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461A - 소방용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소방용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461A
KR20090034461A KR1020070099668A KR20070099668A KR20090034461A KR 20090034461 A KR20090034461 A KR 20090034461A KR 1020070099668 A KR1020070099668 A KR 1020070099668A KR 20070099668 A KR20070099668 A KR 20070099668A KR 20090034461 A KR20090034461 A KR 2009003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disk
fire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391B1 (ko
Inventor
정태희
정호영
허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07009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3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ck Valv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에 체크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소방시스템의 펌프 토출측 배관길이가 축소되어 기계실의 층고를 낮게 시공할 수 있고, 펌프 주위의 배관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펌프에 가해지는 수격작용을 완화하고, 디스크가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밀폐도가 높아 누수의 발생이 줄어들고, 상기 소방용 개폐밸브의 외주면에 압력게이지가 설치됨으로써, 2차측 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한눈에 토출 압력을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방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중공된 조절부로 구성되어 단면상“ㅗ”자 형태의 유로를 갖는 관체로 형성되고, 각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조절부에 삽입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스크류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시켜 디스크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캡과;
상기 몸체의 조절부 상측에 볼트 결합되어 스크류가 관통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부로 슬라이딩시 내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의 유입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체크몸체와, 상기 체크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화용수가 정방향으로 흐를 때는 오픈되고 역방향으로 흐를 때는 차단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디스크와, 상기 체크디스크가 원활히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크디스크의 내주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체크 가이드대로 이루어지는 체크부와;
상기 몸체의 유입부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유로에 유입된 소화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 개폐밸브, 체크밸브, 디스크, 소화용수

Description

소방용 개폐밸브{Opening and Shutting Valve}
본 발명은 소방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에 체크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소방시스템의 펌프 토출측 배관길이가 축소되어 기계실의 층고를 낮게 시공할 수 있고, 펌프 주위의 배관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펌프에 가해지는 수격작용을 완화하고, 디스크가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밀폐도가 높아 누수의 발생이 줄어들고, 상기 소방용 개폐밸브의 외주면에 압력게이지가 설치됨으로써, 2차측 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한눈에 소화용수를 파악할 수 있는 소방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유체관인 상수관으로부터 분기 연통설치되는 것으로, 상수관의 본관과 분기되는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일단에 연통설치되는 소화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관에는 소화전으로 이송되는 유체를 단속할 수 있도록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가 설치된다. 즉, 분기된 지관에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를 설치하여 소화전과 더불어 이중으로 유체를 단속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를 장착한 상수관은 대개 지중에 매설 되는데, 상기 매설되는 지중에는 상수관뿐만 아니라 도시가스관, 통신선 등 다양한 관체가 함께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의 디스크를 조절하는 스핀들 및 조절캡을 단순히 상수관의 수직상방으로 설치하기 힘듦으로,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의 디스크를 조절하는 수단을 측면으로 일정길이 인출하여 스핀들과 조절캡을 연결함으로써 매설관에 걸리지 않고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소화전용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의 설치작업시 기존 상수관에 천공하여 소화전이 장착되는 지관과 연통시킴으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단수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밸브는 관체를 단속하기 위한 디스크(2)와 상기 디스크를 상하이동시키는 스크류(3)와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조절캡(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1)는 조절캡(4)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스크류(3)를 통해 디스크(2)로 전달되어 디스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관체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디스크(2)는 판체의 형상으로 유체흐름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관체를 개폐하기 때문에 수압이 직접 전달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배경기술의 문제점으로,
소화용수는 디스크(2)에 큰 수압을 가하고, 자체 유속은 저하됨으로 상대적으로 고압의 분출이 어려웠다. 또한,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디스크의 미세조정이 어려워서 배출되는 유량의 조절과 신속한 소화용수의 공급이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에 체크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소방시스템의 펌프 토출측 배관길이가 축소되어 기계실의 층고를 낮게 시공할 수 있고, 펌프 주위의 배관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펌프에 가해지는 수격작용을 완화하고, 디스크가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밀폐도가 높아 누수의 발생이 줄어드는 소방용 개폐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주면에 압력게이지가 설치됨으로써, 2차측 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한눈에 소화용수를 파악할 수 있는 소방용 개폐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소방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중공된 조절부로 구성되어 단면상“ㅗ”자 형태의 유로를 갖는 관체로 형성되고, 각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조절부에 삽입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스크류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시켜 디스크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캡과;
상기 몸체의 조절부 상측에 볼트 결합되어 스크류가 관통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부로 슬라이딩시 내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의 유입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체크몸체와, 상기 체크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화용수가 정방향으로 흐를 때는 오픈되고 역방향으로 흐를 때는 차단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디스크와, 상기 체크디스크가 원활히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크디스크의 내주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체크 가이드대로 이루어지는 체크부와;
상기 몸체의 유입부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유로에 유입된 소화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용 개폐밸브는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에 체크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소방시스템의 펌프 토출측 배관길이가 축소되어 기계실의 층고를 낮게 시공할 수 있고, 펌프 주위의 배관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펌프에 가해지는 수격작용을 완화하고, 디스크가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밀폐도가 높아 누수의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방용 개폐밸브에는 외주면에 압력게이지가 설치됨으로써, 2차측 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한눈에 소화용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방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중공된 조절부로 구성되어 단면상“ㅗ”자 형태의 유로를 갖는 관체로 형성되고, 각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조절부에 삽입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스크류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시켜 디스크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캡과;
상기 몸체의 조절부 상측에 볼트 결합되어 스크류가 관통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부로 슬라이딩시 내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의 유입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체크몸체와, 상기 체크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화용수가 정방향으로 흐를 때는 오픈되고 역방향으로 흐를 때는 차단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디스크와, 상기 체크디스크가 원활히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크디스크의 내주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체크 가이드대로 이루어지는 체크부와;
상기 몸체의 유입부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유로에 유입된 소화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개폐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밀캡이 장착된 디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개폐밸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용 개폐밸브(100)는 몸체(10)와, 조절캡(20)과, 지지부(40)와, 체크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소화용수의 본관에 설치되는 새들(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새들에 직접 결합되어 소화용수를 유입하는 유입부(11)와, 상기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되는 배출부(12) 및 상기 유입부(11)와 배출부(12)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중공된 조절부(1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10)는 단면상 “ㅗ”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조절부(13)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4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11)는 체크부(50)와 상기 배출부(12)는 스프링쿨러헤드(160)와 연결된 배관(P2)와 상기 조절부(13)는 지지부(40)와 각각 플랜지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조절부(13)에는 중공부를 갖는 지지부(40)가 상측방향으로 볼트에 의한 플랜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0)에는 관체를 연통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이동된 디스크(30)가 안치되는 공간이며, 상기 몸체(10)의 관로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최소한 디스크(3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유체의 관체를 개방할 시 디스크(30)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40)는 중앙부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디스크(30)와 연결된 스크류(21)가 관통 지지되고, 상기 스크류(21)가 회전함에 따른 마찰을 줄이기 위해 마찰부재(미도시)가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디스크(30)는 스크류(21)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관체를 단속 또는 개방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디스크(30)는 스크류(21)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관체의 유로를 막아 유체의 단속이 이루어지고, 이와 반대로 상부로 이동되어 지지부(40)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유체를 흐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디스크(30)는 대개 일정두께를 갖는 원형판체로 형성되어 단속시 디스크(30)의 외주면이 몸체(10)의 관로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30)는 유압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30)의 외주면과 접하는 몸체(10)의 양측면에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디스크(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31)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부(31)가 가이드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유압에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30)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면을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인 합성수지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합성수지는 금속재질보다 마모가 더 빨리 발생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31)가 가이드홈에서 상,하 이동됨에 따라 접하는 가이드부(31)의 마모가 급속하게 발생되게 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마모가 발생되는 부분인 가이드부(31)에 수밀캡(32)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마모에 의해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보수비용을 절감시 킨 것이다. 이러한 수밀캡(32)은 가이드홈과 접하여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31)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밀캡(32)의 두께 만큼 가이드부(31)의 두께를 축소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장착수단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돌기와 홈에 의한 결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즉, 몸체(10)의 유입부(11) 외주면에는 관로에 흐르는 소화용수의 압력을 체크하기 위해 압력게이지(6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유입부 뿐만 아니라 체크부(50)의 외주면이나 몸체(10)의 배출부(12) 외주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부(50)는 몸체(10)의 유입부(1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체크몸체(51)와, 상기 체크몸체(51)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화용수가 정방향으로 흐를 때는 오픈되고 역방향으로 흐를 때는 차단되도록 스프링(53)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디스크(52)와, 상기 체크디스크(52)가 원활히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크디스크(52)의 내주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샤프트(56)와, 상기 샤프트(56)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돌출부(55a)가 형성되는 체크 가이드대(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크몸체(51)는 내부가 중공되어 유체관과 연결되어 소화용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소화용수는 체크부(50)를 걷쳐 개폐밸브(100)의 몸체(1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체크몸체(51)에는 체크디스크(52)가 차단시 소화용수가 역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밸브 및 배관의 점검, 수리교체 시) 바이패스 유로(58)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58)를 통해 이송되는 소화용수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유로(58)의 일단부에 스크류로 형성된 조절밸브(5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디스크(52)는 원형판으로 일측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타측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오목한 일단면에 스프링(53)으로 지지되어 개폐밸브(100)의 내부에 유동되는 유체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상기 유체의 유동이 정지시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온다.
여기서, 상기 체크디스크(52)가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올 때 체크디스크(52)의 외주면이 체크몸체(51)의 내주면과 마찰되는데 이때, 마찰에 의한 마모와 수밀한 밀폐를 위해 오링이 삽입된 체크시트(54)가 체크몸체(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체크디스크(52)에 의해 수밀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디스크(52)가 체크몸체(51)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이탈되지 않게 다수개의 가이드핀(57)이 체크디스크(52)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57)의 타단부에는 가이드핀(57)을 통해 체크디스크(52)가 지지되도록 받침대 역할을 하는 체크 가이드대(55)가 체크몸체(5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체크 가이드대(55)의 일단면에 다수개의 가이드핀(57)이 관통되 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핀(57)은 체크디스크(52)에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체크 가이드대(55)에는 관통만 되어 있어 상기 체크디스크(52)가 좌,우 슬라이딩 되는데 이탈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받침대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체크 가이드대(55)과 체크디스크(52)의 중앙부에는 샤프트(56)가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핀(57) 이외에 지지대 역할을 한다. 결합방식은 상기 가이드핀(57)과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소화설비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용 개폐밸브(100)가 설치되는 소화설비 시스템은 지면보다 낮게 형성된 수조(110) 내의 급수를 후드밸브(120)로 여과하여 배관(P1)을 통해 각 실의 소화전이나 스프링쿨러헤드(16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급수가 스프링쿨러헤드(160)에 전달되도록 모터(140)가 연결된 주펌프(130)에 의해 배관(P1)을 거쳐 공급되고, 상기 주펌프(130)의 상측에는 배관(P1)을 통해 이송된 급수를 스프링쿨러헤드(160)까지 연결되는 배관(P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P2)에는 본 발명의 소방용 개폐밸브(100)가 설치되어 급수가 스프링쿨러헤드(160)에 전달되고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배관(P2)의 상측 정점에는 수격방지기(150)가 설치되어 주펌프(130)가 작동 및 정지를 할 때 배관(P2) 내에 급수의 유속 변화가 커서 수격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유속변화(압력)을 흡수 하여 배관(P2) 내에 수격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P2)의 중간부에는 고공에 설치되는 물올림탱크(170)와 연결되는 배관(P3)이 연결되어 상기 물올림탱크(170)를 통해서도 흡입측 배관에 물이 없을 경우에 흡입측 배관에 물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소방용 개폐밸브(100)와 주펌프(130) 사이 배관(P2)에는 주펌프(130)의 성능을 시험할 배관(P4)가 분기되고, 상기 배관(P4)에는 주펌프(130)의 성능을 체크할 유량계(180)와 유량조절밸브(190)와 개폐밸브(200)가 설치되고, 배관(P4)의 끝단부는 외부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개폐 표시형 게이트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개폐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밀캡이 장착된 디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개폐밸브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소화설비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조절캡
30 : 디스크 40 : 지지부
50 : 체크부 60 : 압력게이지
100 : 소방용 개폐밸브

Claims (3)

  1. 지하수조나 압력수조 등 소화수조에 연통설치되어 소화용수를 제공하는 소방용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상기 유입부(11)에서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2)와, 상기 유입부(11)와 배출부(12)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중공된 조절부(13)로 구성되어 단면상“ㅗ”자 형태의 유로를 갖는 관체로 형성되고, 각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조절부(13)에 삽입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스크류(21)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디스크(30)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21)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21)의 회전운동을 시켜 디스크(3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캡(20)과;
    상기 몸체(10)의 조절부(13) 상측에 볼트 결합되어 스크류(21)가 관통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30)가 상부로 슬라이딩시 내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40)와;
    상기 몸체(10)의 유입부(1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체크몸체(51)와, 상기 체크몸체(51)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화용수가 정방향으로 흐를 때는 오픈되고 역방향으로 흐를 때는 차단되도록 스프링(53)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디스크(52)와, 상기 체크디스크(52)가 원활히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크디스크(52)의 내주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샤프트(56)와, 상기 샤프트(56)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돌출부(55a)가 형성되는 체크 가이드 대(55)로 이루어지는 체크부(50)와;
    상기 몸체(10)의 유입부(11)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유로에 유입된 소화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개폐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50)의 체크몸체(51)에는 체크디스크(52)가 차단시 소화용수가 역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바이패스 유로(58)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58)를 통해 이송되는 소화용수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유로(58)의 일단부에 스크류(21)로 형성된 조절밸브(59)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디스크(52)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내부를 밀폐하도록 오링이 형성된 체크시트(5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개폐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30)는 상,하로 슬라이딩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면에 가이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1)의 외주면에는 마모에 의한 파손방지와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밀캡(3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개폐밸브.
KR1020070099668A 2007-10-04 2007-10-04 소방용 개폐밸브 KR10091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68A KR100915391B1 (ko) 2007-10-04 2007-10-04 소방용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68A KR100915391B1 (ko) 2007-10-04 2007-10-04 소방용 개폐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61A true KR20090034461A (ko) 2009-04-08
KR100915391B1 KR100915391B1 (ko) 2009-09-03

Family

ID=4076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68A KR100915391B1 (ko) 2007-10-04 2007-10-04 소방용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3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191B1 (ko) * 2010-03-03 2011-05-26 (주) 삼진정밀 핸들작동이 용이한 대형 게이트밸브
WO2011068314A2 (ko) * 2009-12-03 2011-06-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KR101298091B1 (ko) * 2011-11-17 2013-08-20 탱크테크 (주) 소방설비의 모터 구동 밸브장치
KR20190129157A (ko) * 2018-05-10 2019-11-20 박미순 밸브 복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11B1 (ko) * 2016-06-17 2018-01-30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2080673B1 (ko) * 2018-05-14 2020-02-24 고현수 소화 설비용 부력식 유수검지장치
KR102368134B1 (ko) 2020-06-23 2022-03-02 (주) 삼진정밀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6917A (ja) * 2005-11-25 2007-06-14 Daiichi Jonan Kk 連結送水管設備
JP2007162719A (ja) * 2005-12-09 2007-06-28 Yamato Protec Co バタフライ弁、および消火設備の圧力測定装置
KR100621158B1 (ko) * 2006-06-15 2006-09-07 주식회사 삼진정밀 체크기능을 갖는 부식방지용 제수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314A2 (ko) * 2009-12-03 2011-06-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WO2011068314A3 (ko) * 2009-12-03 2011-09-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KR101037191B1 (ko) * 2010-03-03 2011-05-26 (주) 삼진정밀 핸들작동이 용이한 대형 게이트밸브
KR101298091B1 (ko) * 2011-11-17 2013-08-20 탱크테크 (주) 소방설비의 모터 구동 밸브장치
KR20190129157A (ko) * 2018-05-10 2019-11-20 박미순 밸브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391B1 (ko)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391B1 (ko) 소방용 개폐밸브
KR101401307B1 (ko) 복합 감압밸브
US20100132806A1 (en) Fire hydrant check valve
CN104315164B (zh) 具有多种功能的截止阀
WO2005116789A1 (en) Bi-directional dual chamber orifice fitting
DK178639B1 (en) Universal Flow Control Device
KR101291335B1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GB2449964A (en) Hydrant used to access water pipe for maintenance
JP2001065708A (ja) 地中埋設型減圧止水栓
KR10222202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102368134B1 (ko)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PL206021B1 (pl) Zawór zwrotny kulowy
KR101909388B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KR101624229B1 (ko) 수밀 조절 가능 방식의 플랩 밸브
KR100745189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GB2443209A (en) Mains water meter mounted on stop tap body
JP2004108120A (ja) 壁埋め込み水栓
US11339882B1 (en) Butterfly check valve
KR200374392Y1 (ko) 소음 저감형 감압밸브
CN204114182U (zh) 具有多种功能的截止阀
CN219413589U (zh) 一种高密封性的球体阀门
RU2777011C1 (ru) Клапан сигнальный спринклерный водозаполненны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585206B1 (ko) 안전 개스킷을 구비한 제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