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20B1 -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20B1
KR102280920B1 KR1020210048458A KR20210048458A KR102280920B1 KR 102280920 B1 KR102280920 B1 KR 102280920B1 KR 1020210048458 A KR1020210048458 A KR 1020210048458A KR 20210048458 A KR20210048458 A KR 20210048458A KR 102280920 B1 KR102280920 B1 KR 10228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shing
separator
pressure wa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순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건설
김조순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건설, 김조순, 김정훈 filed Critical (주)에스엔건설
Priority to KR102021004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05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in situ road or railway furniture, for instance road barricades, traffic signs; 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tunnel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된 분리대 및 교량 난간의 방호벽에 안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중앙 분리대에 흡착된 먼지, 및 이물질을 고압수를 통해 제거하여 도로구조물의 표면상태 점검, 관리 및 도시미관 증대와 도로운전자의 시인성 증대로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Wide Area Cleaner}
본 발명은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된 분리대 및 교량 난간의 방호벽에 안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중앙 분리대에 흡착된 먼지, 및 이물질을 고압수를 통해 제거하여 도로구조물의 표면상태 점검, 관리 및 도시미관 증대와 도로운전자의 시인성 증대로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중앙에는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왕복 교통을 분리하여 차량과 차량의 충돌, 차량의 이탈, 헤드라이트에 대한 눈부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이 도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과 인도를 분리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대는 도로에 설치되는 특성상, 야외 또는 터널 등에 배치되어 장기간 사용시 표면에 빗물에 의해 젖은 상태와 대기오염에 의해 발생하는 매연, 미세먼지, 타이어가루, 분진 등이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통해 비가오는 날씨, 흐린 주간 및 야간에 도로 주행 중 분리대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려우며, 분리대에 부착 또는 설치된 반사판 등이 효율이 저하되어 사고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대에 장기간 흡착된 매연 및 먼지 등은 강풍 등의 바람에 날려 주변 공기가 오염되며, 비, 눈 등에 의해 주변 도로의 쾌적성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도로 중앙분리대 및 가이드레일 청소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다목적 차량에 장착된 회전브러쉬를 전용으로 수직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직방향으로 대칭되게 회전이송 할 수 있어 넓은 작업영역의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상기 회전브러쉬를 수평 또는 수직상태에서 단독으로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보다 광범위한 영역 및 다양한 대상물을 청소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다목적 차량이 통행이 어려운 좁은 도로 및 교통의 방해가 발생시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회전브러쉬를 통해 청소시 분리대에 흡착된 매연 및 먼지가 비산하여 주변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을 가지는 분리대에 맞춰 적용이 어려워 고르게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고압세척건 형식은 청소폭이 협소하여 넓은 면적을 동시에 청소할 수 없어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장시간 청소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2552호(2004.07.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중앙 및 양측에 배치된 분리대 및 가드레일 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용이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단부분이 분리대의 형상에 맞춰 위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대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 다양하게 세척수단을 배치하여 분리대의 양측면 및 상부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측에 배치된 세척수단은 분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분리대에 밀착되어 고압수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가 일면에서 작업을 진행하여도 타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중장비 없이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차량의 통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차량통행을 방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리대에 흡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에 안착되어 고압수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분리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제1삽입홈이 형성된 세척판과, 상기 세척판의 양측단 상단에서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분리대의 상단에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세척판 및 상기 고정판에 다수개 결합되어 상기 세척판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분리대에 이동가능하게 밀착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제1삽입홈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1분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사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척판의 외부에서 고압수가 유입되는 공급관과, 상기 세척판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판 및 상기 고정판의 외면에 다수개 설치된 파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판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리대의 형상에 맞춰 위치를 조절하여 세척하는 연장세척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연장세척부는, 상기 세척판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2삽입홈 및 상기 이동바퀴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세척판과 상기 회전판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2삽입홈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2분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대의 상단면을 세척하는 보조세척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세척부는, 상기 분리대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세척판 및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보조세척판과, 상기 보조세척판의 측면에서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세척판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이동바퀴가 형성된 보조결합판과, 상기 제3삽입홈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3분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분리대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분리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을 연결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 및 양측에 배치된 분리대 및 가드레일 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용이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굴곡이 형성된 분리대의 하단부분 형상에 맞춰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대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 세척수단, 보조세척부, 고정수단을 상호 결합하여 분리대의 양측면 및 상부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대의 양측에 배치된 세척수단은 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분리대를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대에 밀착되어 고압수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쪽 위치에서 양측면을 동시에 세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중장비 없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수를 통해 용이하게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차량 통제 및 통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차량통행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분사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세척부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대에 배치된 세척수단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분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세척부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대에 배치된 세척수단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된 분리대 및 교량 난간의 방호벽에 안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중앙 분리대에 흡착된 먼지, 및 이물질을 고압수를 통해 제거하여 도로구조물의 표면상태 점검, 관리 및 도시미관 증대와 도로운전자의 시인성 증대로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분리대 및 가드레일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판(110), 고정판(120), 이동바퀴(130) 및 제1분사부(140)로 구성된 세척수단(10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세척수단(100)은 도로에 설치된 상기 분리대(200) 및 가드레일에 설치한 후, 고압수에 의해 매연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에 앞서, 상기 분리대(200)는 도로의 차선과 차선 또는 차선의 외각, 인도와 도로의 등의 경계를 구획하거나, 교량 난간의 방호벽 등에서 콘크리트 구조를 통해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척수단(100)은 작업자가 파지한 후, 이동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상기 세척수단(100)에 따른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판(110)은 상기 분리대(200)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제1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세척판(110)은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단 전방에 상기 제1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세척판(110)의 양측단 상단에서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에 안착된다.
즉,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세척판(110)의 양측단 상단에서 내부를 향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세척판(110)의 상단이 절곡되거나 또는 판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판(110)이 상기 분리대(200)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이동바퀴(130)는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에 다수개 결합되어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을 상기 분리대(200)에 이동가능하게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바퀴(130)는 상기 분리대(200)의 측면 및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이 상기 분리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대, 상기 이동바퀴(130)는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제1분사부(14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분사부(140)는 상기 제1삽입홈(11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제1분사부(140)는 고압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상기 분리대(20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관(141) 및 분사관(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관(141)은 상기 제1삽입홈(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척판(110)의 외부에서 고압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141)은 상기 제1삽입홈(111)에 삽입된 후, 볼트체결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141)의 일측은 상기 세척판(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고압수를 공급하는 공급호스(3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호스(300)는 회전하는 상기 공급관(141)에 결합되어 고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141)은 상기 세척판(110)의 상기 제1삽입홈(11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관(142a)과, 상기 세척판(1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관(14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관(142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관(142a)은 상기 제1삽입홈(111)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세척판(1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세척판(11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볼트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관(142a)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고압수를 공급하는 공급호스(300)가 결합되어 고압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142b)의 일측은 상기 고정관(142a)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판(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타측에는 상기 분사관(142)이 결합된다.
상기 분사관(142)은 상기 세척판(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관(141)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4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분사관(142)은 상기 공급관(141)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측면과 수평방향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43)은 상기 분리대(200)를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관(142)에 다수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143)은 분사방향은 일정각도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고압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사노즐(143)은 상기 공급관(141)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며, 분사되는 고압수의 수압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143)은 상기 분사관(142)과 약 5~60°의 범위 내의 각도를 형성하되 고압수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약 1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판(110)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홈(111)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상기 제1분사부(140)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관(142)은 약 30~50cm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판(110)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수개 배치되며, 세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리대(200)의 높이가 높은 경우, 다수개의 상기 제1분사부(140)가 상호 간섭이 받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하여 상기 분리대(200) 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분사부(140)는 상기 공급관(141)과 결합된 공급호스(300)를 통해 외부에서 고압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고압수는 상기 분사관(142)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상기 분사관(142)으로 유입된 고압수는 상기 분사노즐(143)을 통해 상기 분리대(200)에 분사된다.
이때, 상기 분사관(142)은 상기 분사노즐(143)을 통해 비스듬하게 분사되는 고압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의 외면에 다수개 설치된 파지부(15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파지부(15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분사부(14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다수개의 상기 파지부(150)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편리하게 파지한 후 상기 세척수단(100)을 상기 분리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형상에 맞춰 위치를 조절하여 세척하는 연장세척부(16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세척부(160)는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회동을 통해 상기 분리대(200)의 다양한 형상에 맞춰 위치를 조정한 후 세척이 가능하도록 회전판(161), 힌지부(162) 및 제2분사부(16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161)은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2삽입홈(161a) 및 상기 이동바퀴(130)가 형성된다.
측, 상기 회전판(161)은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상기 제2삽입홈(16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퀴(130)는 상기 회전판(16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대(200)에 이동가능하게 밀착된다.
상기 힌지부(162)는 상기 세척판(110)과 상기 회전판(161)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1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162)는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과 상기 회전판(161)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16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판(161)은 상기 힌지부(16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분리대(200)의 하단부분의 형태에 맞춰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하단부분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11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2분사부(16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2분사부(163)는 상기 제1분사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척판(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을 세척하는 보조세척부(17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보조세척부(170)는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보조세척판(171), 보조결합판(172) 및 제3분사부(173)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세척판(171)은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3삽입홈(17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세척판(171)은 판재형태의 중앙부분에 제3삽입홈(171a)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대(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세척판(171)은 측단면이 상기 세척판(110)과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세척판(11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 사이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세척판(171)은 상기 제3분사부(173)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바퀴(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세척판(171)은 상기 분리대(200)와 상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판(172)은 상기 보조세척판(171)의 측면에서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세척판(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이동바퀴(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결합판(172)은 상기 보조세척판(171)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 또는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결합판(172)은 상기 세척판(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세척판(171)이 상기 세척판(110)에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된다.
즉, 상기 보조결합판(172)은 나사, 볼트 등의 결합부재 또는 끼움결합 등을 통해 상기 세척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에 고정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보조결합판(172)을 설치 또는 제거하여 상기 분리대(200)의 형상 및 세척용도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분사부(173)는 상기 제3삽입홈(171a)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제3분사부(173)는 상기 제1분사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공급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분리대(200)의 상부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과 상기 세척수단(100)을 연결하는 고정수단(180)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동시에 세척이 진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80)을 통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을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180)은 다양한 구성을 통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을 고정한다.
이러한 일예로,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 체결돌기(181) 및 체결홈(18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181)는 상기 분리대(20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의 고정판(120)의 상단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82)은 상기 분리대(200)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의 고정판(120)에 일정각도 비스듬하게 경사진 장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홈(182)을 상기 세척수단(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기 분리대(200)와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돌기(181)와 상기 체결홈(182)을 통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100)이 길이방향 이동시, 비스듬하게 형성된 상기 체결홈(182)을 따라 상기 체결돌기(181)가 이동하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에 밀착된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은 연결판(183)을 통해 고정한다.
이때, 상기 세척수단(100) 및 상기 연결판(183)에는 상기 체결돌기(181) 및 상기 체결홈(182)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판(12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분리대(200)를 세척할 경우, 상기 연결판(183)을 통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181) 및 상기 체결홈(182)은 상기 기재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상기 세척수단(100)이 상기 분리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세척수단(100)이 상기 분리대(2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판(183)을 통해 상기 고정판(120)보다 넓은 폭의 상기 분리대(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연장세척부(160)를 통해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연장세척부(160)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돌기(181) 및 체결홈(182)을 상호 결합되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연결판(183) 대신 상기 연장세척부(160)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세척판(110), 상기 고정판(120), 상기 이동바퀴(130) 및 상기 제1분사부(140)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에 안착시킨 후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단(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대(200)의 크기 및 규격에 맞춰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판(110)에 하나의 상기 제1삽입홈(111)이 형성되며, 이 상기 삽입홈(111)에 상기 제1분사부(110)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높이가 낮은 상기 분리대(200)와,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부분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판(110)에 형성된 상기 제1삽입홈(111)에 상기 제1분사부(140)와, 상기 연장세척부(16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대(200)에 안착되어 상기 제1분사부(140)는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부분을 세척하고, 하단은 상기 분리대(200)의 경사에 맞춰 각도를 조절하여 세척한다.
마지막으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판(110)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홈(111)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1분사부(140)와 상기 연장세척부(16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부(140)는 회전반경이 상호 간섭받지 않으며, 일정부분 접점을 형성하여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분리대(200)의 전면이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부분은 다수개의 상기 제1분사부(140)를 통해 넓은 면적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하단부분은 상기 연장세척부(160)를 통해 상기 분리대의 경사에 맞춰 각도를 조절하여 세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200)는 다수개의 상기 제1분사부(140) 및 상기 연장세척판(160)의 구성을 상기 분리대(200)의 규격 및 크기 등에 맞춰 용이하게 배치함에 따라 한번의 이동을 통해 넓은 면적의 상기 분리대(200)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아울러, 다수개의 상기 제1분사부(160)는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분리대의 길이방향 이동시 전면을 고르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판(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사노즐(143)이 상기 분리대(200)와 약 3cm~25cm 사이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약 5cm를 유지하여 고압수를 통해 용이하게 세척하되, 고압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관(142)은 약 30~50cm의 길이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3 분사부(140, 163, 173)은 산기 분사관(143)의 범위 내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상기 제1 내지 3분사관(140, 163, 173)이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분리대(200)의 전면을 고르게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고정판(120)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에 위치하고, 상기 세척판(110)은 상기 분리대(200)의 측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이동바퀴(130)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부(140)는 상기 공급호스(30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상기 분리대(200)에 분사하며, 분사되는 압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파지부(150)를 파지하여 상기 세척수단을 간편하게 이동시키며, 상기 제1분사부(140)에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분리대(200)에 흡착된 매연,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이동한다.
아울러, 고압수는 별도의 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 등과 같이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에 탑재한 후, 상기 세척수단(100)과 같이 이동하거나, 길이가 긴 상기 공급호스(300)를 사용하며, 상기 분리대(200)에 인접하게 배치한 후 고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부(140)는 상기 세척판(110)의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높이가 높은 상기 분리대(200)의 측면 전체에 동시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한번의 이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에 상기 연장세척부(160)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연장세척부(160)는 상기 세척판(110)에 상기 힌지부(16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다양한 형상에 맞춰 상기 연장세척부(160)가 회전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장세척부(160)의 상기 제2분사부(163)는 상기 제1분사부(14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한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세척부(160)는 상기 분리대(200)의 경사면 또는 수직면을 가지는 측단면 형상에 맞춰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분리대(200)의 측면을 동시에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판(110)의 상단에는 상기 보조세척부(170)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세척부(170)는 상기 세척수단(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분사부(173)를 통해 공급된 고압수에 의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수단(18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80)은 상기 체결돌기(181) 및 상기 체결홈(182)을 통해 상호 고정하되, 상기 분리대(200)를 따라 이동시 양측에 배치된 세척수단(100)은 상기 체결홈(18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분리대(2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압수에 의해 상기 세척수단(100)이 상기 분리대(20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동바퀴(130)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180)은 상기 분리대(200)의 폭에 맞춰 상기 연결판(183) 또는 상기 보조세척부(170)를 통해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수단(100)과 상기 보조세척부(170) 및 상기 연장세척부(160)를 부가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분리대(200)의 전면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대(200)의 다양한 형상에 맞춰 각 구성을 결합 및 분리하여 상황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분리대(200)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사고를 예방하고, 매연,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대(200)에 부착된 반사판 등이 같이 세척되어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트럭 등의 큰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편리하게 상기 분리대(200)의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차량통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세척수단
110: 세척판 111: 제1삽입홈
120: 고정판
130: 이동바퀴
140: 제1분사부 141: 공급관 142: 분사관
142a: 고정관 142b: 회전관
143: 분사노즐
150: 파지부
160: 연장세척부 161: 회전판 161a: 제2삽입홈
162: 힌지부 163: 제2분사부
170: 보조세척부 171: 보조세척판 171a: 제3삽입홈
172: 보조결합판 173: 제3분사부
180: 고정수단 181: 체결돌기 182: 체결홈
183: 연결판
200: 분리대
300: 공급호스

Claims (6)

  1. 분리대에 흡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200)에 안착되어 고압수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제1삽입홈(111)이 형성된 세척판(110)과,
    상기 세척판(110)의 양측단 상단에서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에 안착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에 다수개 결합되어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을 상기 분리대(200)에 이동가능하게 밀착되는 이동바퀴(130)와,
    상기 제1삽입홈(11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1분사부(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형상에 맞춰 위치를 조절하여 세척하는 연장세척부(16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연장세척부(160)는,
    상기 세척판(1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2삽입홈(161a) 및 상기 이동바퀴(130)가 형성된 회전판(161)과,
    상기 세척판(110)과 상기 회전판(161)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1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162)와,
    상기 제2삽입홈(161a)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2분사부(1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부(140)는,
    상기 제1삽입홈(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척판(110)의 외부에서 고압수가 유입되는 공급관(141)과,
    상기 세척판(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관(141)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43)이 형성된 분사관(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의 외면에 다수개 설치된 파지부(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판(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을 세척하는 보조세척부(170)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세척부(170)는,
    상기 분리대(20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세척판(110) 및 상기 고정판(120)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3삽입홈(171a)이 형성된 보조세척판(171)과,
    상기 보조세척판(171)의 측면에서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세척판(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이동바퀴(130)가 형성된 보조결합판(172)과,
    상기 제3삽입홈(171a)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는 제3분사부(1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분리대(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세척수단(100)과 상기 세척수단(100)을 연결하는 고정수단(18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KR1020210048458A 2021-04-14 2021-04-14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KR10228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458A KR102280920B1 (ko) 2021-04-14 2021-04-14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458A KR102280920B1 (ko) 2021-04-14 2021-04-14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20B1 true KR102280920B1 (ko) 2021-07-23

Family

ID=7715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458A KR102280920B1 (ko) 2021-04-14 2021-04-14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1915A (ja) * 1995-09-04 1997-03-18 Nippon Road Maintenance Kk 道路の路面及びその中央分離帯並びに縁石清掃用車両
JP2000257016A (ja) * 1999-03-12 2000-09-19 Sakai Heavy Ind Ltd 転圧車両の液剤散布装置
KR100442552B1 (ko) 2004-04-28 2004-07-30 이텍산업 주식회사 도로 중앙분리대 및 가이드레일 청소장치
KR20100121259A (ko) * 2009-05-08 2010-11-17 (주)건우기술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 표면 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1915A (ja) * 1995-09-04 1997-03-18 Nippon Road Maintenance Kk 道路の路面及びその中央分離帯並びに縁石清掃用車両
JP2000257016A (ja) * 1999-03-12 2000-09-19 Sakai Heavy Ind Ltd 転圧車両の液剤散布装置
KR100442552B1 (ko) 2004-04-28 2004-07-30 이텍산업 주식회사 도로 중앙분리대 및 가이드레일 청소장치
KR20100121259A (ko) * 2009-05-08 2010-11-17 (주)건우기술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 표면 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4130C (en)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KR101035622B1 (ko) 지하철 터널 내의 선로 고속 주행용 하이브리드 세정차량
CN204753459U (zh) 一种道路桥梁护栏清洗装置
KR102280920B1 (ko) 콘크리트표면 오염물 제거용 광폭 세척장치
CN111441290B (zh) 一种市政道路养护装置
KR200243344Y1 (ko) 지하철 궤도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US11161480B2 (en) Tire washing facility with washing water pipes
US20090133723A1 (en) Tire washing station
KR102116337B1 (ko)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를 활용한 다목적 청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4239B1 (ko) 터널형 방음벽 점검, 교체, 및 청소장치
KR102370632B1 (ko) 터널의 고압세척장치
KR100454369B1 (ko) 습식과 건식의 동시이용이 가능한 노면 청소차
CN108860072B (zh) 机动车清洗系统、含该系统建筑物、车道和停车场及应用
CN213328812U (zh) 道路重建翻新工程用隔离栏
KR102014180B1 (ko) 보차도블록 공극확보장비
KR101975411B1 (ko) 터널형세차기용 하부물기제거장치
JP3687752B2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
JP2929185B2 (ja) 洗浄装置
KR100465906B1 (ko) 복합식 터널, 노면 청소차
CN108834408B (zh) 带有第二清洗水输送系统的轮胎清洗系统
KR100516024B1 (ko) 터널 벽면 청소장치
KR200297248Y1 (ko) 철도 레일 및 도상 세척장치
CN214168885U (zh) 一种桥梁工程用桥梁护栏的清洁装置
CN218982461U (zh) 接触网清洗系统及清洗作业车
JPH044663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