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902Y1 -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 Google Patents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902Y1
KR200294902Y1 KR2020020021431U KR20020021431U KR200294902Y1 KR 200294902 Y1 KR200294902 Y1 KR 200294902Y1 KR 2020020021431 U KR2020020021431 U KR 2020020021431U KR 20020021431 U KR20020021431 U KR 20020021431U KR 200294902 Y1 KR200294902 Y1 KR 200294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chor means
fixing
cover
gr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1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902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배수구 및 환풍구 등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방부에 설치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과; 개방부를 덮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격자커버와; 프레임과 격자커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 1앵커수단과; 연결부재의 타단을 격자커버에 고정시키는 제 2앵커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 1앵커수단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고리와, 고정고리에 걸어지도록 연결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이고, 제 2앵커수단은 격자커버의 세로바에 걸어지도록 연결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연결부재, 격자커버와 연결부재를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는 제 1앵커수단과 제 2앵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임과 격자커버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프레임과 격자커버를 분리하여 운반한 상태에서 용접기와 작업공구없이 프레임과 격자커버를 간편하게 연결함에 따라 운반성과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과 격자커버와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무리없이 서로를 조립함에 따라 프레임과 격자커버에 코팅된 코팅도료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GRATING WITH ANCHORAGE MEANS}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배수구, 환풍구, 전력구 등에 설치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격자 구조물은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라고도 불리어지며, 지상 및 지하 구조물의 배수구, 통풍구, 맨홀 등과 같은 개방부의 덮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격자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 배수구 등의 개방부 (D)(이하, "개방부"로 통칭함.)에 고정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지지되는 격자커버(20)로 구성된다. 특히, 격자커버(10)는 I빔 형태의 철제 가로빔(22)과, 육각단면의 봉을 비틀림 변형시킨 철제 세로바(24)를 격자상으로 결합시켜 제조한다.
한편, 이와 같은 격자 구조물은 프레임(10)으로부터 격자커버(20)가 분리되어 분실될 경우가 있다. 특히, 많은 비로 인해 배수구로부터 물이 역류할 경우, 역류되는 물에 의해 격자커버(20)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따라서 격자 구조물에는 프레임(10)으로부터 격자커버(20)가 분리되어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고정수단을 갖추고 있다.
연결고정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 연결부재(30)는 고리를 연결시킨 연결체인으로서, 그 일단이 프레임(10)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격자커버(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의 외측에는 연결부재(30)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32)이 용접고정되어 있으며, 격자커버(20)에는 연결부재(3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브라켓(34)이 용접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격자 구조물은 프레임(10)에 용접고정된 고정브라켓(32)과 이에 고정된 연결부재(30) 때문에 개방부(D)에 상기 프레임(10)을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브라켓(32)과 연결부재(30)는 상기 프레임(10)을 개방부(D)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C)에 매설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고정브라켓(32)과 연결부재(30)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장애물이 되어 설치작업을 까다롭고 불편하게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격자 구조물은 연결부재(30)에 의해 프레임(10)과 격자커버 (20)가 서로 연결고정되는 바, 차량으로 운반할 때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동시에 운반해야 하는 등, 운반하기가 매우 힘들고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특히,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브라켓(32)은 격자 구조물간에 또는 기타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어 격자 구조물의 운반을 더욱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분리하여 작업현장까지 운반한 다음, 작업현장에서 고정브라켓(32)과 연결부재(30)를 용접하고 조립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같은 방법은 운반성은 좋으나, 고정브라켓(32)을 프레임(10)에 용접고정시키고, 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32)에 연결부재(30)를 다시 용접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용접기구와 각종 작업공구들을 구비하고 다녀야 한다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같은 방법은 용접이나 조립과정시,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에 코팅된 도금이 벗겨져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도금이 벗겨진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는 수분 등과 같은 부식물질에 의해 쉽게 노출되는 바,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하기 좋고 운반하기 편리함은 물론 프레임과 격자커버에 코팅된 코팅도료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프레임과 격자커버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격자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제 1 및 제 2앵커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은 제 1 및 제 2앵커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20: 격자커버
30: 연결부재 40: 제 1앵커수단
42: 고정고리 44: 걸착고리
46: 입구 48: 차단부재
50: 제 2앵커수단 52: 걸착고리
54: 입구 56: 차단부재
60: 고정부재 62: 고정구멍
64: 고정후크 66: 몸체
68: 걸림편 70: 고정부재
74: 삽입공간 74: 걸림막대
76: 걸착고리 77: 입구
78: 차단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은 배수구, 통풍구 등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격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격자커버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격자커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앵커수단과;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을 상기 격자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2앵커수단으로 구성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앵커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고정고리에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이고, 상기 제 2앵커수단은 상기 격자커버의 세로바에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이며, 상기 제 1 및 제 2앵커수단 각각의 걸착고리는 트인 입구를 갖추고 있고, 이 트인 입구에는 상기 트인 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은 상기 걸착고리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은 상기 걸착고리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격자 구조물은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격자커버(20)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ㄴ"형 형강을 서로 연결한 사각의 틀로서, 격자커버(20)의 밑면 가장자리를 받쳐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면(12)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은 개방부(D)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격자커버(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빔(22)과, 이 가로빔(2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세로바(24)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로빔(22)은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I빔 형태로 제작되며, 세로바(24)는 비틀림 변형되어 가로빔(22)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격자 구조물은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와, 연결부재(30)의 일단을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앵커수단(40)과, 연결부재(30)의 타단을 격자커버(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2앵커수단 (50)을 구비한다. 연결부재(30)는 철제고리를 연이어서 연결한 체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앵커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고리(42)와, 고정고리(42)에 걸어질 수 있도록 연결부재(30)에 장착되는 걸착고리(44)로 구성된다. 고정고리(42)는 프레임(10)의 지지면(10a)에 용접고정된다. 여기서, 고정고리(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커버(20)의 가로빔(22)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로빔(22)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걸착고리(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의 일단에 고정되는 철제고리로서, 트인 입구(46)를 가지며, 이 트인 입구(46)에는 상기 트인 입구(46)를 차단하는 차단부재(48)가 설치된다. 차단부재(48)는 걸착고리(44)의 양단에 끼워지는 차단슬리브(sleeve)로서, 그 일단은 걸착고리(44)의 일단에 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타단은 걸착고리(44)의 타단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차단부재(48)는 걸착고리(44)의 일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트인 입구(46)를 개방하거나 또는 걸착고리(44)의 타단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트인 입구(46)를 차단하며, 이에 따라 고정고리(42)에 걸어진 상기 걸착고리(44)가 고정고리(4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앵커수단(40)은 연결부재(30)의 일단을 프레임(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고정고리(42)와 걸착고리(44)로 구성된 제 1앵커수단(40)은 격자커버(20)와 프레임(10)을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제 1앵커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10)의 내측에 구성됨에 따라 종래와는 달리 다른 물품과의 간섭이 방지되며, 따라서 프레임(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상기 프레임(10)을 개방부(D)에 설치하고자 할 때,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제 2앵커수단(50)은 격자커버(20)의 세로바(24)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착고리(52)에 의해 구현된다. 이 걸착고리(52)는 상기 제 1앵커수단(40)의 걸착고리(4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제 1앵커수단(40)의 걸착고리(44)와 마찬가지로 철제고리이며, 트인 입구(54)와, 상기 트인 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56)를 갖는다. 제 2앵커수단(50)의 걸착고리(52)는 상기 제 1앵커수단(40)의 걸착고리 (4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2앵커수단(50)의 걸착고리(52)는 연결부재(30)의 타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격자커버(20)의 세로바(24)에 걸어짐으로써, 연결부재(30)의 타단을 격자커버(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며, 따라서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 분리된 프레임 (10)과 격자커버(20)와 연결부재(30)를 작업현장까지 운반한다. 이때, 연결부재(30)의 양단에는 제 1앵커수단(40)의 걸착고리(44)와 제 2앵커수단(50)의 걸착고리 (52)가 미리 장착되어 있으며, 제 1앵커수단(40)의 고정고리(42)는 프레임(10)의 지지면(12)에 미리 용접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와 연결부재(30)의 운반이 완료되면, 개방부(D)에 프레임(10)을 고정적으로 설치한다. 이때, 프레임(10)은 콘크리트(C)에 의해 설치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연결부재(30)의 일단에 창작된 제 1앵커수단(40)의 걸착고리(44)를 프레임(10)의 고정고리(42)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어서, 연결부재(30)의 타단에 고정된 제 2앵커수단(50)의 걸착고리(52)를 격자커버(20)의 세로바(24)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부재(30)의 양단은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에 각각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연결부재(30)의 장착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개방부(D)를 덮을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지지면(12)에 격자커버(20)를 올려놓는다. 그러면, 격자 구조물의 설치는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은 프레임(10)과 연결부재(30) 그리고 격자커버(20)와 연결부재(30)를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는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갖는다. 특히,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분리하여 운반한 상태에서 용접기와 별도의 작업공구없이 상기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간편하게 연결함에 따라 운반성과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 4와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변형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춘 것으로, 고정구멍(62)을 갖는 고정부재(60)와, 상기 고정부재(60)의 고정구멍(62)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후크(64)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60)는 삽입공간(60a)을 갖는 사각의 철제박스(box)로서, 제 1앵커수단(40)의 고정부재 (60)는 프레임(10)의 지지면(12)에 용접 고정되고, 제 2앵커수단(50)의 고정부재 (60)는 격자커버(20)의 가로빔(22)들 사이에 용접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후크(64)들은 연결부재(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철제 몸체(66)와, 상기 몸체(66)로부터 반경방향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걸림편(68)으로 구성된다. 특히, 한쌍의 걸림편(68)은 원통형 몸체(66)를 절제한 후, 반경방향외측으로 절곡시킴에 따라 형성되는데, 이같은 걸림편(68)은 탄성변형하면서 고정부재(60)의 고정구멍(62)에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변형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은, 연결부재(30) 양단의 고정후크(64)들을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에 장착된 고정부재(60)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부재(30)와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조립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변형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은, 사각의 철제박스로 구성된 고정부재(60)를 통해 고정후크(68)들을은폐시킴에 따라 임의로 연결부재(30)와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없게 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변형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춘 것으로, 삽입공간(72)과 삽입공간(72)내에 설치되는 걸림막대(74)를 갖춘 박스(box)형 고정부재(70)와, 상기 고정부재(70)의 걸림막대(74)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착고리(76)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60)는 상기 걸착고리(76)를 삽입공간(72)에 끼울 수 있도록 끼움구멍 (70a)을 갖춘 사각의 철제박스(box)로서, 제 1앵커수단(40)의 고정부재(70)는 프레임(10)의 지지면(12)에 용접 고정되고, 제 2앵커수단(50)의 고정부재(70)는 격자커버(20)의 가로빔(22)에 용접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걸착고리(76)들은 연결부재(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철제고리로서, 트인 입구(77)를 가지며, 이 트인 입구(77)에는 상기 트인 입구(77)를 차단하는 차단부재(78)가 설치된다. 특히, 차단부재(78)는 차단막대로서, 그 일단은 걸착고리(76)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단(78a)이고, 그 타단은 상기 고정단(78a)에 대해 회전가능하되, 상기 걸착고리(76)의 내측으로만 회전되는 자유단(78b)이다. 이러한 차단부재(78)는 트인 입구(77)를 차단함으로써 걸림막대(74)에 걸어진 걸착고리(76)가 상기 걸림막대(7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한편, 차단부재(78)는 상기 걸착고리(76)를 고정부재(70)의 끼움구멍(70a)에 끼움에 따라 걸림막대(74)와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트인 입구(77)로 진입하는 걸림막대(74)의 이동을자연스럽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변형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은, 연결부재(30) 양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76)들과, 상기 각 걸착고리(76)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70)들을 갖춤으로써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부재(30)와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조립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다른 변형예의 제 1앵커수단(40)과 제 2앵커수단(50)은, 사각의 철제박스로 구성된 고정부재(70)를 통해 걸착고리(76)들을 은폐시킴으로써 임의로 연결부재(30)와 프레임(10)과 격자커버(2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없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은 프레임과 연결부재, 그리고 격자커버와 연결부재를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는 제 1앵커수단과 제 2앵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임과 격자커버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프레임과 격자커버를 분리하여 작업지까지 운반한 상태에서 용접기와 별도의 작업공구없이 상기 프레임과 격자커버를 간편하게 연결함에 따라 운반성과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과 격자커버와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무리없이 서로를 조립함에 따라 프레임과 격자커버에 코팅된 코팅도료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배수구, 통풍구 등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격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격자커버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격자커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앵커수단과;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을 상기 격자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2앵커수단으로 구성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앵커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고정고리에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이고, 상기 제 2앵커수단은 상기 격자커버의 세로바에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는 걸착고리이며,
    상기 제 1 및 제 2앵커수단 각각의 걸착고리는 트인 입구를 갖추고 있고, 이 트인 입구에는 상기 트인 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은 상기 걸착고리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은 상기 걸착고리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앵커수단과 제 2앵커수단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격자커버 각각에 설치되는 고정구멍을 갖는 박스형 고정부재들과,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구멍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장착되는 고정후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앵커수단과 제 2앵커수단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격자커버 각각에 설치되어 있되, 내부에 걸림막대를 갖는 박스형 고정부재들과,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막대에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장착되는 걸착고리들이며,
    상기 걸착고리들은 트인 입구를 갖추고 있고, 이 트인 입구에는 상기 트인 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은 상기 걸착고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단이고, 타측은 상기 고정단에 대해 회전가능하되, 상기 걸착고리의 내측으로만 회전가능한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KR2020020021431U 2002-07-18 2002-07-18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KR200294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31U KR200294902Y1 (ko) 2002-07-18 2002-07-18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31U KR200294902Y1 (ko) 2002-07-18 2002-07-18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902Y1 true KR200294902Y1 (ko) 2002-11-13

Family

ID=7312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31U KR200294902Y1 (ko) 2002-07-18 2002-07-18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9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25B1 (ko) * 2013-09-04 2013-12-26 (주)태흥그레이팅 분리형 도난방지 그레이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25B1 (ko) * 2013-09-04 2013-12-26 (주)태흥그레이팅 분리형 도난방지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166218B1 (ko)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
KR200294902Y1 (ko) 앵커수단을 갖는 격자 구조물
JP2008031696A (ja)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CN111356810B (zh) 阳台安装
KR200391174Y1 (ko) 격자 구조물
KR101949194B1 (ko) 박공 지붕용 난간 및 난간 설치방법
JPH10292621A (ja) 足場つなぎ構造
KR101893418B1 (ko) 가로보와 지주의 결합구조
KR200428432Y1 (ko)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JP6074303B2 (ja) 折板屋根の補強方法
US20060202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encing structure to a fence pole
KR200187737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담장구조
JP3617855B2 (ja) 水切り構造
KR200417647Y1 (ko) 축사 측벽용 씨형강
KR200384537Y1 (ko) 통신단자함 지지대
KR19990037901U (ko) 기둥 지지 구조
KR200379650Y1 (ko) 로프 고정장치
JP3203722U (ja) 安全ポール
JPH07238609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方法
JPS59406Y2 (ja) 形鋼と角材の取付け装置
JP4628244B2 (ja) フェンス用固定金具
JPS601461B2 (ja) 自在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