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923Y1 -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 Google Patents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923Y1
KR200290923Y1 KR2020020020068U KR20020020068U KR200290923Y1 KR 200290923 Y1 KR200290923 Y1 KR 200290923Y1 KR 2020020020068 U KR2020020020068 U KR 2020020020068U KR 20020020068 U KR20020020068 U KR 20020020068U KR 200290923 Y1 KR200290923 Y1 KR 200290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eat sink
resistance circuit
blower motor
temperatur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원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0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923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esistors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에어컨이나 히터를 가동하는 방열효율이 우수한 블로워모터의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절연판에 의하여 전후면이 감싸지는 저항회로판과, 상기 절연판과 저항회로판이 수용되는 방열판 프레임, 상기 저항회로판 및 절연판을 감싸며 상기 방열판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저항회로판의 단부와 그 일단이 접하는 전원접속단자, 상기 방열판 프레임-커버의 결합체를 지지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의 타단이 수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단자의 단부와 상기 저항회로판의 단부를 점용접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기 저항회로판의 상부 단부 사이에 온도퓨즈를 설치하며,
상기 온도퓨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온도퓨즈와 대향하는 방열판 프레임에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방열효율이 우수하고, 온도퓨즈의 이상단락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Resistor of Blower Motor having High-Efficiency of radiating heat}
본 고안은 차량의 에어컨이나 히터를 가동하는 블로워모터의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전류시 단락수단으로 온도퓨즈를 채택하고, 상기 온도퓨즈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절연판 및 커버를 방열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에어컨이나 히터에는 냉ㆍ온풍강제공급수단으로서, 팬 및 팬을 구동하는 블로워모터(Blower Motor)와,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블로워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송풍량을 다단(보통 1~4단)으로 조절하는 블로워모터 저항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로워모터 저항기는 저항회로판(1)과, 상기 저항회로판(1)을 앞뒤로 감싸는 절연판(2, 2'), 상기 절연판을 각각 감싸며 서로 결합하는 방열판(3) 및 커버(4)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저항회로판(1)의 단부에는 전원접속단자(6)가 점용접되어 있고, 주전원접속단자(8)과 저항회로판(1)의 단부 사이에는 회로단락수단으로서 온도퓨즈(7)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블로워모터 저항기는 조립 후에 온도퓨즈(7)가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저항회로판(1)에서 발생하는 열과방열판(3)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온도퓨즈(7)가 단락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블로워모터 저항기는 온도퓨즈가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어, 열이 방열판으로 효율적으로 빠져나가지 못할 경우, 과전류발생시 뿐만 아니라, 정상작동 시에도 회로가 단락되는 경우가 많아 제품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버의 재질이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구성되고, 저항회로판에서 발생하는 열이 주로 방출되는 방열판 측의 절연판 두께를 커버 측 절연판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었으므로, 방열효율도 낮았다. 따라서, 상기 온도퓨즈의 과열로 인한 회로단락의 문제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상기 온도퓨즈가 불량품이어서 과전류 발생 시에도 단락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항기의 낮은 방열효율로 인하여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여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저항기는 전원접속단자의 단부와 저항회로판의 단부의 전면(全面)을 점용접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었으므로, 용접효율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로단락수단인 온도퓨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방열판 및 커버의 구조를 변경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항회로판을 감싸는 전ㆍ후 절연판의 두께를 다르게 구성하고, 커버의 재질을 변경하여 방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전원접속단자의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저항회로판 단부와 용접함으로써, 용접효율이 좋은 블로워모터 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따른 온도퓨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따른 방열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저항회로판, 11...온도퓨즈,
20, 20'...절연판, 30...방열판 프레임,
32...개방부, 40...커버,
41...절곡부, 50...전원접속단자,
51...엠보싱, 60...베이스 플레이트.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 모터의 저항기는,
절연판에 의하여 전후면이 감싸지는 저항회로판과, 상기 절연판과 저항회로판이 수용되는 방열판 프레임, 상기 저항회로판 및 절연판을 감싸며 상기 방열판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저항회로판의 단부와 그 일단이 접하는 전원접속단자, 상기 방열판 프레임-커버의 결합체를 지지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의 타단이 수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단자의 단부와 상기 저항회로판의 단부를 점용접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기 저항회로판의 상부 단부 사이에 온도퓨즈를 설치하며,
상기 온도퓨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온도퓨즈와 대향하는 방열판 프레임에 개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퓨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부 일측이 온도퓨즈 하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열판 프레임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회로판을 감싸는 절연판 중 커버 측의 절연판 두께가 방열판 측 절연판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측 절연판 두께가 방열판 측 절연판 두께의 1.5~6배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인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전원접속단자의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상기 저항회로판의 단부와 점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따른 온도퓨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따른 방열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에서, 10은 저항회로판, 20, 20'은 절연판, 30은 방열판 프레임, 40은 커버, 50은 전원접속단자, 60은 베이스 플레이트(61은 상부플레이트, 62는 하부플레이트)이다.
상기 저항회로판(10)의 상부에는 온도퓨즈(11)가 설치되고, 하부의 단부에는 전원접속단자(60)의 단부가 점용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퓨즈(11) 양단의 리드 프레임이 저항회로판(10) 상부의 분리된 각 단부에 역시 점용접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방열판 프레임(30)의 앞면에는, 방열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주름 형상의 굴곡이 형성된 방열판(3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방열판(31)의 상부, 즉 온도퓨즈(10)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개방부(32)가 형성되어 있어 과열된 온도퓨즈(11)의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저항회로판(10)의 전후면에는 저항회로판(10)을 감싸는 절연판(20, 20')이위치하며, 저항회로판(10) 뒤쪽에서 커버(40)가 상기 저항회로판(10) 및 절연판(20)을 감싸며 방열판 프레임(30)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커버(40)의 상부 일측은 상기 온도퓨즈(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온도퓨즈(11) 하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열판 프레임(30)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41)는 온도퓨즈(11) 하부의 저항회로판(1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커버(4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온도퓨즈(11)는 전후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과열이 전달되어도 단시간 내에 냉각된다. 그리고, 방열판 프레임(30)도 그 전면부의 주름형상 뿐만 아니라, 개방부(32)로 다량의 열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온도퓨즈(11)로 전달되는 복사열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방열판(31)과 커버(40)의 구조는 저항기의 방열효율을 향상시켜서, 온도퓨즈(11)가 설정온도 이하의 정상작동 시에도 과열되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주의할 점은, 온도퓨즈(11)는 커버(40) 상부의 절곡부(41)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커버(40)는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커버(40)와 온도퓨즈(11)가 접하게 되며, 단락의 위험이 있다.
한편, 저항회로판(10)의 하부 단부에 점용접되는 전원접속단자(50)의 단부에는 엠보싱(51)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블로워모터 저항기는 전원접속단자 및 저항회로판 각 단부의 넓은 접촉면적(전원접속단자와 저항회로판의 단부 전면)을 녹이기 위해 용접시 전극봉에 고전압을 걸어주어야 하였으므로 용접효율이 떨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전원접속단자(50)의 단부에 형성된엠보싱(51)과 저항회로판(10) 단부의 접촉부만을 녹여서 용접할 수 있어, 접촉면적(즉 용접면적)의 최소화로 용접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판(20,20') 중 커버(40) 측의 절연판(20) 두께가 방열판(31) 측 절연판(20')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저항회로판(10)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부분은 방열판(31) 쪽으로 빠져나가므로, 상기 열을 방열판(31)으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방열판 측 절연판(20')의 두께를 커버 측 절연판(20) 두께보다 얇게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측 절연판(20) 두께가 방열판 측 절연판(20') 두께의 1.5배~6배인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방열판 측 절연판(20')의 두께는 종래의 절연판 두께(약 0.3mm)보다 더 얇은 0.1~0.15mm의 두께로 하여 방열판으로의 열 전달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방열판은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었지만, 상기 커버는 열 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제조하였었다.
그러나, 저항기가 매우 과열될 경우에는, 상기 커버(40)에도 절연판(20)을 통하여 열전달될 수 있으므로, 커버 재질도 열 전도율이 큰 것이 좋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커버의 재질을 방열기와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하여 방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로워모터 저항기는, 회로단락수단인 온도퓨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방열판 및 커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방열효율이 우수하고, 온도퓨즈의 이상단락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항회로판을 감싸는 전ㆍ후 절연판의 두께를 다르게 구성하고, 커버의 재질을 변경하여 방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성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접속단자의 단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제조시 용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절연판(20,20')에 의하여 전후면이 감싸지는 저항회로판(10)과, 상기 절연판(20')과 저항회로판(10)이 수용되는 방열판프레임(30), 상기 저항회로판(10) 및 절연판(20)을 감싸며 상기 방열판프레임(30)에 결합되는 커버(40), 상기 저항회로판(10)의 단부와 그 일단이 접하는 전원접속단자(50), 상기 방열판프레임-커버의 결합체를 지지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50)의 타단이 수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단자(50)의 단부와 상기 저항회로판(10)의 단부를 점용접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기 저항회로판(50)의 상부 단부 사이에 온도퓨즈(11)를 설치하며,
    상기 온도퓨즈(1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온도퓨즈(11)와 대향하는 방열판 프레임(30)에 개방부(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40)의 상부 일측(41)이 온도퓨즈(11) 하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열판 프레임(3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회로판(10)을 감싸는 절연판(20,20') 중 커버 측의 절연판(20) 두께가 방열판 측 절연판(20')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측 절연판(20) 두께가 방열판 측 절연판(20') 두께의 1.5배~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측 절연판(20') 두께는 0.1~0.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단자(50)의 단부에 엠보싱(51)을 형성하여 상기 저항회로판(10)의 단부와 점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저항기.
KR2020020020068U 2002-07-04 2002-07-04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KR200290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068U KR200290923Y1 (ko) 2002-07-04 2002-07-04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068U KR200290923Y1 (ko) 2002-07-04 2002-07-04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923Y1 true KR200290923Y1 (ko) 2002-10-07

Family

ID=7312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068U KR200290923Y1 (ko) 2002-07-04 2002-07-04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9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7330A (zh) * 2018-05-08 2018-08-17 上海克拉电子有限公司 一种带温控的铝壳电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7330A (zh) * 2018-05-08 2018-08-17 上海克拉电子有限公司 一种带温控的铝壳电阻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097B1 (ko) 전열기용 정특성더미스터장치
JP2007278609A (ja) 電気ヒータ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0754997B1 (ko) 가열 요소들을 위한 전자 트리거 방법
EP0895440A2 (en) Electrical PTC heating device
EP1696717B1 (en) Electric range
KR200290923Y1 (ko) 방열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블로워모터의 저항기
SK159998A3 (en) Thermally fused resistor
KR20060040918A (ko) 프리히터 어셈블리의 조립구조
KR20170037752A (ko) 모터제어용 레지스터
KR100440178B1 (ko) 전기발열소자를 사용하는 프리히터
JP3817837B2 (ja) 車両送風機の速度制御用抵抗器
JP3128996U (ja) 温風暖房機発熱体の電気連結構造体
JPH0734392B2 (ja) 正特性サーミスタ発熱装置
JPH09134654A (ja) 自動車用空調機の送風機制御用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JP2953105B2 (ja) 正特性発熱装置
JPH0751925Y2 (ja) 自動車用空調機の送風機制御用抵抗器
KR100972095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200427206Y1 (ko) 에어컨의 전기히터
JPH0618805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送風制御装置
US7388175B2 (en) Temperature-limiting device
JP3102068B2 (ja) セラミクスヒータ
KR920006511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냉각휀용 저항기
KR101753170B1 (ko) 공조기의 팬 구동모터 회전 속도 조절 저항기용 방열 장치
JP2596218Y2 (ja) ヘアドライヤ
JP3091812B2 (ja) 過熱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