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33Y1 -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33Y1
KR200298233Y1 KR2020020027590U KR20020027590U KR200298233Y1 KR 200298233 Y1 KR200298233 Y1 KR 200298233Y1 KR 2020020027590 U KR2020020027590 U KR 2020020027590U KR 20020027590 U KR20020027590 U KR 20020027590U KR 200298233 Y1 KR200298233 Y1 KR 200298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upper plate
coupling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니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니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니코스
Priority to KR2020020027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33Y1/ko

Link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판을 접합하여 받침대를 구성함에 있어, 상판(6)은 외면에 필름(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접합면에는 결합부(4)가 형성되도록 발포수지를 구성하고, 하판(10)은 접합면에 결합홈(8)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접합면에 접착재를 도포한 다음 상판(6)의 결합부(4)가 하판(10)의 결합홈(8)에 결합되도록 접합하여 구성하므로서, 외관상 지배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상판(6)의 디자인 다양화 및 우수한 질감과 보온성으로 제품의 품질을 고급화하면서 제조경비는 낮출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Chair arm rest}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품질을 고급화하면서 제조경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건 출원인은 의자용 팔걸이받침대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2001-77066호를 제공한 바 있다.
이는 종래에 합성수지재 의자용 팔걸이받침대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외면에 다양한 문양이 배시된 필름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발포수지로 상하판을 분리제작하여 접착제로 접합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목적하는 바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상하판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각각 성형홈에 필름을 안치시켜서 열에 의해 유연성이 부여되게 한 상태에서 성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름이 성형틀 내면에 흡착되게 하고 그 위에 발포수지를 주입하여 압축성형토록 하며 이때 발포수지는 재질자체의 특성상 강도가 약해 별도의 공정으로 강도를 보강토록 하고 탈형 후에는 접합면을 면처리한 다음 접착제로 접합하여 완제품을 얻도록 하므로서,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 발포수지는 합성수지에 비해 재료비가 비쌀 뿐 아니라 접합면의 면처리시 재료의 손실이 많아 재료비는 더욱 상승하게 되는 등의 단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들을 시정하기 위하여 제품을 고급화하면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은 외면에 필름이 일체로 형성되게 발포수지로 성형하여 구성하고, 하판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구성하되 접착재를 이용한 접합시 상판의 결합부가 하판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서로 견고히 접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횡단면 구성도
도 2 : 본 고안을 분해한 횡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상판성형시를 나타낸 일부단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 타 실시예의 일부 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 타 실시예의 일부 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 타 실시예의 횡단면 구성도
도 7 : 도6을 분해한 횡단면구성도
도 8 : 본 고안 타 실시예의 상판 성형시를 나타낸 일부단면구성도
도 9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필름 (4)--결합부
(6)--상판 (8)--결합홈
(10)--하판 (12)--성형실
(14)--돌출테 (16)--성형흠
(18)--역경사면 (20)--보강용 목심
(22)--나사못 (24)--결합돌부
(26)(28)--요입홈 (30)--테이프
(32)--단턱 (34)--의자
(36)--팔걸이 (38)--받침대
도 1은 본 고안의 횡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외면에 필름(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접합면에는 결합부(4)가 돌출형성된 상판(6)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고 접합면에는 결합홈(8)을 갖는 하판(10)을 접합하여 구성한다.
상판(6)은 도3에서와 같이 성형실(12)의 상부에 돌출테(14)를 갖는 성형틀(16)상에 PVC필름이나 열전사 필름(2)등을 안치하고 필름(2)에 열을 가하여 유연성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성형실(12)내의 공기를 흡입배출시켜서 필름(2)이 성형실(12)내벽에 흡착되게 한 다음 발포수지를 주입하여 압축성형하고 성형 후 탈형 및 면처리하여 구성한다.
이때 성형틀(16)의 성형실(12)상부에 빙둘러 형성된 돌출테(14)는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서, 내면은 가급적 입구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역경사면(18)을 갖도록 하여 상판의 탈형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상판의 저부에는 측면이 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진 결합부(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결합부(4)가 돌출된 구조이면 모두 만족할 수가 있다.
하판(10)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사출성형시 수축률을 충분히 고려하여 수축시 상판(6)과 같은 외형을 갖도록 하고, 상부의 접합면에는 상판(6)의 결합부(4)가 여유있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8)을 갖도록 한다.
상하판(6)(10)의 접합시에는 접합면에 접착재를 도포한 다음 상판(6)의 결합부(4)를 하판(10)의 결합홈(8)에 결합되도록 접합해주면 된다.
다만, 상판(16)의 결합부(4)를 단부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구성한 경우, 하판(10)의 탈형 후에는 수축 전 곧바로 상하판(6)(10)의 접합면에 접착재를 도포한 다음 상판(6)의 결합부(4)를 하판(10)의 결합홈(8)에 결합하여 가압접합해주도록 하며, 접합시 하판(10)의 결합홈(8) 중 성형시의 탈형을 위하여 바닥면과 대체로 직각을 이루고 있던 내측벽은 수축시 단부로 갈수록 벌어진 상판(6)의 결합부(4)측면부와 긴밀히 접촉하면서 입구가 좁아지게 되므로 상하판은 더욱 견고히 접합된다.
또한 하판(10)의 제조시 이용하는 합성수지는 여러 종류로서 접착력이 강한 재질이면 무방하나, 접착력이 떨어지는 재질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4에서와 같이 상판(6)의 성형시 접합면에 보강용 목심(20)을 삽입하여 발포수지와 일체감을 갖도록 한 다음 상하판(6)(10)의 접합 후 하판(10)저부로부터 목심(20)을 통하여 나사못(22)을 체결해줄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도5에서와 같이 하판(10)의 접합면에 수개의 결합돌기(24)를 돌출형성하여 상하판(6)(10)의 접합을 위한 가압시 하판(10)의 결합돌기(24)가 재질이 약한 상판(6)의 접합면으로부터 깊숙히 파고들게 하여 접착력을 높여줄 수도 있다.
도6 및 도7은 타실시예로서, 상하판(6')(10')을 구성함에 있어 접합부에 요입홈(26)(28)을 빙둘러 형성하여 접합 후 요입홈(26)(28)에 금박이나 은박 그리고 다양한 색상의 각종 테이프(30)를 접착해 주게 되면 접합부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고 또 테이프(30)에 의해 장식효과까지도 기대할 수가 있다.
상하판(6')(10')의 접합부에 요입홈(26)(28)을 형성해 줌에 있어, 상판(6')은 도8에서와 같이 성형시 성형틀(16')의 성형실(12')상부에 갖는 돌출테(14')의 내면 중 상부에는 결합부(4')를 형성하는 역경사면(18')을 갖도록 하고, 하부에는 내벽과 소정폭을 유지하는 단턱(32)을 갖도록 하여 성형시 상판(6')의 접합부 외측에는 상대적으로 요입홈(26)이 빙둘러 형성되게 하면 되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하판(10')은 사출금형의 단순한 설계변경으로 접합부에 요입홈(28)을 빙둘러 형성되게 하면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판(6)(10)을 횡으로 반분되게 성형하여 접합면에 접착재를 도포한 다음 상판(6)이 갖는 결합부(4)를 하판(10)의 결합홈(8)에 결합하여 접합고정되게 하므로서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 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하판이 접착력이 약한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또는 접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할 경우 도4에서와 같이 상판(6)의 성형 시 접합면에 보강용 목심(20)을 형성하여 상하판(6)(10)의 접합 후 보강용 목심(20)을 이용하여 나사못(22)을 체결해주면 된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이 하판(10)의 성형시 접합면에 수개의 결합돌기(24)를 돌출성형하여 가압에 의한 상하판(6)(10)의 접합 시 결합돌부(24)가 상판(6)의 접합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깊숙히 파고들게 하더라도 접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게된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저면의 체결홈에 의자(34)의 팔걸이(36)상단에 갖는 고정편을 결합하여 수개의 나사못으로 연결고정하여 사용토록 구성된다.
이때, 상판(6)은 재질특성상 강도가 약하나 하판(10)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므로 강도가 강해 별도의 보강을 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판(6)은 외면에 필름(2)이 일체로 형성되게 발포수지로 구성되므로 재료비가 비싸고 또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는 반면 품질은 우수하고, 하판(10)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므로 품질이 떨어지는 반면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가 있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제조경비는 줄어 들게 된다.
즉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38)의 경우 외관상 지배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상판(6)은 제조시 원목무늬와 같은 다양한 문양이 배시된 필름(2)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다양화할수가 있고 또 질감과 보온성이 우수하여 품질을 고급화할 수가 있으며, 외관상 측면 일부만 노출되는 하판(10)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므로 전체적인 제조경비를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상하판(6')(10')의 접합부에 요입홈(26)(28)을 빙둘러 형성하여 요입홈(26)(28)에 테이프(30)을 접착해 주게 되면상하판(6')(10')의 접합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또 테이프(30)로 인하여 장식효과까지도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로서 이외에 목받침을 갖는 구조의 의자에는 형태만 달리하여 목받침대로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므로 목받침대로 이용시에도 동일기술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판(6)은 외면에 필름(2)이 일체로 형성되게 발포수지로 성형하고, 하판(10)은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판(6)의 결합부(4)가 하판(10)의 결합홈(8)에 결합되도록 접합하여 구성하므로서 외관상 지배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상판(6)은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가 있고 또 질감과 보온성이 우수하여 품질을 고급화할 수가 있으면서 하판(10)은 강도가 강해 별도의 보강을 요하지 않고 또 값싼 재질로 간단히 제작할 수가 있어 전체적인 제조경비를 줄일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분리성형된 상판과 하판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에 있어서, 상판(6)은 외면에 필름(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접합면에는 결합부(4)가 형성되게 발포수지로 구성하고, 하판(10)은 접합면에 결합홈(8)이 형성되게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판(6)의 결합부(4)가 하판(10)의 결합홈(8)에 결합되도록 접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판(6)의 결합부(4)는 단부로 갈수록 벌어지게 형성하여 하판(10)의 성형 시 수축 전 결합홈(8)에 결합하여 하판(10)이 수축되면서 결합홈(8)의 내측벽이 상판(6)의 결합부(4)측면에 밀착되면서 입구가 좁아져 서로 견고히 접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판(6)의 접합면에 보강용 목심(20)을 형성하여 하판(10)과의 접합 후 목심(20)을 이용한 나사못(22)체결로 더욱 견고히 접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하판(10)의 접합면에 수개의 결합돌부(24)를 돌출형성하여 상판(10)과의 접합시 하판(6)의 결합돌부(24)가 상판(6)의 접합면을 깊숙히 파고들어 더욱 견고히 접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KR2020020027590U 2002-09-13 2002-09-13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KR200298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90U KR200298233Y1 (ko) 2002-09-13 2002-09-13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90U KR200298233Y1 (ko) 2002-09-13 2002-09-13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870A Division KR20040024309A (ko) 2002-09-13 2002-09-13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33Y1 true KR200298233Y1 (ko) 2002-12-20

Family

ID=7312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590U KR200298233Y1 (ko) 2002-09-13 2002-09-13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7143B2 (en) 2014-04-04 2018-02-20 Lg Electronics Inc. Bush bearing and a scroll compressor including a bush bea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7143B2 (en) 2014-04-04 2018-02-20 Lg Electronics Inc. Bush bearing and a scroll compressor including a bush bea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962B1 (en) Container with double layer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US604573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sole having two densities
KR200298233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KR20040024309A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KR200441085Y1 (ko) 욕조
JP2585358B2 (ja) 射出成形靴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4739B2 (ja) リブ付成形品の成形方法
JPS6139493Y2 (ko)
KR100419210B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및 그 제조방법
JP2564643Y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S6255348A (ja) 家具建築用木質板材の連結方法
JPH0342817Y2 (ko)
CN105108890A (zh) 人造洞石砖复合塑料模
JPH0523202A (ja) 靴底の成形方法
JP2544148Y2 (ja) バスタブ用脚
US20030162455A1 (en) Woody decorative i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1144039A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180806Y1 (ko) 쿠션부재의 상판을 갖는 조립식 바닥판
JPH07140262A (ja) 時計用プラスチックケース
JPH06178878A (ja) 表皮一体成形ヘッドレスト
JPH0932248A (ja) 床化粧材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S62128718A (ja) 合成樹脂モ−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JP2019171828A (ja) シンク一体型カウンターの製造方法、及びシンク一体型カウンター
KR20110071936A (ko)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2211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