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35Y1 - 교류전원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교류전원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35Y1
KR920002335Y1 KR2019890008326U KR890008326U KR920002335Y1 KR 920002335 Y1 KR920002335 Y1 KR 920002335Y1 KR 2019890008326 U KR2019890008326 U KR 2019890008326U KR 890008326 U KR890008326 U KR 890008326U KR 920002335 Y1 KR920002335 Y1 KR 920002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switch
diod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733U (ko
Inventor
전창근
Original Assignee
전창근
정홍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근, 정홍렬 filed Critical 전창근
Priority to KR2019890008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335Y1/ko
Publication of KR910001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specially adapted for switching ac currents or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1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전원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 회로도.
제 2 도는 부하회로를 접속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단락용 스위치 S2 : 차단용 스위치
T1, T2 : 실리콘제어정류기(SCR) D1 : 브리지다이오드
D2, D3 : 다이오드 D4 : 제너다이오드
C1~C4 : 콘덴서 TF : 트랜스포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교류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대상의 교류전원을 제어용 전원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제어용 전원전압을 인가할 필요성을 배제하여 제어용 전원전압을 인가하는데 필요한 외부 배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교류전원제어소자의 공급되는 동작전원제어용 스위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는 교류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는 고압대전류의 교류전원을 제어(ON, OFF)하기 위하여 릴레이나 무접점스위치를 제어대상의 교류전원측에 설치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제어방식에서는 교류전원제어소자에 외부로부터 별도의 동작전원을 공급해 주어야만 제어동작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교류전원제어소자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전원제어용 스위치를 제거해서는 교류전원제어회로를 무접점화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동작전원제어용 스위치로는 기계식 스위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기계식 스위치는 접점의 마모나 파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접속불량등의 오동작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제어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배선을 필요하게 되어 배선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어대상의 교류전원을 제어용 전원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제어용 전원전압을 배제함으로써 제어용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동작전원제어용 스위치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는 교류전원제어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자(a, b)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D1)와, 이 브리지다이오드(D1)의 양단(c, f)에 흐르는 전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교류전원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맥류가 다이오드(D3)를 매개로 공급되어 충전되면서 그 충방전에 의해 실리콘 제어정류기(T2)의 도통상태를 유지시키는 콘덴서(C2)와, 일단이 상기 실리콘 제어정류기(T2)의 게이트를 연결되면서 타단이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2)를 도통시킴으로써 부하로 교류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락용 스위치(S1), 일단이 상기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실리콘제어정류기(T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1)를 도통시킴으로써 부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용 스위치(S2) 및, 콘덴서(C1)를 역전위로 충전시키는 트랜스 포머(TF)와 다이오드(D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단락용 스위치(S1)를 온시키면 실리콘제어정류기(T2)가 도통되어 본 장치와 연결된 부하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차단용 스위치(S2)를 온시키면 실리콘제어정류기(T1)가 도통되어 콘덴서(C1)가 방전되며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1, T2)를 차단함으로써 교류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회로도로서 브리지다이오드(D1)의 단자(a, b)에는 교류전원이 인가되고, 이 교류전원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되어 접점(f)과 접점(c)간에 맥류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단락용 스위치(S1)와 차단용 스위치(S2)가 오프되어 실리콘제어정류기(T1, T2)가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접점(f)와 접점(c)간에 맥류가 인가되면[즉, 교류전원이 브리지다이오드(D1)의 단자(a, b)로 인가되면] 다이오드(D3)를 통해 콘덴서(C2)가 충전되기 시작하고, 소정 시간 경과후 상기 콘덴서(C2)의 충전이 완료되면, 이 콘덴서(C2)에는 더이상의 충전전류가 흐를 수 없게 되고, 이때에는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1, T2)가 모두 차단상태에 있음으로써 결국, 상기 단자(a, b)간에는 전류가 흐를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S1, S2)가 모두 오프된 초기 상태에서는 교류전원제어회로가 차단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교류전원제어회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단락용 스위치(S1)를 온시키면 차단되어 있던 접점(f)가 접점(c)간이 단락되면서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맥류가 저항(R2)과 단락용 스위치(S1)를 통해 실리콘제어정류기(T2)의 게이트단자에 전달되어 이 실리콘제어정류기(T2)가 도통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실리콘제어정류기(SCR)는 그 양단에 전위가 0전위로 되면 차단상태로 되는 소자인 바, 상기 접점(f)과 접점(c)간에 나타나는 맥류가 0전위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2)가 차단되는데, 상기 단락용 스위치(S1)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접점(f, c)간에 흐르는 맥류가 0전위로 됨으로써 계속적인 도통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본 회로는 초기상태에서 상기다이오드(D3)를 통해 상기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위가 저항(R1)을 통해 흐름으로써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2)는 계속적으로 도통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단자(a, b)간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접점(e)과 접점(f)간에 흐르는 맥류의 교류분이 트랜스포머(TF)와 다이오드(D2)를 통해 콘덴서(C1)에 역전위로 충전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용 스위치(S2)를 온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맥류가 저항(R2)과 차단용 스위치(S2)를 통해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1)의 게이트단자에 전달되어 이 실리콘제어정류기(T1)가 도통되어 상기 콘덴서(C1)가 방전됨으로써 접점(c)과 접점(e)의 양단이 0전위로 된다. 이에따라,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2)가 차단되는 한편 상기 콘덴서(C1)의 방전이 완료되면 실리콘제어정류기(T1)도 차단되므로 결국, 상기 차단용 스위치(S2)를 온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교류전원제어회로는 차단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제너다이오드(D4)는 단락용 스위치(S1)와 차단용 스위치(S2)의 양단을 일정전압(예컨대, 제너다이오드의 고유특성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콘덴서(C3, C4)는 상기 스위치(S1, S2)의 온/오프동작시 발생되는 스파크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저항(R2)은 그 저항치가 수 MΩ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S1, S2)에 소량의 전류만이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스위치(S1, S2)로는 저전압용의 푸시버튼형 소형스위치 또는 감압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무접점스위치 및 반도체감지소자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도는 부하회로를 접속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교류전원제어회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와 접속되어 있으면서 부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게 되는바, 이때 단락용 스위치(S1)와 차단용 스위치(S2)를 각각 사용해서 부하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ON/OFF)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는바, 예컨대 상기 제 1 도의 전체회로도에서 저항(R2)과 제너다이오드(D4)를 제거하고, 상기 스위치(S1, S2)가 접점(d)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접점(e)으로 바꾸어 연결하면, 상기 스위치(S1, S2)를 피에조스위치로 대치할 수 있어 회로의 누설전류를 없앨 수 있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어대상의 교류전원을 제어용 전원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제어용 전원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용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은 물론, 교류전원제어소자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제어용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도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기계식 스위치를 동작 전원제어용 스위치로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접속불량등의 오동작과 불필요한 배선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단자(a, b)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D1)와, 이 브리지다이오드(D1)의 양단(c, f)에 흐르는 전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교류전원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맥류가 다이오드(D3)를 매개로 공급되어 충전되면서 그 충방전에 의해 실리콘제어정류기(T2)의 도통상태를 유지시키는 콘덴서(C2)와, 일단이 상기 실리콘 제어정류기(T2)의 게이트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2)를 도통시킴으로써 부하에 교류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락용 스위치(S1), 일단이 상기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실리콘제어정류기(T2)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실리콘제어정류기(T1)를 도통시킴으로써 부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용 스위치(S2) 및, 콘덴서(C1)를 역전위로 충전시키는 트랜스포머(TF)와 다이오드(D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전원 제어회로.
KR2019890008326U 1989-06-16 1989-06-16 교류전원제어회로 KR920002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326U KR920002335Y1 (ko) 1989-06-16 1989-06-16 교류전원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326U KR920002335Y1 (ko) 1989-06-16 1989-06-16 교류전원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733U KR910001733U (ko) 1991-01-25
KR920002335Y1 true KR920002335Y1 (ko) 1992-04-09

Family

ID=1928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326U KR920002335Y1 (ko) 1989-06-16 1989-06-16 교류전원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3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380B1 (ko) * 2021-01-21 2022-09-02 이용운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733U (ko) 199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871A (en) Power supply with inrush current limiter
US6356423B1 (en) Soild state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 apparatus
KR100633847B1 (ko) 인버터 장치
CA2093064C (en) Contact status monitor
US5146386A (en) Electronic monitoring and redundant control circuit for a power switch
JPH08140260A (ja) 電源装置
US20020057078A1 (en) Protective circuit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0168691B (zh) 消弧装置
JPH0250707B2 (ko)
JPH0956058A (ja) 突入電流防止機能を有する回路装置
KR920002335Y1 (ko) 교류전원제어회로
US4021683A (en) Electronic switching circuits
KR20190093554A (ko) 과전압 보호기
JPH081823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030156B2 (ja) 過電圧防止回路を有する家庭用降圧装置
KR0119447Y1 (ko) 서지전압검출시 전원공급차단회로
KR920002336Y1 (ko) 교류전원제어장치
GB1576096A (en) Load protection circuit arrangements
JPS63178759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970005104Y1 (ko) 과전류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KR890008925Y1 (ko) 대용량 기기의 과전압 방지 회로
JPH0226235Y2 (ko)
KR940006437Y1 (ko) 전자기기의 스위치조작시 스파크발생 방지회로
KR0123391Y1 (ko) 전자기기의 부하 전원 차단 장치
SU15276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состо ни предохрани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