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936A -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936A
KR20110071936A KR1020090128664A KR20090128664A KR20110071936A KR 20110071936 A KR20110071936 A KR 20110071936A KR 1020090128664 A KR1020090128664 A KR 1020090128664A KR 20090128664 A KR20090128664 A KR 20090128664A KR 20110071936 A KR20110071936 A KR 20110071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layer
plastic
layer
molded product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307B1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102009012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3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사출물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과 팽창률이 서로 상이하므로 잦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에 부착된 알루미뉴층이 박리되어 이탈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하면에 함몰부를 포함하여 상기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고정결합되도록 한 후 접착제층을 도포하여 상기 알루미늄층과 플라스틱사출물의 다른 팽창률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이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은, 다양한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사출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 및 알루미늄층을 장식하고자 하는 대상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물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은 상기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박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출 성형물, 함몰부, 돌기면, 팽창률

Description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Injection Molding Produ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사출물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과 팽창률이 서로 상이하므로 잦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에 부착된 알루미뉴층이 박리되어 이탈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하면에 함몰부를 포함하여 상기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고정결합되도록 한 후 접착제층을 도포하여 상기 알루미늄층과 플라스틱사출물의 다른 팽창률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이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출성형이라 함은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실린더 안에서 가열하여 연하게 한 뒤 이것을 차가운 금형에 재빨리 밀어넣어 성형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보통은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에 많이 쓰인다. 성형재료로는 플라스틱에 안료나 안정제를 첨가하여 절단해 만든 입자 모양의 칩이 쓰인다. 플랜지가 후퇴했을 때 칩 이 호퍼에서 자동적으로 실린더 속으로 공급, 가열되어 유동상태가 되고 스크루가 있는 부분에서는 성형재료가 가는 통로를 지나며 균등하게 가열된다. 노즐로부터 닫힌 금형 속으로 압입되며, 금형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압입이 완료되어 성형물이 냉각 고화된 뒤 가동판이 후퇴하여 금형이 열리면 장치가 작동하여 성형물이 나오게 된다. 이 조작은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으로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빗·세면기 같은 소형 일용품에서 빌딩컨테이너 등의 대형물까지 성형이 가능하며, 사출속도가 빠르고 플라스틱의 성형낭비도 적다.
이에 장식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의 경우 반투명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여러가지 현란한 색상으로 보석류와 유사하게 장신구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의 하면에는 반투명 또는 투명의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에 의해 하부가 투영되므로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체로써 알루미늄층을 구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의 하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은 상기 플라스틱과 견고히 고정 결합되어야 하나,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의 팽창률이 서로 상이하므로 통상적으로 잦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긴장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므로 결국 고정 결합이 떨어져 박리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플라스틱 사출성형물(C)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부에는 다양항 형상으로 성형 사출되는 플라스틱사출물(1)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 알루미늄층(2)이 고정 결합되며, 다음 하부의 접착제를 잘 붙게 하는 층으로써 중간층(2)이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장식하고자 하는 대상에 상기 플라스틱 사출성 형물(C)을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제층(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종래기술의 플라스틱 사출성형물(C)을 살펴보면, 도 1의 상세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의 플라스틱사출물(1)의 팽창률과 하부의 알루미늄층(2)의 팽창률이 상호 다르므로 온도에 따른 플라스틱사출물(1)의 열팽창(PT)과 알루미늄층의 열팽창(AT)은 차이가 나게 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의 열팽창률은 온도의 변화에 거의 부피변화가 없으므로 매우 작으나, 알루미늄의 열팽창률은 금속이므로 온도의 변화에 부피변동이 발생되어 어느 정도 큰 열팽창률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도 1에서 보는 부분상세에 따라 살펴볼 때,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과 알루미늄층(2)의 팽창률 차이에 의해 주변의 잦은 기온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열팽창(PT<AT)에 따라 맞닿은 접촉부위가 떨어져 박리되어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플라스틱사출물과 알루미늄층의 이격에 따른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에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팽창률에 따라 열팽창하게 되더라도 접촉부위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의 용이한 접착을 위해 상기 알루미늄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접착제가 잘 붙게 하는 층으로써 중간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을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사출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 및 알루미늄층을 장식하고자 하는 대상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물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은 상기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박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 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층은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함몰부에 내입되어 하면을 제외한 모든 외면이 상기 함몰부 내면에 접하도록 하고, 상기 알루미늄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합되는 중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은, 상면은 상기 알루미늄층 및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테두리의 높낮이 이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하면은 평탄하게 유지되며, 하면에 접착제의 부착을 위한 돌기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외곽 형상을 가지는 장식으로써 하면에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함몰부의 넓이에 대응되는 알루미늄층을 성형하여 상기 함몰부에 내입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중간층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사출물과 알루미늄층의 이격에 따른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에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팽창률에 따라 열팽창하게 되더라도 접촉부위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의 용이한 접착을 위해 상기 알루미늄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접착제가 잘 붙게 하는 층으로써 중간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을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가 용이하게 부착되고 이로써 장식용도로 사용되는 본 발명이 장식 대상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의 함몰부에 내입된 알루미늄층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테두리 간의 이격된 높낮이 차이를 흡수하는 상면을 가지고 있고, 하면은 접착제층이 평탄하게 부착되는 중간층을 포함하여, 장식 대상물에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이 보다 견고하게 접착되어 장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의 사용상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및 구성,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물의 입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에 대한 플라스틱 사출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물(10)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사출물(100);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200);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 및 알루미늄층을 장식하고자 하는 대상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400);을 포 함하며,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은 상기 알루미늄층(200)이 내입되어 박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함몰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을 살펴보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 통상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를 통해 매우 견고하고 강한 경도의 빛에 의해 반사될 수도 있고 형형색색의 다채로운 빛깔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식품으로써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은 보통 내부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100)은 보통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데, 사출성형이라 함은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실린더 안에서 가열하여 연하게 한 뒤 이것을 차가운 금형에 재빨리 밀어넣어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금형은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100)의 외부 형상에 따라 음각으로 형성된 금형이어야 한다. 이에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100)은 하부에 알루미늄층(20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전후좌우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함몰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1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의 측 테두리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함몰된 부위로써 그 함몰된 깊이는 하기의 알루미늄층(200)의 두께와 상응하게 함몰될 것을 요구하며 그 함몰된 넓이 및 형상은 하기의 알루미늄층(200)의 외곽 넓이 및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도 2 및 도 3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층(200)이 내부에 내입되고,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100)의 측하면 테두리(120)와 알루미늄층(200)의 하면이 함께 평탄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함몰부(110)의 구성에 따른 기능 및 작용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알루미늄층(20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110)의 내주면에 딱 맞도록 내입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알루미늄 패널 조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층(200)은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함몰부(110)에 내입되어 하면을 제외한 모든 외면이 상기 함몰부(110) 내면에 접하도록 하여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알루미늄층(200)이 함몰부(110)에 결합된 경우,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에서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 및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인하여 내부의 알루미늄층(200) 상면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층(200)을 이루는 알루미늄 패널 조각은 그 상면이 빛에 반사되거나 깨끗한 표면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이 다양한 장식적 요소를 가지는 경우 그 상면이 갖가지 색상 또는 무늬를 띄면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층(200)을 이루는 패널 조각의 두께는 상기 함몰부(110)의 깊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로써 상기 함몰부(110)에 알루미늄층(200)이 내입 결합된 후 그 하면은 전체적으로 평평 하게 유지되어 하면에 중간층(300) 또는 접착층(40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장식 대상에 원활하게 접착되어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만약 상기 알루미늄층(200) 하면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측 하면 테두리(120) 부위가 평탄화되지 않고 어느 한 면이 돌출된다면, 그 돌출된 면에서만 접착되게 될 것이고, 이로써 접착력이 충실히 발휘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은, 상기 알루미늄층(200)과 접착제층(4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200) 하면에 접합되는 중간층(4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간층(400)은 상기 알루미늄층(200) 및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측 하면 테두리가 온연하게 평탄화되지 아니하고 약간 돌출되거나 함몰된 경우 이러한 평탄화가 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 보충하도록 하여 상기 알루미늄층(200) 하면에 부착된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중간층(400)은 하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400)이 원만히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층(400)이 알루미늄층(200)의 하면과 플라스틱사출물(300)의 측 하면 테두리(120) 간의 높낮이 차이로 인하여 장식 대상에 용이하게 접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중간층(400)은 도 4a 및 도 4b에서처럼, 통상적으로 상기 알루 미늄층(200)의 하면과 측하면 테두리(120) 사이의 이격된 높낮이를 함께 잡아줄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스펀지 부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이격된 높낮이에 따른 외면의 굴곡에 대해 함께 절곡되어 잡아줄 수 있는 재질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상기 중간층(400)의 상면은 상기 이격된 높낮이에 맞추어 형성될지라도, 하면은 접착제층(400)이 부착되어야 하므로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접착제층(400)은, 상기 알루미늄층(200) 및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하면 테두리에 직접 형성되거나, 상기 중간층(3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접착제층(40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을 장식하고자 하는 위치에 견고히 부착하여 장식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층(400)은 장식 대상물에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을 견고히 부착하여 고정하는 것이므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접착면이 최대한 평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그 접착력 향상을 위한 평탄화에 대해 상기 중간층(300)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층(300)의 하면에 접착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면(31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기면(310)은 통상적으로 널링부(knurling)으로 형성되는데, 하면이 오돌도톨하게 거친 표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중간층(300)의 하면에 널링(knurling)부를 형성하는 것은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상기 중간층(300)으로부터 떨어져 부착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돌기면(130)에 의한 오돌도톨한 면으로 하여금 접착층(400)이 보다 견고히 상측에 부착되고, 이로써 장식하고자 하는 대상에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을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의 플라스틱사출물(100)의 함몰부(110)에 알루미늄층(200)이 내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효과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함몰부(110)에 알루미늄층(200)의 측면이 맞닿도록 내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렇게 결합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서로 다른 팽창률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에 의해 잦은 온도변화에 따라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팽창(PT)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이 온도에 따른 팽창률이 거의 없으므로 팽창되지 아니하나, 상기 알루미늄층(200)의 팽창(AT)은 금속인 알루미늄의 팽창률이 온도에 따라 존재하게 되므로 결국 팽창에 따른 전후좌우 측면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AT>PT) 이에 상기 알루미늄층(200)은 팽창(AT)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팽창(PT)이 거의 없으므로 결 국 상기 플라스틱사출물(100)의 측하면 테두리(120) 벽에 구속되어 맞닿아 있는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과 알루미늄층 상면과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알루미늄층(200)의 팽창(AT)이 이루어지는 경우 더욱더 측하면 테두리(120) 벽에 구속되어 상기 함몰부(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의 제조방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다양한 외곽 형상을 가지는 장식으로써 하면에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거치고, 다음, 상기 함몰부의 넓이에 대응되는 알루미늄층을 성형하여 상기 함몰부에 내입시켜 접합시키는 단계;를 거치며,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거치면서,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10)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을 한다.
상기 함몰부(110)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사출물(100)의 사출 성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금형을 사용함에 있어서, 함몰부가 형성되도록 양각을 가진 금형으로써 이를 사출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성형물 제조방법은, 상기 알루미늄층을 함몰부에 내입 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다음에,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중간층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층(300)은 상기 알루미늄층(200)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테두리(120) 간의 높낮이 이격을 보완하여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500)이 보다 원활하고 충실하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물의 입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물의 입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물의 결합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에 대한 플라스틱 사출물의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C : 종래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물
1 : 사출 성형물 2 : 알루미늄층
3 : 중간층 4 : 접착제층
10 :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물 100 : 플라스틱 사출물
110 : 함몰부 120 : 측하면 테두리
200 : 알루미늄층 300 : 중간층
310 : 돌기면(널링부) 400 : 접착제층
PT : 플라스틱 팽창 AT : 알루미늄 팽창

Claims (7)

  1. 다양한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사출물;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하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사출물 및 알루미늄층을 장식하고자 하는 대상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물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은 상기 알루미늄층이 내입되어 박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은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함몰부에 내입되어 하면을 제외한 모든 외면이 상기 함몰부 내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합되는 중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면은 상기 알루미늄층 및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테두리의 높낮이 이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하면은 평탄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하면에 접착제의 부착을 위한 돌기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물.
  6. 다양한 외곽 형상을 가지는 장식으로써 하면에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사출되는 플라스틱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함몰부의 넓이에 대응되는 알루미늄층을 성형하여 상기 함몰부에 내입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액세서리 등의 장식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을 함몰부에 내입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다음에
    상기 플라스틱사출물의 측하면 및 상기 알루미늄층 하면에 중간층을 접합시 키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90128664A 2009-12-22 2009-12-22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664A KR101141307B1 (ko) 2009-12-22 2009-12-22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664A KR101141307B1 (ko) 2009-12-22 2009-12-22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936A true KR20110071936A (ko) 2011-06-29
KR101141307B1 KR101141307B1 (ko) 2012-05-04

Family

ID=4440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664A KR101141307B1 (ko) 2009-12-22 2009-12-22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8900B2 (en) 2013-06-04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15B1 (ko) * 2007-02-05 2007-03-30 김순이 플라스틱 비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피복천에플라스틱 비즈를 부착하는 방법
KR20090067460A (ko) * 2007-12-21 2009-06-25 김순이 플라스틱 비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8900B2 (en) 2013-06-04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048297B2 (en) 2013-06-04 2021-06-29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307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9362B2 (ja) パネル状ラミネートおよび該ラミネートを製造するためのスキン
WO2021084776A1 (ja) 加飾成形体、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体を用いた加工品の製造方法
FR2980446A1 (fr) Habillage de vehicule comprenant une armature et un garnissage
JP4054040B2 (ja) 成形同時加飾成形品及び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WO2021084775A1 (ja) 加飾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54023A1 (en) Side sill trim part and method of molding same
KR101141307B1 (ko) 사출 성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171081B (zh) 用于制造具有装饰性罩体和握持层的外壳元件的方法、装饰箔和外壳元件
KR101510574B1 (ko) 필름 삽입 성형된 제품
US6946179B2 (en) Multiple applique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articles
EP0094268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par injection de pièces en matière plastique recouvertes de tissu ou d&#39;un autre matériau d&#39;habillage soup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KR101082530B1 (ko) 싱크볼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판이 사출성형된 싱크대 및 싱크대 제조방법
JP5411816B2 (ja) 印刷を内蔵したブラシ柄の製造方法
KR100717711B1 (ko) 장식용 필름층을 갖는 사출성형품의 제작 방법
WO2004011225A1 (en)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multi-layer plastic products and multi-layer plast ic products thereof
KR101762571B1 (ko) 자개를 구비한 사출성형물 제조방법
JP2828376B2 (ja) 成形同時絵付金型および成形同時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143222A (ja) レザークロス付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19570A (zh) 装饰模制部件
JP7343361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319096B2 (ko)
CN220053695U (zh) 一种多彩字牌成型组件
TW200633831A (en) In-mold decoration process
CN208452162U (zh) 一体式imt手机后盖的注塑模具
KR200372278Y1 (ko) 이중사출그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