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287Y1 -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287Y1
KR200290287Y1 KR2020020008081U KR20020008081U KR200290287Y1 KR 200290287 Y1 KR200290287 Y1 KR 200290287Y1 KR 2020020008081 U KR2020020008081 U KR 2020020008081U KR 20020008081 U KR20020008081 U KR 20020008081U KR 200290287 Y1 KR200290287 Y1 KR 200290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data
key
predetermin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건식
Original Assignee
유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건식 filed Critical 유건식
Priority to KR2020020008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287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학습데이터에 대한 암기학습시 그 학습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문제항과 답항을 서로 상이한 방향을 갖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또한 기 저장된 학습데이터의 표시빈도수를 임의로 조절하여 암기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학습데이터에 대해서는 학습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 저장된 학습데이터중 특정데이터만을 별도 저장하거나 소정 키이조작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편집입력시킴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학습범위를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한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는, 문제항과 답항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볼수 있도록 각각 디스플레이부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일정 데이터를 기 설정된 번지가 아닌 임의의 번지에 저장하도록 제 1내지 제 3삽입배열키이가 제공됨은 물론, 학습데이터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특정정보 삽입키이, 그리고 문자를 편집/저장하는 문자삽입키이 등이 구비되고, 외국어 학습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출력키이 또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Electronic Learning Aid with Dual Display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
본 고안은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면서 소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전자학습장치의 일면 및 대응되는 면에 임의의 학습데이터 및 그 학습데이터에 대응되어 소정 응답데이터를 표시하여 학습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외국어 학습을 비롯하여 다른 학습과목을 학습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학습교재 및 매체, 도구가 사용되는 것 이외에, 그림포스터·그림카드·그림단어책과 수준별/학력별 등의 차이점에 주안점을 두고 인쇄·발행한 해당 학습교재 및, 카세트테이프와 비디오·교육방송·컴퓨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학습,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음성/문자/동화상을 지원하는 학습방법 등이 지원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학습지원매체를 통해 학습자는 소정 방법을 선택·학습을 하게 되는바, 예컨대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전자학습장치인 경우에 일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단어·숙어 등의 학습데이터 및 그 번역데이터가 학습자에게 제공되며, 또한 휴대용 전자사전인 경우에도 단어 및 해설문항이 저장된 상태에서 학습자가 원하는 단어·문장 등을 검색·선택하면 그에 대하여 단어·문장 등이 일정 언어로 번역·제공되는 한편 그에 덧붙어 해설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도 같이 상세하게 제공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각종 학습매체, 특히 전자학습장치는 어느 한쪽면에만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문답형식의 학습방법을 행해야 하는 경우 질문 및 해답데이터가 그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되기 때문에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학습자 자신이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외국어 학습시 소정 단어 및 그 단어에 대한 뜻을 학습할 때 그 두 데이터가 동시에 제공되기 때문에, 학습자는 손바닥이나 종이매체를 이용해 어느 일부분을 가린 상태로 학습을 해야하는 것과 같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다시말해, 지속적인 반복학습이 필요한 단어암기 등과 같은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시, 질문데이터와 응답데이터가 동일 화면에서 제공되면 학습자 자신의 암기력을 정확하게 테스트하기 이전에 응답데이터를 볼 수 있음으로써, 효과적인 학습이 되지 못하였다. 이와같은 경우 별도의 전환스위치를 구성하여 질문데이터와응답데이터를 교번적으로 선택하여 학습하는 경우도 있지만, 전환스위치 조작에 따른 불편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학습데이터가 저장된 전자수첩인 경우에도, 그러한 데이터가 순서대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필요한 학습항목들만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없고, 또한 그러한 데이터 배열의 변경은 물론 데이터의 편집·삽입이 불가해 학습장치로서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었다.
물론, 개인용컴퓨터에서 편집작업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들만을 전송케이블을 매개하여 학습장치로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 또한 개인용컴퓨터가 제공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학습정보를 표시하는 전자학습장치의 서로 다른 개소에 질문 및 그 질문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대응되게 각각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소정 항목에 대한 학습수행시 상기 질문데이터와 응답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학습자의 학습방식에 따라 학습하고자 하는 대상항목들의 각 개체 순서를 그 학습자의 암기정도 및 학습난이도에 따라 특정 학습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빈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기 제공된 학습데이터 이외에도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대상항목을 직접 입력저장·편집·삭제·추가하거나, 기존의 학습항목에서 선택·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 특성에 맞는 학습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있다.
그와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는, 소정 암기학습을 위하여 질문데이터(문제항)와 응답데이터(답항)로 이루어진 학습데이터를 통한 학습수행시에, 키이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질문데이터와 응답데이터가 각각 표시되도록 힌지결합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며,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학습항목을 임의의 특정 번지에 저장시켜 제어부의 해당 학습항목에 대한 액세스 빈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 1내지 제 3삽입배열키이, 임의의 학습데이터를 편집/입력하기 위한 문자삽입키이, 기 저장된 학습데이터중 특정 학습데이터를 선택/저장할 수 있는 특정정보 삽입키이 및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키이가 제공되는 키이모듈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의 학습방법은, 소정 키이조작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데이터를 출력시켜 학습할 수 있도록 대략 휴대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 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이조작에 따라 독출된 학습정보중 임의의 질문데이터 및 그 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제 1, 제 2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학습하는 도중 학습데이터에 대한 난이도, 문제풀이 정답비율 등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저장순서에 관계없이 특정 번지에 우선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재배열시키는 과정과, 일련의 키이조작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데이터중 특정 학습데이터 또는 문자입력 및 편집기능에 따라 임의의 학습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 학습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영역을 보이고 있는 모식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학습데이터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도 5에서 학습데이터중 특정학습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01 : 키이모듈부,
102 : 문자삽입키이, 114 : 음성출력키이,
104, 106, 108 : 제 1, 제 2, 제 3삽입배열키이,
116, 118 : 특정정보 삭제키이/삽입키이,
120a, 120b; 제 1, 제 2디스플레이부, 130 : 힌지축,
140 : 메모리부 142 : 프로그램롬,
144 : 데이터저장부, 146 ; 임시데이터저장부,
148 : 문자폰트저장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 학습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영역을 보이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학습데이터를 독출·표시하도록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롬(142),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44), 학습자에 의하여 특정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데이터저장부(146) 및, 다양한 문자폰트를 저장하는 문자폰트저장부(148)로 이루어진 메모리부(14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동작에 따라 원하는 학습정보를 독출시킴과 아울러 특정 학습정보를 선별적으로 편집저장하도록 키이조작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키이모듈부(101), 상기 키이모듈부(101)의 키이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학습정보중 질문 및 응답데이터를 각각 표시하는 제 1·제 2디스플레이부(120a,120b)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디스플레이부(120a,120b)는 상기 제어부(100)에의해 질문 및 응답데이터를 각각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드라이버(120)가 구성되며, 상기 학습데이터를 음성출력시킬 수 있도록 음성데이터압축부(150), 음성출력부(152), 스피커(154)가 제공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디스플레이부(120a,120b)는 학습데이터중 질문과 응답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전자학습장치의 양 면에 장착되는바, 일면 상부 개수에 제 1디스플레이부(120a)가 고정형성되고, 그 제 1디스플레이부(120a)와 대응되는 타면에 소정 크기를 가지는 제 2디스플레이부(120b)가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힌지결합되어 일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20b)는 그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0a) 및 제 2디스플레이부(120b)가 각각 대응되는 방향을 주시하거나, 동일 방향을 향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키이모듈부(101)는 통상 제 1디스플레이부(120a)가 형성된 일면에 문자를 삽입/편집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이패드와 동일한 키이패드가 제공되는 문자삽입키이(102) 및, 데이터저장부(144)에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독출하여 학습도중 임의의 학습데이터에 대하여 이를 일정 번지에 저장한 후 독출 빈도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 1내지 제 3삽입배열키이(106,108,110), 이전 학습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이전정보검색키이(112), 해설정보를 검색·재생하기 위한 해설재생키이(110)가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측면에는 학습데이터를 음성출력시키기 위한 음성출력키이(114)와, 학습도중에 디스플레이부(120a,120b)에 표시된 특정 학습정보를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특정정보삭제키이/특정정보삽입키이(116,118)가 구성된다.
한편, 메모리부(140)의 데이터저장부(144)는 일련의 키이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정보를 독출시킬 수 있는 선입선출(FIFO) 메모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자학습장치의 데이터저장부(144)에 소정 학습데이터가 기 저장된 상태에서, 학습자의 키이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학습데이터는 데이터저장부(144)에 저장된 순서대로 독출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학습데이터의 문제항과 답항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바, 다시말해 학습자 전면부에 위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부(120a)에는 문제항이 표시되며, 대응되는 면(전자학습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제 2디스플레이부(120b)에는 상기 문제항에 대한 응답데이터가 표시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학습데이터가 저장되었다면 키이조작과 함께 제 1, 제 2디스플레이부(120a,120b)에는 최상위번지(1번지)에 저장된 'elephant'와 '코끼리, (미국의) 공화당'이 각각 표시된다.
그와같이, 학습자는 문제항을 먼저 본 후 자신이 생각한 데이터를 제 2디스플레이부(120b)에 표시된 응답데이터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문제항과 응답데이터를 동시에 확인할 수 없고 순차적인 문답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전자학습장치 자체를 간단하게 뒤집기만 하면 학습데이터를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항과 응답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 별도의 전환키이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 학습데이터에 대한 학습진행시, 통상 학습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1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입선출 메모리 타입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일한 횟수만큼 독출·표시되기 때문에, 별도의 키이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차적인 학습데이터 제공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본 고안의 제 3삽입배열키이(108) 조작에 의해 제공되는 동일한 학습방법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200).
그러나, 학습자는 데이터저장부(144)에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학습함에 있어서, 특정 문항에 대해 암기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과 같이 암기가 되지 않을 때 해당 학습데이터를 중점적으로 반복학습하는바, 이런 경우 그 특정 문항에 대해서 독출빈도수를 조절하여 자주 문제를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암기학습효과를 향상시킬수가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데이터저장부(144)의 최상위번지에 저장된 'elephant'가 제 1디스플레이부(120a)에 표시되면(단계 202), 학습자는 이에 대한 암기사항을 답해야 하는데, 만약 그 문제항에 대한 응답이 틀렸다면, 학습자는 제 1삽입배열키이(104)를 조작하여 상기 학습정보를 N번지에 저장시키지 않고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기 설정된 번지, 예컨대 전체 번지중 1/10에 해당되는 번지에 저장되도록 하여 다른 학습항목보다 더 빨리 액세스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암기되지 않는 학습정보를 다른 학습정보다 더 빨리 접하게 함으로써 암기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하도록한다(단계 204, 206, 208).
예를들어 설명하면, 도 4에 제공된 학습데이터가 1-40번지에 저장되고, 제 1삽입배열키이(104)가 조작되면 전체 번지중 1/10번지에 해당되는 영역에 저장되기로 설정되었다면, 'elephant'가 제 1디스플레이부(120a)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삽입배열키이(104)를 키이조작하면 상기 'elephant'는 제일 마지막 번지인 40번지에 저장되지 않고, 그 1/10에 해당되는 4번지 즉 '지구'가 저장된 번지에 저장되기 때문에 암기되지 않았던 'elephant'를 다른 학습항목보다 더 빨리 액세스 할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해설재생키이(110)를 조작하면 그에 대한 '아프리카','인도'와 같이 기 제공된 해설정보도 제 2디스플레이부(120b)에 제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학습자는 문제풀이의 학습데이터에 대한 난이도, 문제풀이 정답비율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완벽하게 암기하지는 못했지만 반쯤 암기한 학습항목에 대해서는 제 2삽입배열키이(106)를 조작하여 상기 제 1삽입배열키이(104)에 따른 액세스 빈도수보다 적게 설정하는 바, 예컨대 메모리 전제번지중 대략 1/2번지에 해당하는 번지영역에 저장함으로써 효과적인 암기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210,212).
물론, 상기와 같이 제 1(104) 및 제 2삽입배열키이(106) 조작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된 학습데이터가 소정 번지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은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설정 메뉴판(도면 미도시)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말해 도 4를 참조하면 'N'번지중에서 1/2번지, 1/4번지, 1/10번지, 1/20번지와 같이 임의로 번지영역을 지정하여 해당 학습정보의 액세스 빈도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제 3삽입배열키이(1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키이조작이 이루어지면 마지막번지에 저장된다(단계 214, 216).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그 암기결과에 따라 문제표시빈도를 설정하는 제 1내지 제 3삽입배열키이(104-108)를 조작하면, 그 삽입배열키이(104-108)가 조작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20a,120b)에 표시된 학습데이터는 기 설정된 번지영역에 자동 저장되게되며, 이후 데이터저장부(144)에 저장된 학습데이터는 재배열되어 자동 저장된다(단계 220).
그리고, 그 배열순서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된다(단계 222).
이때 상기 제 1, 제 2디스플레이부(120a,120b)에 표시되는 학습데이터는 문자폰트저장부(148)에서 액세스된 소정 폰트에 맞춰 표시됨은 물론이다.
한편, 학습자는 임시데이터저장부(146)에 특정 학습데이터를 저장하여 암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특정 학습데이터를 임의로 저장시킬 수 있는 플래시롬과 같은 임시데이터저장부(146)에 학습자 자신이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문자삽입키이(102)를 이용하여 원하는 학습데이터를 편집입력시킬 수 있고, 이때 학습데이터 편집저장시 제 2디스플레이부(120b)를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회동·고정시키게 되면, 학습자는 제 1 및 제 2디스플레이부(120a,120b)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손쉽게 문자편집이 가능하다(단계 230, 232, 234, 236, 242).
그리고, 기존의 학습데이터중에서 디스플레이부(120a,120b)에 표시된 학습정보중에서 특정 학습정보를 선택한 다음 특정정보삽입키이(118)를 조작하여 저장 시킬수도 있다(단계238, 240, 242). 이는 데이터저장부(144)에 저장된 학습항목들을 모두 암기할 필요가 없고 필요한 몇 개의 학습항목만을 선택해서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방대한 학습항목중에서도 필요한 것들만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그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일련의 학습효과가 나타났다고 판단되면 특정정보삭제키이(116)로서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단계 244, 246).
한편, 외국어 학습과 같이 실제 발음이 중요시 되는 경우에는 음성출력키이(114)를 조작하여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데이터압축부(150) 및 음성출력부(152)를 매개하여 스피커(154)로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은 영어학습 등을 한정 설명하고 있지만, 수학, 물리공식, 역사연대, 지리 등 암기대상 학습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따르면, 소정 문제항과 답항으로 이루어진 학습데이터를 서로 상이한 방향을 갖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은 물론, 암기난이도 및 학습자의 암기결과에 따라 현재 표시된 학습항목을 임의의 번지에 삽입시켜 그 표시빈도수를 조절할 수가 있음으로써, 암기학습효율을 극대화시킬수 있다.
그리고, 기 저장된 학습데이터뿐만 아니라 소정 키이 조작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편집입력시킴은 물론, 특정 학습데이터를 선택하여 저장한 후 그 학습데이터만을 액세스시켜 학습할 수가 있어 학습범위를 다양화시킬수 있다. 또한 힌지결합된 디스플레이부를 회동시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소정 학습데이터를 보다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정 키이조작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학습정보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대략 휴대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 전자학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학습장치는;
    상기 학습정보를 독출·표시하도록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롬, 상기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학습자에 의하여 특정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메모리영역으로 구비된 임시데이터저장부 및, 다양한 문자폰트를 저장하는 문자폰트메모리로 이루어진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원하는 학습정보를 독출시킴과 아울러 특정 학습정보를 선별적으로 편집저장하도록 키이조작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키이모듈부,
    상기 키이모듈부의 키이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학습정보중 질문 및 응답데이터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일면에 소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1디스플레이부가 고정 형성되며, 그 제 1디스플레이부와 대응되는 이면에 끼움고정되도록 소정 크기를 가지는 제 2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며, 그 제 2디스플레이부는 상단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힌지결합되어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모듈부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소정 학습데이터를 독출한 후 그 학습데이터를 기 제공된 데이터저장부의 메모리 영역중 임의의 번지에 할당저장하는 삽입배열키이, 해당 학습데이터에 대한 해설내용을 표시하는 해설재생키이, 상기 임시데이터저장부에 기존의 학습정보중 소정 학습정보 및 키이조작에 따라 편집된 임의의 학습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삭제하기 위한 특정정보 삽입키이/삭제키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배열키이는, 현재 표시된 학습정보를 메모리 영역중 소정 위치에 각각 저장시켜 우선순위별로 그 독출 빈도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제 1내지 제 3삽입배열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데이터를 음성출력부를 매개하여 음성출력시키기 위한 음성출력키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6. 삭제
  7. 삭제
KR2020020008081U 2002-03-19 2002-03-19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KR200290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081U KR200290287Y1 (ko) 2002-03-19 2002-03-19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081U KR200290287Y1 (ko) 2002-03-19 2002-03-19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711A Division KR20030075467A (ko) 2002-03-19 2002-03-19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287Y1 true KR200290287Y1 (ko) 2002-09-26

Family

ID=7311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081U KR200290287Y1 (ko) 2002-03-19 2002-03-19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2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81570A1 (fr) Appareil d'affichage electronique et procede d'affichage
JP2009511964A (ja) 教示および学習指導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支援方法および装置
US20210005097A1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WO1990005350A1 (en) Interactive audiovisual control mechanism
US20020137012A1 (en) Programmable self-teaching audio memorizing aid
KR20180066709A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Chapelle et al. Language lessons on the PLATO IV system
KR200290287Y1 (ko)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JP3590580B2 (ja) 綴り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30075467A (ko)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학습장치 및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US2007015487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0265464Y1 (ko) 디지털색인코드가 날인된 기록매체의 학습시스템
KR20070052726A (ko) 휴대용 학습기
KR20150036954A (ko) 어플을 이용한 받아쓰기 학습 및 채점방법
KR100374504B1 (ko) 디지털색인코드가 날인된 기록매체의 학습시스템
JPH0269793A (ja) 格納情報表示装置
JP26564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を用いた英会話学習システム
KR101024995B1 (ko)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단말기의 운용방법
KR20040040960A (ko) 디지털 학습장치
Salazar Interactive audio strategies for developing listening skills
KR20100065841A (ko) 외국어 학습기 및 학습방법
KR200234568Y1 (ko) 코란 전용의 멀티미디어 전자책 장치
KR200305678Y1 (ko) 디지털 학습장치
JP2001331087A (ja) 外国語学習支援装置
JP2864424B2 (ja) 電子学習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