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48Y1 -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48Y1
KR200297248Y1 KR2020020026609U KR20020026609U KR200297248Y1 KR 200297248 Y1 KR200297248 Y1 KR 200297248Y1 KR 2020020026609 U KR2020020026609 U KR 2020020026609U KR 20020026609 U KR20020026609 U KR 20020026609U KR 200297248 Y1 KR200297248 Y1 KR 200297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
rail
nozzles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호 filed Critical 정윤호
Priority to KR2020020026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4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레일 및 도상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하부에 위치되는 도상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분사킷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킷트의 길이단에는 도상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수 노즐이 상호 이격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노즐의 일측에는 각 레일의 측방향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쌍으로 된 분사노즐이 구비되되, 상기 분사노즐은 각 쌍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 노즐은 철도의 도폭 방향을 따라 왕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도상의 먼지를 제거하면서 레일의 구석구석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사킷트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물줄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회전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분사장치대를 설치하여 각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줄기가 철도 터널 내부의 전체공간을 커버하며 이 공간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모두 가라앉히도록 함으로써 철도 레일 및 도상의 세척효과를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터널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RAIL ROAD WASHING SYSTEM}
본 고안은 철도 레일 및 도상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주대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킷트에 회전하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노즐과, 레일의 측방향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철도의 도상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면서 레일의 구석구석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주대차(auto track)는 지하철이나 공장 등의 대형 건물에서 생산용 자재나 제품, 그리고 검사체 등을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체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구동륜이 레일 위를 주행하게 되며, 양측의 구동륜에 회전속도상의 차이를 주는 방식에 의해 곡선주행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는 자주대차에 구비된 종래 구조의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대차(1)의 차체(2) 상면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형 물탱크(3)가 설치되고, 이 물탱크(3)의 후방으로 인출된 수배관(4)이 상기 자주대차(1)의 차체(2) 후방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상기 수배관(4)은 끝단부에서 상기 자주대차(1)의 차체 양방향으로 추가 연장하여 이 연장부(4a)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다수의 노즐(4d)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배관(4)은 차체(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워터펌프(5)와 연결되어 이 워터펌프(5)의 가동으로 물탱크(3) 내부의 물을 인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워터펌프(5)의 후방에서 상기 수배관(4)은 다시 양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b)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4b)의 양단에는 자주대차(1)의 차체(2) 상방으로 물을 끌어올려 레일이나 그 주변지역에 물을 뿌려주기 위한 물분사 파이프(6)가 구비되며, 이 물분사 파이프(6)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노즐(6a)이 구비된다.
도 1의 미설명부호 "4c"는 '개폐레버'로서, 수배관(4)을 통한 물공급을 수동 제어하게 되며, 미설명부호 "7"는 '고정바아'로서, 상기 물분사 파이프(6)를 물탱크(3)의 일측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미설명부호 "8"은 '구동륜'이고, "9"는 '견인용 조인트'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는 도 3의 사용상태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배관과 물분사 파이프에 구비된 분사노즐이 모두 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도 한계가 있어 레일 내부의 구석구석에 끼인 기름때나 먼지, 그리고 쇳가루 등을 깨끗이 세척할 수 없었으며, 그로 인해 세척후에도 레일에 이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세척효과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주대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킷트에 회전하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노즐과, 레일의 측방향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철도의 도상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면서 철도 레일의 구석구석에 끼인 기름때나 먼지 등을 깨끗이 제거하여 세척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된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가 구비된 자주대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종래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를 구비한 자주대차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노즐킷트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일 작동례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4의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다른 작동례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체 3 : 물탱크
8 : 구동륜 10 : 레일
11 : 침목 100 : 자주대차
101 : 프레임 110 : 발전기
120 : 펌프 130 : 분사킷트
131,143,144 : 세척수 노즐 132 : 분사노즐
133 : 분배관 134 : 모터
135 : 작동부재 135a : 노즐공
140 : 분사장치대 141 : 노즐킷트
142 : 가지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차량에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하부에 위치되는 도상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분사킷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킷트의 길이단에는 도상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수 노즐이 상호 이격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노즐의 일측에는 각 레일의 측방향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쌍으로 된 분사노즐이 구비되되, 상기 분사노즐은 각 쌍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 노즐은 철도의 도폭 방향을 따라 왕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도상의 먼지를 제거하면서 레일의 구석구석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분사킷트의 일측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장치대가 구비되되, 상기 각 분사노즐은 차량 주위의 전체 공간에 물이 뿌려지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공간 중에 존재하는 먼지입자를 가라앉히면서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 노즐과, 상기 분사장치대에 구비된 분사노즐은 360도 회전가능한 것으로 구비하여 상기 각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퍼짐각을 크게 하여 세척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서는 자주대차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노즐킷트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의 일 작동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는 물탱크(3)의 후방 일측으로 차량, 즉 자주대차(100)의 차체(2) 상면에 세척장치용 프레임(101)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101)의 상면에 발전기(110)와 고압의 펌프(12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01)의 후단에는 철도 도상을 세척하기 위한 분사킷트(130)가 자주대차(100)의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분사킷트(130)는 물탱크(3)와 배관(미도시) 이음된다.
상기 분사킷트(130)로부터 프레임(2)의 전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는 자주대차(100)의 주변으로 고압의 물줄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대(140)가 설치되고, 이 분사장치대(140)도 또한 물탱크(3)와 배관(미도시) 이음된다. 상기 분사킷트(130)에는 이의 길이단을 따라 다수의 세척수 노즐(131)이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어 각각의 세척수 노즐(131)이 자주대차(100) 하부의 철도 도상(11; 도 7 참조)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 노즐(131)은 공지의 기술인 리니어 모터(linear moter)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철도의 도폭 방향을 따라 왕복 회전하는 구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로부터 상기 세척수 노즐(131)은 도 7에 도시된 레일(10) 및 침목(11)을 포함하는 철도 도상 전체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도상 및 그 주변의 먼지입자들을 제거하는 일차적인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따르면, 상기 세척수 노즐(131)은 그 개수가 6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노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노즐(131)은 360도 회전가능한 노즐로 구성하여 물의 퍼짐 면적이 최대한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노즐 회전속도에 따라 물이 분사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세척수 노즐(131)은 물탱크(3)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133)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으며, 이 분배관(133)의 일측에는 모터(134) 구동시 이와 연동하여 상기 분배관(133)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는 작동부재(135)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작동부재(135)에는 각 세척수 노즐(131)의 일측이 철도 도상을 향해 통과하게 되는 다수의 노즐공(135a)을 형성하여, 모터(134) 구동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135)의 왕복 운동시 상기 분배관(133)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세척수 노즐(131)이 상기 노즐공(135a)에 걸려 철도의 도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레일(10)과 침목(11)을 포함하는 도상 전체를 일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킷트(130)는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 노즐(13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끝단부의 저면에 자주대차(100)의 구동륜(8) 하단에 위치되는 레일(미도시)을 향하여 고압의 물줄기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진 분사노즐(132)이 설치된다. 각 쌍의 분사노즐(132)은 레일(10)의 양측부에 부착 또는 굳어 있는 쇳가루와 기름때 등을 집중 세척하도록 상기 레일(10)의 양측부를 향해 상호 대향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척수 노즐(131)과 분사노즐(132)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 또는 물줄기는 일정 수준의 세척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 크기 이상의 분사압력을 가지되, 바람직하게는 70 Kg/cm2이상의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분사장치대(140)에는 자주대차(100)의 차체(2) 후방으로 상기 레일(미도시)을 향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킷트(141)가 구비되고, 이 노즐킷트(141)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가지관(142)이 구비되어 각 가지관(142)의 중간부와 끝단 등 하나 이상의 지점에 분사노즐(143)(144)이 설치된다. 각각의 분사노즐(143)(144)은 분사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해 360도 회전가능한 노즐로 구성하고, 상기 가지관(142)도 노즐킷트(141)에 360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제공하여 상기 각 분사노즐(143)(144)로부터 뿜어내는 물줄기가 철도 터널내 전체공간에 퍼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지관(142)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43)들은 모두 노즐킷트(141)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면서 설치각도를 각각 다르게 배치하고, 상기 가지관(142)의 끝단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44)들은 가지관(142)의 끝단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각 분사노즐(143)(144)의 설치방향은 그 자체로, 또한 상기 가지관(142)에 의해 360도 회전하면서 분사되는 동안, 철도 터널 내부의 전체 공간에 미세한 물 입자로 퍼뜨려지면서 자주대차(100) 주변의 전 공간을 커버하여 이 공간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모두 가라앉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효과를 보다 상승시키기 위해 분사장치대(140)에 공지의 기술인 리니어 모터(linear moter) 구동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노즐킷트(141)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승강가능한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주대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킷트에 회전하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노즐과, 레일의 측방향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철도의 도상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면서 철도 레일의 구석구석에 끼인 기름때나 먼지 등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사킷트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물줄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회전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분사장치대를 설치하여 각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줄기가 철도 터널 내부의 전체공간을 커버하며 이 공간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들을 모두 가라앉히도록 함으로써 철도 레일 및 도상의 세척효과를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터널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철도 레일 및 도상을 세척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하부에 위치되는 도상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분사킷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킷트의 길이단에는 도상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수 노즐이 상호 이격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노즐의 일측에는 각 레일의 측방향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쌍으로 된 분사노즐이 구비되되, 상기 분사노즐은 각 쌍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 노즐은 철도의 도폭 방향을 따라 왕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도상의 먼지를 제거하면서 레일의 구석구석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킷트의 일측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장치대가 구비되되, 상기 각 분사노즐은 차량 주위의 전체 공간에 물이 뿌려지도록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하여 상기 공간 중에 존재하는 먼지입자를 가라앉히면서 공기를 정화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노즐과, 상기 분사장치대에 구비된 분사노즐은 360도 회전가능한 것으로 구비하여 상기 각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퍼짐각을 크게 하여 세척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KR2020020026609U 2002-09-05 2002-09-05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KR200297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09U KR200297248Y1 (ko) 2002-09-05 2002-09-05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09U KR200297248Y1 (ko) 2002-09-05 2002-09-05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48Y1 true KR200297248Y1 (ko) 2002-12-11

Family

ID=7307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609U KR200297248Y1 (ko) 2002-09-05 2002-09-05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5892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des Gleisoberbaus sowie von Tunnelwänden
KR200243344Y1 (ko) 지하철 궤도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KR200297248Y1 (ko)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KR20120031704A (ko) 트럭 장착식 다목적 브러쉬 장치
KR20090102925A (ko) 전동차에 장착한 살수장치
JP2002146737A (ja) トンネル上面清掃装置
KR100619452B1 (ko)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
JP2011235773A (ja) 車両のタイヤ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05180119A (ja) 排水性舗装の機能回復車
JPH07127027A (ja) 道床清掃装置
CN107974982A (zh) 一种绿化带清洗装置
JP2003306919A (ja) 道床面などの洗浄車両
JP3674696B2 (ja) 洗浄車両による道床面などの機械式洗浄方法
CN106808343A (zh) 用于轻轨轨道预制体的打磨装置
JP3687752B2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
KR102287349B1 (ko) 대형차량용 하부 세차 장치
KR200333291Y1 (ko) 표지병 청소장치
KR102280920B1 (ko)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JPH11104049A (ja) 洗浄方法および装置
CN217998229U (zh) 一种具有对履带喷淋清洗结构的推土机
KR0132735Y1 (ko) 살수차의 먼지 제거 장치
CN2675491Y (zh) 龙门式刷车机
KR970000273Y1 (ko) 차량의 바퀴 세정장치
KR102641125B1 (ko) 전후방 회동기능이 구비된 분사노즐 회동장치
JPH0645922B2 (ja) 洗掘、洗浄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