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721Y1 -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 Google Patents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721Y1
KR200295721Y1 KR2020020025760U KR20020025760U KR200295721Y1 KR 200295721 Y1 KR200295721 Y1 KR 200295721Y1 KR 2020020025760 U KR2020020025760 U KR 2020020025760U KR 20020025760 U KR20020025760 U KR 20020025760U KR 200295721 Y1 KR200295721 Y1 KR 200295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ubber bushing
shock absorber
elevato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이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숙 filed Critical 이미숙
Priority to KR2020020025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721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완충장치는, 제1지지대(2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중앙지지대(40)의 양측으로 볼트(50)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제2지지대(30)를 관통하여 중앙지지대(40)의 배면에도 또 다른 볼트(50a)를 고정시킨 후, 상기 3개소의 볼트(50)에 고무부싱(52)을 끼우고 상기 고무부싱 보다 자유길이가 긴 코일스프링(54)을 상기 고무부싱(52)의 외주쪽으로 덧끼움 한 다음 와샤(56)와 너트(58)로 탄력있게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GUIDE WHEEL ASSEMBLY FOR ELEVATOR}
본 고안은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완충장치는 완충기능과 내구성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우수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유지보수성이 뛰어나 경제성이 더욱 양호하며 중량이 가벼워지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엘리베이터는 그 자체가 무거운 중량을 가지며 수 백 킬로그램 이상의 짐이나 인원을 이동시켜야 하고 1초당 수 미터 내지는 십 미터 이상을 이동하여야 하며 안전하여야 하기 때문에 완충작용이 우수하고 정숙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는, 엘리베이터 통로 사방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도면과 같은 레일(70)의 양측면과 정면에 3개의 가이드 휘일(1, 1a)이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는 엘리베이터의 사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베이스(10)의 윗면 중앙에 중앙지지대(40)가 고정되고 그 좌우로는 제1지지대(20)가 고정되며 후방으로는 제2지지대(30)가 고정되는데, 상기 제1, 2지지대들의 하방은 제1브라키트(12)와 제2브라키트(14)에 축볼트(22, 32)와 너트(24, 3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2지지대들은 각기 가이드 휘일(1, 1a)이 축(26, 36)에 의해 조립되면서 너트(28, 38)로 고정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설명한 부분까지는 본 고안과 종래의 것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구조이고 완충장치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데, 종래의 완충장치는, 본 고안의 도면을 기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축볼트(22, 32)에 의해서 제1브라키트(12)와 제2브라키트(14) 상에 고정되는데, 상기 축볼트(22, 32)와 상기 가이드 휘일을 고정하는 축(26, 36)의 사이이고 상기 제1, 2지지대들을 관통하면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본 고안과 같은 볼트(50)를 고정시켜서, 위쪽의 볼트에는 코일 스프링을 삽입시켜 와샤와 너트로 탄력있게 고정시키고 아래쪽의 볼트에는 고무부싱을 삽입시켜 역시 와샤와 너트로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가 엘리버이터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가이드 휘일도 레일(70)에 접촉된 채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치의 구동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진동과 엘리베이터의 사용 및 이동에 따른 예상치 못한 충격과 진동을 가이드 휘일에서 1차로 흡수하고 잔여 충격은 코일 스프링에서 2차로 소멸시키며 코일 스프링의 완충능력을 능가하는 충격에 대해서는 고무부싱에서 3차로 소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완충장치는 위와 같이 충격을 소멸시키는 단계가 3단계로 되어 있어서 얼핏 이상적인 구조로 보이지만 사실은, 코일 스프링을 능가하는 충격이 고무부싱에 가해질 때 충격이 매끄럽게 전달(연결)되지 못하여 엘리베이터에 롤링현상이 발생되고 삐그덕 거리는 소음이 발생되어 좋지 못하며, 가장 큰 폭으로 충격을 감소시켜야 하는 코일 스프링 부분이 취약하여 코일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볼트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을 능가한 충격이 고무부싱에 최종적으로 가해질 때 고무부싱의 전체 단면에 걸쳐 가해지지 못하고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문제가 있어 완충작용은 물론 소음 발생 및 내구성의 저하라는 문제가 수반되고, 이때 코일 스프링은 단독적으로 심한 피로도가 가해지기 때문에 역시 코일 스프링의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되는 이유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축볼트에 의해 제1브라키트 및 제2브라키트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휘일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축볼트를 각운동의 중심점으로 해서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는 각운동을 한다. 따라서 제1, 2지지대가 기울어지면서 코일 스프링에 가장 큰 충격이 가해지고 그 다음 제1, 2지지대가 더욱 기울어지면서 고무부싱에 충격을 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완충장치는 완충기능과 구조상으로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워서 좋지 못함과 아울러 조립 및 유지보수 등에 있어서도 불편하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다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완충장치의 단점을 개량하여 1축 상에서 코일 스프링과 고무부싱이 조립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2개 1조의 제1브라키트(12)와 하나의 제2브라키트(14)에 2개 1조의 제1지지대(20)와 하나의 제2지지대(30)를 축볼트(22, 32) 및 너트(24, 34)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의 상측에는 각기 가이드 휘일(1, 1a)을 축(26, 36)과 너트(28, 38)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제1, 2지지대의 상하에 2개씩의 볼트를 각기 수평으로 관통시켜서 위쪽의 볼트에는 코일 스프링을 그리고 아래쪽의 볼트에는 고무부싱을 와샤와 너트로 조립시킨 완충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 대신에, 제1지지대(2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중앙지지대(40)의 양측으로 볼트(50)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제2지지대(30)를 관통하여 중앙지지대(40)의 배면에도 또 다른 볼트(50a)를 고정시킨 후, 상기 3개소의 볼트(50)에 고무부싱(52)을 끼우고 상기 고무부싱 보다 자유길이가 긴 코일스프링(54)을 상기 고무부싱(52)의 외주쪽으로 덧끼움 한 다음 와샤(56)와 너트(58)로 탄력있게 고정시켜서 된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완충장치가 조립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20: 제1지지대
30: 제2지지대 40: 중앙지지대
70: 레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완충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고 이는 앞서 충분히 설명을 하였기 때문에 완충장치를 제외한 부분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완충장치에 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2, 3은 본 고안의 완충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의 상측이면서 가이드 휘일의 축과 가장 가까운 곳을 관통하는 볼트(50, 50a)를 구비시키되 상기 볼트들의 일단은 중앙지지대(40)의 측면과 배면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코일 스프링(54)의 자유길이보다 약 3∼10mm 정도의 짧은 길이를 가지는 고무부싱(52)을 각 볼트에 끼운 후 코일 스프링(54)을 고무부싱의 외주로 덧끼움 시킨다. 다음, 와샤(56)와 너트(58)를 이용하여 조여서 코일 스프링(54)이 제1, 2지지대에 탄력있게 접촉되도록 한다. 이 경우 너트(58)의 조임 정도는 엘리베이터설치시 작업자의 기술과 장치의 조건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고무부싱의 길이가 코일 스프링의 자유길이에 비해 3mm 내지는 10mm 정도 짧은 이유는, 코일 스프링에 먼저 충격이 가해짐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과 동심 상에 있는 고무부싱에 매끈하게 충격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의 완충장치는, 제1, 2지지대가 기울어지면서 동심상에 있는 코일 스프링(54)과 고무부싱(52)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매우 부드럽게 충격을 전달하게 되고 이들은 그 충격을 매우 부드럽게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제1, 2지지대의 상측이면서 가이드 휘일의 축과 가장 가까운 곳에 볼트를 관통·조립시키고 상기 볼트에 고무부싱과 코일 스프링을 동심 상에서 끼우며 고무부싱의 길이는 코일 스프링 보다 짧게 함으로서, 종래의 완충장치에 비하여 1/2의 부품만이 소요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제1, 2지지대가 기울어지면서 코일 스프링과 고무부싱이 자연스럽게 순차적으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부드럽고 신속하게 완충시킴으로서 엘리베이터의 롤링현상을 극소화시키고, 나아가 구조적 특징을 살려 조립 및 유지보수성을 탁월하게 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경제성 또한 우수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베이스(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2개 1조의 제1브라키트(12)와 하나의 제2브라키트(14)에 2개 1조의 제1지지대(20)와 하나의 제2지지대(30)를 축볼트(22, 32) 및 너트(24, 34)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의 상측에는 각기 가이드 휘일(1, 1a)을 축(26, 36)과 너트(28, 38)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제1, 2지지대의 상하에 2개씩의 볼트를 각기 수평으로 관통시켜서 위쪽의 볼트에는 코일 스프링을 그리고 아래쪽의 볼트에는 고무부싱을 와샤와 너트로 조립시킨 완충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 대신에, 제1지지대(2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중앙지지대(40)의 양측으로 볼트(50)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제2지지대(30)를 관통하여 중앙지지대(40)의 배면에도 또 다른 볼트(50a)를 고정시킨 후, 상기 3개소의 볼트(50)에 고무부싱(52)을 끼우고 상기 고무부싱 보다 자유길이가 긴 코일스프링(54)을 상기 고무부싱(52)의 외주쪽으로 덧끼움 한 다음 와샤(56)와 너트(58)로 탄력있게 고정시켜서 된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
  2. 제1항에 있어서, 고무부싱(52)은 코일 스프링(54)의 자유길이보다 3∼10mm가 짧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 어셈브리.
KR2020020025760U 2002-08-29 2002-08-29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KR200295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60U KR200295721Y1 (ko) 2002-08-29 2002-08-29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60U KR200295721Y1 (ko) 2002-08-29 2002-08-29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721Y1 true KR200295721Y1 (ko) 2002-11-18

Family

ID=7307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760U KR200295721Y1 (ko) 2002-08-29 2002-08-29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7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8298B (zh) 一种半主动减振座椅集成控制结构
KR20040026677A (ko) 캐브 완충장치
MXPA96001815A (en) Frame beaming reduction assembly
CN202180736U (zh) 汽车悬置轴套总成
CN212202965U (zh) 一种汽车发动机减振托架
KR200295721Y1 (ko) 일체형 완충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휘일어셈브리
JPH0623864U (ja)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CN218702579U (zh) 一种汽车底盘平衡悬架总成
CN106542009A (zh) 全浮式商用车驾驶室前悬置系统
CN219432345U (zh) 一种离心选煤装置
KR200230044Y1 (ko) 쇽업소버
CN220452588U (zh) 一种安装稳定的减震器
CN212769293U (zh) 一种高速电梯轿底减震装置
CN218720355U (zh) 一种用于机械设备的减震支撑座
CN216331594U (zh) 一种加强汽车减震效果的汽车支架
CN217455645U (zh) 一种汽车悬置的安装结构
CN219077016U (zh) 一种集电器安装支架
CN214367478U (zh) 一种轻量化卡车底盘
CN214698507U (zh) 一种减振装置、风机和空调
CN220884034U (zh) 一种发动机悬置减震支架
CN217873980U (zh) 一种发电机组减振机构
CN216768204U (zh) 一种新型橡胶减震器
CN221090407U (zh) 一种卡车后桥支架橡胶减震器
CN220973851U (zh) 前悬翻转机构总成
CN211195760U (zh) 车辆悬架系统和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