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453B1 -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 Google Patents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453B1
KR102189453B1 KR1020200056317A KR20200056317A KR102189453B1 KR 102189453 B1 KR102189453 B1 KR 102189453B1 KR 1020200056317 A KR1020200056317 A KR 1020200056317A KR 20200056317 A KR20200056317 A KR 20200056317A KR 102189453 B1 KR102189453 B1 KR 10218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installation
closing means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20005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말단에 정체되어 있는 적수 및 사수를 외부로 손쉽게 퇴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구경 밸브실 등 작업자의 작업이 어려운 부분에 설치가 가능토록 일체형 몸체부를 구성하고, 이러한 일체형 몸체부에 개폐수단과 퇴수를 모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토록 하는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Drain pipe end integrated drain valve for small valve room}
본 발명은 관말단의 소구경 밸브실에 설치되어, 밸브실 외부에서 작업자가 손쉽고 용이하게 관말단 내 정체되어 있는 적수 및 사수를 외부로 퇴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오랜 기간 사용하여 낙후된 상수도관을 새롭게 교체하는 경우 또는 상수도관의 관로 청소를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세척수 등의 오염된 물은 상수도의 관로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오염된 물을 상수도관으로부터 하수도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을 이른바 퇴수관(退水管)이라 한다.
한편, 상수도관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퇴수관은 이 밸브들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퇴수관에도 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는데, 이 밸브는 퇴수관에 설치된다고 하여 특히 퇴수밸브라 한다.
더욱이 배관의 말단에는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배관의 말단에는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로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관말단에서의 물이 고여 오랜시간동안 정체되고, 변질 및 적수형태가 된 물이 배관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에, 이러한 관말단에서의 물을 간헐적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관의 말단의 구조가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기존에 관말단의 적수나 사수를 배출하기 위해서, 땅을 파고 3Way 형태의 밸브 또는 배관을 설치하는 등, 복잡하고 작업을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구조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0727호(2009.06.15.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말단의 적수 및 사수 배출 및,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소구경 밸브실에서의 밸브조작 및 적수/사수 배출이 용이토록 한 것으로서, 관말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관말단의 연통부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개방시 물을 퇴수하는 퇴수로를 단일의 몸체에 모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몸체부를 가지는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구경 밸브실 내의 밸브 및 퇴수로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소구경 밸브실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주철제작으로 일체형의 몸체부를 형성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수도 배관의 관말단(P)이 내설된 소구경 밸브실(10)에 설치되는 퇴수밸브이며,
상기 밸브실(10) 내에서 관말단(P)에 수평으로 일단이 연통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밸브실(10) 상부를 향해 90도 직각으로 절곡되는 연결몸체(21);
상기 연결몸체(21)의 상부에서 연결몸체(21)와 연통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몸체(21)의 직경보다 넒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몸체(21)와 연통되는 연통부위(2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30)과, 상기 개폐수단(30)과 상호간 수평을 이루면서 밸브실(10) 내에 직립설치되어, 개폐수단(30)이 개방시 관말단(P)의 적수 및 사수가 밸브실(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퇴수로(40)가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몸체(22);
상기 설치몸체(22)의 외측 저면에서부터 밸브실(10)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고정되어, 상기 설치몸체(22) 및 연결몸체(21)를 고정지지하는 지지몸체(26);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몸체부(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구경 밸브실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작업이 손쉬운 구조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구경 밸브실에 설치가 가능하며 협소한 설치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말단에 정체되어 있는 물을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퇴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말단의 이물질 제거, 적수제거, 채수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구경 밸브실 내의 밸브 및 퇴수로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소구경 밸브실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주철제작으로 일체형의 몸체부를 형성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의 설치 모식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몸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의 퇴수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토밸브 작동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가 설치되는 관말단 부분을 나타낸 관망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밸브실(ex: 밸브실의 커버가 설치된 최상단의 직경 또는 밸브실 최상단에 설치되는 맨홀의 직경이 Φ270 정도가 되는 밸브실로서, 작업자가 밸브실(10) 내로 들어가 작업하기 어렵거나, 작업할 수 없을 정도의 입구크기를 가지는 밸브실(10) 등)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는, 상수도 배관의 관말단(P)(배관이 끝나는 부분)이 내설된 소구경 밸브실(10)에 설치되는 퇴수밸브로서, 연결몸체(21), 설치몸체(22), 지지몸체(26)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몸체부(20)와, 개폐수단(30), 퇴수로(40)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몸체부(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21), 설치몸체(22), 지지몸체(26)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상기 연결몸체(21)는 밸브실(10) 내에서 관말단(P)에 수평으로 일단이 연통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밸브실(10) 상부를 향해 90도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중단이 완만하게 절곡된 'ㄴ' 자 형상의 관체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몸체(21)의 직경은 관말단(P)의 배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며, 연결몸체(21)와 관말단(P) 상호간은, 플랜지 체결, 볼팅체결(볼트, 너트 결합), 브레이징 중 어느 하나로 상호간 연결되어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호간의 착탈가능한 결합이 되도록 하고, 상호간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이다.
상기 설치몸체(22)는 전술된 연결몸체(21)의 개구된 상부에서 연결몸체(21)와 연통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관체로써, 상기 연결몸체(21)의 직경보다 넒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협상광(下狹上廣)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한 설치몸체(22)는 연결몸체(21)와 연통되는 연통부위(2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30)과, 상기 개폐수단(30)과 상호간 수평을 이루면서 밸브실(10) 내에 직립설치되어, 개폐수단(30)이 개방시 관말단(P)의 적수 및 사수가 밸브실(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퇴수로(40)가 동시에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하는 것으로, 하나의 설치몸체(22)에 개폐수단(30)과 퇴수로(40) 모두가 설치가능토록 하여, 협소한 소구경 밸브실(10)에 설치가 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설치몸체(22)는 일측 외주연은 상부를 향해 완만한 원호형태를 가지는 원호부(23)로 형성되어, 연통부위(25)의 물이 퇴수로(40)를 향해 완만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외주연은 상부를 향해 수직을 이루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24)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원호부(23)가 형성된 상부쪽에는 퇴수로(40)가 직립설치되고, 상기 수직부(24)가 형성된 상부쪽에는 개폐수단(30)이 직립설치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몸체(26)는 전술된 설치몸체(22)의 외측 저면에서부터 밸브실(10)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고정되어, 상기 설치몸체(22) 및 연결몸체(21)를 밸브실(10) 내에 고정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수단(30)은 바디부((31), 개폐부(32), 체결홀(34)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31)는 설치몸체(22)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부((31)는 후술될 개폐부(32)가 승, 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우징이면서, 설치몸체(22)의 상부를 덮는 커버(11)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32)는 바디부((31)에 설치몸체(22)의 연통부위(25)와 수직선상을 이루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에는 상기 연통부위(25)를 개폐시키는 디스크(33)가 설치되는 밸브이다. 즉, 이러한 개폐부(32)는 바디부((31)에 직립으로 세워지도록 끼워진 채로, 밸브실(10) 외부에서 작업자의 작업에 의해 회전되며 상, 하로 승강되는 환봉이다. 이러한 개폐부(32)의 형태는 밸브의 구조에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 개폐부(32)를 통해 연통부위(25)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사용자는 다양하게 구조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체결홀(34)은 전술된 설치몸체(22)의 원호부(23)가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31)에 천공연통되어 퇴수로(40)가 대응결합되도록 하는 홀이다.
상기 퇴수로(40)는 관말단(P)에서 설치몸체(22)로 이동된 물을 밸브실(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강관으로, 퇴수관(41), 고정판(42)으로 구성된다.
상기 퇴수관(41)은 전술된 개폐수단(30)의 바디부((31)에 천공된 체결홀(34)에 끼워져, 수직으로 착탈가능하게 직립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수단(30)이 개방시 관말단(P)의 적수 및 사수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수의 관이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바디부((31)에 연결되는 연결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할수도 있음이다.
상기 고정판(42)은 퇴수관(41)과 개폐수단(30)의 외주연이 각각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홀(43)이 천공형성된 판재로써, 2개의 각 홀(43)이 상기 퇴수관(41)과 개폐수단(30)의 외주연에 대응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퇴수관(41)과 개폐수단(30)이 사전설정간격으로 유지되며 벌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개폐수단(30) 및 퇴수로(40)는 밸브실(10)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밸브실(10)의 커버(11) 부분에 인접한 부분까지 수직연장형성되어, 밸브실(10)의 커버(11)를 개방한 후, 곧바로 개폐수단(30)의 회전을 통한 개폐제어 및 퇴수로(40) 상단의 덮개를 개방한 후 소방호스 등을 연결하여 밸브실(10) 외부로 적수 및 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 이토밸브(50)는 퇴수로(40)측과 대응되는 설치몸체(22)의 원호부(23) 저면에 설치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에 대응설치되어, 상기 설치몸체(22) 내에 잔여되는 물 및 이물질을 설치몸체(22)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서, 이러한 관 이토밸브(50)는 몸체부(51), 천공홀(53), 수평홀(55), 탄성부재(56), 오링(48, O-Ring), 걸림부(59)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51)는 설치부(27) 내에 상단이 대응되며 끼움고정되는 것으로, 중단에 걸림턱(5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52)까지 몸체부(51)가 설치부(27)에 끼움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몸체부(51)는 설치부(27)에 나사체결되거나, 외주연에 볼팅을 통해 설치부(27)와 고정되는 등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설치부(27)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천공홀(53)은 몸체부(51)의 중앙 내부를 수직 관통하되, 중단에 턱(54)이 형성되며 상단부의 직경보다 하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홀이다.
상기 수평홀(55)은 설치부(27) 외부로 돌출 몸체부(51)의 하단에서, 상기 천공홀(53)에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외주연에 수평천공되는 홀이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천공홀(53)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이며, 상기 볼부재(57)는 천공홀(53) 내부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탄성부재(56) 상부에 설치되는 볼이며, 이러한 천공홀(53) 내부에서 완전히 천공홀(53)을 막지않고 천공홀(53) 내에서 승, 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오링(58)은 천공홀(53) 내부 턱(54)에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57) 접촉시 볼 주변을 밀폐하여 천공홀(53)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것이며, 상기 끼움부(59)는 몸체부(51)의 최상단의 외주연에서 내부로 별도의 핀이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부분으로, 상기 천공홀(53) 내에서 승하강되는 볼부재(57)가 몸체부(51)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 이토밸브(50)는 개폐수단(30)이 개방되어 관말단(P) 내 물이 퇴수로(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에는,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의 볼부재(57)가 탄성부재(56)를 압축시키고, 볼부재(57)는 오링(58)에 접촉되면서 천공홀(53)을 밀폐하고, 상기 퇴수로(40)를 통한 퇴수공정이 완료되어 개폐수단(30)이 밀폐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56)가 원상복귀되면서 천공홀(53)을 밀폐하고 있는 볼부재(57)를 밀어올려, 볼부재(57) 주변으로 설치몸체(22) 내의 잔존되어 있는 물이 천공홀(53)과 수평홀(55)을 통해 설치몸체(22)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밸브실 11: 커버
20: 일체형 몸체부 21: 연결몸체
22: 설치몸체 23: 원호부
24: 수직부 25: 연통부위
26: 지지몸체 30: 개폐수단
31: 바디부 32: 개폐부
33: 디스크 34: 체결홀
40: 퇴수로 41: 퇴수관
42: 고정판 43: 홀
50: 관 이토밸브
P: 관말단

Claims (7)

  1. 상수도 배관의 관말단(P)이 내설된 소구경 밸브실(10)에 설치되는 퇴수밸브이며,
    상기 밸브실(10) 내에서 관말단(P)에 수평으로 일단이 연통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밸브실(10) 상부를 향해 90도 직각으로 절곡되는 연결몸체(21);
    상기 연결몸체(21)의 상부에서 연결몸체(21)와 연통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몸체(21)의 직경보다 넒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몸체(21)와 연통되는 연통부위(2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30)과, 상기 개폐수단(30)과 상호간 수평을 이루면서 밸브실(10) 내에 직립설치되어, 개폐수단(30)이 개방시 관말단(P)의 적수 및 사수가 밸브실(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퇴수로(40)가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몸체(22);
    상기 설치몸체(22)의 외측 저면에서부터 밸브실(10)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고정되어, 상기 설치몸체(22) 및 연결몸체(21)를 고정지지하는 지지몸체(26); 가 주철제작으로 상호간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일체형 몸체부(20)를 가지며,
    상기 설치몸체(22)는
    일측 외주연은 상부를 향해 완만한 원호형태를 가지는 원호부(23)로 형성되어, 연통부위(25)의 물이 퇴수로(40)를 향해 완만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외주연은 상부를 향해 수직을 이루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24)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설치몸체(22)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설치몸체(22)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역할을 하는 바디부((31);
    상기 바디부((31)에 설치몸체(22)의 연통부위(25)와 수직선상을 이루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에는 상기 연통부위(25)를 개폐시키는 디스크(33)가 설치되는 개폐부(32);
    상기 설치몸체(22)의 원호부(23)가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31)에 천공연통되어 퇴수로(40)가 대응결합되도록 하는 체결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퇴수로(40)는
    상기 개폐수단(30)의 바디부((31)에 수직으로 착탈가능하게 직립설치되어, 개폐수단(30)이 개방시 관말단(P)의 적수 및 사수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관이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바디부((31)에 연결되는 연결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퇴수관(41);
    상기 퇴수관(41)과 개폐수단(30)의 외주연이 각각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홀(43)이 형성되어, 상기 퇴수관(41)과 개폐수단(30)의 외주연에 대응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퇴수관(41)과 개폐수단(30)이 사전설정간격으로 유지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판(42);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몸체(22) 내부에서 개폐수단(30)의 디스크(33)가 접촉되는 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상기 퇴수로(40)측과 대응되는 설치몸체(22)의 원호부(23) 저면에 설치부(27)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설치부(27)에 대응설치되어, 상기 설치몸체(22) 내에 잔여되는 물 및 이물질을 설치몸체(22)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 이토밸브(50); 가 더 구비되되,
    상기 관 이토밸브(50)는
    상기 설치몸체(22)의 외주연에 저면에 돌출된 설치부(27) 내에 상단이 대응되며 끼움고정되는 몸체부(51);
    상기 몸체부(51)의 중앙 내부를 수직 관통하되, 중단에 턱(54)이 형성되며 상단부의 직경보다 하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천공홀(53);
    설치부(27) 외부로 돌출 몸체부(51)의 하단에서, 상기 천공홀(53)에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외주연에 수평천공되는 수평홀(55);
    상기 천공홀(53)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56);
    상기 천공홀(53) 내부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탄성부재(56) 상부에 설치되는 볼부재(57);
    상기 천공홀(53) 내부 턱(54)에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57) 접촉시 볼 주변을 밀폐하여 천공홀(53)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오링(58);
    상기 몸체부(51)의 최상단에서 몸체부(51) 내부로 핀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공홀(53) 내에서 승하강되는 볼부재(57)의 외부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부(59);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 이토밸브(50)는
    상기 개폐수단(30)이 개방되어 관말단(P) 내 물이 퇴수로(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에는,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의 볼부재(57)가 탄성부재(56)를 압축시키고, 볼부재(57)는 오링(58)에 접촉되면서 천공홀(53)을 밀폐하고,
    상기 퇴수로(40)를 통한 퇴수공정이 완료되어 개폐수단(30)이 밀폐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56)가 원상복귀되면서 천공홀(53)을 밀폐하고 있는 볼부재(57)를 밀어올려, 볼부재(57) 주변으로 설치몸체(22) 내의 잔존되어 있는 물이 천공홀(53)과 수평홀(55)을 통해 설치몸체(22)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56317A 2020-05-12 2020-05-12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KR10218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17A KR102189453B1 (ko) 2020-05-12 2020-05-12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17A KR102189453B1 (ko) 2020-05-12 2020-05-12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453B1 true KR102189453B1 (ko) 2020-12-14

Family

ID=7378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317A KR102189453B1 (ko) 2020-05-12 2020-05-12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4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164U (ko) * 1997-11-29 1999-06-25 김재호 소화전용제수밸브관
KR200209705Y1 (ko) * 2000-07-22 2001-01-15 신부인 소화전의 퇴수장치
JP2006518816A (ja) * 2003-02-08 2006-08-17 ドー スク カン 消火栓システム
KR20090060727A (ko) 2007-12-10 2009-06-15 안재엽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164U (ko) * 1997-11-29 1999-06-25 김재호 소화전용제수밸브관
KR200209705Y1 (ko) * 2000-07-22 2001-01-15 신부인 소화전의 퇴수장치
JP2006518816A (ja) * 2003-02-08 2006-08-17 ドー スク カン 消火栓システム
KR20090060727A (ko) 2007-12-10 2009-06-15 안재엽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823B2 (en) Non-return valve
US5722458A (en) Valve for clearing air conditioning drain lines
US20150176261A1 (en) Valve device for waste pipe
US8973599B2 (en) Wall hydrant with integral shut-off valve
US20210268412A1 (en) Strainer for steam trap apparatus
KR102189453B1 (ko)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AU2016384266B2 (en) Valve armature for the filling of a sanitary cistern and sanitary cistern having a valve armature of this type
US20160258141A1 (en) Wall hydrant with integral shut-off valve
KR200403467Y1 (ko) 수도계량기 밸브의 역류방지장치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2368134B1 (ko)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EP1973626A1 (en) Strainer device
KR102236012B1 (ko)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US9504214B1 (en) Anti-siphon valve with freeze protection
CN207959396U (zh) 坐便器进水直通管
KR100215395B1 (ko) 모래집진밸브
CN107386388B (zh) 一种下水管密封配件及其专用接头
US2295986A (en) Vacuum breaker for water systems
CN104941299B (zh) 管道式过滤装置
JP6608412B2 (ja) 洗浄栓
US1708465A (en) Backwater-intercepting tile-drain sump
JP3764571B2 (ja) 散水栓用箱
JP6035471B2 (ja) 排水配管
KR20190129157A (ko) 밸브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