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74B1 -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74B1
KR101016274B1 KR1020090001001A KR20090001001A KR101016274B1 KR 101016274 B1 KR101016274 B1 KR 101016274B1 KR 1020090001001 A KR1020090001001 A KR 1020090001001A KR 20090001001 A KR20090001001 A KR 20090001001A KR 101016274 B1 KR101016274 B1 KR 10101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late
hole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662A (ko
Inventor
김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09000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설치된 비계(飛階)의 적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족장발판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선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의 외부에 설치된 비계의 필요한 위치에 보조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지그를 제공하여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하면서 견고성과 신속성 및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한쌍의 플레이트(50)를 맛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한 족장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0)의 맛댄 부분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내부에 요홈부(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11)이 뚫어진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결합공(11)을 통해 파이프(60)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20)의 상단에 나사봉(21)을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한 다음 상부에 나사공(41)이 뚫어진 원기둥 형상의 고정핀(40)을 횡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핀(40)에는 편심공(32)이 뚫어진 클램프핸들(30)을 결합하여 작동공(31)을 통해 클램프핸들(30)을 작동함으로써 편심공(32)에 의해 클램프(20)가 감싸고 있는 파이프(60)를 당기게 되어 각 플레이트(5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건설, 건축, 족장, 발판, 고정, 지그,

Description

족장발판용 고정지그{scaffold fixing jig}
본 발명은 조선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설치된 비계(飛階)의 적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족장발판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선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의 외부에 설치된 비계의 필요한 위치에 보조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지그를 제공하여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하면서 견고성과 신속성 및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飛階:건축공사나 조선공사 등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데,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내부비계·수평비계·달비계·간이비계·사다리비계, 공법면에서 외줄비계·겹비계·쌍줄비계 등으로 나뉜다)에 설치되는 족장발판이라 함은, 건설현장의 건물 외부나 조선소 등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각종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비계가 설치된 적정위치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업자가 올라가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패널 또는 플레이트 등의 가설물로서,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 439조에 의하면, 업주는 2미터 이상인 장소에 작업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추락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비계를 조립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족장발판(일명 작업발판이라고 함)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족장발판은 그 용도에 따라 취급이나 운반 등의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태로 된 플레이트의 규격을 소형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작업의 여건이나 기타 장소에 따라 족장발판의 크기가 비교적 커야 할 경우는 개별로 된 각각의 플레이트를 볼팅이나 기타 연결핀 등의 수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 족장발판은 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규격을 크게 할 경우는 원하는 개수만큼 연결하여 사용하고, 공간이 좁을 경우나 간단한 작업 등의 경우는 단일의 족장발판만 비계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족장발판의 경우는 개별로 된 플레이트를 비계에 설치할 경우 횡으로 된 파이프의 상부에 플레이트를 안치한 상태에서 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계의 파이프에 플레이트를 안치한 상태에서 별도로 연결핀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연결핀이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또 다른 연결핀으로 연결된 연결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족장발판의 구멍사이로 철사를 연결하여 파이프와 체결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중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할 경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즉, 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할 경우는 공중에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볼트와 너트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경우는 떨어지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연결할 경우는 볼트와 너트의 조임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작업을 수 행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할 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의 조임상태가 완벽하지 못할 경우는 설치후 각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외력이 작용하거나 작업중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업을 완료한 후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치의 반대로 별도의 스패너 등의 공구로서 볼트와 너트를 완전히 분리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를 분해해야 하므로 분해작업에 따른 능률성이 크게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연결핀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후자의 경우와 같이 연결핀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연결할 경우는 먼저 비계의 파이프에 플레이트를 안치한 상태에서 별도로 연결핀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핀이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또 다른 연결핀으로 연결된 연결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게 되므로 이는 연결작업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상기 연결핀을 지지하는 수단이 부재하여 유동으로 인해 연결핀이 자연 분해되는 현상이 잦아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는 작업자도 모르는 상태에서 연결핀이 분리되어 플레이트가 해체되므로 공중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매우 높은 단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두개의 연결핀이 한조로 되어 하나는 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나머지 하나는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핀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경우는 상기 연결핀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부가된 것이 아니고 단순이 끼움을 결합되기 때문에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플레이트가 작업자나 기타 외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안전성 면에서 크게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유동에 의해 연결핀의 손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자재의 손실도 막대하고, 근본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마지막 전통적인 방법인 족장발판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철사 등의 결속수단을 이용하는 연결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설치 및 해체로 인한(1회성 소모자재) 자재의 손실이 크고 고철발생 및 처리에 시간이 소요되며, 철사를 해체하기 위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특히 철사 등을 절단하여 분리할 시 철사의 뾰족한 부분에 의해 신체를 손상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두개의 족장발판(100)이 되는 플레이트(50)를 연결하는 고정지그()를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
한쌍의 플레이트(50)를 맛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한 족장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0)의 맛댄 부분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내부에 요홈부(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11)이 뚫어진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결합공(11)을 통해 파이프(60)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20)의 상단에 나사봉(21)을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한 다음 상부에 나사공(41)이 뚫어진 원기둥 형상의 고정핀(40)을 횡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핀(40)에는 편심공(32)이 뚫어진 클램프핸들(30)을 결합하여 작동공(31)을 통해 클램프핸들(30)을 작동함으로써 편심공(32)에 의해 클램프(20)가 감싸고 있는 파이프(60)를 당기게 되어 각 플레이트(5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족장발판(10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50)를 이중으로 조립할 경우는 브라켓(10)의 요홈부(12)를 길게 형성하여 내부에 별도의 보조구(13)를 결합하여 내구성을 증대한 것이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중량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부분에는 알미늄 등의 경량물로 구성하고, 기능이나 내구성 또는 내부식성 등을 감안하여 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브라켓(10)은 내구성이나 생산성 등을 감안하여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인발 또는 압출 등의 가공방법을 선택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플레이트(50)를 이중으로 설치할 시 별도의 보조구(13)(사각링)을 삽입하여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조의 족장발판용 고정지그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지그를 플레이트(50)의 내접하는 부분에 결합하여 원터치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50)의 내접하는 부분에 클램프(20)가 고정핀(40)에 의해 클램프핸들(30)의 작동으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의 브라켓(10)을 결합한 다음, 상기 클램프(20)에 비계의 파이프(60)를 결합한 상태에서 클램프핸들(30)을 작동하게 되면 편심으로 결합된 고정핀(40)이 작동하게 되어 매우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져 두개의 플레이트(50)가 동시에 연결되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성이 대단히 뛰어나 종래에 비해 별도의 공구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터치로 연결작업이 이루어져 설치작업의 능률성과 견고성 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되는 플레이트(50)의 수량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설현장이나 조선현장 등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발생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나 흔들림 등에 의한 유동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연결과정에 대한 특징과 기능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조선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설치된 비계(飛階)의 적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족장발판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선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의 외부에 설치된 비계의 필요한 위치에 보조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지그를 제공하여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하면서 각종 작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치함에 있어서, 먼저 비계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60)의 상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플레이트(50)를 안치한 상태에서 상기 마주보는 각각의 플레이트(50)의 사이에 요홈부(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11)이 뚫어진 브라켓(10)을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10)의 결합공(11)을 통해 파이프(60)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20)를 결합하되, 상기 클램프(20)의 상부 선단에는 나사봉(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브라켓(10)을 결합공(11)을 통해 결합한 다음 상부에 나사공(41)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고정핀(40)을 횡으로 나사결합하여 상호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40)에는 작동공(31)이 뚫어진 클램프핸들(30)을 결합하되, 상기 클램프핸들(30)에는 편심공(32)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편심으로 뚫어져 있으므로 상기 클램프핸들(30)을 작동하게 되면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0)가 파이프(60)를 홀딩한 상태에서 상부로 당겨지거나 하부로 밀리면서 파이프(6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이를 조립하는 과정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플레이트(50)를 마주보게 위치한 다음 클램프(20)를 비계의 파이프(60)에 걸고 나사봉(21)을 고정핀(40)의 나사공(41)에 결합한 상태에서 클램프핸들(30)의 편심공(32)을 통해 고정핀(40)과 조립하여 상기 클램프핸들(30)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젖히면 클램프핸들(30)의 편심공(32)에 결합된 고정핀(40)이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편심공(32)의 편심도에 따라 이에 연결된 클램프(20)가 파이프(60)를 지지한 상태에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클램프핸들(30)의 작동시 손으로 작동하기 힘들기 때문에 별도의 막대 등을 이용하여 클램프핸들(30)의 후방에 형성된 작동공(31)에 끼워 작동하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적은 힘을 들이고도 간단히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원하는 개소에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파이프(60)에 클램프(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클램프핸들(30)의 조작만으로 매우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족장발판(100)을 구성하는 수개의 플레이트(50)를 연속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족장발판(10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50)를 조립할 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원터치 작동으로 원하는 만큼의 플레이트(50)를 조립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층으로 된 플레이트(50)의 경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하면 되고, 이중의 플레이트(50) 를 조립할 시에는 브라켓(10)의 요홈부(12)를 길게 형성하여 내부에 별도의 보조구(13)를 결합한 상태에서 기본적인 과정과 동일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요홈부(12)가 길기 때문에 내구성이나 견고성이 취약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요홈부(12)의 내부에 별도로 보조구(13)를 결합하여 클램프(20)를 길게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고, 특히 족장발판(100)의 플레이트(50)가 이중으로 설치될 때에는 클램프핸들(30)과 걸이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각 플레이트(50)를 분리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는 반대의 작동으로 작동공(31)을 통해 막대 등을 결합하여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핸들(30)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클램프핸들(30)의 편심공(32)에 의해 결합된 고정핀(40)이 풀리게 되어 클램프(20)를 풀게 되어 적정의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20)가 풀리게 되어 파이프(60)와의 해리상태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플레이트(50)를 분리하여 소형의 부피로 적재하거나 이동 및 운반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중량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부분에는 알미늄 등의 경량물로 구성하고, 기능이나 내구성 또는 내부식성 등을 감안하여 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브라켓(10)은 내구성이나 생산성 등을 감안하여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인발 또는 압출 등의 가공방법을 선택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플레이트(50)를 이중으로 설치할 시 별도의 보조구(13)(사각링)을 삽입하여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특히 클램프핸들(30)은 알미늄 등으로 압출이나 인발 및 주물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경우에 따 라서는 철판을 전개도상으로 절단한 다음 클램프핸들(30)의 형상에 부합되게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가 이중으로 설치되는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 대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4에 대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족장발판
10 : 브라켓 11 : 결합공
12 : 요홈부 20 : 클램프
21 : 나사봉 30 : 클램프핸들
31 : 작동공 32 : 편심공
40 : 고정핀 41 : 나사공
50 : 플레이트 60 : 파이프

Claims (2)

  1. 한쌍의 플레이트(50)를 맛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한 족장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0)의 맛댄 부분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내부에 요홈부(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11)이 뚫어진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결합공(11)을 통해 파이프(60)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20)의 상단에 나사봉(21)을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한 다음 상부에 나사공(41)이 뚫어진 원기둥 형상의 고정핀(40)을 횡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핀(40)에는 편심공(32)이 뚫어진 클램프핸들(30)을 결합하여 작동공(31)을 통해 클램프핸들(30)을 작동함으로써 편심공(32)에 의해 클램프(20)가 감싸고 있는 파이프(60)를 당기게 되어 각 플레이트(5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발판(10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50)를 이중으로 조립할 경우는 브라켓(10)의 요홈부(12)를 길게 형성하여 내부에 별도의 보조구(13)를 결합하여 내구성을 증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KR1020090001001A 2009-01-07 2009-01-07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KR10101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001A KR101016274B1 (ko) 2009-01-07 2009-01-07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001A KR101016274B1 (ko) 2009-01-07 2009-01-07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662A KR20100081662A (ko) 2010-07-15
KR101016274B1 true KR101016274B1 (ko) 2011-02-22

Family

ID=4264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001A KR101016274B1 (ko) 2009-01-07 2009-01-07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57B1 (ko) 2012-11-28 2014-07-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브래킷의 임시 고정 장치
KR101456828B1 (ko) 2011-09-26 2014-11-05 배남식 유로폼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165A (zh) * 2017-06-26 2017-09-12 西安汾阳钢结构有限公司 一种脚手板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570Y1 (ko) 2002-07-26 2002-11-13 김신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KR20020094570A (ko) *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휠 및 타이어 로딩장치
KR20040011015A (ko)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 니켈 합금의 연속주조방법
KR20040020002A (ko) * 2002-08-28 2004-03-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레이저 장치 및 광학 픽업 장치
KR20040038109A (ko) * 2002-10-31 2004-05-08 김보미 액상혼합물 자동 추출분리장치 및 방법
KR200411015Y1 (ko) 2005-12-27 200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서포트 선행 취부작업 지그
KR200420002Y1 (ko) 2006-03-27 2006-06-27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38109Y1 (ko) 2007-04-02 2008-01-22 길기만 거푸집 고정용 사각파이프 고정후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70A (ko) *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휠 및 타이어 로딩장치
KR200294570Y1 (ko) 2002-07-26 2002-11-13 김신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을 위한 보강용 철근 배근용 지그
KR20040011015A (ko)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 니켈 합금의 연속주조방법
KR20040020002A (ko) * 2002-08-28 2004-03-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레이저 장치 및 광학 픽업 장치
KR20040038109A (ko) * 2002-10-31 2004-05-08 김보미 액상혼합물 자동 추출분리장치 및 방법
KR200411015Y1 (ko) 2005-12-27 200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서포트 선행 취부작업 지그
KR200420002Y1 (ko) 2006-03-27 2006-06-27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38109Y1 (ko) 2007-04-02 2008-01-22 길기만 거푸집 고정용 사각파이프 고정후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8B1 (ko) 2011-09-26 2014-11-05 배남식 유로폼의 고정장치
KR101422157B1 (ko) 2012-11-28 2014-07-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브래킷의 임시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662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US20100301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ll prevention
KR101016274B1 (ko) 족장발판용 고정지그
KR101152340B1 (ko) 패스트 기둥 웨일러
US7775500B1 (en)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interacting brackets connecting stacked form panels
JP2017020211A (ja) 箱形金物
KR101097841B1 (ko) 일체형 기둥 웨일러
CN212769546U (zh) 一种带有限位预警结构的抱箍式塔吊附墙
KR200457704Y1 (ko) 일체형 거푸집
KR100737841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KR101105895B1 (ko) 족장발판용 엣지훅
JP5912481B2 (ja) 建築用取付具
KR200466760Y1 (ko) 가설물 고정 클램프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JP2007039952A (ja) 鋼管柱および鋼管柱の接合工法
JP6406577B2 (ja) 治具
KR200314582Y1 (ko) 작업대용 지지바
JP4031780B2 (ja) 型枠コーナー部の角締め装置および角締め方法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200446030Y1 (ko) 가설발판 고정 클램프
JP3236211U (ja) 親綱支柱
JP5114180B2 (ja) 基礎と柱の連結構造
US9777490B2 (en) Falsework hook and fastener
KR20020073615A (ko) 거푸집 설치를 위한 와셔 일체형의 체결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