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032Y1 -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032Y1
KR200297032Y1 KR20020026421U KR20020026421U KR200297032Y1 KR 200297032 Y1 KR200297032 Y1 KR 200297032Y1 KR 20020026421 U KR20020026421 U KR 20020026421U KR 20020026421 U KR20020026421 U KR 20020026421U KR 200297032 Y1 KR200297032 Y1 KR 200297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pport plate
fixing
fixing device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26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점길
Original Assignee
이점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점길 filed Critical 이점길
Priority to KR20020026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0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0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22Adjusting or registering devices for the base fabric, e.g. for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는 원단을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원단을 측면부에서 고정하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의 일측에 고정되어 원단을 받쳐주는 원단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에 의해 받쳐지는 원단을 전면에서 원단받침 플레이트와 마주접하도록 부착되어 원단을 팽팽하게 눌러주는 원단누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없이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원단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TEXTURE OF EMBROIDER MACHINE}
본 고안은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수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는 원단을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원단을 측면부에서 고정하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에서 직물원단을 이용하여 장식사를 봉착작업함에 있어서 장식사를 임의의 도형으로 이루도록 나열하면서 가는 자수사로 하여금 장식사를 감치기식으로 원단에 봉착하였으나 자수기의 특성상 장식사가 공급되는 원단의 길이와 제직하는 길이가 서로 달라서 원단의 길이를 보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자수기가 짤 수 있는 원단의 길이가 한정되어 원단에 일정한 문양을 제직한 후, 원단의 나머지 부분을 짜기 위해 자수기를 정지시키고, 한 사람의 작업자가 레버를 사용하여 원단이 감겨있는 봉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두 세 사람의 작업자는 봉에 감겨진 원단이 팽팽한 장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문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단의 문양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먼저 짜여진 문양과 동일한 문양을 맞추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예를들면, 자수기에서 원단이 팽팽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공급되는 경우, 원단이 구겨지고 문양의 좌우상하가 맞지 않으므로써 문양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큰 오차를 갖는 장식사의 배열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곧바로 자수문양의 형태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었다.
또한, 원단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원단을 고정하고 있는 바늘을 원단에서 빼주고 다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수작업을 해야 했으므로 작업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장력유지장치외에도 원단을 측면에서 발생하는 원단의 울음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였다.
상기와 같은 원단의 고정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 0244597호에 바늘을 이용하여 원단을 고정하면서 원단을 따라 이동하도록 원단 고정장치를 구현하였으나 제작이 어렵고 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원단을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개발이 시급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원단의 측면을 고정하여 원단을 변형에 따른 울음을 방지하고 팽팽한 장력이 유지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원단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플레이트 12 : 체결공
14 : 고정공 16 : 스크류봉
18 : 생크부 20 : 원단받침 플레이트
22 : 자석 24 : 원단누름몸체
26 : 손잡이 100 : 원단보정장치
102 : 프레임 104 : 상부 회전봉
106 : 하부 회전봉 108 : 원단
110 : 원단고정장치 112 : 회전손잡이
114 : 원단누름구 116 : 원단이송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의 일측에 고정되어 원단을 받쳐주는 원단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에 의해 받쳐지는 원단을 전면에서 원단받침 플레이트와 마주접하도록 부착되어 원단을 팽팽하게 눌러주는 원단누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 및 원단누름구의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 및 원단누름구의 근처에 바늘이 형성된 다수의 원단이송구가 설치되어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고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110)는원단보정장치(100)의 프레임(10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2)의 좌측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공(12) 및 다수의 고정공(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10)가 미도시된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102)의 우측면에는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공(12) 및 다수의 고정공(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11)가 미도시된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단고정장치(110)는 프레임(102)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0,11)를 통과하도록 횡방향으로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봉(16)과,상기 스크류봉(16)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 원단받침 플레이트(20)와,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원단누름구(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봉(16)은 그 일단부가 다각형상을 갖는 생크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생크부(18)의 타측부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봉(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횡방향으로 끼워져서 설치되는 바,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0,11)에 형성된 체결공(12)과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봉(16)의 생크부(18)에는 회전손잡이(112)가 끼워지고 작업자가 회전손잡이(112)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봉(16)은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20)는 직사각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봉(16)이 일측부에 고정되어 진다.
상기 스크류봉(16)의 고정은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용접에 의한 고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봉(16)이 고정되는 위치는 원단받침 플레이트(20)를 받쳐줄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봉(16)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20)는 일측면이 요철형상으로 홈(도면부호 도시안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형상의 홈에는 원형의 자석(22)이 다수개 삽입되어 있다.
상기 자석(22)은 원단받침 플레이트(2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하고 원형의 자석(22)뿐만 아니라 사각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자석을 전체에 걸쳐서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원단의 양측에 설치되어져서 상기 원단보정장치(100)에 의해 감겨지는 원단(108)의 뒤에서 원단을 받쳐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석(22)의 형상 변경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원단누름구(114)는 원단누름몸체(24)의 일측면에 요철형상의 홈(도면부호 도시안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자석(22)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단누름몸체(24)의 타측면에는 타원형의 손잡이(2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단누름구(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20)에 여러개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원단누름구(114)의 자석(22)은 원단받침플레이트(20)의 자석(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원단누름구(114)는 작업자가 손잡이(26)를 잡고 필요한 위치에 따라 상하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원단(108)이 변형되거나 울음이 많은 곳에 임으로 이동하여 부착함으로써 원단(108)을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원단(108)은 원단받침 플레이트(20)의 자석(22)과 원단누름구(114)의 자석(22) 사이에 위치되어 자석(22)에 의하여 눌려져서 편평하게 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원단고정장치(110)는 원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원단받침 플레이트(20)에 고정된 자석(22)과 원단누름구(114)에 고정된 자석(22)의 자력을 이용하여 원단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단이 변형되지 않게 고정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회전봉(104)과 하부 회전봉(106)에 걸려있는 원단은 상하부 회전봉(104,106)에 의해 이송되나 원단의 양측에 설치되어 원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위로 올려주는 원단이송구(116)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원단이송구(116)는 원통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바늘이 형성되어 있고, 미도시된 회전축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회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없이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원단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의 일측에 고정되어 원단을 받쳐주는 원단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에 의해 받쳐지는 원단을 전면에서 원단받침 플레이트와 마주접하도록 부착되어 원단을 팽팽하게 눌러주는 원단누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 및 원단누름구의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받침 플레이트 및 원단누름구의 근처에 바늘이 형성된 다수의 원단이송구가 설치되어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KR20020026421U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KR200297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6421U KR200297032Y1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6421U KR200297032Y1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032Y1 true KR200297032Y1 (ko) 2002-12-02

Family

ID=4160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26421U KR200297032Y1 (ko) 2002-09-04 2002-09-04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5228A2 (en) * 2006-11-08 2009-04-09 Monier Bowlus Embroidery holde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5228A2 (en) * 2006-11-08 2009-04-09 Monier Bowlus Embroidery holder assembly
WO2009045228A3 (en) * 2006-11-08 2009-09-24 Monier Bowlus Embroidery hold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199802755A2 (xx) Elektronik olarak kontrollü şablon çözgü tezgahı.
JP3001965B2 (ja) 織機の伸子用固定部
KR200297032Y1 (ko)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CN100408743C (zh) 经编机
US20160194797A1 (en) Sewing machine
CN111924589A (zh) 一种纺织机械用活动式滚筒装置
KR101203881B1 (ko) 전통자수 대작 자수 수틀
CN215800260U (zh) 经编机进纱张紧调节机构
KR101710417B1 (ko) 코메즈 장치
KR101164395B1 (ko) 셔틀케이스 고정장치
CN103132221A (zh) 全自动双机头2.5针织横机
CN201614470U (zh) 数控旋梭绗缝机
KR101049154B1 (ko) 세퀸 봉제장치의 세퀸릴 고정장치
CN202030927U (zh) 一种针杆锁紧圈
JP2009001928A (ja) サイドプレート、ドラフト装置及び繊維機械
KR101710371B1 (ko) 모듈화 된 코메즈 편직용 컨트롤장치
KR200478193Y1 (ko) 더블라셀 편물기의 플로팅 파일사 형성용 스윙장치
CN108506422A (zh) 一种纺织机用半齿轮传动装置
CN220887953U (zh) 一种无梭芯的绣花缝纫设备结构
CN220433232U (zh) 一种针织面料压烫装置
KR20090124774A (ko) 자수기의 세퀸릴 고정 장치
CN210809439U (zh) 一种可拆卸式的腰带的导向卷边机构
CN219925219U (zh) 一种模具镶件加工治具
CN207512389U (zh) 一种绣花机机头
KR101533729B1 (ko) 퀼팅머시인용 밑실 공급대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