하게 된다. 단수부(44)는 퇴수가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되는 내부관(41)의 퇴수공(42)에 체결 고정되어 요금체납 등의 이유로 단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수부(44)의 외부에는 수돗물(1)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제2패킹(4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파방지수단(40)의 단수부(44)는 공구를 통한 체결과 해체가 가능하게 삼각, 사각, 육각, 팔각으로 형성되는 결속홈(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수부(44)는 공무원 등이 요금체납 등의 이유로 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단수부(44)의 체결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러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결속홈(46)은 삼각, 사각, 육각, 팔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공무원 등이 공무수행으로 단수를 시행할 경우 삼각, 사각, 육각, 팔각 이외의 한정된 형상의 도구로 체결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아무나 작업이 불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결속홈(46)을 통해 단수부(44)를 체결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차단막(22)의 상부를 막아주게 됨으로 사용자가 손잡이(21)를 회전하여도 차단막(2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수돗물(1)의 사용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 요금을 체납하였을 경우 손쉽게 단수가 가능해 작업의 원활함을 가져오고, 단수 시 겨울철 동파를 예방하도록 소량의 수돗물이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밸브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시행할 때 메인밸브를 잠그지 않아도 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막아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수돗물 10: 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수용공간 14: 수도사용구
20: 조절수단 21: 손잡이
22: 차단막 30: 차단수단
31: 유동관 32: 절개부
33: 유동통로 34: 조절볼
40: 동파방지수단 41: 내부관
42: 퇴수공 43: 제1패킹
44: 단수부 45: 제2패킹
46: 결속홈

Claims (5)

  1. 단수(斷水)와 퇴수(退水)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수돗물(1)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구(11)와 배출이 가능하게 배출구(12)와 사용이 가능하게 수도사용구(14)가 서로 연통되게 수용공간(13)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3)에 장착되어 수돗물(1)의 유입과 차단을 회전되는 손잡이(21)에 의해 제한하게 유입구(11)를 막아주는 차단막(22)을 구비하는 조절수단(20);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 상에 수돗물(1)의 유입과 제한을 시행하여 본체(10)의 교체가 용이하게 구비하는 차단수단(30); 및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2) 상에 겨울철 동파(凍破)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1)의 퇴수와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파방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30)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1)이 유동 가능하게 절개부(32)를 갖는 관형태의 유동관(31)과, 조절수단(20)의 수리 및 교체 시 유동관(31)과 유동통로(33)를 막아 수돗물(1)을 차단하게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조절볼(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파방지수단(40)은 배출구(12)의 내부로 삽설 체결 고정되어 중앙에 겨울철 동파(凍破)를 해소하게 일정 양의 수돗물(1)의 퇴수가 가능하게 퇴수공(42)을 갖는 내부관(41)과, 내부관(41) 상에 수돗물(1)의 유출을 방지하게 제1패킹(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파방지수단(40)은 내부관(41)의 퇴수공(42) 상에 체결 고정되어 요금체납 등에 의해 단수가 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패킹(45)을 갖는 단수부(4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파방지수단(40)의 단수부(44)는 공구를 통한 체결과 해체가 가능하게 삼각, 사각, 육각, 팔각으로 형성되는 결속홈(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KR1020210008862A 2021-01-21 2021-01-21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KR10244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62A KR102440380B1 (ko) 2021-01-21 2021-01-21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62A KR102440380B1 (ko) 2021-01-21 2021-01-21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15A KR20220105915A (ko) 2022-07-28
KR102440380B1 true KR102440380B1 (ko) 2022-09-02

Family

ID=8260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62A KR102440380B1 (ko) 2021-01-21 2021-01-21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3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492Y1 (ko) 2006-03-10 2006-06-09 엄영호 다목적 앵글밸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35Y1 (ko) * 1989-06-16 1992-04-09 전창근 교류전원제어회로
KR0124858Y1 (ko) * 1993-09-28 1998-10-01 김광호 스피커 캐비넷
KR200147388Y1 (ko) * 1994-07-06 1999-06-15 정몽규 시트트랙장치
JP3918226B2 (ja) * 1997-05-07 2007-05-23 株式会社光合金製作所 逆流防止型水抜弁
KR100468855B1 (ko) 2002-11-11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 개구수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렌즈
KR20200032810A (ko) 2018-09-18 2020-03-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식 자동밸브를 구비한 동파방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도꼭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492Y1 (ko) 2006-03-10 2006-06-09 엄영호 다목적 앵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15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662B2 (en) Boiler loop system
US6543474B2 (en) Pressure equalizing check valve
CA2780364C (en) Purge/fill valve
US20100252129A1 (en) Primary/secondary loop adapter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JP6587342B2 (ja) 補修弁
KR102440380B1 (ko)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US7828005B2 (en) Freezeless hydrant
KR20090034461A (ko) 소방용 개폐밸브
US7178544B2 (en) Combination shut-off and resetable excess flow valve
US11186971B1 (en) Auxiliary valve for hydrant
US5355905A (en) Underground sprinkler system and methods for winterizing and installing the same
KR20170037803A (ko) 미세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난방온수분배기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100871616B1 (ko) 물 공급 장치
KR101098244B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KR102393706B1 (ko)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US8387651B2 (en) Self-draining frost-free faucet
KR200467295Y1 (ko) 볼 밸브 부동전
US20130056088A1 (en) Frost Proof Sillcock System
KR200362046Y1 (ko) 수압점검용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모듈라형 감압밸브
JP3375589B2 (ja) ヘッダ−配管における凍結防止装置
JP2002339418A (ja) ヘッダー配管用不凍給水栓
JP2019060097A (ja) 不凍水抜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