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70Y1 -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70Y1
KR200294570Y1 KR2020020022465U KR20020022465U KR200294570Y1 KR 200294570 Y1 KR200294570 Y1 KR 200294570Y1 KR 2020020022465 U KR2020020022465 U KR 2020020022465U KR 20020022465 U KR20020022465 U KR 20020022465U KR 200294570 Y1 KR200294570 Y1 KR 200294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jig
concrete structure
concre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환
박순만
Original Assignee
김신환
박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환, 박순만 filed Critical 김신환
Priority to KR2020020022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7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를 보강하기 전에 보강부위에 보강용 철근을 설치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부위에 고정된 앵카볼트에 체결식으로 고정되어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수납실에 보강용 철근을 수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는, 콘크리트 구조물 외측에 보강용 철근을 설치하고 이 보강용 철근을 콘크리트로 매립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통공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상기 보강용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철근을 수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A jig for establishment reinforcing rod for a concrete fabric reinforcemen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또는 잘못된 설계의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를 보강하기 전에 보강부위에 보강용 철근을 설치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부위에 고정된 앵카볼트에 체결식으로 고정되어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수납실에 보강용 철근을 수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많은 시간이 지나게 되면 노출된 외벽면부터 점차 부식되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외에도 설계의 오류, 다시 말해, 구조적인 설계의 오류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나 지름이 구조물이 받는 하중에 비해 너무 작게 산정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 매립된 철근이 부족할 경우에는 강도가 약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약할경우에는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은, 보강하고자 하는 구조물 외측벽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를 박고, 이 앵커볼트들에 보강용 철근들을 고정한 다음 상기 보강용 철근들을 콘크리트로 매립하여 구조물을 보강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보강공법은 보강용 철근들을 앵커볼트에 고정할 때는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철사 등으로 동여매어 묶음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용접에 의한 고정방식은 크고 무거운 용접장치들을 공사현장에까지 운반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고, 묶음방식에 의한 고정방식은 앵커볼트와 보강용 철근을 철사로 동여매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증가함을 물론이고 내부에 매립된 철근끼리의 결속력이 약하여 보강된 부분의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의 구조물을 보강하기 전에 보강부위의 앵커볼트에 체결식으로 고정되어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수납실에 보강용 철근을 수용하여 보강용 철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통공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상기 보강용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철근을 수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교량의 부분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교량처면이 보강용 철근에 의해 보강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단면하여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 실시예의 평면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콘크리트 기둥에 보강용 철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기둥에 보강용 철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에 관한 것으로,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 지지용 철근을 고정한 상태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구조물 2 : 앵커볼트
4 : 지그 5 : 보강용 철근
8 : 지지용 철근 10 : 커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그에 의해 보강된 교량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교량저면이 보강용 철근에 의해 보강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단면하여 보연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지그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그(4)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강부위에 고정된 앵커볼트(2)에 체결식으로 고정되어 보강용 철근(5)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그(4)의 구성은 상기 앵커볼트(2)에 체결된 너트(7)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부재(4b)와 보강용 철근(5)을 수용하거나 또는 보강용 철근(5)을 지지하기위한 지지용 철근(8)을 수용하는 수용부재(4c)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b)는 도 3과 같이 그와 접촉하는 보강용 철근(5)에 긴밀히 접촉될 수 있도록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앵커볼트(2)에 관통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4d)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d)은 고정부재(4b)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재(4c)는 보강용 철근(5) 또는 보강용 철근(5)을 지지하는 지지용 철근(8)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b) 일측에 수납실(4a)이 형성되는데, 이 수납실(4a)의 폭은 수납된 철근의 지름보다 너무 과도하게 크지 않도록 하여 철근이 심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그(4)는 도 5와 같이 수납실(4a) 내부에 수용된 철근이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에 체결고정되는 커버(10)를 더 갖는다.
상기 커버(10)는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 소정위치에는 상기 앵커볼트(2)가 관통하는 관통공(10a)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 단부에는 상기 지그(4) 일단부에 걸려 조립위치 설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걸림턱(10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그(4)가 보강용 철근(5)을 고정하는 일 실시예는 도 2에서와 같이 교량 저면에 보강용 철근(5)을 밀접하게 고정할 수 있는데, 보강부위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볼트(2) 타단부에 너트(7)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고 이 너트(7)를 체결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지그(4)가 보강용 철근(5)을 가압하게 되므로 보강용 철근(5)은 구조물 벽체에 밀접하게 고정된다.
실제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강부분이 넓기 때문에 지그(4)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강용 철근(5)을 병렬식으로 고정하는 경우(예컨대, 도 4와 같이 고정)가 대부분인데, 이 때는 지그(4)에 형성된 수납실(4a)에 복수 개의 지지용 철근(8)을 상기 보강용 철근(5)들과 교차되게 수납하게 되면 보강용 철근(5)과 지지용 철근(8)은 격자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보강용 철근(5)들을 가압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용 철근(8)에 의해 지그(4)의 낭비를 줄이면서도 보강용 철근(5)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그(4)가 보강용 철근(5)을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보강용 철근(5)을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1)과 동심상에 위치한 상태로 이격되게 배근하고, 추후 공정으로 거푸집을 지그(4)에 고정한 다음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1)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9)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기둥의 지름을 크게 확장시켜 보강할 수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1)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고정된 앵커볼트(2)의 지그(4)에 보강용 철근(5)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지그(4)는 도 5와 같이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또한 수납실(4a)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용 철근(5)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수납실(4a) 입구를 커버(10)로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10)는 너트(7)에 의해 상기 앵커볼트(2)에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근된 다른 실시예의 철근배근공정은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1) 외벽에 배근되어 기둥의 보강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여러 가지 기둥의 형상, 즉 원형기둥, 사각기둥 및 각종 다각기둥 형상의 외벽에 병렬로 복수 개 설치하여 기둥 전체 길이의 지름을 두껍게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강용 철근(5)을 배근하기 전에 콘크리트 구조물(1) 외벽이 부식될 경우에 이 부식부분을 제거하여 보강용 철근(5)이 그 보강부위에 긴밀히 밀착되게 할 뿐만 아니라 이후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보강부위에 견고하게 양생될 수 있도록 도 2d와 같이 부식부위를 치핑가공기(6)나 그 밖의 기구 또는 장치들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 인해 보강용 철근(5)이 가공된 부분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철근의 배근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 내부에 미리 매립된 철근(R)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보강용 철근(5)의 양단부를 그 철근(R)에 연결하고 이후 상기 보강부분에 콘크리트(C)를 공급하여 매립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치용 지그는 판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또는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구조물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나 또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앵커볼트 단부에 체결식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에 보강용 철근을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철사를 이용하여 묶음식으로 고정하는 방법에 비해 고정용 철근을 보다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고정공수가 간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지그는 수납실 내부에 보강용 철근을 수납한 상태에 너트에 의해 앵커볼트에 견고히 체결고정되어 보강용 철근을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고정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구조물 외측에 보강용 철근을 설치하고 이 보강용 철근을 콘크리트로 매립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통공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상기 보강용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철근을 수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치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수납실 내부에 수용된 보강용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커버가 씌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치용 지그.
KR2020020022465U 2002-07-26 2002-07-26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KR200294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465U KR200294570Y1 (ko) 2002-07-26 2002-07-26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465U KR200294570Y1 (ko) 2002-07-26 2002-07-26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311A Division KR20040009931A (ko) 2002-07-26 2002-07-26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치공법 및 그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70Y1 true KR200294570Y1 (ko) 2002-11-13

Family

ID=7312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465U KR200294570Y1 (ko) 2002-07-26 2002-07-26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74B1 (ko) 2009-01-07 2011-02-22 주식회사 승일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74B1 (ko) 2009-01-07 2011-02-22 주식회사 승일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1437A (ko) 조적벽체 보강공법
KR200294570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JP20070923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柱梁の接合方法
KR20100066661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JP2010265689A (ja) 床形成方法
JP6518510B2 (ja) 孔部形成治具、および制振間柱構造の構築方法
JP402579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と補強構造。
JP4541573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貯槽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貯槽の構築方法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441209B1 (ko) 긴장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구조와 방법 및 그에이용되는 긴장재 정착장치와 반력대 장치
JP5169645B2 (ja) 補強を施した柱の仕上げ方法、補強を施した柱の仕上げ材の取付構造、柱の補強方法
KR100695491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20040009931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치공법 및 그지그
JP2001295404A (ja) 鉄筋付捨型枠中空管打込み工法
JP2009299419A (ja) 型枠の位置ずれ防止施工方法及び施工冶具
JP7322696B2 (ja) アンカーボルト用吊り治具
JPH10238132A (ja) 耐震補強工法
KR200348953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JPH01290853A (ja) 合成床板
JP3453487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アンカーボルト取付装置
JP2012107429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H0627237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の支持構造
JP3622100B2 (ja) 既存梁の補強方法
JP4776525B2 (ja) スリーブ固定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スリーブ固定方法
KR100680286B1 (ko) 건축물 기초말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