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42Y1 - 우의가 부착된 배낭 - Google Patents

우의가 부착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42Y1
KR200298142Y1 KR2020020020621U KR20020020621U KR200298142Y1 KR 200298142 Y1 KR200298142 Y1 KR 200298142Y1 KR 2020020020621 U KR2020020020621 U KR 2020020020621U KR 20020020621 U KR20020020621 U KR 20020020621U KR 200298142 Y1 KR200298142 Y1 KR 200298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raincoat
backpack body
side attachment
visi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응
Original Assignee
안대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대응 filed Critical 안대응
Priority to KR2020020020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42Y1/ko
Priority to PCT/KR2003/001153 priority patent/WO2004004511A1/en
Priority to AU2003243020A priority patent/AU200324302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1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coats or cap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school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의(18)를 배낭몸체(4)에 신속히 넣거나 빼어낼 수 있게 하면서, 학생들의 책가방용도로 사용될 경우 우의(18)를 신속히 꺼내어 비상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게 하므로써 실용성과 편리성이 함께 향상되게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배낭에 우의(18)를 접목시켜 우천시나 폭설, 한풍시에 다기능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므로써, 보행시 급작스런 폭우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데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우천시에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보행자의 식별능력이 저하되더라도 보행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하여 교통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배낭몸체(4)와, 상기 배낭몸체(4) 전면 양측에 위치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어깨끈(6)과, 상기 배낭몸체(4) 상부에 고리모양으로 설치되는 배낭손잡이(2)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몸체(4) 하단부에 우의부착함지퍼(14)를 구비한 우의부착함(12)이 설치되고, 상기 우의부착함(12) 내부에 우의(18)가 설치되며, 상기 우의(18)에 야광물질이 착색된 우의가 부착된 배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의가 부착된 배낭{A raincoat have packsack}
본 고안은 우의가 부착된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의를 배낭몸체에 신속히 넣거나 빼어낼 수 있게 하면서 학생들의 책가방용도로 사용할 경우 우의를 신속히 꺼내어 비상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게 하므로써 실용성과 편리성이 함께 향상되게 하고, 또한 배낭에 우의를 접목시키므로써 우천시나 폭설, 한풍시에 다기능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며, 이와 함께 우천시에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보행자의 식별능력이 저하되더라도 보행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우의가 부착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우산을 이용하여 비를 피하거나 우의를 착용하므로써 비를 피하게 되는데, 특히 등산을 하게 되면 우산은 산행에 곤란함을 겪게 되어 보통 우의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우의는 이용자가 신속히 착용할 수 있어야 만이 등산시 발생할 수 있는 소낙비 등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되므로, 우의를 배낭으로부터 신속히 꺼내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하나의 과제이다.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배낭몸체(4)가 구성되고, 상기 배낭몸체(4) 상단부에는 몸체지퍼(10)와 배낭손잡이(2)가 설치되며, 상기 배낭몸체(4) 전면 양측에는 어깨끈(6)이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배낭몸체(4) 배면에는 소지품함(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상기 몸체지퍼(10)를 오픈한 다음 배낭몸체(4) 내부에 필요한 내용물을 넣은 후 몸체지퍼(10)를 클로즈상태로 하고, 상기 소지품함(8)에는 여러 종류의 소지품을 넣게 되는데, 이때 배낭몸체(4)와 소지품함(8)에는 우의를 필요에 따라서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넣어 보관할 수 있다.따라서, 우천시에 이용자는 배낭몸체(4) 또는 소지품함(8)으로부터 우의를 꺼내어 착용하므로써 비를 피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소낙비등 급작스럽게 내리는 비의 경우에는 우의를 신속히 착용할 수 없어 편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상기와는 달리 학생들이 책가방용도로 사용할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우의나 우산 등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급작스럽게 비가 내리면 대부분 비에 젖게 된다.
본 고안은 우의를 배낭몸체에 신속히 넣거나 빼어낼 수 있게 하므로써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게 하고, 또한 학생들의 책가방용도로 사용될 경우 우의를 신속히 꺼내어 비상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게 하므로써 실용성이 향상되게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배낭에 우의를 접목시키므로써 우천시나 폭설, 한풍시에 다기능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고, 또한 보행시 급작스런 폭우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게 하여 유용한 배낭으로서의 기능이 발휘되게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우천시에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보행자의 식별능력이 저하되더라도 보행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배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배낭에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이용자가 착용한 상태도도 4 는 본 고안이 설치된 배낭의 사시도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 예로 우의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배낭 손잡이 4 : 배낭 몸체
6 : 어깨 끈 8 : 소지품 함
10 : 몸체 지퍼 12 : 우의 부착함
14 : 우의 부착함 지퍼 16: 우의 부착함 바닥면18 : 우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배낭몸체(4)와, 상기 배낭몸체(4) 전면 양측에 위치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어깨끈(6)과, 상기 배낭몸체(4) 상부에 고리모양을 하면서 설치되는 배낭손잡이(2)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몸체(4) 하단부에 우의부착함지퍼(14)를 구비한 우의부착함(12)이 설치되고, 상기 우의부착함(12) 내부에 우의(18)가 설치되며, 상기 우의(18)에 야광물질이 착색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배낭몸체(4)(도 5참조)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배낭몸체(4) 상부에 고리 모양을 하면서 배낭손잡이(2)가 설치되며, 상기 배낭몸체(4) 전면 양측에는 어깨끈(6) 2개가 소정거리를 두면서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어깨끈(6) 상, 하단부는 각각 상기 배낭몸체(4) 전면에 재봉되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낭몸체(4) 상부에는 개, 폐 역할을 하는 몸체지퍼(10)가 설치되고, 상기 배낭몸체(4) 배면에는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된 소지품함(8)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배낭몸체(4) 하부에는 우의부착함(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우의부착함(12) 저면부에는 우의부착함바닥면(16)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개,폐역할을 하는 우의부착함지퍼(14)가 설치된다.
상기 우의부착함(12) 내부에는 우의(18)가 최단부 안쪽 모서리 면과 허리부분이 일치하는 지점에 재봉되어 견고하게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우의부착함(12) 내부에는 우의부착함바닥면(16)에서부터 다리에 이르는 우의(18)와, 우의부착함바닥면(16)에서부터 머리부분까지 이르는 우의(18)로 나뉘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상기 우의(18) 외측면에는 도로상에서 보행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면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야광물질이 착색된다.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우의(18)의 재질은 얇고 질기며 가벼운 나이론, 비닐,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면서 표면이 방수 코팅 처리되는 것으로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배낭에 부착된 우의의 사이즈는 대, 중, 소 및 유아용으로 분류하여 배낭에 선택 적용할 수 있다.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사용자가 배낭몸체(4)(도 5참조)를 등에 위치시킨 다음 어깨끈(6)을 어깨에 메고 이동하는 중에 비가 내리면, 비를 피하기 위해 사용자는 배낭몸체(4)를 어깨에 걸은 상태에서 상기 우의부착함지퍼(14)를 오픈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우의부착함(12)내에 설치된 우의(18)의 무게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면서 하방으로 쳐지게 된다.따라서 상기 우의부착함바닥면(16)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쳐지면서 이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우의(18)가 자중에 의해 우의부착함(1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이용자의 다리부분으로 펼쳐져 덮여지게 된다.이와 함께 상기 우의부착함(16)에 있는 또 다른 부분인 우의(18)를 이용자가 손으로 붙잡고 상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우의(18)는 펼쳐지면서 배낭몸체(4)와 어깨부분과 팔, 목, 머리부분에 이르기까지 걸쳐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이용자의 신체는 우의(18)에 의해 전체적으로 커버되어 빗물로부터 보호되는 상태가 된다상기와 같이 우의(18)를 걸친 상태에서 등산 이외에 도로를 도보하게 되면, 우천시에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보행자의 식별능력이 저하되는데, 이때 상기 우의(18) 외면에 착색된 야광물질 내지는 밝고 화려하게 착색된 색상에 의해 보행자는 도로상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게 되므로,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우의를 배낭몸체에 신속히 넣거나 빼어낼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학생들의 책가방용도로 사용될 경우 우의를 신속히 꺼내어 비상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다른 효과로는 배낭에 우의를 접목시킴으로써 우천시에나 폭설, 한풍시에 다기능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실용성이 향상되고, 이와 함께 보행시 급작스러운 폭우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어 유용한 배낭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또 다른 효과로는 우천시에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보행자의 식별능력이 저하되지만, 우의에 착색된 야광물질 내지는 밝은 색상에 의해 보행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어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배낭몸체(4)와, 상기 배낭몸체(4) 전면 양측에 위치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어깨끈(6)과, 상기 배낭몸체(4) 상부에 고리모양으로 설치되는 배낭손잡이(2)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몸체(4) 하부에 우의부착함지퍼(14)를 구비한 우의부착함(12)이 설치되고, 상기 우의부착함(12) 내부에 우의(18)가 설치되며, 상기 우의(18)에 야광물질이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우의가 부착된 배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의(18)는 나이론, 비닐,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면서 표면이 방수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의가 부착된 배낭.
KR2020020020621U 2002-07-09 2002-07-09 우의가 부착된 배낭 KR200298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21U KR200298142Y1 (ko) 2002-07-09 2002-07-09 우의가 부착된 배낭
PCT/KR2003/001153 WO2004004511A1 (en) 2002-07-09 2003-06-12 Backpack with attached raincoat
AU2003243020A AU2003243020A1 (en) 2002-07-09 2003-06-12 Backpack with attached rainc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21U KR200298142Y1 (ko) 2002-07-09 2002-07-09 우의가 부착된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42Y1 true KR200298142Y1 (ko) 2002-12-18

Family

ID=3246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21U KR200298142Y1 (ko) 2002-07-09 2002-07-09 우의가 부착된 배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98142Y1 (ko)
AU (1) AU2003243020A1 (ko)
WO (1) WO20040045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52Y1 (ko) * 2008-06-20 2010-11-05 이호평 다기능 배낭
KR20230008500A (ko) * 2021-07-07 2023-01-16 강원식 시인성이 향상된 재난대비용 포대자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0612B1 (es) * 2007-04-24 2010-02-26 Ignacio Navarro Regne Chubasquero para ciclomotores, scooters, motocicletas y bicicletas.
JP7274740B6 (ja) * 2018-07-07 2023-07-24 宜子 三輪 携帯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914A (ja) * 1992-01-28 1993-08-10 Bangaade:Kk レインコート付き背負い袋
KR940005616Y1 (ko) * 1992-09-09 1994-08-20 박우충 쿠션등받이 겸용 우의
KR970056631U (ko) * 1996-04-20 1997-11-10 주대길 우의가 구비된 가방
JPH10192028A (ja) * 1997-01-16 1998-07-28 Hirose:Kk
JP3341985B2 (ja) * 1998-01-28 2002-11-05 東洋紡績株式会社 保温性透湿防水布帛
KR200171252Y1 (ko) * 1998-09-18 2000-03-15 정용태 우비가 내장된 가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52Y1 (ko) * 2008-06-20 2010-11-05 이호평 다기능 배낭
KR20230008500A (ko) * 2021-07-07 2023-01-16 강원식 시인성이 향상된 재난대비용 포대자루
KR102633037B1 (ko) 2021-07-07 2024-02-02 강원식 시인성이 향상된 재난대비용 포대자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3020A1 (en) 2004-01-23
WO2004004511A1 (en)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834B2 (en) Survival jacket
US6272688B1 (en) High visibility detached safety sleev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00116305A1 (en) Rain Protection Umbrella
US4017908A (en) Rescue garment
JP2009074231A (ja) マント型雨着
US6203390B1 (en) Life jacket having deployable balloon
US20160121705A1 (en) A Cover
KR200298142Y1 (ko) 우의가 부착된 배낭
EP1440630A1 (en) A backpack type satchel with a rain hat and connected cape
KR200404894Y1 (ko) 우의가 부착된 배낭
JP6893597B2 (ja) 背負い鞄に取り付ける収納袋
CN214594401U (zh) 一种多功能可收纳防水腿套
KR200160948Y1 (ko) 탈부착식 우의겸용 우산
JPS6125376Y2 (ko)
JPH10192028A (ja)
CN207519767U (zh) 一种多功能雨伞
CN201123408Y (zh) 一种雨衣
KR101174599B1 (ko) 다기능 판초우의
CN201230684Y (zh) 防水书包
JP2007319652A (ja) 手提げかばん。
JP3121622U (ja) 長傘携帯用傘袋
JP3052010U (ja) リュックサック
JPS591007Y2 (ja) 自転車用の雨除けマント
KR200363067Y1 (ko) 우비를 가진 배낭가방
CN112704312A (zh) 一种防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