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93Y1 -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 Google Patents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93Y1
KR200289993Y1 KR2020020018656U KR20020018656U KR200289993Y1 KR 200289993 Y1 KR200289993 Y1 KR 200289993Y1 KR 2020020018656 U KR2020020018656 U KR 2020020018656U KR 20020018656 U KR20020018656 U KR 20020018656U KR 200289993 Y1 KR200289993 Y1 KR 200289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bridge
rainwater
fal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18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9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이 주행하는 교량 상판의 노면 가장자리용 배수관에서 빗물 등이 제거 할 때 낙하하는 유속을 저감시켜 소음 및 배수관의 지면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배수관은 교량 상판의 노면 가장자리에 고정하면서 교각의 가장자리에 조립되어서 교량의 상판에 내려오는 빗물을 적절한 교량표면의 경사를 이용하여 배수관의 입구를 통하여 배수구로 지나면서 낙하되어 빗물이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의 원리는 자연 낙하를 이용하는데 낙하의 속도가 빨라서 배수관의 장기간 사용에 대한 내구성 및 배수가 낙하되는 도로 표면의 쇄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교량용 배수관의 배수되는 빗물의 낙하하는 유속을 저감시켜 배수관의 내구력을 보강하면서 도로 표면의 쇄골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배수관을 제공하기 위한 고안이다
즉 도로 표면의 가장자리에 고정하여 교량의 교각을 연접하여 설치하는 배수관에서 빗물이 배수할 경우 낙하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낙하하는 속도의 가속으로 낙하하는 압력으로 소음발생 및 낙하되는 지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으로 배수관(2) 내측에 배수관(2)이 고정되는 도로 상판(4)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대(13)로 조립되면서 베수의 빗물의 낙하되는 흐름에 따라 요동되면서 낙하되는 빗물의 흐름을 저감하는 비닐천이나 고리형 사슬대(8)을 상판(4)의 가장자리에형성된 배수관(2)의 입구에서 고정대(13)로 고정하여 배수관(11)의 내측 공간에 매달아 주어 구성된 고안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omitted}
본 고안은 도로에서 도시의 교차로에서 차량의 통행량이 많아서 평면 교차로에서는 차량 통행의 과다로 주행 속도가 너무 늦어서 주행 시간의 과다 및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차량의 매연으로 심한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원할한 주행 속도의 유지를 위하여 교량 및 고가 차로의 건설이 필요한 실정으로 이에 따른 차량의 원할한 주행은 가능한 실정이나 에에 따른 우천시에 빗물의 배수를 위하여 교량의 상판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관을 교량의 교각에 지지링으로 고정하여 도로면에 배출하는 배수관을 사용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으로 배수관의 배수가 쏟아지는 지면에 쇄골과 같은 파손이 형성되어 미관이 좋지 않으며 배수관에서 배수하는 동안 폭우 등으로 빗물의 배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소음 등이 발생하여 도시 환경에서 소음 공해가 높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도심에서 도로의 차량 주행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설치된 교각의 상판에 고이는 빗물을 재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판 가장자리에서 배수구가 형성되면서 고정된 배수관에 빗물의 낙하 속도를 저감시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면서 배출되는 도로면이 장기간 사용으로 발생하는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종래 사용되어오는 배수관의 사용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에서 도1에서 도시된 배수관에 비닐천을 내장된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도시된 배수관에 유속 저감용 나선 유통로를 도시한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4는 도2에서 도시된 배수관에 유속 저감용 반구형 카바를 도시한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량 2. 배수관 3. 배수구
4. 상판 5. 교각 7. 흐름공간
8. 고리형 사슬대 9. 나선유통로 10. 반구형 카바
12. 부러쉬 13. 걸림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면에서 직각으로 세워지는 교각을 이용하여 상판으로 형성되는 도시의 교량 및 고가차도 등에서 상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면서 교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고정된 지지링(6)에 고정되는 배수관(2)에서 폭우 및 장마 등으로 교량의 상판(4)에 쏟아지는 빗물을 차량의 안전 운행을위하여 신속하게 배수하여 주는데 이때 상판(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수관(2)으로 배출되어 하측의 도로면(11)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낙하되는 배수의 충돌로 장기간 사용하면서 도로면(11)이 파손되며 또 배수관(2)에서 소음 발생으로 도심의 소음 공해를 유발하여 주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고안으로 배수관(2)에서 배수되는 빗물의 낙하되는 가속도의 발생을 억제하여 주기 위한 고안으로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1)에서 일정간격인 간헐적으로 교각(5)으로 지지되어 상판(4)을 형성하여 차량통과용 도로가 형성되면서 상판(4)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의 교각(5)에 지지링(6)으로 고정되면서 배수구(3)가 형성되는 배수관(2)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수관(2)의 배수구(3)를 고정대(13)으로 고정되는 배수되는 빗물의 유속 저감용 비닐천이나 고리형 사슬대(8)에 부러쉬(12)를 매달아서 빗물이 배수구에서 낙하하면서 가속도가 형성되는 유속을 저감하여 주도록 구성된 배수관(2)에 관한 고안으로 배수관(2)의 배수구에서 낙하되는 유속을 비닐천이나 고리형 사슬대(8)에 부러쉬(12)가 빗물의 낙하하면서 지나가된 유속으로 흔들어 지면서 마찰을 형성하므로 낙하되는 유속을 저감하도록 제공하는 고안이다
여기서 고리형 사슬대(8)는 장기간 사용하며 또 낙하되는 빗물의 유속에 의하여 흔들리는 역할을 증대하여 주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좋은 합성수지제로 구성하여 준다
또 상기 설명된 본 고안의 배수관(2)에서 유속 저감하는 고리형 사슬대(8)의실시예에 대한 고안은 배수관(2)의 배수구에서 낙하되는 빗물은 하측으로 낙하되면서 요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의 배수구의 내측면에 단면이 원호형의 나선유통로(9)를 배수구의 내측면에 원호형의 나선유통로(9)의 외측가장지리로 일체하여 고정시켜 구성되는 고안으로 빗물이 낙하하면서 나선유통로(9)를 통하여 흘러가며 이때 나선유통로(9)를 넘쳐흐르는 빗물은 단면이 원호형의 나선이동로(9)의 역할로 배수관(2)의 내측면으로 유도하여 주는 역할을 하므로 빗물이 배수구에서 낙하하는 동안에 낙하의 가속도를 방지하여 주는 고안이다
또 본 고안에서 유속 자감 구조의 실시예로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에 도시된 고리형 사슬대(8)에 간헐적으로 연질 수지로 형성되는 반구형 카바(10)와 걸림대(13)을 배수관(2)의 내측면에 교호상으로 다수개 고정하여 구성시켜 주는 고안으로 이때 반구형 카바(10)는 배수구의 크기 보다 약간 작게 구성하여주어 빗물의 낙하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주며 또 빗물의 낙하속도에 의한 굽힘력을 형성하도록 충분한 연질의 수지로 구성하여 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은 지면(11)과 배수관(2)과의 빗물의 배출하는 흐름 공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교량용 유속 자감용 배수관에서 교량의 상판에 폭우 및 장마 등으로 빗물이 상판에 고이는 량이 많아서 교량의 상판에 형성된 주행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바퀴에 형성되는 수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교각에 따라 배수관을 형성하는데 이때 배수되는 빗물이배수구에서 낙하에 의한 가속도의 형성으로 소음 및 도로면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 도로면에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장기적인 사용을 하는 견제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도로면(11)에 교각(5)으로 지지되어 상판(4)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교량(1)의 상판(4)의 가장자리에 고정된 배수관(2)의 배수구(3)에 있어서 배수구(3)에 고정된 고정대(13)에 배수구에 내장되도록 비닐천이나 고리형 사슬대(8)에 부러쉬(12)를 고정하여 구성된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2)의 내측면에 단면이 원호형 나선유통로(9)를 외측 가장자리로 고정하여 구성된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3. 제1항에 있어서 고리형 사슬대(8)에 연질 반구형 카바(10)와 걸림대(13)를 배수관(2)의 내측벽에 교호상으로 고정하여 구성된 교량용 유속 저감배수관
KR2020020018656U 2002-06-19 2002-06-19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KR200289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56U KR200289993Y1 (ko) 2002-06-19 2002-06-19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56U KR200289993Y1 (ko) 2002-06-19 2002-06-19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993Y1 true KR200289993Y1 (ko) 2002-09-27

Family

ID=7307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56U KR200289993Y1 (ko) 2002-06-19 2002-06-19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9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000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263001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392893B1 (ko) 2012-06-27 2014-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일체형 탱크 필링 노즐
CN113957788A (zh) * 2021-11-02 2022-01-21 束龙 一种桥梁应力面板预制构件
KR20220040619A (ko) * 2020-09-24 2022-03-31 삼우엠텍(주) 교량 선배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000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263001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392893B1 (ko) 2012-06-27 2014-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일체형 탱크 필링 노즐
KR20220040619A (ko) * 2020-09-24 2022-03-31 삼우엠텍(주) 교량 선배수 시스템
KR102561226B1 (ko) * 2020-09-24 2023-07-31 삼우엠텍(주) 교량 선배수 시스템
CN113957788A (zh) * 2021-11-02 2022-01-21 束龙 一种桥梁应力面板预制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62702U (zh)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0967187B1 (ko) 이중 배수 장치
KR200289993Y1 (ko) 교량용 유속 저감 배수관
WO2007011274A1 (en) Device for migratory fish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JPH0853808A (ja) 透水性歩道ブロック
CN108316452A (zh) 一种具有过滤结构的雨水囗防臭井箅
KR101171208B1 (ko) 도로용 아케이드 구조물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CN210887309U (zh) 一种具有防护、警示、截污作用的检查井安全罩
JP3989257B2 (ja) 街渠桝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N207144118U (zh) 一种城市防洪排水井导水栏污装置
KR200311993Y1 (ko) 우,오수 받이 연결뚜껑
KR200351164Y1 (ko) 습지지역 도로의 빗물튀김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구조
KR200401253Y1 (ko) 유속 감소 풀륨관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600100B1 (ko)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KR20210012230A (ko) 토사유출방지 및 집진 기능을 가진 펜스
KR20060072720A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RU23388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воды с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ов
KR100582023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200403834Y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