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635Y1 - 골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635Y1
KR200292635Y1 KR2020020018751U KR20020018751U KR200292635Y1 KR 200292635 Y1 KR200292635 Y1 KR 200292635Y1 KR 2020020018751 U KR2020020018751 U KR 2020020018751U KR 20020018751 U KR20020018751 U KR 20020018751U KR 200292635 Y1 KR200292635 Y1 KR 200292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dust
separator
stone powd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길
Original Assignee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8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635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쇄석분이나 폐콘크리트의 재생골재 석분등에서 모래와 자갈등의 골재를 생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러셔(crusher) 작업장에서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석분이나 재생골재 석분에서 불필요한 미세한 입자의 석분과 토사, 미분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모래와 자갈을 사용가능한 입도로 생산하는 골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석분에서 큰 입도의 골재와 비닐조각, 폐목재, 나무뿌리 등과 같은 이물질을 1차선별기로 제거한 후 비교적 정선된 자연 건조상태의 석분을 압축공기와 회전날개에 의한 비중분리기를 통해 골재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을 분리한 다음 골재는 2차선별기를 거쳐 품질규격에 적합한 모래와 자갈을 생산하고, 골재와 분리된 토사와 먼지 및 미세분말 등은 집진기를 통해 모아져 처리되게 하므로써 석분에서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한 골재를 생산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재 제조장치{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system}
본 고안은 파쇄석분이나 폐콘크리트의 재생골재 석분등에서 모래와 자갈등의 골재를 생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러셔(crusher) 작업장에서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석분이나 재생골재 석분에서 불필요한 미세한 입자의 석분과 토사, 미분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모래와 자갈을 사용가능한 입도로 생산하는 골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모래나 자갈등의 골재는 대부분 강과 하천에서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규격별로 선별해 생산하거나 또는 석산이나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 크러싱(crushing) 작업으로 골재를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강이나 하천에서의 골재 채취는 자연환경의 파괴와 자원고갈을 초래하여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골재의 기근을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한수요,공급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석산이나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의 골재 생산은 석분과 미세입자의 과다한 포함으로 모래와 잔골재의 생산이 불합리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존에도 상기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석분이나 재생골재 석분에서 골재를 채취하는 골재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단순히 석분을 물로 세척하거나 또는 채로 쳐서 이물질과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써, 석분을 세척한 폐수처리와 분진처리 등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은 피할 수 없는 불가피한 공정이었고, 또다른 공지된 공정이 있다하더라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가의 상승과 생산능력의 한계점으로 실용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 생산되는 골재는 규격별 입자가 골고루 분포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토사미분과 비닐조각, 목재조각, 나무뿌리 등 잡쓰레기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생산된 골재를 콘크리트 재료로 사용할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흡수율이 높아 골재로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만드는 골재로서 적합하도록 석분이나 재생골재의 석분에서 불필요한 미세한 입자와 토사, 미세분말(직경 0.074㎜ 이하)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생골재인 모래나 자갈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품질규격에 맞게 우수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암석 또는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처리 파쇄과정에서 파생적으로 생산되어 폐기처리 되는 석분에서 미세입자, 토사, 미세분말 등과 잡쓰레기 등을 제거하여 콘크리트의 재료로서 충분한 품질을 제공하므로써, 품질규격에 적합한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 파쇄공정에서 골재를 생산하고 배출되는 석분에서 큰 입도의 골재와 비닐조각, 폐목재, 나무뿌리 등과 같은 이물질을 1차선별기로 제거한 후 비교적 정선된 자연 건조상태의 석분(수분함유량이 큰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100℃~180℃로 히팅되는 건조기에서 토사, 먼지, 미세분말 입자가 골재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건조시킴)을 압축공기와 회전날개에 의한 비중분리기를 통해 골재와 골재로서 불필요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을 분리한 다음 골재는 2차선별기를 거쳐 품질규격에 적합한 모래와 자갈을 생산하고, 골재와 분리된 토사와 먼지 및 미세분말 등은 집진기를 통해 모아져 처리되게 하므로써 석분에서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한 골재를 생산하여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골재 제조장치의 전반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1차선별기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1차선별기의 요부 작동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1차선별기의 요부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비중분리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 은 도 5 의 A-A선 평단면도
도 7 은 도 5 의 B-B선 평단면도
도 8 은 도 6 의 C-C선 측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비중분리기 회전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 은 도 9 의 D-D선 측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2차선별기의 설치상태도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기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4 는 본 고안 비중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장조 10. 1차선별기 12. 선별드럼
13. 송풍기 14. 회전드럼 20. 비중분리기
21. 분리탱크 22. 중공축 23. 회전날개
24. 모터 25. 크리너 26. 스크레퍼
27. 공기압축기 28. 배기팬 30. 2차선별기
32. 모래선별드럼 33. 자갈선별드럼 34. 호퍼
40. 집진기 41. 집진탱크 42. 분사관
43. 노즐 46. 집진박스 47. 배그필터
본 고안은 석산이나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 폐기처리 되는 석분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한 골재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14 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자세히 보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골재 제조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은 석분이 적정량 저정되는 저장조(1)와; 상기 저장조(1)에서 제공되는 석분에 송풍기(13)로 송풍을 가하는 한편 나팔관 형상의 선별드럼(12)으로 비닐조각, 폐목재, 나무뿌리 등의 이물질을 선별 제거하는 1차선별기(10)와; 상기 1차선별기(10)를 거쳐 제공되는 석분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한편 회전날개(23)의 회전으로 석분을 밀폐공간내에서 비산시켜 비중이 큰 골재와 골재로서 불필요한 비중이 작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고 골재를 충돌 마모시켜 편석을 제거하는 비중분리기(20)와; 상기 비중분리기(20)에 의해 분리된 골재가 공급되며 선별드럼(32)(33)으로 골재를 모래와 자갈로 선별하는 2차선별기(30)와; 상기 비중분리기(20)에서 유입되는 골재와 분리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에 응집제를 미립자로 분사시켜 응집하는 집진기(40);로 구성되는 것을 본 제조장치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저장조(1)는 석산 및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 발생된 석분이 적정량 저장되게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저면부에 컨베이어(1a)가 설치되어 저장된 석분을 이송 공급하게 구성된다.
저장조(1)에서 컨베이어(1a)를 통해 석분이 공급되는 1차선별기(10)는 지지프레임(11)상에 나팔관 형상의 선별드럼(12)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투입구(12a)쪽에 송풍기(13)가 설치되는 한편 저장조(1)의 컨베이어(1a) 끝이 투입구(12a)안으로 설치된다.
또한 저장조(1)의 컨베이어(1a) 끝에는 하측부로 회전드럼(14)이 설치되고, 이 회전드럼(14)은 컨베이어(1a)의 구동롤러에서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양측으로 원주상에 다수개의 타격봉(14a)이 장착되어 공급되는 석분을 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풍기(13)는 상기 회전드럼(14)과 선별드럼(12)의 안쪽으로 송풍을 가하며, 선별드럼(12)의 하측부에 호퍼(15)와 컨베이어(15a)가 설치되고, 선별드럼(12)의 배출구(16)쪽에도 컨베이어(16a)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1차선별기(10)에서 선별드럼(12)의 회전은 공지된 기술의 모래선별기와 같이 선별드럼(12)의 외주연에 수개의 회전롤러와 스프라켓과 체인을 설치하여 감속모터의 구동으로 선별드럼(12)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선별드럼(12)의 외부에 커버(17)를 설치하여 선별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미세분말의 비산을 방지한다.
따라서, 1차선별기(10)는 저장조(1)의 컨베이어(1a)로 공급되는 석분이 낙하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드럼(14)의 타격봉(14a)에 의해 비산되고, 이때 송풍기(13)의 바람으로 석분에 썩인 비닐조각과 각종 이물질이 배출구(16)쪽으로 날아가 커버(17)에 부딪치고 컨베이어(16a)위에 떨어져 배출되며, 골재로써 적합치 않은 큰 입도의 골재는 선별드럼(12)의 망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구(16)와 컨베이어(16a)를 통해 배출되므로써 비교적 정선된 상태의 석분만이 호퍼(15)와 컨베이어(15a)를 통해 이송된다.
1차선별기(10)를 통해 비교적 정선된 상태의 석분이 스크류컨베이어(20a)로 공급되는 비중분리기(20)는 밀폐공간으로 상측이 원추형태의 분리탱크(21)가 지지프레임(21a)위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탱크(21)안에 다수의 회전날개(23)가 장착된 중공축(22)이 모터(24)의 구동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중공축(22)에는 수개의 고정관(25a)과 크리너(25)가 부착되고, 분리탱크(21)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지지관(26a)과 스크레퍼(26)가 설치된다.
석분은 컨베이어나 스크류컨베이어(20a)를 통해 분리탱크(21)의 상측부로 공급되고, 중공축(22)은 분리탱크(21)에 수직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상측부와 지지프레임(21a)상에 커플링(22b)을 장착하고 여기에 공기압축기(27)와 연결된 배관을 장착하며, 중공축(22)에서 상하 적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노즐(22a)을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장착한다.
상기 중공축(22)은 모터(24)와 풀리(24a)에 의해 분리탱크(21)안에서 회전되며, 공기압축기(27)에서 제공되는 압축된 공기가 상하 커플링(22b)를 통해 중공축(22)안으로 공급되어 다수개의 노즐(22a)로 분사된다.
또한 중공축(22)에는 일반 선풍기의 회전날개와 같은 형상의 회전날개(23)가 상하 적정한 간격으로 다수 장착되며, 회전날개(23)는 내부공간이 주어진 이중구조를 가지며, 상측면에 다수개의 토출공(23a)이 천공되고 중공축(22)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공(23b)이 천공되어 압축공기가 회전날개(23)의 토출공(23a)을 통해 분사되게 형성된다.
크리너(25)는 분리탱크(21)의 내주면에 근접되게 수직상으로 놓여 중공축(22)에 상하 방사상으로 부착된 수개의 고정관(25a)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25a)의 상측부에 수개의 노즐(25b)이 장착되고 중공축(22)에서 고정관(25a)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게 설치하여 수개의 노즐(25b)로 압축공기가 분사되게 한다.
한편 분리탱크(21)의 바닥면 쪽으로 중공축(22)에 수개의 지지관(26a)을 방사상으로 장착하고, 지지관(26a)에서 분리탱크(21)의 바닥면에 근접하게스크레퍼(26)를 설치하며, 지지관(26a)의 상측부에 수개의 노즐(26b)을 설치하여 중공축(22)에서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분사되게 설치한다.
또한 분리탱크(21)의 바닥면에서 외측으로 배출구(21b)가 형성되고 여기에 컨베이어나 스크류컨베이어(29)가 설치되며, 원추형태의 상측부에는 배기관(28a)이 장착된 배기팬(28)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비중분리기(20)는 모터(24)의 구동으로 중공축(22)과 회전날개(23)와 크리너(25) 및 스크레퍼(26)가 회전하면서 공기압축기(27)로 제공되는 압축공기가 수개의 노즐(22a)(25b)(26b)로 분사되고, 또한 회전날개(23)가 바람을 일으키면서 토출공(23a)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므로써 분리탱크(21)의 상측부로 공급되는 석분을 비산시켜 비중이 큰 골재는 낙하되고, 반면에 골재로서 불필요한 비중이 작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은 상측부로 부유 비산되어 골재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비중이 큰 골재는 낙하하면서 회전날개(23)와 부딪치거나 또는 골재가 서로 부딪쳐 마모되므로 골재중에서 편석이 제거되고, 이러한 골재는 분리탱크(21)의 바닥면으로 떨어져 스크레퍼(26)에 의해 배출구(21b)로 배출되며, 또한 골재와 분리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은 상측부에서 배기팬(28)으로 흡입되어 배기관(28a)으로 배출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비중분리기(20)에서 압축공기의 압력과 중공축(22)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석분에서 분리되는 골재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크리너(25)는 분리탱크(21)의 내주면에 근접하여 회전하면서 분리탱크(21)의 내면에 응집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도 9 와 도 10 은 회전날개(23)의 다른 실시예로 일반 예초기의 회전날개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하여 바람을 일으키도록 하는 한편, 회전날개(23)의 상측면에 다수개의 파쇄돌기(23c)를 부착하여 회전시 골재중에서 편석을 파쇄하거나 마모시켜 편석을 제거하게 구성한 것이며, 중공축(22)에 고정편(22c)을 부착하고, 여기에 회전날개(23)를 장착하여 회전날개(23)의 파손과 마모에 따른 교체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의 도 14 는 비중분리기(20)에서 분리탱크(21)의 다른 실시예로 분리탱크(21)를 구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경우 중공축(22)과 회전날개(23)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할 수 있고, 분리탱크(21)의 내면에 응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25)는 상하 곡선지게 형성된다.
비중분리기(20)에서 추출된 골재가 컨베이어나 스크류컨베이어(29)를 통해 공급되는 2차선별기(30)는 골재에서 모래와 자갈을 선별할 수 있게 모래선별드럼(32)과 자갈선별드럼(33)으로 구성된 구조로써, 지지프레임(31)위에 경사지게 모래선별드럼(32)과 자갈선별드럼(33)이 설치되고, 그 아래로 각각 호퍼(32a)(33a)와 컨베이어(32b)(33b)가 설치되어 선별된 모래와 자갈이 배출되어 이송 적재되게 구성한다.
상기 모래선별드럼(32)과 자갈선별드럼(33)의 회전은 1차선별기(10)의 구동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개의 회전롤러와 스프라켓과 체인을 설치하여 감속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골재로써 적합치 않은 굵은 자갈과 이물질은 호퍼(34)로 배출되어 컨베이어(34a)로 이송되어 일정장소에 적재된다.
한편 비중분리기(20)에서 골재와 분리되어 배기팬(28)과 배기관(28a)을 통해 배출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집진기(40)는 집진탱크(41)의 내부에 상부와 양측부로 응집제가 공급되는 분사관(42)이 설치되고, 여기에 다수개의 노즐(43)이 장착되어 응집제를 안개와 같은 미립자로 분사시키며, 집진탱크(41)내부의 하측부에 컨베이어(44)를 설치하여 미립자로 분사되는 응집제에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이 응집되어 떨어져 쌓이게 한다.
상기에서 컨베이어(44)는 저속으로 작동하여 응집제에 의해 떨어져 쌓인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을 이송 배출하며, 컨베이어(44)의 끝단부에 스크레퍼(44a)를 장착하여 응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컨베이어(44)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또 다른 컨베이어(45)를 통해 이송 적재된다.
노즐(43)에서 분사된 일부 응집제는 집진탱크(41)아래에 저장되고, 일정량이 저장되면 배출밸브(41a)를 통해 배출시키며, 여기서 응집제는 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물에 점성을 갖는 응집제를 소정량 섞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집진탱크(41)에서 배기관(28a)이 설치된 반대쪽의 상측부에 배출관(46a)이 부착되고, 여기에 배그필터(47)가 장착된 집진박스(46)가 설치되어 여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써 공해를 방지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기(40)는 배기관(28a)을 통해 유입되는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에 응집제를 미립자로 분사하므로 이물질을 응집시켜 컨베이어(44)로 배출하게 되며, 응집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은 도로성토용 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조장치는 저장조(1)에 저장된 석분을 1차선별기(10)에서 제공받아 송풍기(13)로 송풍을 가하는 한편 선별드럼(12)에 의한 선별작동으로 석분에 포함된 비닐조각, 폐목재, 나무뿌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비교적 정선된 상태의 석분을 비중분리기(20)로 공급하여 노즐((22a)(25b)(26b)에 의한 압축공기의 분사와 회전날개(23)의 회전으로서 공급되는 석분을 비산시켜 비중이 큰 골재와 비중이 작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한편 골재를 파쇄 및 마모시켜 편석을 제거하며, 상기 비중분리기(20)에서 분리된 골재는 2차선별기(30)로 공급되어 모래선별드럼(32)과 자갈선별드럼(33)에 의해 품질규격에 적합한 입도의 모래와 자갈로 선별되어 출하를 위해 적재되고, 또한 비중분리기(20)에서 분리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은 집진기(40)로 유입되어 노즐(43)을 통해 미립자로 분사되는 응집제에 의해 응집처리되고, 집진박스(46)의 배그필터(47)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므로써 공해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석분에 수분 함유량이 과다하면 골재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분리효과가 떨어지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1차선별기(10)를 통해 비닐조각, 폐목재, 나무뿌리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석분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석분을 충분히 건조시킨 다음 비중분리기(20)에 공급하므로써, 골재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분리효과를 높이게 되며, 상기 건조기는 100℃~180℃로 히팅되는 공지된 기술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석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는 그 실시예에 있어서 석분과 같은 원료의 크기에 따라 골재의 생산도 달리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임의로 골재의 입도비율과 크기를 조정할 수 있고, 산모래 채취나 마사토와 같은 토질에서도 압축공기의 풍량과 회전날개(23)의 회전속도 및 배기팬(28)의 흡입량을 조절하면 원하는 용도의 모래와 자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폐기되고 있는 석분에서 우수한 골재(모래,자갈)를 추출, 생산하므로 자원의 재활용과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특히 폐수나 분진발생등이 최대한 억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써 비산분진, 소음, 폐수처리등 공해문제가 적고, 골재를 생산하고 배출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은 다시 미장용 세골재나 도로성토용 재료로 사용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품질이 우수한 골재를 자연환경의 파괴와 공해없이 생산하므로 그에 따른 자연환경의 보호와 비용절감은 물론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전반적인 절감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석분이 적정량 저정되는 저장조(1)와; 상기 저장조(1)에서 제공되는 석분에 송풍기(13)로 송풍을 가하는 한편 나팔관 형상의 선별드럼(12)으로 비닐조각, 폐목재, 나무뿌리 등의 이물질을 선별 제거하는 1차선별기(10)와; 상기 1차선별기(10)를 거쳐 제공되는 석분에 밀폐된 공간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한편 회전날개(23)의 회전으로 석분 입자를 비산시켜 비중이 큰 골재와 골재로서 불필요한 비중이 작은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고 골재를 충돌 마모시켜 편석을 제거하는 비중분리기(20)와; 상기 비중분리기(20)에 의해 분리된 골재가 공급되며 선별드럼(32)(33)으로 골재를 모래와 자갈로 선별하는 2차선별기(30)와; 상기 비중분리기(20)에서 유입되는 골재와 분리된 토사, 먼지,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에 응집제를 미립자로 분사시켜 응집하는 집진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조(1)의 저면부에 컨베이어(1a)가 설치되고, 컨베이어(1a)의 끝에 양측으로 다수개의 타격봉(14a)이 장착된 회전드럼(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중분리기(20)는,
    원추형태의 상측부에 배기팬(28)이 설치되고 바닥면에 배출구(21b)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1a)위에 설치되는 분리탱크(21)와; 상기 분리탱크(21)안에 수직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상하로 커플링(22b)이 장착되고 상하 적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노즐(22a)이 장착된 중공축(22)과; 상기 중공축(22)을 회전시키는 모터(24)와; 상기 중공축(22)의 커플링(22b)에 배관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27)와; 상기 중공축(22)에 부착되고 상측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토출공(23a)이 천공된 회전날개(23)와; 상기 분리탱크(21)의 내주면에 근접되게 수직상으로 놓여 수개의 노즐(25b)이 장착되고 방사상으로 중공축(22)에 부착된 고정관(25a)에 설치되는 크리너(25)와; 수개의 노즐(26b)이 장착된 지지관(26a)이 중공축(22)에 방사상으로 장착되고 지지관(26a)에서 분리탱크(21)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스크레퍼(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비중분리기(20)의 분리탱크(21)를 구형상으로 형성하고 분리탱크(21)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크리너(25)를 상하 곡선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회전날개(23)를 일반 예초기기의 회전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회전날개(23)의 상측면에 다수개의 파쇄돌기(23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2차선별기(30)는,
    지지프레임(31)위에 경사지게 모래선별드럼(32)과 자갈선별드럼(33)이 설치되고, 그 아래에 각각 호퍼(32a)(33a)와 컨베이어(32b)(33b)가 설치되어 모래와 자갈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집진기(40)는,
    집진탱크(41)의 내부에 상부와 양측부로 응집제가 공급되는 분사관(42)이 설치되고, 분사관(42)에 응집제를 미립자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43)이 장착되며, 상기 집진탱크(41)의 하측부에 스크레퍼(44a)가 장착된 컨베이어(44)가 설치되고, 한쪽 상측부에 배출관(46a)이 부착되며, 배그필터(47)가 장착된 집진박스(4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장치.
KR2020020018751U 2002-06-20 2002-06-20 골재 제조장치 KR200292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51U KR200292635Y1 (ko) 2002-06-20 2002-06-20 골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51U KR200292635Y1 (ko) 2002-06-20 2002-06-20 골재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658A Division KR100462815B1 (ko) 2002-06-20 2002-06-20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635Y1 true KR200292635Y1 (ko) 2002-10-25

Family

ID=7307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751U KR200292635Y1 (ko) 2002-06-20 2002-06-20 골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6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86B1 (ko) * 2003-02-12 2004-07-21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KR102185309B1 (ko) * 2020-07-03 2020-12-01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에어 타입 순환골재 이물질 제거장치
CN117427724A (zh) * 2023-12-06 2024-01-23 河南省新乡生态环境监测中心 一种废旧电池破碎分选装置及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86B1 (ko) * 2003-02-12 2004-07-21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KR102185309B1 (ko) * 2020-07-03 2020-12-01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에어 타입 순환골재 이물질 제거장치
CN117427724A (zh) * 2023-12-06 2024-01-23 河南省新乡生态环境监测中心 一种废旧电池破碎分选装置及工艺
CN117427724B (zh) * 2023-12-06 2024-03-08 河南省新乡生态环境监测中心 一种废旧电池破碎分选装置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152B1 (ko) 골재 제조장치
US6325311B1 (en) Axial flow concrete reclaimer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1785217B1 (ko)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연료화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0470486B1 (ko)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9187B1 (ko)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20110061758A (ko) 건식 모래 생산장치
CN109513731A (zh) 一种用于生活垃圾的高效分拣回收装置
KR100462813B1 (ko) 골재 제조장치
KR100462815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7065902B (zh) 一种多级破碎制砂机
KR200292635Y1 (ko) 골재 제조장치
KR100441286B1 (ko) 골재 제조장치
CN210045355U (zh) 一种应用于搅拌站的混凝土骨料筛分机
KR100940761B1 (ko) 골재 세척용 드럼형 세척장치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JP2006088087A (ja) 製砂装置
KR100453532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KR100464805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04464B1 (ko) 상승송풍과 충격유도 회전체가 장착된 vsi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이물질 및 페이스트 분리 장치
KR200335346Y1 (ko) 골재 제조용 건조장치
KR100616502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8855466B (zh) 一种制砂机及制砂方法
KR100556936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