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727A -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 Google Patents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727A
KR20090060727A KR1020070127650A KR20070127650A KR20090060727A KR 20090060727 A KR20090060727 A KR 20090060727A KR 1020070127650 A KR1020070127650 A KR 1020070127650A KR 20070127650 A KR20070127650 A KR 20070127650A KR 20090060727 A KR20090060727 A KR 2009006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charge
pipe
wat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엽
최윤경
Original Assignee
안재엽
최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엽, 최윤경 filed Critical 안재엽
Priority to KR102007012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0727A/ko
Publication of KR2009006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3Arrangement for testing of watertightness of water supply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7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r detection of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탐지새들 및 누수탐지새들이 부착된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탐지새들은,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퇴수관에 설치되어 퇴수관을 개폐하는 퇴수밸브의 물 새어나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퇴수관을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퇴수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과의 연결을 위한 삽입공 및 상기 퇴수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과의 연결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링부재와, 배출공을 폐쇄하는 방향 및 개방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가능 하도록 커플링부재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부재 및 배출공에 연결되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부와, 연결관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축과, 승강축에 결합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며, 누수탐지새들이 부착되어 있다. 즉, 연결관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결합공과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수탐지새들은 유출공을 폐쇄하는 방향 및 개방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가능 가능하도록 연결관부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부재와, 배수공에 연결되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Saddle for detecting a water leakage and Drainage val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퇴수관에 설치된 퇴수밸브의 물 새어나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누수탐지새들 및 누수탐지새들 기능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퇴수관과 퇴수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퇴수밸브의 설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오랜 기간 사용하여 낙후된 상수도관(1)을 새롭게 교체하는 경우 또는 상수도관의 관로 청소를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세척수 등의 오염된 물은 상수도의 관로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오염된 물을 상수도관(1)으로부터 하수도(2)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을 이른바 퇴수관(3, 退水管)이라 한다.
한편, 상수도관(1)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4,5)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퇴수관(3)은 이 밸브들(4,5)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퇴수관(3)에도 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6)가 설치되는데, 이 밸브(6)는 퇴수관(3)에 설치된다고 하여 특히 퇴수밸브라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수밸 브(6)가 설치된 지점에는 맨홀(h)을 형성하여 관리자가 퇴수밸브(6)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도시스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수도관을 교체하거나 청소한 후에는 관로에 남아 있는 오염수를 하수도로 배출시켜야 하는데, 상수도관(1)의 양단에 마련된 밸브(4,5)를 폐쇄시켜 단수를 시킨 후 퇴수밸브(6)를 개방하여 오염수가 하수도(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오염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퇴수밸브(6)를 폐쇄하고 단수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수도시스템에서 퇴수밸브(6)는 일상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퇴수밸브(6)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경우 퇴수밸브(6)를 통하여 상수도관의 물이 하수도로 새어나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하수도가 상수도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하수도로부터 상수도관으로 하수가 역류할 수 있어 상수가 오염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퇴수밸브(6)를 통하여 물이 새어나가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누수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 청음에 의존함으로써 많은 한계가 있었다. 즉, 관리자는 퇴수밸브(6)가 배치된 맨홀(h)의 맨홀뚜껑(c)을 열고 청음봉(미도시)을 퇴수밸브(6)에 접촉시켜 물이 새어나가는 소리가 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물이 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청음봉을 이용한 방식은 새어나가는 물의 량이 많은 경우에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새어나가는 물의 양이 적은 경우 또는 퇴수밸브가 깊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정확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으로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누수탐지새들 및 누수탐지새들 기능이 일체로 부착되어 누수탐지가 용이한 퇴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탐지새들은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퇴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퇴수관을 개폐하는 퇴수밸브의 물 새어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퇴수관을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퇴수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과의 연결을 위한 삽입공 및 상기 퇴수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과의 연결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링부재,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는 방향 및 개방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가능 하도록 상기 커플링부재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부재 및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는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퇴수관에 접속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결합공과 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을 폐쇄하는 방향 및 개방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가 능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관부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부재와, 상기 배수공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수탐지새들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탐지새들과 누수탐지새들 일체형 퇴수밸브는 종래와 같이 청음에 의존하여 물 새어나감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신뢰성이 저하되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퇴수밸브의 물이 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누수확인의 신뢰성과 용이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누수탐지새들을 이용하여 상수의 물을 채집할 수 있어 상수의 수질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탐지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탐지새들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수탐지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탐지새들(100)은 커플링부재(10), 디스크부재(20) 및 배수관(30)을 구비한다.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퇴수관(3)이 마련되며, 이 퇴수관(3)에는 이른바 퇴수밸브(6)가 설치된다. 퇴수밸브(6)는 일반 밸브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퇴수관에 설치된다고 하여 특히 퇴수밸브라 한다. 한편, 퇴수관(3)에는 제1관통공(7)과 제2관통공(8)이 형성된다. 상기 제1,2관통공(7,8)은 모두 퇴수관(3)을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관통공(7)은 퇴수관(3)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관통공(8)은 퇴수관(3)의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관통공(8)은 제1관통공(7)의 직하방 즉, 제1관통공(7)과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된다.
커플링부재(10)는 퇴수밸브(6)와 하수도 사이의 퇴수관(3)에 설치된다. 커플링부재(10)는 상부커플링(11)과 하부커플링(12)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커플링(11)과 하부커플링(12)은 각각 퇴수관(3)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그 중앙부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커플링(11)의 양단부와 하부커플링(12)의 양단부에는 각각 관통공(1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플링(11)과 하부커플링(12)이 퇴수관(3)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3,14)을 통해 삽입된 볼트(15)에 너트(16)를 체결함으로써 상부커플링(11)과 하부커플링(12)은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부커플링(11)의 중앙부에는 삽입공(17)이 마련된다. 이 삽입공(17)은 상부커플링(11)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퇴수관(3)에 마련된 제1관통공(7)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즉, 상부커플링(11)이 퇴수관(3)에 설치되면, 상부커플링(11)의 삽입공(17)은 퇴수관(3)의 제1관통공(7)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이들은 상호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하부커플링(12)의 중앙부에도 배출공(18)이 마련된다. 이 배출공(18)은 하부커플링(12)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퇴수관(3)의 하측에 마련된 제2관통공(8)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즉, 하부커플링(12)이 퇴수관(3)에 설치되면, 하부커플링(12)의 배출공(18)은 퇴수관(3)의 제2관통공(8)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이들은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퇴수관(3) 제1,2관통공(7,8) 및 커플링부재(10)의 삽입공(17)과 배출공(18)은 모두 동일한 직선상에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하부커플링(12) 배출공(18)의 직경은 퇴수관(3) 제2관통공(8)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부커플링(11)의 상측과 하부커플링(12)의 하측에는 각각 너트부재(19a,19b)가 결합된다. 이 너트부재(19a,19b)는 각각 후술할 디스크부재(20) 및 배수관(3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너트부재(19a,19b)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부재(20)는 퇴수관(3)의 배출공(18)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크축(21)과 디스크(22)를 구비한다. 디스크축(21)은 봉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축(21)은 상부커플링(11)의 너트부재(19a)와 삽입공(17)에 함께 끼워지며, 너트부재(19a)에 나사결합된다.디스크축(21)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하부커플링(12)의 배출공(17) 쪽으로 하강하며,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승되어 배출공(17)으로부터 이격된다.
디스크(22)는 디스크축(21)의 하부에 결합된다. 디스크(22)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서 디스크축(21)의 하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그 직경은 퇴수관(3)의 제2관통공(8) 보다는 작고 하부커플링(12)의 배출공(18)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축(21)이 하강시 디스크(22)는 퇴수관(3)의 제2관통공(7) 을 통과하여 하부커플링(12)의 배출공(18)을 폐쇄시키며, 디스크축(21)이 상승시 함께 상승되어 배출공(18)을 개방시킨다.
또한, 디스크축(21)에는 핸들(24)이 끼워져 디스크축(2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핸들(24)은 디스크축(21)의 상부에 형성된 매개부(23)에 끼워진다.
상기 배수관(30)은 하부커플링(12)의 배출공(18)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공(18)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30)은 배출공(18)과 연결되며, 디스크축(21)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연결부(31)와, 연결부(31)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져 연장되는 연장부(32)를 구비한다.
연결부(3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커플링(12)에 부착되어 있는 너트부재(19b)에 나사결합된다. 연장부(32)의 길이는 퇴수관(3)의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수관(30)의 연장부(32)는 퇴수관(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퇴수관(3)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데, 예컨대 관리자가 맨홀 뚜껑을 열고 퇴수관(3)의 상방에서 하방을 바라보았을 때 연장부(32)의 길이가 길면 배수관 연장부(32)의 끝 부분이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관(30)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배수관 연장부(32)의 길이가 짧으면, 퇴수관(3)에 의하여 배수관(30)이 가려져 물이 새어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30)의 연장부(32)는 퇴수관(3)의 중앙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므로, 적어도 퇴수관(3)의 반경(퇴수관의 폭의 절반)보다 크면 배수관(30) 연장부(32)의 끝단이 퇴수관(3)으로부터 돌출되므로 물이 새어나가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누수탐지새들(100)은 실링부재(40)를 구비한다. 실링부재(40)는 하부커플링(12)의 제2관통공(18)을 통해 배출된 물이 퇴수관(3)의 내주면과 하부커플링(12)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링부재(4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퇴수관(3)과 하부커플링(12)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부재(4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제2관통공(18)의 주변을 둘러싸며 배치됨으로써, 제2관통공(18)을 통해 배출된 물은 누수되지 않고 배출공(18)을 통해 배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누수탐지새들(1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수도와 하수도를 연결하는 퇴수관(3)에 설치된 퇴수밸브(6)가 퇴수관(3)을 완전히 폐쇄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수도관으로부터 흘러 나온 물은 퇴수밸브(6)를 거쳐 하수도로 이동된다. 이렇게 누수된 물은 퇴수관(3)을 따라 진행하는 중 본 발명에 따른 누수탐지새들(100)이 설치된 영역을 지나게 되는데, 누수탐지새들(100)에서 디스크축(21)을 상승시켜 퇴수관(3)의 제2관통공(8)과 하부커플링(12)의 배출공(18)을 개방시켜 놓으면, 누수된 물 중 일부는 배출공(18)을 통해 유출되고 배수관(30)을 통해 가이드되어 배출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배수관(30)을 통해 물이 유출되는지를 통해 퇴수밸브(6)의 물이 새어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새어나가는지 여부의 확인과는 별도로 상수도의 수질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퇴수밸브(6)를 열어 상수를 퇴수관(3) 쪽으로 흐르게 한 뒤에 배수관(30)을 통해 나오는 상수를 샘플로 채집하여 상수의 수질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누수탐지새들(100)이 퇴수밸브(6)와는 별도로 퇴수관(3)에 설치되 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누수탐지새들(100)은 반드시 위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퇴수관(3)에 종래의 퇴수밸브가 설치된 경우라면, 퇴수관(3)에 제1,2관통공(7,8)을 뚫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누수탐지새들(100)을 설치하여야 겠지만, 퇴수관에 새롭게 퇴수밸브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탐지새들이 일체로 부착된 퇴수밸브를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20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수밸브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200)는 후술할 누수탐지새들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점에서 차이가 나지만, 그 외의 구성은 기존의 밸브와 동일하다. 즉, 퇴수밸브(300)는 중공형으로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부(51)를 구비한다. 연결관부(51)의 양단에는 플랜지부(52,53)가 마련되어 퇴수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호 나사결합된다. 연결관부(51)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봉형의 승강축(미도시)이 설치되며, 승강축의 하단에는 밸브체(미도시,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짐)가 결합된다. 승강축과 함께 상기 밸브체(미도시)가 하강하면 연결관부(51)의 유로가 폐쇄되며, 역으로 밸브체가 상승하면 유로가 개방된다. 미설명한 참조번호 54는 나사결합된 승강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200)는 누수탐지새들을 더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발명에서의 누수탐지새들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 한 누수탐지새들과 그 작용은 동일하지만 커플링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발명에서 구비하는 누수탐지새들은 연결관부(50)의 상부 및 하부에 직접 결합공(55)과 유출공(56)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부재(20) 및 배수관(3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공(55)과 유출공(56)의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부재(19a,19b)를 부착하여 나사결합이 공고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결합공(55)과 유출공(56)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너트부재(19a,19b)만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으며, 역으로 너트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결합공(55)과 유출공(56)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명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의 디스크부재(20)는 결합공(55)에 나사체결되어 승강되며, 배수관(30)은 유출공(56)에 체결되는 점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1은 퇴수관과 퇴수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퇴수밸브의 설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탐지새들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수탐지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수밸브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누수탐지새들 200 ... 누수탐지새들이 구비된 퇴수밸브
3 ... 퇴수관 6 ... 퇴수밸브
10 ... 커플링부재 11 ... 상부커플링
12 ... 하부커프링 20 ... 디스크부재
21 ... 디스크축 22 ... 디스크
24 ... 핸들 30 ... 배수관
31 ... 연결부 32 ... 연장부

Claims (6)

  1.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퇴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퇴수관을 개폐하는 퇴수밸브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퇴수관을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퇴수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과의 연결을 위한 삽입공 및 상기 퇴수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과의 연결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링부재;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는 방향 및 개방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가능 하도록 상기 커플링부재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부재; 및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재는,
    봉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공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축과, 상기 디스크축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새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축은 상기 삽입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디스크축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새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출공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디스크부재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퇴수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새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퇴수관과 커플링부재의 사이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공을 감싸며 상기 퇴수관과 커플링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탐지새들.
  6. 상수도관과 하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퇴수관에 접속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퇴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결합공과 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을 폐쇄하는 방향 및 개방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가능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관부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크부재와, 상기 배수공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수탐지새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수밸브.
KR1020070127650A 2007-12-10 2007-12-10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KR20090060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650A KR20090060727A (ko) 2007-12-10 2007-12-10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650A KR20090060727A (ko) 2007-12-10 2007-12-10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727A true KR20090060727A (ko) 2009-06-15

Family

ID=4099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650A KR20090060727A (ko) 2007-12-10 2007-12-10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07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6211A (zh) * 2017-07-28 2017-12-05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适用于直通式截止阀的气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189453B1 (ko) 2020-05-12 2020-12-14 (주) 삼진정밀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KR102236012B1 (ko) 2020-05-12 2021-04-06 (주) 삼진정밀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KR20220005186A (ko) 2020-07-06 2022-01-13 (주) 삼진정밀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6211A (zh) * 2017-07-28 2017-12-05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适用于直通式截止阀的气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189453B1 (ko) 2020-05-12 2020-12-14 (주) 삼진정밀 소구경 밸브실용 배수관말 일체형 퇴수밸브
KR102236012B1 (ko) 2020-05-12 2021-04-06 (주) 삼진정밀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KR20220005186A (ko) 2020-07-06 2022-01-13 (주) 삼진정밀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571B2 (ja) 排水ます及びこれを備えた排水設備
EP3434833B1 (en) Simplified method for testing a backflow preventer assembly
KR20090060727A (ko)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KR20140057771A (ko) 배관의 수압테스트 장치
JP4872867B2 (ja) 洗面ボウルの排水構造
KR102294906B1 (ko) 점검구겸 세척 퇴수 제수밸브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JP2014196605A (ja) 配管装置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JP2010024687A (ja) 逆流防止弁およびその設置方法
US10948374B2 (en) Tub overflow drain test system
JP4548201B2 (ja) 接続装置
KR101944464B1 (ko) 산업용 밸브의 수밀 검사장치
KR101126841B1 (ko) 상수도용 토탈 채수 장치
KR20210047520A (ko) 관로 점검장치
KR101995252B1 (ko) 온냉수용 수도꼭지
KR102629407B1 (ko) 수도법 시행령 규제 대응을 통한 복합기능 일체형 부단수 밸브
KR102236012B1 (ko)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KR102564900B1 (ko) 휴대용 상수 필터 테스터기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JP7115736B2 (ja) 継手部材
CN219104054U (zh) 一种管道检测装置
US1159950A (en) Drainage-system t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