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616B1 - 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616B1
KR100871616B1 KR1020070074025A KR20070074025A KR100871616B1 KR 100871616 B1 KR100871616 B1 KR 100871616B1 KR 1020070074025 A KR1020070074025 A KR 1020070074025A KR 20070074025 A KR20070074025 A KR 20070074025A KR 100871616 B1 KR100871616 B1 KR 10087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reservoir
supp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07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67D7/362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combined with over-fill preventing means
    • B67D7/365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combined with over-fill preventing means using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67D2001/1261Fluid level control devices the level being detected mechan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 공급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수조로부터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저수조 내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 및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1 플로트가 구비되는 제 1 플로트 어셈블리; 및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2 플로트가 구비되는 제 2 플로트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플로트는 상기 제 2 플로트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에 의하여, 저수조 내의 일 플로트가 파손 되더라도 다른 플로트가 작동되어 물이 저수조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수조 내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된 경우, 물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안전한 물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 공급 장치, 플로트 어셈블리, 플로트

Description

물 공급 장치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본 발명은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로트가 사용되는 물 공급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수조 내의 물의 수위에 따라서 저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플로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공급 장치는 냉수와 온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와, 냉수 또는 온수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정수기 등으로 대별된다.
또한, 정수기나 냉온수기의 저수조는 일정 수위의 물이 유지되도록 물이 공급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서 물의 공급이 계속되거나 차단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수조의 물 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물의 수위에 따라서 작동하는 플로트(Float), 볼 탭(Ball Tap) 또는 부구 등이 설치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플로트 밸브는 인입구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저수조의 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되면, 플로트가 물에 의해 부력을 받아 상승되면 플로트와 연결된 지지대에 의하여 밸브가 폐쇄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저수조의 물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플로트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지지대에 의하여 밸브가 개방되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다만, 종래에는 상기 플로트 밸브가 고장난 경우, 예를 들어 플로트와 밸브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저수조 내부로 물이 유출되는 유출공이 파손되는 경우 물 공급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수조 내부의 물이 안전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고, 결국 외부로 넘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물 공급 장치의 물 공급관이 차단되고, 플로트 밸브가 교체되기 전까지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물 공급 장치의 저수조에서 수위 조절을 위한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수조로부터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저수조의 물이 만수시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안전한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저수조 내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 및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1 플로트가 구비되는 제 1 플로트 어셈블리; 및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2 플로트가 구비되는 제 2 플로트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플로트는 상기 제 2 플로트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물 공급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로 물을 공급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1 플로트가 포함되는 제 1 플로트 밸브; 및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2 플로트 및 상기 공급부에서 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포함되는 제 2 플로트 밸브가 포함되며,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은 상기 제 2 바디부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바디부를 통과하고, 그 이후에 상기 저수조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물 공급 장치의 저수조 내에 구비되는 수위 조절을 위한 플로트 어셈블리, 즉 플로트 밸브의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2차적인 플로트 밸브가 작동됨으로써 물이 저수조 외부로 넘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수조 내의 물이 만수가 된 경우, 물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안전한 물 공급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플로트 어셈블리가 저수조의 양측에서 상하 높이를 두고 설치됨으로써 저수조의 공간 활용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플로트 어셈블리가 구비된 물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3)와, 상기 저수조(13)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저수조(13) 내로 유입될 물이 이동되기 위한 공급관(12)과, 상기 공급관(1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물이 상기 공급관(12) 내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상기 공급관(1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물이 저수조 내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와, 상기 유입부(11)와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공급관(12)과 연결되는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저수조(13)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이며, 상기 냉수조(13)의 하측에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13)와 온수조는 온수 연결관(14)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상기 냉수조(13)의 양측에는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장치(15)가 제공된다. 그리고, 물은 상기 냉각 장치(15)에 의해 냉각되어 취출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로트 어셈블리(20,30)는 상기 저수조(13)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달리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어셈블리(20,30)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플로트(후술)가 포함되며, 상기 플로트에 의해 물의 공급이 유지되거나 차단된다. 즉, 상기 플로트 어셈블리(20,30)는 물의 부력에 의해 작동되어 물의 유량이 제어되도록 하는 플로트 밸브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어셈블리(20,30)는 상기 공급관(12)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10)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와,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의 구조와 작동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로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는 상기 공급관(12)의 일측 단부와 연통되는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에 연결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1 플로트(220)와, 상기 바디부(210)와 제 1 플로트(220)에 연결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부(22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바디부(210)의 상단에는 상기 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가 상기 공급관(12)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213)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0)의 하단에는 상기 바디부(210)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수조(13)로 낙하되도록 하는 유출공(2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상기 제 1 연결부(22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플로트(220)에는 상기 제 1 연결부(222)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222)는 일측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222)는 고정 핀에 의해 상기 바디부(210)에 연결되 며, 회동부(224)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에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222)의 상측에는 상기 유출공(215)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압착부(216)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216)는 상기 제 1 연결부(222)의 상부에 돌출되는 돌기(222a)에 삽입 고정되며, 물의 누출 방지를 위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바디부(210)가 상기 지지부(16)와 밀착되도록 하는 가스켓(214)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214)에 의해 물이 상기 바디부(2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플로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는 상기 공급관(12)으로부터 연장 성형되는 바디부(310)와, 상기 바디부(310)에 연결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2 플로트(320)가 연결되는 고정부(317)와, 상기 고정부(317)와 제 2 플로트(320) 사이에 제공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부(32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바디부(31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관(12)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출되어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구부(311)가 형성된다. 즉, 물은 상기 공급관(12)을 통해 이동되다가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에 도달되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311)를 통과하고, 다시 상기 공급관(12)을 따라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310)는 상기 고정부(317)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7)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부(310)와 고정부(317)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312)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310)가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317)의 홈에는 상기 바디부(310)가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 부재(318a)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17)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연결부(322)가 고정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322)는 상기 제 2 플로트(3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회동부(324)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322)의 일측은 상기 제 2 플로트(3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310)와 고정부(317)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관통되어 삽입되는 플로트 축(315)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축(315)의 상부에는 물이 유출되는 개구부(311)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단부(316)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316)는 상기 개구부(311)를 차폐할 때, 물의 누출 방지를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축(315)의 하측에는 상기 플로트 축(315)이 상기 제 2 연결부(322)와 연결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부(326)가 제공된다. 즉, 상기 동력 전달부(326)는 상측이 상기 플로트 축(315)과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제 2 연결부(322)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325)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플로트(320)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 상기 플로트 축(315)은 상기 동력 전달부(32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며, 같은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부(326)에는 일반적으로 유니버셜 조인트와 같은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축(315)의 대략 중앙부 외주면에는 상기 플로트 축(315)과 상기 고정부(317)가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 부재(318b)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 부재(318b)는 오링(O-ring)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플로트 축(315)과 고정부(317) 사이에서 실링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는 상기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310)와 지지부(16) 사이에는 상기 바디부(310)와 지지부(16)가 밀착되도록 하는 가스켓(314)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 어셈블리가 작용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의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 플로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는 상기 공급관(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는 상기 유입부(11)와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의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로트(220)와 제 2 플로트(320)는 상하 높이차를 두고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상기 제 2플로트(320)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저수조(13)에 물이 차기 시작하면 물에 먼저 접촉되고, 물에 의한 부력이 먼저 작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3)의 수위는 물 공급이 차단되는 제 1 소정위치(후술함)에 도달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에 의해 물 공급은 차단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저수조(13)에는 물(400)이 제 1 소정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 물이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상기 유출공(215)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강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제 2 플로트(320) 또한 상기 개구부(3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는 상기 돌출부(325)의 중심부와, 상기 플로트 축(315)의 중심간에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즉, 상기 플로트 축(315)과 제 2 연결부(322)는 일직선을 이루지 않으며, 상기 제 2 연결부(322)는 상기 동력 전달부(326)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플로트 축(315)은 개방 위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물은 상기 개구부(311)와 유출공(215)을 각각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물이 상기 저수조(13)에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물은 상기 유입부(11)를 통해 상기 공급관(12)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물이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상기 개구부(311)를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개구부(311)를 통과하면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급관(1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물이 상기 공급관(12)의 일측 단부, 즉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가 설치된 위치에 다다르면 상기 유입공(212)을 통해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의 내부로 유입되고,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물은 개방된 유출공(215)을 통해 상기 저수조(13)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의 저수조에 물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플로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저수조(13)의 수위는 물 공급이 차단되는 제 1 소정위치(131)에 도달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에 의해 물 공급은 차단된다.
상세히, 물(400)이 상기 저수조(13)의 제 1 소정 위치(131)에 도달되면,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플로트(220)와 연결된 상기 제 1 연결부(222)는 상기 회동부(224)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압착부(216)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222)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1 플로트(220)가 상기 유출공(215)의 폐쇄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압착부(216)는 상기 유출공(215)을 폐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상기 저수조(13)의 수위가 상기 제 1 소정 위치(131) 아래로 내려갈 때까지 상기 유출공(215)의 폐쇄 위치가 유지된다. 그 이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여 수위가 상기 제 1 소정 위치(131)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상기 유출공(215)의 개방 위치로 하강한다.
이하에서는, 이동되는 물이 상기 저수조(13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물이 상기 유입부(11)를 통하여 상기 공급관(12)에 유입되고, 상기 개구부(311)를 거쳐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의 유입공(212)을 통과하는 과정은 도 4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물(400)의 수위가 상기 제 1 소정 위치(131)에 다다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216)가 상승하여 상기 유출공(215)을 폐쇄하게 되므로 물은 상기 유출공(215)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13) 내로 낙하될 수 없다.
결국, 상기 저장조(13)의 수위가 상기 제 1 소정 위치(131)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한 상기 저장조(13) 내로 물의 공급은 계속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로트 어셈블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압착부(216)가 파손되어 상기 유출공(215)으로부터 물이 새는 경우나, 물이 상기 제 1 소정위치(131)까지 유입되더라도 상기 회동부(224)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22)가 폐쇄위치까지 상승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가 작동된다.
상세히, 물이 상기 제 1 소정위치(131)까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물(400)은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에 의해 상기 저수조(13)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물(400)은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가 작동되기 시작하는 제 2 소정위치(132)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 상기 저수조(13)로 유입된다.
그 이후에, 상기 물(400)의 수위가 상기 제 2 소정위치(132)가 도달되면,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 2 플로트(320)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로트(320)와 연결된 상기 제 2 연결부(322)는 상기 회동부(324)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325)는 상기 동력 전달부(326)를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326)는 상기 돌출부(325)로부터 받은 동력을 상기 플로트 축(315)으로 전달하며, 상기 돌출부(325) 및 플로트 축(315)의 중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플로트 축(315)은 연동 운동 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326)가 이동된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플로트 축(315)의 상단에 결합되는 차단부(316)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며, 결국 상기 차단부(316)는 상기 개구부(311)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플로트(220) 및 제 2 플로트(320)가 상기 물(400)의 수위에 따라 시간적 차이를 두고 작동되는 것은 상기 플로트(220,320)가 상기 저수조(13) 내에서 상하 차이를 두고 배열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플로트(220)는 상기 제 2 플로트(320)보다 소정 거 리만큼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제 1 소정위치(131)와 제 2 소정 위치(132)의 상하 높이 차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동되는 물이 상기 저수조(131)에 공급되는 것이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에 의해 차단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물(400)의 수위가 상기 제 1 소정위치(131)까지 도달한 이후에도,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에 이상이 생겨 상기 유출공(215)이 폐쇄되지 않은 경우 물은 상기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공급관(12) 및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의 개구부(311)를 거쳐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물(400)은 폐쇄되지 않은 상기 유출공(215)을 통해 상기 저수조(13)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다가, 상기 저수조(13)의 수위가 상기 제 2 소정위치(132)에 도달되면,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 2 플로트(320)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력 전달부(326) 및 플로트 축(315)의 이동에 의해 상기 차단(316)는 물이 유출되는 상기 개구부(311)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되던 물은 상기 개구부(31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더 이상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 측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결국, 물은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20)의 유출공(215)을 통해 상기 저수조(13) 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상기 저수조(13)의 수위는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2 플로트 어셈블리(30)에 의해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이중적인 안전장치가 구비되며, 플로트 어셈블리(또는 플로트 밸브)의 고장에 의해 저수조 밖으로 물이 넘치는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그와 함께 상기 물 공급 장치(1)에 의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플로트 어셈블리가 구비된 물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로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플로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의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 플로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장치의 저수조에 물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플로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로트 어셈블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공급관
20 : 제 1 플로트 어셈블리 30 : 제 2 플로트 어셈블리
220 : 제 1 플로트 320 : 제 2 플로트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저수조 내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 및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1 플로트가 구비되는 제 1 플로트 어셈블리; 및
    상기 유입부와 제 1 플로트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 2 플로트가 구비되는 제 2 플로트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플로트는 상기 제 2 플로트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트 어셈블리에는 상기 유출공이 폐쇄되도록 하는 압착부가 더 제공되는 물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 1 플로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플로트가 상승되면 상기 유출공이 폐쇄되도록 하는 물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트는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제 1 위치에 도달되면 상승되고, 상기 제 2 플로트는 물의 수위가 제 2 위치에 도달되면 상승되는 물 공급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로트 어셈블리에는 일측이 상기 차단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2 플로트와 연결되는 플로트 축이 더 제공되는 물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축과 제 2 플로트 사이에는 연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더 제공되는 물 공급 장치.
  8.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 물을 공급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1 플로트가 포함되는 제 1 플로트 밸브; 및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2 플로트 및 상기 공급부에서 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포함되는 제 2 플로트 밸브가 포함되며,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은 상기 제 2 바디부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바디부를 통과하고, 그 이후에 상기 저수조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트 밸브에는 상기 공급부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저수조 내로 유 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이 더 형성되는 물 공급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트 및 제 2 플로트는 상기 저수조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플로트는 상기 제 1 플로트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물 공급 장치.
KR1020070074025A 2007-07-24 2007-07-24 물 공급 장치 KR10087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025A KR100871616B1 (ko) 2007-07-24 2007-07-24 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025A KR100871616B1 (ko) 2007-07-24 2007-07-24 물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616B1 true KR100871616B1 (ko) 2008-12-02

Family

ID=4037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025A KR100871616B1 (ko) 2007-07-24 2007-07-24 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6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949A (ko)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장치
KR101841621B1 (ko) 2016-08-09 2018-05-04 디에스정공(주)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WO2021184709A1 (zh) * 2020-03-16 2021-09-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供水装置及具有其的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0976U (ko) 1979-03-07 1980-09-16
KR200364573Y1 (ko) 2004-07-29 2004-10-15 (주)대성건축사사무소 저수조의 범람 안전차단장치
KR20060011014A (ko) * 2004-07-29 2006-02-03 디지털건설(주) 저수조의 범람 안전차단장치
KR100555987B1 (ko) * 2004-03-26 2006-03-03 주식회사 크로버 이중 플로트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0976U (ko) 1979-03-07 1980-09-16
KR100555987B1 (ko) * 2004-03-26 2006-03-03 주식회사 크로버 이중 플로트밸브
KR200364573Y1 (ko) 2004-07-29 2004-10-15 (주)대성건축사사무소 저수조의 범람 안전차단장치
KR20060011014A (ko) * 2004-07-29 2006-02-03 디지털건설(주) 저수조의 범람 안전차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949A (ko)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장치
KR101841621B1 (ko) 2016-08-09 2018-05-04 디에스정공(주)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WO2021184709A1 (zh) * 2020-03-16 2021-09-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供水装置及具有其的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616B1 (ko) 물 공급 장치
US10041240B2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KR100635332B1 (ko) 부구형 스팀트랩
KR101964605B1 (ko) 순간 저탕식 구조를 갖는 전기 온수기
KR101389798B1 (ko) 소프트실 디스크 스윙체크밸브
CN109611567B (zh) 一种集调水、泄压、排水、补水功能于一体的进水接头
CN101392950A (zh) 一种敞开式电热水器
KR101380688B1 (ko) 플로우팅 밸브
KR200431986Y1 (ko) 앵글 체크 밸브
CN205064949U (zh) 一种y型直通升降式止回阀
KR200385593Y1 (ko) 급수제어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JP4765702B2 (ja) 給湯暖房熱源機
CN209385787U (zh) 排水阀及气压制动储气筒
CN109805763B (zh)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CN219639504U (zh) 一种高密封性气体阀门
CN109805764A (zh)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KR20090012911U (ko) 회동형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 및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CN212055969U (zh) 排水阀及热水器
CN213309054U (zh) 一种加水机构及含有该机构的水壶
CN221005507U (zh) 用水装置
CN211398746U (zh) 一种水压自密封的管道自动截流装置
EP2778561A1 (en) Water heater
CN213954396U (zh) 一种防泄漏式阀门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