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157A - 밸브 복합체 - Google Patents

밸브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157A
KR20190129157A KR1020180053394A KR20180053394A KR20190129157A KR 20190129157 A KR20190129157 A KR 20190129157A KR 1020180053394 A KR1020180053394 A KR 1020180053394A KR 20180053394 A KR20180053394 A KR 20180053394A KR 20190129157 A KR20190129157 A KR 20190129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opening
pipe
over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650B1 (ko
Inventor
박미순
Original Assignee
박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순 filed Critical 박미순
Priority to KR102018005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6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검지를 위한 알람밸브 (이하 알람밸브라 칭함)에 있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거나 혹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과압방지 밸브와 연결 호스 그리고 개폐 밸브와 관련한 밸브 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검창을 구비한 개폐 밸브의 몸통에 과압방지 밸브는 물론 과압방지 밸브로부터 배수관로를 개폐 밸브의 개폐 볼 설치 지점의 후단에 결합하는 복합 기능의 밸브체를 구성하여 종래에 과압방지 밸브를 에 설치함으로서 비싸고 공간 점유가 많은 중간 연결호스의 사용과 과압방지 밸브의 추가적인 시공관리의 비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원가 절감과 시공 생산성과 현장 자재 관리에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밸브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브 복합체 {a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유수검지를 위한 알람밸브(이하 알람밸브라 칭함)의 정래진 압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부대 장치로서 특히 알람밸브(4) 내의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강제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개폐 밸브(1),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과압방지 밸브(2) 그리고 과압방지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액체를 배수관에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하는 연결호스(3)의 효율적 설치 구조를 구비한 밸브 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검창(13)을 구비한 개폐 밸브의 몸통에 과압방지 밸브는 물론 과압방지 밸브로부터 배수관로를 구비한 개폐 밸브에 일체로 결합 구성되는 알람밸브용 밸브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알람밸브에 과압방지 밸브를 설치할 경우에는 알람밸브 바디에 직접 설치하거나 혹은 도4와 같이 압력계(5)를 설치하는 서비스 밸브(6)에 설치하고 과압방지 밸브에 압력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조를 이루었다. 그리고 과압방지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는 드레인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호스(3)를 과압방지 밸브에 결합하여 배출되는 방식을 택하여 왔다.
알람밸브 내의 저장된 소방용수를 강제적으로 배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개폐 밸브는 알람밸브의 2차 측에 연결하여 역시 드레인 배관에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오늘 날에는 개폐 밸브에 소방 배관의 관말에 설치하는 개폐 밸브을 일체로 하고 이 몸통에 투명 재질을 이용하여 투명캡(8) 등을 설치하여 개설한 점검창(13)을 구비한 밸브로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하려 위 과압방지 밸브의 배출구(30)와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위 최근에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몸통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알람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이 대단히 협소한 시공 현장의 특수성에도 여러 가지 부착물이 수반되어 대단히 복잡하고 시야를 가리게 되는 현실에 비추어 긴 호스는 더욱 복잡성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사용되는 연결호스는 스테인레스 와이어로 망을 쒸운 비싼 가격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여 원가의 부담이 크다.
동시에 위와 같은 과압방지를 알람밸브에 결합하는 구조는 역시 추가의 설치 공정과 공임이 요구되고 출고 전 압력계를 결합한 상태로 성능 검사를 받게 되므로 시공 현장에서 설치 시 반드시 이를 해체하고 결합한 다음 다시 압력계를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알람밸브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장치가 알람밸브를 중심으로 각각 독립하여 산만하게 퍼져 있는 구조적 문제와 비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 과제이다. 특히 알람밸브와 배수배관 사이에 부피가 크고 거리가 있고 장치가 중간에 장애물로 위치하고 있어 이는 과압밸브에 의한 배수처리에 난제가 되는 것을 처리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중간 단계는 물론 알람밸브에 집중 설치되는 과압방지 밸브는 알람밸브라는 중간 단계의 장애물을 건너거나 우회하여야 하는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현재로서는 이를 위하여 극복하기 위하여 스텐레스 와이어로 직조한 호스를 씌운 구조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플렉시블한 기능을 가진 연결 호스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보다 경제적으로나 편리성에 있어 보다 나은 장치와 구조로 대치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는 과압방지 밸브가 기능 상 압력 조절의 목적에 비추어 알람밸브 중심의 기능에 또한 배수 기능에 의한 압력의 조절이라는 목적에 비추어 배수 배관 중심으로 설치하는 복합적인 기능이 있는 것을 알람밸브 중심으로 설치함으로서 결국 위와 같은 긴 연결 호스를 통하여 배수배관에 연결하는 것으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과압방지 밸브를 배수관로에 가까이에 설치하여 해결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알람밸브의 각제적 배수를 위하여 설치하는 개폐용 밸브에 과압방지 밸브를 해결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개폐용 밸브가 차단 시 과압방지 밸브가 작동할 수 있도록 밸브의 구조를 변경하여 해결하려 한다.
동시에 과압방지 밸브의 배수 관로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개폐 밸브의 몸통과 과압방지 밸브의 구조가 개폐 밸브의 개폐용 볼를 건너 띄는 바이 패스 형 연결관이 결합된 몸통 구조로 하여 해결하려 한다. 특히 수평관로에 형성하는 가지관에 측벽 배출관(16)을 형성하여 몸통의 일부를 배출관으로 형성하여 해결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바닥 관통홀은 가능하면 측벽 배출관과 멀리 위치하도록 하면 측별 배출관과 배수관로가 가깝게 되어 개설이 용이하고 경제적이 되고 동시에 개폐용 볼에 걸림을 피하기 유리하므로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해결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개폐 밸브의 몸통에 과압방지 밸브를 구성하고 개폐 밸브의 개폐 볼이 설치되는 위치의 후 측에 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서 과압방지 밸브의 교체나 수선 시 개폐 밸브이 일정 부분 대체 기능을 하도록 하며 종래의 개폐 밸브의 배수관로와는 연결구로 바로 직결하여 종래에 사용하였던 긴 호스의 기능을 대체하고자 한다.
기다란 연결호스로 인한 부담이 큰 원가의 부담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 걸 거치는 장애물이 제거되는 것이 되며 공간적 제약이 많은 시공현장에서 어려움으로 시공비 부담이 많았던 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과압방지 밸브 역시 현장 시공의 어려움을 덜 수 있어 시공의 획기적 생산성이 개선될 뿐 아니라 본 작업의 특수성으로 과다한 인건비 가 소요되었던 점을 개선할 수 있어 시공 인건비의 획기적인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알람밸브에 설치하였던 과압방지 밸브의 경우에는 특히 뜬금없이 돌출된 설치 구조로 인하여 파손과 교체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고 압력계용 서비스 밸브에 사용하였던 구조는 시공 현장의 특수성으로 압력계의 방향 전환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분리되었던 제품비와 시공비를 개선할 수 있어 획기적인 원가절감과 시공비 절감 그리고 공기 단축이 용이한 장점이 대단히 크다.
도1은 본 발명의 대표도.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성품 예시도,
도4는 종래의 설치 구성도.
알람밸브(4)에 설치 사용하는 과압방지 밸브(2)가 알람밸브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알람밸브의 내의 소방용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과압방지 밸브을 설치하는 방법은 알람밸브의 몸통에 직접 설치하거나 혹은 알람밸브의 압력을 점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압력계가 설치되는 서비스 밸브(6)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므로 과압방지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배수의 처리를 위하여 기다란 연결 호스(3)를 사용하여 다소 멀리 떨어진 배수관로에 연결하여 배출하거나 혹은 배수관로에 배출 밸브의 후반 배관에 연결하는 배관 시스템을 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알람밸브와 배수관로가 멀리 떨어져 있는 배관의 특성으로 많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과압방지 밸브를 알람밸브 측에 설치해 왔던 것을 배수관로 측에 설치하여 개선하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배수관로를 이루고 있어 배수 밸브로 통칭되는 개폐 밸브에 설치하는 구조를 이루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람밸브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는 몸통 중앙에 양측에 패킹(28)을 설치한 개폐용 볼(9)이 스핀들을 통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14)의 작동으로 회전작용을 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손잡이의 회전 작용으로 볼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몸통의 개방 관로와 작용하여 밸브의 관로를 개폐하도록 볼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밸브의 몸통은 볼에 상응하는 유로를 위하여 역시 수평의 관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소방 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수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캡 등으로 배수관로의 몸통에 설치하여 형성되는 점검창(13)을 구비한 통칭 사이트 글라스 밸브로 하여 사용되고 있고 스프링클러 헤드용 소방 배관의 관말과 연결하기 위하여 소방법의 규정이 소방 배관의 관말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유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오리피스 즉, 관말에 스프링 클러 헤드의 구경에 준하는 구경을 좁힌 부분인 오리피스를 형성 사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위 상설한 구조에 더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용 소방배관의 관말에 설치하는 개폐 밸브를 위 알람밸브 연결용 개폐 밸브와 하나의 몸통으로 연결 구성하여 사용되고 있고 이에 더하여 개폐 밸브의 접속구에 편리성을 더 하기 위하여 끝단에 결합용 너트를 설치하거나 추가로 너트와 파이프와 결합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소켓이 결합되는 통칭 유니온 구조를 이루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의 개폐 밸브와 기능적 복합화를 위하여 과압방지 밸브와 동시에 과압방지 밸브로부터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배수를 처리하기 위한 관로를 역시 개폐 밸브의 몸통을 구성하는 구조를 이루려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과압방지 밸브를 설치하는 가지관을 개폐 밸브의 몸통에 알람밸브와 연계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본 밸브체는 개폐용 볼(9)에 의하여 차단 시 구분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밸브체의 몸통에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3의 A가 예시하는 것과 같이 수평유로의 몸통에서 분기한 가지관 바닥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이루는 유입구(19)와 개폐볼 설치 위치의 후방에 설치하는 배출구로 형성하게 되는 데 개폐용 볼과 가지관의 유입구와 유로를 개설하는 방법을 택하여도 되고 a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용 볼이 위치하는 전단계에 유입구를 연결하여도 된다.
위 가지관에 과압방지 밸브을 설치하는 방법은 가지관을 연결용 접속구(15)로 하여 별도의 과압방지 밸브를 연결 결합하는 방법을 택하거나 혹은 가지관 자체를 과압방지 밸브의 구성 부품을 삽입 설치하는 하우징(21)으로 하여 과압방지 밸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개폐 밸브에 설치 구성되는 과압 방지 밸브의 배수 관로는 도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유체가 전달되도록 수평관로에 인입하는 홀을 형성함을 기본하여 하여 C의 과압방지 밸브의 인입홀(22)에 유체가 전달되도록 하고 하우징 측면으로 배출구(30)을 형성하여 이 배출구는 A의 측벽 배출구(16)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방법을 주로 사용할 수 있고 수평유로에 개설하는 측벽 배출구가 아닌 과압방지 밸브의 몸통 상단으로 배출구를 형성하게 되면 이에 B와 같이 연결관(7)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하나의 단위 연결관을 설치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 배출구(16)를 선택하는 구조는 가능하면 측별 배출구를 형성하는 측벽과 바닥에 형성하는 관통 홀의 거리가 멀수록 장애물이 되는 개폐용 볼의 경계면을 피하기가 유리하다. 즉, 밸브체에 있어 압력을 받는 유로와 배출이 되는 유로의 중간에 위치 하여야 하는 과압방지 밸브의 특성 상 가장 효과적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위 개폐 밸브에 설치되는 과압방지 밸브의 구조는 역시 도3의 A와 같이 몸통의 하단에 소규경의 관통 관로를 형성하여 알람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소방용수가 과압방지 밸브에 공급할 소방 용수가 들어오는 유입구(19)를 이루고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나사를 형성하여 삽입할 부품은 기밀을 위하여 패킹(28) 패드를 장착한 개폐 디스크(23), 압력 기능을 제공하는 스프링(24)그리고 압력 조절 볼트(25)를 내장하고 필요 시에는 풀림 방지를 위하여 볼(27) 부재를 스프링과 압력 조절 볼트 사이에 삽입 설치하는 구조를 이루어 설치하도록 하여 과압방지 밸브를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조에 외부에 캡(26)을 설치할 수 있고 이 캡은 때로는 도3의 B와 같이 배출을 위한 연결관의 부속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렇게 A가 예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 과압방지 밸브의 하우징 측면에 배수를 위한 측벽 배출관(16)으로 배출구를 형성하여 개폐 밸브의 가지관(12)의 몸통을 통하여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출관과 연계되는 외향하는 환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유체 이동을 위한 둘레 공간(17)을 형성하게 되면 개폐 밸브의 측벽에 홀을 형성한 배출구(30)와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과압 방지 밸브의 하우징으로 들어오는 유체가 측면의 배출구가 어느 방향이 배출관과 연계되어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배출구또 다른 방법은 과압방지 밸브의 하우징에 씌우는 캡(26) 부재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역시 배수관로에 설치한 접속구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배출관로에 유로를 개설할 수 있다. 이때 역시 접속구를 점검창과 겸용할 경우에는 도1의 투명캡의 중앙에 홀을 형성하여 이 홀에 삽입하여 투명캡이 점검창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하여 연결관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용 나사를 몸통의 상단에 구성하여 이 캡을 필요 시 연결관에 설치하여 결합 너트로 설치 사용할 수 있다.
동시에 과압방지 밸브에 의한 배출을 위한 드레인 관로는 개폐 밸브의 개폐 볼이 설치되는 후측에 연결관로를 이루어 과압방지 밸브가 경계가 되어 바닥의 인입홀은 압력을 받는 관로에 개설하여야 중간에서 조정의 기능을 가진 배출 시스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관을 별도의 파이프와 연결구로 설치하는 구조는 개폐 밸브의 몸통을 개폐 볼의 설치 지점의 후측에 수직으로 이루어 결국 밸브의 몸통(11)에 유체의 누수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두명 재질을 설치하여 점검창(13)을 구비하고 있어 이 점검창에 결합하는 투명 캡에 연결관을 연결관을 직접 설치하면 된다. 통칭 사이트 글라스를 구비한 몸통을 이루게 된다.
또한 수직 몸통의 상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결합용 너트를 구비하면 상부의 관말 배관과 너트 결합을 할 수 있게 되면 관말이 개폐용 밸브로 이루어지면 이 밸브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관 시스템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구조는 이미 널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본 발명의 구조에도 동일하게 채택 사용하면 된다. 혹은 수직 몸통의 상부에 직접 개폐용 밸브를 형성하여도 되고 이렇게 이루어진 개폐용 밸브의 상부에 역시 이탈이 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너트를 구비하면 상부의 배관과 너트 결합을 할 수 있게 되고 너트에 결합용 니플이나 소켓을 구비하여 유니온 구조를 이루어 상부의 배관과 연결 연장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개폐 밸브(1), 과압방지 밸브(2), 연결호스(3), 알람밸브(4), 압력계(5), 서비스 밸브(6), 연결관(7), 투명캡(8), 개폐용 볼(9), 가지관(12), 점검창(13), 손잡이(14), 둘레공간(17), 디스크(23), 스프링(24), 압력조절볼트(25).

Claims (4)

  1. 수평유로와 상향유로와 하향유로가 합쳐지는 3방유로의 몸통에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의 작동으로 몸통 내측 유로에 2방향 이상의 유로를 형성한 개폐용 볼의 회전으로 열림과 닫힘을 하는 한개 이상 설치되는 개폐 밸브, 상향유로에 관경을 축소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 관 부재, 수평유로와 상향유로가 합쳐지는 유로에 투명 재질로 투명창을 설치한 점검창, 개폐용 볼의 차단을 경계로 후방에 위치하는 몸통의 측벽을 관통 구성한 지합 홀, 수평유로에서 분기하여 바닥에 형성한 관통 홀로 이루는 유입구와 내측 벽에 형성한 나사를 구비한 가지관, 가지관의 측벽에서 개폐용 볼의 후방으로 연장한 몸통의 돌출부, 그리고 돌출부 내에 가지관의 측벽에서 위 지합 홀과 내통하는 관로로 이루어진 측벽 배출관으로 연결유로가 구성 구비되는 복합 밸브체.
  2. 제1항에 있어서,
    패킹 패드 부재를 장착한 개폐용 디스크, 압력 전달용 스프링, 나사 조절로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볼트를 기본 구성품으로 결합하는 과압방지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복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외주면은 나사를 형성하고 바닥은 관통홀을 형성하며 측벽은 1개 이상의 관통 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패킹 패드 부재를 장착한 개폐용 디스크, 압력 전달용 스프링, 나사 조절로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볼트를 기본 구성품으로 내장 결합하는 과압방지 밸브와; 나사의 상부에 측벽 배출관과 만나는 위치에 내벽을 따라 환상의 홈이 유로가 되도록 형성한 둘레 공간을 구비한 가지관과 결합하는 밸브 복합체.
  4. 수평유로와 상향유로와 하향유로가 합쳐지는 3방유로의 몸통에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의 작동으로 몸통 내측 유로에 2방향 이상의 유로를 형성한 개폐용 볼의 회전으로 열림과 닫힘을 하는 한개 이상 설치되는 개폐 밸브, 상향유로에 관경을 축소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 관 부재, 수평유로와 상향유로가 합쳐지는 유로에 투명 재질로 투명창을 설치한 점검창, 개폐용 볼의 차단을 경계로 후방에 위치하는 몸통의 측벽을 관통 구성한 지합 홀, 수평유로에서 분기하여 바닥에 형성한 관통 홀로 이루는 유입구와 내측 벽에 형성한 나사를 구비한 가지관, 가지관와 결합 설치되는 과압방지 밸브 그리고 과압방지 밸브와 몸통의 지합 홀 사이를 일측 이상에 나사가 구비되어 연결하는 연결관이 구비 결합되는 밸브 복합체.


KR1020180053394A 2018-05-10 2018-05-10 밸브 복합체 KR10263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94A KR102635650B1 (ko) 2018-05-10 2018-05-10 밸브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94A KR102635650B1 (ko) 2018-05-10 2018-05-10 밸브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57A true KR20190129157A (ko) 2019-11-20
KR102635650B1 KR102635650B1 (ko) 2024-02-08

Family

ID=6872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94A KR102635650B1 (ko) 2018-05-10 2018-05-10 밸브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6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461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삼진정밀 소방용 개폐밸브
KR20150012176A (ko) * 2013-07-24 2015-02-03 세웅기계 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
KR20160000409U (ko) * 2014-07-25 2016-02-03 박미순 앵글 밸브
KR20170002139U (ko) * 2015-12-09 2017-06-19 박미순 과압방지 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461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삼진정밀 소방용 개폐밸브
KR20150012176A (ko) * 2013-07-24 2015-02-03 세웅기계 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
KR20160000409U (ko) * 2014-07-25 2016-02-03 박미순 앵글 밸브
KR20170002139U (ko) * 2015-12-09 2017-06-19 박미순 과압방지 밸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650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8264B2 (en)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US6347644B1 (en) Bypass valve for water treatment system
CA2030132A1 (en) Self-draining backflow prevention valves
US7448405B2 (en) Multiple valve drain and pipe-cleaning device
US20060254647A1 (en)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check valve
KR20150105890A (ko) 압력체크용 소화전
US20080047612A1 (en) Automatic draining double check vacuum breaker
KR100757705B1 (ko) 소화전 설비용 사수방지장치
KR20190129157A (ko) 밸브 복합체
US11035106B2 (en) Mixing hydrant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US2138503A (en) Plural-valve plumbing fixture
KR20120101845A (ko) 삼방 볼 밸브
US45081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water leaks
US20200325664A1 (en) Flow turbulence reducer
CN207500615U (zh) 一种控制阀
KR101909388B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KR102189453B1 (ko)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US290824A (en) Automatic vent for water-pipes
JPH0134797Y2 (ko)
JP2506925B2 (ja) 衛生洗浄装置
US3330295A (en) Gas pressure regulator with 180beg. u-bend valve body
KR20170091846A (ko) 3방 밸브
JPH0256550B2 (ko)
KR20220022957A (ko) 배수밸브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