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254A -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254A
KR20030000254A KR1020010035936A KR20010035936A KR20030000254A KR 20030000254 A KR20030000254 A KR 20030000254A KR 1020010035936 A KR1020010035936 A KR 1020010035936A KR 20010035936 A KR20010035936 A KR 20010035936A KR 20030000254 A KR20030000254 A KR 2003000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internet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801B1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빌렉스 filed Critical (주)빌렉스
Priority to KR10-2001-003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8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using 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AAA] servers o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함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이동통신사내의 시스템과 연동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과금 업무 대행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Billing agency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하는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동통신사의 무선망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과금은 전적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예를 들면, 011, 016, 117, 018, 019 등)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즉, 어떤 사람이 이동 전화기를 이용해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그 이용 시간 또는 이용량(최근에 패킷 단위 과금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지면서 등장함)을 측정해서 사용료를 계산하는 것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업체(CP : Contents Provider)가 아니라 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대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은 상당한 불만을 토로해 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금의 내역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사가 제대로 주지 않고 월별로 정산해 주므로 실제 과금의 정확도에 대한 불신이다.
둘째, 서비스별로 다양한 형태의 과금을 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허가를 득해야 한다는 점이다.
세째,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지 못하고 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사가 관리하는 불합리성이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의 불만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도 무선 인터넷 포럼 등의 발족이나 기타 다양한 공청회 등을 통해서 단계적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과금 권한을 컨텐츠 제공업체(CP) 쪽으로 이전하려고 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많이 참고하고 있는 일본의 NTT DoCoMo사의 경우에는 얼마전에 3단계의 개방안을 공표하였다. 그 중에 2단계가 과금 시스템의 개방이다. 물론, 모든 개별 컨텐츠 제공업체(CP)들에게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넘겨 주는 것은 아니고, 일부 과금 대행 업체를 선정해서 그 업체에게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넘겨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흐름을 볼 때, 국내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모든 개별 컨텐츠 제공업체(CP)들에게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다 넘겨주지는 않고 일부 대행 업체를 선정해서 대행시키는 방식을 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럼,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시스템의 구성 및 그 필요 기능을 살펴보기에 앞서, 현재 이동통신사내의 과금 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하고, 또한 과금 대행 업체 산하에 붙을 여러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의 과금에 대한 요구 사항을 알아보기로 한다.
이동통신사의 과금 시스템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과거에 망 사용에 대한 과금과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구분해서 하지 않았다. 즉, 망 사용료를 기준으로 해서 일정 비율을 서비스 이용료로 부과하는지 정액제 방식으로 요금을 징수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CP들의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서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다양하게 해주기 위한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만을 언급한다.
이동통신사의 과금 시스템은 서킷 기반의 과금 방식과 패킷 기반의 과금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서킷 기반의 과금 방식은 주로 시간을 측정해서 이용 요금을 산정하고, 패킷 기반의 과금 방식은 주로 패킷의 전달량을 측정해서 이용 요금을 산정한다. 물론, 정액제와 같은 방식도 있다. 패킷 기반의 과금 방식은 그 특성상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비연결형 서비스에 적합하고 요금도 저렴한 편이기 때문에 최근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 활성화와 관련해서 많이 각광받기 시작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패킷 기반의 과금 대행 방안에 관한 것이므로, 이동통신사의 과금 방식중에서 패킷 기반의 과금 시스템 구성을 알아본다.
도 1 은 이동통신사의 패킷 기반 과금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물론, 이동통신사에 따라서 이러한 기본 시스템 구성 이외에 부가적인 시스템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특수 목적을 위한 부분이므로 논외로 한다.
패킷 과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PDSN : Packet Data Service Network) 장치(13)와 인가/인증/과금(AAA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 장치(14)이다. 이 두 장치(13,14)의 기능과 주고 받는 메시지에 대한 내용은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두 장치(13,14)에서 과금과 관련한 기능 및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PDSN 장치(13)는 서비스 인증을 요구하는 패킷 및 실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들이 통과되는 장치이다. 또한, PDSN 장치(13)는 인증이나 권한 수락에 대한 메시지는 그대로 AAA 장치(14)에 전달한다. 그리고, 실제 서비스를 위해서 전송되는 패킷의 양에 대해서는 세션(Session) 기간 동안 카운트(Count)하고 있다가 그 결과를 AAA 장치(14)에게 알려 준다.
AAA 장치(14)는 서비스에 대한 인증, 권한 수락, 패킷 수 측정 등을 하는 장치이다. 또한, AAA 장치(14)는 PDSN 장치(13)가 보내는 인증이나 권한 수락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며, 사용자에 대한 패킷 이용량을 분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는 패킷에 대해서 단말기 주소(IP : Internet Protocol) 및 망 접속 식별자(NAI : Network Access Identifier) 정보 등을 가지고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해서 IP와 NAI간의 맵핑(Mapping) 관계를 정의해 두고 있다가,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를 통해서 알게 되는 과금 관련 정보를 NAI별로 분류한다.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는 발신 IP, 착신 IP, 방향 플래그(Flag), 전송 패킷수, 발신 포트(Port), 착신 포트(Port)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해당 포트(Port)는 컨텐츠 제공업체(CP)내의 서비스 구분 용도로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과금 장치(12)는 PDSN 장치(13)과 AAA 장치(14) 사이에 둔다. 물론, AAA 장치(14) 자체적으로 과금이 가능하긴 하지만, AAA 장치(14)의 경우에 외산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표준 기능 이외에는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과금과 같은 기능은 별도로 서버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과금 장치(12)를 PDSN 장치(13)과 AAA 장치(14) 사이에 두는 이유는 PDSN 장치(13)와 AAA 장치(14) 사이에서만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는 AAA 장치(14)로 가고,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는 바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쪽으로 간다. 물론, 역방향인 경우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로부터 온다. 이러한 메시지를 잡아내기 위해서 추출 장치(11)를 별도로 둔다. 이는 이 구간의 데이터 양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대개는 하드웨어(H/W)적인 전용 장치를 이용한다. H/W적인 전용 추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의 또 다른 장점은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패킷 구분도 가능하므로 서비스별 과금 분류까지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다.
그럼,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의 요구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과금 대행 업체에게 과금 업무를 위탁할 컨텐츠 제공업체(CP)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첫째, 컨텐츠 제공업체(CP)별 구분 과금 기능이 요구된다. 즉, 과금 대행 업체 산하에 여러 개의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컨텐츠 제공업체(CP)별로 구분해서 과금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별 구분 과금 기능이 요구된다. 즉, 컨텐츠 제공업체(CP)내에서도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그 서비스들 중에서는 패킷당 서비스 요금이 비싼 것도 있고, 싼 것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동일 컨텐츠 제공업체(CP) 내에서도 서비스별로 분리해서 과금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세째, 사용자별 구분 과금 기능이 요구된다. 즉, 서버를 이용하는 이용자별로 구분해서 과금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네째, 서비스별 이용료 변경 기능이 요구된다. 즉, 서비스별 이용료의 변경을 손쉽게 해주는 기능이 필요하다.
다섯째, 새로운 컨텐츠 제공업체(CP) 및 서비스의 등록 기능 간편화가 요구된다. 즉, 기존의 이동통신사의 무선 서비스 포탈에 등록하는데는 상당히 복잡한 절차와 긴 시간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이를 보다 간편하게 할 정책 및 기술 지원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이동통신사내의 과금 관련 장치의 구성과 과금 대행 업체 산하의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이 요구할 수 있는 요구 사항을 알아 보았다.
결론적으로, 과금 대행 업체의 시스템은 CP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필요하다면 이동통신사내의 시스템과의 연동도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함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이동통신사내의 시스템과 연동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과금 대행 업체의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패킷 기반 과금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 대행 장치가 연동된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과금 대행 장치의 과금 대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상기 도 2의 추출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 는 상기 도 4의 추출부의 추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상기 도 2의 과금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7 은 상기 도 6의 과금부의 과금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과금 대행 장치 21 : 추출부
22 : 과금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과금대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에 있어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사용자 에이전트(UA) 필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과금대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그 데이터 포함)를 제공받아,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과금대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사용자 에이전트(UA) 필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그 데이터 포함)를 제공받아,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용 과금 대행 장치에,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용 과금 대행 장치에,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사용자 에이전트(UA) 필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용 과금 대행 장치에, 컨텐츠 제공업체(CP)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그 데이터 포함)를 제공받아,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 대행 장치가 연동된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금 대행 장치(20)는 이동통신사 영역과 컨텐츠 제공업체(CP) 영역의 중간에 위치한다.
과금 대행 장치(20)에서 사용자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서비스별로 분류 과금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이 정보의 획득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물론,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첫째는, 이동통신사내의 과금 관련 장치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과금 대행업체가 자체적으로 입수하는 방법인데, 지나다니는 패킷을 분석하는 방법과 산하 CP들로부터 관련 정보를 입수하는 방법이 있다.
우선, 이동통신사내의 장치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통신사내의 장치들에서 정보를 입수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이동통신사내의 과금 장치(12)들이 정보를 입수하는 방안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즉,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여기서,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단말기의 IP 정보, 단말기의 NAI 정보 등이다. 그리고,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발신 IP, 착신 IP, 방향 플래그(Flag)(단말 방향 or 컨텐츠 제공업체(CP) 방향), 전송 패킷수, 발신 포트(Port), 착신 포트(Port) 등이다.
이러한 정보는 과금 대행 업체와 이동통신사의 과금 관련 시스템간의 연동에 의하여 알아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곳은 이동통신사내의 추출 장치(11)나 과금 장치(12)이다. 물론, PDSN 장치(13)나 AAA 장치(14)에서도 제공 가능하긴 하지만, 이 장치들(13,14)은 표준 규격에 맞춰서 제작된 것들이므로 실제로 수정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추출 장치(11)나 과금 장치(12)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과금 대행 업체의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모으는 경우이다. 그런데,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의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업체(CP)와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패킷이므로 과금 대행 업체의 시스템에서도 모니터링(Monitoring)이 가능하다. 하지만,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의 경우에는 PDSN 장치(13)와 AAA 장치(14) 사이 구간에서만 모니터링(Monitoring)이 되므로, 이 메시지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정보들(단말기 IP 정보와 NAI 정보 등)은 다른 방안으로 구해내야 한다.
다르게 구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헤더에 있는 사용자 에이전트(UA : User Agent) 필드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UA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정보는 단말기 정보(CellularPhone/PDA/Smart Phone), 단말기의 IMSI 값(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AAA(SKT/STI/KTF/HSP/LGT)), 서비스 방식(WAP/SK WEB/스팅거) 등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산하 CP단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로그(Log) 데이터를 과금 대행업체의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과금 요청(Account Request)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기 IP 정보 및 NAI 정보를 알 수 있다. UA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HTTP에 정의되어 있는 HTTP 요청 헤더(request header)나 응답 헤더(response header)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의 URL(internet host + port)을 알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과금 대행 장치(20)는 사용자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서비스별로 구분해서 과금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사내의 과금 관련 장치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거나(301,302), 자체적으로 지나 다니는 패킷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301,303), 이를 바탕으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304).
과금 대행 장치(20)의 추출부(21)는 이동통신사내의 PDSN 장치(13)과 AAA 장치(14) 사이에 있는 추출 장치(11)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캡쳐부(211)에서 지나가는 패킷(여기서는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 메시지만 존재)을 H/W적으로 잡아서, 헤더 분리 및 정보 추출부(212)에서 이의 헤더 정보들을 추출하여 과금장치 연동부(213)를 통해 과금부(22)로 넘겨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류 이후에는 잡았던 패킷을 그대로 전송시킨다.
과금 대행 장치(20)의 추출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지나 다니는 패킷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는 경우에(501), 지나가는 패킷을 수집하여(502), 패킷의 헤더를 분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503), 이를 과금부(22)로 전송한다(504). 아울러, 과금 대행 장치(20)의 추출부(21)를 이용하지 않고, 산하 CP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로그 데이터(Log Data)를 제공함으로써 필요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도 역시 추출된 정보는 과금부(22)로 전송된다.
한편, 과금 대행 장치(20)의 과금부(22)는 컨텐츠 제공업체(CP)들의 요구 사항이 잘 반영되어야 하는 장치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및 과금부(222)에서 정보 지원부(224)가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컨텐츠 제공업체(CP) 정보, 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서비스별로 분리하여 과금을 한다. 또한, 과금부(22)는 서비스 이용 요금 변경 지원 기능과 새로운 컨텐츠 제공업체(CP)나 서비스 및 사용자의 등록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원 기능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추출부(21)와의 연동을 위한 추출장치 연동부(221)와, 이동통신사내의 정보 제공 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이동통신사 연동부(225), 산하 CP의 정보 제공을 받기 위한 연동부(226)를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과금 대행 장치(20)의 과금부(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사내의 과금 관련 장치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701) 이동통신사 연동부(225)를 통해 과금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702), 자체적으로 지나 다니는 패킷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는(701) 추출장치 연동부(221)를 통해 과금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703), 이러한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패킷 과금용 데이터를 생성한다(704).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과금 대행 업체의 시스템 구성을 활용하는 경우에, 최근에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의 과금 독점 체제를 원만하게 타사에게 이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분석한 이동통신사가 과금 대행 업체에게 제공하여 할 정보에 대한 정의는 향후 과금 대행 업체와 이동통신사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데 중요한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금 대행 업체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기술적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한 과금 장치는 컨텐츠 제공업체(CP) 입장에서 직접 과금을 하지는 않더라도 과금 대행 업체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와의 상호 확인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과금대행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IP) 정보, 단말기의 망 접속 식별자(NAI)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에는,
    발신 인터넷 주소(발신 IP), 착신 인터넷 주소(착신 IP), 방향 플래그(단말기 방향 혹은 컨텐츠 제공업체 방향), 전송 패킷수, 발신 포트, 착신 포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4.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에 있어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사용자 에이전트(UA) 필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과금대행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UA)를 통해 단말기 정보, 단말기의 고유식별자(IMSI) 값, 서비스 방식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IP)정보, 단말기의 망 접속 식별자(NAI)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6.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그 데이터 포함)를 제공받아,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과금대행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7.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IP) 정보, 단말기의 망 접속 식별자(NAI)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에는,
    발신 인터넷 주소(발신 IP), 착신 인터넷 주소(착신 IP), 방향 플래그(단말기 방향 혹은 컨텐츠 제공업체 방향), 전송 패킷수, 발신 포트, 착신 포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방법.
  10.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사용자 에이전트(UA) 필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UA)를 통해 단말기 정보, 단말기의 고유식별자(IMSI) 값, 서비스방식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IP) 정보, 단말기의 망 접속 식별자(NAI)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방법.
  12. 과금 대행 업체의 과금 대행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업체(CP)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그 데이터 포함)를 제공받아,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방법.
  13.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용 과금 대행 장치에,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제시되는 과금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업무를 대행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용 과금 대행 장치에,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베어러 데이터 메시지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사용자 에이전트(UA) 필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용 과금 대행 장치에,
    컨텐츠 제공업체(CP)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그 데이터 포함)를 제공받아,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 추출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별, 컨텐츠 제공업체(CP)별, 사용자별로 분리 과금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과금업무를 대행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35936A 2001-06-22 2001-06-22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936A KR100389801B1 (ko) 2001-06-22 2001-06-22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936A KR100389801B1 (ko) 2001-06-22 2001-06-22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254A true KR20030000254A (ko) 2003-01-06
KR100389801B1 KR100389801B1 (ko) 2003-07-04

Family

ID=2771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936A KR100389801B1 (ko) 2001-06-22 2001-06-22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80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65B1 (ko) * 2001-11-15 2004-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인터넷 망간 접속 방법
KR100489528B1 (ko) * 2002-09-23 2005-05-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요금 산출 시스템에서의 과금 데이터 분배 장치및 방법
KR100491640B1 (ko) * 2002-11-13 2005-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데이터서비스별 과금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2863B1 (ko) * 2005-03-07 2007-04-04 장연수 엔진오일의 기화장치
KR100738935B1 (ko) * 2005-08-04 2007-07-13 정성수 기능성 신발중창
KR100819036B1 (ko) * 2005-12-08 2008-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의 헤더정보를 이용한 트래픽 인증장치와 그 방법
KR100841220B1 (ko) * 2007-03-29 2008-06-26 (주)엔텔스 유무선 패킷 과금에서의 멀티세션 처리 방법 및 장치
DE102007055117A1 (de) 2007-03-26 2008-10-02 Boris Kaplan Ein 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für das zeigerorientierte Objekterfassungsverfahren von Informationen basierend auf einer natürlichen Sprache und das Arbeitsverfahren von dem System
DE102008019877A1 (de) 2007-04-25 2008-11-06 Boris Kaplan Das zeigerorientierte Objekterfassungsverfahren für abstrakte Behandlung von Informationen von dem 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bei dem die Substanzen von einem menschlichen, aufgenommenen Signal, einer menschlichen Assoziation und einem menschlichen Gedanken physisch gebildet werden, basierend auf einer natürlichen Sprache.
KR100878013B1 (ko) * 2007-06-08 2009-01-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DE102014000086A1 (de) 2014-01-02 2014-03-20 Boris Kaplan Arbeitsverfahren für Behandlung von abstrakten Objekten (Gedanke-Substanzen) von einem Computer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DE102014016968A1 (de) 2014-11-18 2015-01-22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DE102015004666A1 (de) 2015-04-13 2015-07-23 Boris Kaplan Ein zeigerorientiertes Objekterfassungsverfahren für eine greifbare, stofflich artige Behandlung von Informationen von einem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DE102020007964A1 (de) 2020-12-30 2022-06-30 Boris Kaplan Arbeitsverfahren für Behandlung von abstrakten Objekten (Gedanke-Substanzen) vor einem Computer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DE102023000489A1 (de) 2023-02-14 2023-04-13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DE102021005701A1 (de) 2021-11-17 2023-05-17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DE102022001229A1 (de) 2022-04-11 2023-10-12 Boris Kaplan Ein zeigerorientiertes Objekterfassungsverfahren für eine greifbare, stofflich artige Behandlungvon Informationen von einem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 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897B1 (ko) * 2001-12-06 2005-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목록별 과금 데이터 생성 방법
KR100438056B1 (ko) * 2002-10-21 2004-07-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컨텐츠별 과금 데이터 생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65B1 (ko) * 2001-11-15 2004-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인터넷 망간 접속 방법
KR100489528B1 (ko) * 2002-09-23 2005-05-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요금 산출 시스템에서의 과금 데이터 분배 장치및 방법
KR100491640B1 (ko) * 2002-11-13 2005-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데이터서비스별 과금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2863B1 (ko) * 2005-03-07 2007-04-04 장연수 엔진오일의 기화장치
KR100738935B1 (ko) * 2005-08-04 2007-07-13 정성수 기능성 신발중창
KR100819036B1 (ko) * 2005-12-08 2008-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의 헤더정보를 이용한 트래픽 인증장치와 그 방법
DE102007055117A1 (de) 2007-03-26 2008-10-02 Boris Kaplan Ein 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für das zeigerorientierte Objekterfassungsverfahren von Informationen basierend auf einer natürlichen Sprache und das Arbeitsverfahren von dem System
KR100841220B1 (ko) * 2007-03-29 2008-06-26 (주)엔텔스 유무선 패킷 과금에서의 멀티세션 처리 방법 및 장치
DE102008019877A1 (de) 2007-04-25 2008-11-06 Boris Kaplan Das zeigerorientierte Objekterfassungsverfahren für abstrakte Behandlung von Informationen von dem 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bei dem die Substanzen von einem menschlichen, aufgenommenen Signal, einer menschlichen Assoziation und einem menschlichen Gedanken physisch gebildet werden, basierend auf einer natürlichen Sprache.
KR100878013B1 (ko) * 2007-06-08 2009-01-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DE102014000086A1 (de) 2014-01-02 2014-03-20 Boris Kaplan Arbeitsverfahren für Behandlung von abstrakten Objekten (Gedanke-Substanzen) von einem Computer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DE102014016968A1 (de) 2014-11-18 2015-01-22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DE102015004666A1 (de) 2015-04-13 2015-07-23 Boris Kaplan Ein zeigerorientiertes Objekterfassungsverfahren für eine greifbare, stofflich artige Behandlung von Informationen von einem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DE102020007964A1 (de) 2020-12-30 2022-06-30 Boris Kaplan Arbeitsverfahren für Behandlung von abstrakten Objekten (Gedanke-Substanzen) vor einem Computersystem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DE102021005701A1 (de) 2021-11-17 2023-05-17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DE102022001229A1 (de) 2022-04-11 2023-10-12 Boris Kaplan Ein zeigerorientiertes Objekterfassungsverfahren für eine greifbare, stofflich artige Behandlungvon Informationen von einem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 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DE102023000489A1 (de) 2023-02-14 2023-04-13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DE102023000489A9 (de) 2023-02-14 2023-06-15 Boris Kaplan Ein Computersystem vo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einem Cyborg oder einem Android, wobei eine aufgenommene Signal-Reak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eine entsprechende Assoziation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und ein entsprechender Gedanke des Computersystems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in dem Computersystem physisch gebaut werden, und ein Arbeitsverfahren von dem Computersystem von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von dem Cyborg oder dem Andro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801B1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801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과금 대행 장치 및 그 방법
US7957719B2 (en) Method for reducing load of traffic plane function
US9204293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ata retention and lawful intercept for law enforcement agencies
KR100752241B1 (ko) 데이터 서비스의 과금 정보 수집 장치 및 과금 방법
US20100172261A1 (e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communication error detec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01005529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harging for competitive IP-over-wireless service
US200600520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bdividing data service charges in a network
WO2012051809A1 (zh) 移动增值业务访问控制策略的制定方法及相关装置和系统
KR10048989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목록별 과금 데이터 생성 방법
KR20140119753A (ko) 스폰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과금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188505B (zh) 内容类型识别的方法和设备
WO2000014919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network user to a network service provider
KR101469285B1 (ko) 정책기반 라우팅을 이용한 선택적인 인터넷 트래픽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7293A (ko) VoIP 서비스 사업자의 망 이용에 대한 인터넷 전화 과금 방법 및 장치
CN102036209A (zh) 一种对移动互连网络用户进行身份认证及收费的方法及其装置
KR100687658B1 (ko)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를 위한 VoIP 트래픽과관련된 인터넷 회선 사용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067439B2 (ja) インターネット常時接続サービス向けの複数プロバイダ利用装置
EP3061042B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system for revenue maximiz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4018971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087690B1 (ko) 로밍된 단말기에 대한 과금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과금 게이트웨이
KR101639241B1 (ko) 해외 로밍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85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별 과금을 위한 데이터 생성및 전송방법
KR20040073085A (ko) 이기종 데이터 호 접속 장치로 구성된 데이터 전용망에서과금 세분화 장치 및 방법
KR20150040150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p2p 패킷 과금 방법 및 과금 장치
CN115225290A (zh) 终端免密认证控制方法、网关设备、系统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